KR930007913B1 -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13B1
KR930007913B1 KR1019900012116A KR900012116A KR930007913B1 KR 930007913 B1 KR930007913 B1 KR 930007913B1 KR 1019900012116 A KR1019900012116 A KR 1019900012116A KR 900012116 A KR900012116 A KR 900012116A KR 930007913 B1 KR930007913 B1 KR 93000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reatment
alkyl
treatment composition
composition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168A (ko
Inventor
갤러거 피터
맥기 토마스
코쉬델 에자트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취.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취.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1000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품
본 발명은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및 더욱 특별하게는 수성(aqueous)을 기초 재료로 하는 계면활성제계에 용해될 수 있는 폴리아미노글루코스 글리칸 폴리머 콤플렉스(polyaminoglucose glycan polymer complex ; PAGGPC)를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AGGPC의 물용해 가능한 염은 헤어 세팅 조성물에 있어서 필름-형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가 일찌기 EPO에 제출한 90306499.6과 같은 특허출원, 케이스 J3115에는 수성 및 수성에탄올 헤어 세팅 조성물에서 상기 임의 사용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이 필름-형성제로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양성자화(protonated)를 유지하여야 하며, 그래서 조성물의 pH는 낮아야만 한다.
PAGGPC는, 예를 들어 GB-A-2026516(무자렐리) 또는 US-A-4806474(마일즈)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스퍼질루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와 같은 어떤 버섯류의 팡이실을 강 알칼리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스퍼질루스 나이저는 공업적 발효공정, 예를 들면 시트르산의 생산에서의 공통 소비산물이다.
폴리아미노 글로코스 클리칸 콤플렉스는 완전히 특성지워지는 않았지만, 그것이 치톳한(chitosan)과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NMR 연구로서 알 수 있었으며, 상기 콤플렉스와 치토산에 의해 형성된 필름이 각각 서로 다르다는 것을 물리적 비교로서 알 수 있었다. 폴리아미노글루코스 플리칸 폴리머 콤플렉스는 시중 구입가능하며, 예를 들면 메이홀(Meyhall)로 부터 리오산(RIOSAN 상표)으로 구입할 수 있다.
샴푸나 콘디쇼너와 같은 기타 헤어 제품으로의 PAGGPC 도입은 사용자의 모발을 세트하여 오랜시간 지속시켜 주고 볼륨감을 증가시키는 가능성을 준다.
그러나 샴푸 또는 콘디쇼너계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물-용해 가능한 임의 사용은 pH 7 이하, 바람직하게는 pH 4 이하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들 계에 있어서, 이러한낮은 pH값은 대부분의 종래 계면활성제가 낮은 pH에서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포뮬레이션(formulation)의 문제가 초례하며, 마찬가지로 몇몇 사용자가 경험할 수도 있는 피부 자극의 가능성이 낮은 pH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수소 결합된 용해될 수 있는 PAGGPC의 특수한 유도체가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로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게 되었다. pH를 철저히 낮출 필요도 없이 이들 유도체가 샴푸 및 콘디쇼너에 용해될 수 있는 까닭에, 안정성의 문제 및 피부 자극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 결합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폴리아미노 글루코스 글리칸 포리머 콤플렉스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PAGGPC의 유도체는, 모발을 세트하며 그 형태를 지속시키고, 볼륨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들 PAGGPC 유도체는 얼마간의 콘디쇼닝을 주며 모발을 돋보이게 하는 잇점을 준다.
유도체는 PAGGPC와 친전자체의 반응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천진자체는 에폭시드, C1-30알킬 할로겐화물, C1-30아실 할로겐화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할로겐화물, 산무수물, 술톤(sultones), 알킬 락톤, C1-30알킬 에스테르, 아릴 에스테르 또는 C1-30지방족 알데히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천진자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드의 바람직한 예는,
Figure kpo00001
(R은 H, C1-20알킬, C3-6시클로알킬, 아릴, -CH2OR1이고, 여기서, R1는 H, C1-20알킬, C3-6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Figure kpo00002
(R2및 R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H 또는 C1-20알킬로부터 선택하고, Z는 아릴, C1-30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또는 C2-30에톡실화 알킬,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다)를 포함한다.
적합한 할로겐화물의 예로는 1-브로모에탄, 1-브로모헥산, 1-클로로도데칸, 클로로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노일 염화물, 프로피오닐 염화물, 벤조일 염화물 및 스테아로일 염화물이 있다. 적합한 산 무수물은 아세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프틀산 무수물 및 시트르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다.
