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763B1 - 해머드릴 - Google Patents

해머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763B1
KR930007763B1 KR1019890005367A KR890005367A KR930007763B1 KR 930007