친전자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술톤은, 예를 들면 1, 3-프로판 술톤 및 1, 4-부탄 술톤이 있으며, 적합한 에스테르로는 에타노산 에틸(ethyl ethanoate) 벤조산 에틸, 벤조산 벤조일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AGGPC의 유도체를 0.01-25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보통, PAGGPC는 자유(free)히드록실기 및 몇몇 아세틸화아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상태하에서, 상기 언급한 것들로부터의 천진자체는 히드록실기(들)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PAGGPC를 강알칼리로 처리함으로써 탈아세틸화시키면, 반응은 종종 더 쉽고 바람직해질 수 있다.
그후, 천진자체는 아민기(들)을 바람직하게 공격할 수 있지만, 적당한 조건하에서는, 천진자체는 자유아민 및 히드록실기 모두와 반응할 수 있다.
어떤 천진자체들, 예를 들면 1, 2-에폭시프로판의 경우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수소 결합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PAGGPC의 유도체를 얻도록 적당히 높은 수준의 치환이 요구됨을 주목해야 한다. 낮은 수준의 치환은 수소 결합한 용매에 용해될 수 없는 유도체를 유발한다. 이러한 유도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 해당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는 주어진 임의의 천진자체에 대한 치환의 요구정도를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낮은 수준의 치환을 갖는 유도체의 사용은 본 출원과 동일자를 갖는 본 발명자의 동시 계속출원 J3116(영국 특허출원 제8918079.8호)의 주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수소 결합한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수소 결합한 용매의 예로는 물, 수성 계면활성제 또는 수성 알코올이 적합하다. 수소 결합한 용매의 더많은 예는 "The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1983-4, 64판, 에드. 로버트 씨 위스트, CRC 출판)의 C-696에서부터 C-698까지의 표Ⅱ, C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샴푸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비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게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음이온 게면활성제로는 황산알킬, 황산알킬 에테르, 술폰산 알카릴, 숙신산 알킬, 술포숙신산 알킬, 살코신산 N-알코일 및 술폰산 알파-올레핀, 특히 이들의 나트륨, 마그네슘, 암모늄 및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염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킬기는 C8-18이며 불포화일 수 있다. 황산알킬 에테르는 분자당 산화에틸렌 또는 산화프로필렌 1-10단위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산화에틸렌 2-3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오레일 숙신산나트륨, 라우릴 술포숙신산암모늄, 라우릴 황산암모늄, 도데실 벤젠 술폰산나트륨, 도데실 벤젠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및 N-라우릴 살코신산나트륨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에테르황산나트륨 2EO 및 3EO, 라우릴 황산암모늄 및 라우릴 에트르 황산암모늄 1EO, 2EO 및 3EO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비이온 게면활성제는, 지방족(C8-18) 일차 또는 이차선형 또는 갈래연쇄 알코올 또는 페놀을, 산화알킬렌, 통상 산화에틸렌 및 일반적으로 6-30EO와 축합하여 얻은 축합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적합한 비이온은 모노 또는 디 알킬 알칸놀아미드 또는 알킬 폴리글루코시드를 포함한다. 예로는 코코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 코코모노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및 코코디클루코시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산화물, 알킬베라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 술포베라인, 알킬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카복실글리시네이트를 포함하며, 이때 알킬기는 C8-18이다. 예로는, 라우릴아민산화물,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디메틸 술포프로필 베타인 및 바람직하게는 코코베타인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의 형태일 경우, 계면활성제 2-4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를 함유한다.
계면활성제가 2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되면, 부적합한 거품이 일어나며, 만일 계면활성제가 40중량%이상 존재되면, 세척력이나 거품 형성력이 더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의 형태로 대신할 경우, 콘디쇼닝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콘디쇼닝제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중합체, 퀴티나이즈(quaternise)된 규소, 휘발성 규소, 프로테인 해드롤리세이트(hydrolysate) 또는 퀴리나이즈된 프로테인 히드롤리세이트가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 스테아릴 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물, 세틸피리디늄 염화물 퀴티니움-5, 퀴티니움-31, 퀴티니움-18 및 이들의 혼합물.
적합한 양이온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구아트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 염화물, 퀴티니움-19, 퀴티니움-23, 퀴티니움-40, 퀴티니움-57, 폴리(대메틸디알릴암모늄 염화물), 폴리디메틸부테닐암모늄 염화물)-α, w-비스(트리에탄올암모늄 염화물), 폴리(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염화물), 폴리(메틸-β-프로판요오디알랄암모늄 염화물), 폴리(디알릴피페리디늄 염화물), 폴리(비닐피리디늄화물), 퀴티나이즈된 폴리(비닐알코올), 퀴티나이즈된 폴리(디메틸아노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한 휘발성 규소물질의 예로는 다우 코닝 DC 345로서 시중 구입 가능한 시클로메치콘 및 유니온 카바이드로부터 시중 구입 가능한 볼라타일실리콘 7158(Volatile silicone 7158)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퀴티나이즈된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아미노작용 폴리디메틸실옥산(amino 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이다. 예를 들면, 다우코닝 DC 929로서 시중 구입 가능한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및 다우코닝 Q8220으로서 시중 구입 가능한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이 있다.
적합한 프로테인 히드롤리세이트로는, 상표 LAMEQUAT L로 시중 구입 가능한 라우릴 디모니움 히드록시 프로필아미노 히드롤리즈드 에니멀 프로테인(lauryl dimonium hydroxy propylamino hydrolysed animal protein) 및 상표 CROQUAT WKP로 시중 구입 가능한, 실포-베어링 아미노산(sulphur-bearing amino acid)을 함유하는 히드롤리즈드 케라틴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의 형태로 되는 경우에는, 콘디쇼닝제 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무스인 경우에는, 이 무스는 모발을 샴푸한 후 사용하며 헹궈낼 필요가 있다. 이 무스는 헤어세트로 유지된 모발 위에 PAGGPC 콤플렉스를 준다.
본 발명에 다른 무스 조성물은 또한 라우릴 디메틸아민 산화물 또는 라우릴 베타인과 같은 계면활성제 및 히드로카본, 플루오로카본,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또는 압축가스 예를 들면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압축가스와 같은 고압가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된 PAGGPC의 유도체는, 무스 조성물에서 사용된 액화 고압가스인 히드로카본, 플루오로카본 또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 가스 등에 용해되지 않으며, 충분한 양의 수소결합한 용매가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있어야만 유도체가 용해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기타 성분, 즉 점성 조절제, 용해성 조절제, 거품 촉진제, 유백제, 향료, 착색제, 항비듬제, 방부제, 프로테인, 중합체, 완충제, 농후제(濃厚劑)를 함유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PAGGPC 유도체를 다음의 실시예ㅒ로서 제조한다.
[제조 실시예 A]
밀페된 튜브(또는 압력솥)내의 탈아세틸화 PAGGPC를 수성에탄올 용매에 용해된 산화프로필렌과 함께 100℃, 12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PAGGPC를 N-프로폭실화하여, N-히드록시프로필 PAGGPC(A)를 얻었다.
[제조 실시예 B]
NaOH 존재하에 압력솥 안에서, 상기 제조 실시예 A에서 얻어진 N-히드록시프로필 PAGGPC 유도체를 아세톤에 용해된 1-브로모프로판과 함께 18시간 동안 60-80℃ 사이로 가열함으로써, 작용기가 더 붙은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O-프로필, N-히드록시프로필 PAGGPC(B)가 얻어졌다.
[제조 실시예 C]
불순 아세틸화 PAGGPC를 1-브로모옥탄의 존재하에, 디메틸포름알데히드(DMF)내에서 15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O-옥틸 PAGGPC(C)를 얻었다.
[제조 실시예 D]
탈아세틸화 PAGGPC를 DMF하여 1-브로모헥산과 함께 15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여 N-헥실 PAGGPC(D)를 얻었다.
[실시예 1]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실시예이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실시예이다.
Figure kpo00004
1-자구아르 C-13S는 구아르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 염화물이다.
[실시예 3]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의 실시예이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4]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의 실시예이다.
Figure kpo00006
2-나트로솔 250HR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이다.
[실시예 5]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무스 조성물의 실시예이다.
Figure kpo00007
3-엠피겐 OB는 라우릴 디메틸아민 산화물이다.
4-아쿠아드 16/50은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염화물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이다.

Claims (10)

  1. 수소 결합한 용매에 용해된 폴리아미노글루코스 글리칸 폴리머 콤플렉스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노글루코스 글리칸 폴리머 콤플렉스는 폴리머 콤플렉스와 친전자체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노글루코스 글리칸 폴리머 콤플렉스는, C1-32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인 친전자체의 잔기에, 질소 또는 산소를 통하여 결합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4. 청구범위 1, 2,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친전자체는 C2-23에폭시드, Cu-wt비스에폭시드, C1-30알킬 할로겐화물, C1-30아실 할로겐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할로겐화물, 산 무수물, 술톤(sultones), 알킬 락톤, C1-30알킬 에스테르, 아릴 에스테르 및 C1-30지방족 알데히드로부터 선택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에폭시드는
    Figure kpo00008
    (R은 H, C1-20알킬, C3-v시클로알킬, 아릴, -CH2OR1로부터 선택되고, R1은 H, C1-20알킬, C3-v시클로알킬 또는 C1-v아릴이다)
    또는
    Figure kpo00009
    (R2및 R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H 또는 C1-20알킬로부터 선택되고, Z는 아릴, C1-30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또는 C2-30에톡실화 알킬이다)로부터 선택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6.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산 무수물은 아세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시트르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7.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PAGGPC의 유도체는 0.01-25중량%의 양으로 존재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8.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샴푸의 형태로 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9.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헤어 콘디쇼닝 조성물의 형태로 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10.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무스 형태로 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19900012116A 1989-08-08 1990-08-08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KR93000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18080.6 1989-08-08
GB898918080A GB8918080D0 (en) 1989-08-08 1989-08-08 Hair treatment composition
GB891808.6 1989-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168A KR910004168A (ko) 1991-03-28
KR930007913B1 true KR930007913B1 (ko) 1993-08-21

Family

ID=1066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116A KR930007913B1 (ko) 1989-08-08 1990-08-08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12744A1 (ko)
JP (1) JPH0377811A (ko)
KR (1) KR930007913B1 (ko)
AU (1) AU628204B2 (ko)
BR (1) BR9003864A (ko)
CA (1) CA2022490A1 (ko)
GB (1) GB8918080D0 (ko)
IN (1) IN171816B (ko)
ZA (1) ZA9062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4743A1 (de) * 1992-10-15 1994-04-21 Wella Ag Mittel zur Festigung der Haa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2754A (en) * 1968-02-12 1972-01-04 Lescarden Ltd Use of chitin for promoting wound healing
GB1283892A (en) * 1970-06-08 1972-08-02 Irwin Irville Lubow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dicinal compositions for application to the skin and/or hair
DE3541305A1 (de) * 1985-11-22 1987-05-27 Wella Ag Kosmetische mittel auf der basis von n-hydroxypropylchitosanen, neue n-hydroxypropyl-chitosan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597335B1 (fr) * 1986-04-18 1990-08-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ermettant de lutter contre l'aspect gras des cheveux, et son utilisation.
DE3632030C2 (de) * 1986-09-20 1995-01-05 Wella Ag Verdicktes kosmetisches Mittel zur Festigung der Frisur
IT1212143B (it) * 1987-06-26 1989-11-08 Crinos Industria Farmaco Composizione ad attivita'tricoge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0964B2 (ko) 1992-09-29
EP0412744A1 (en) 1991-02-13
KR910004168A (ko) 1991-03-28
IN171816B (ko) 1993-01-16
ZA906258B (en) 1992-04-29
CA2022490A1 (en) 1991-02-09
BR9003864A (pt) 1991-09-03
JPH0377811A (ja) 1991-04-03
AU6016690A (en) 1991-02-14
AU628204B2 (en) 1992-09-10
GB8918080D0 (en) 198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8283A (en) Cosmetic composition based upon chitosan derivatives, new chitosan derivatives as well as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613463B2 (ja) 高分子量で界面活性である新規な第四級n‐置換キトサン誘導体及びこの新規なキトサン誘導体に基づく化粧品
KR970001641B1 (ko) 모발 처리 조성물
EP1191039B1 (en) Polysaccharide derivative
KR970001207B1 (ko) 모발 보호 조성물
US4530829A (en) Hair treatments
CA2664326C (en) Quaternized cellulose ethers for personal care products
KR960016194B1 (ko) 헤어스타일링 조성물
EP1329215B1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s
US4411891A (en) Cationized dextran and salts thereof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utilization thereof
JP2554907B2 (ja) N−ヒドロキシブチルキトサンに基く化粧品、新規なn−ヒドロキシブチルキトサン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27121B2 (ja) 第四級キトサン誘導体をベ−スとする美容剤、および新規第四級キトサン誘導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1994002111A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US4923977A (en) Cosmetic composition based upon N-hydroxypropylisopropylether chitosans as well as new N-hydroxypropylisopropylether derivatives of chitosan
US4772690A (en) Quaternary hydroxyethyl-substituted chitosan derivatives, cosmetic compositions based thereon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0749299B9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JP3349219B2 (ja) 化粧品基材
US5686403A (en) Cleanser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ate ester and ether acetate surfactants
KR930007913B1 (ko)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EP1016650A1 (en) A method for preparing of betaine alkyl ester mixture
CH665843A5 (fr) Polyethers glycosy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 au pharmaceutique les contenant.
JPH1112303A (ja) 新規多糖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4678665A (en) Polyanionic compounds derived from aromatic ethers of polyglycerols
EP0337406B1 (en) Neutralized alkyl ether sulfuric acid half-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polyhydroxy oligomers
EP4009939A1 (e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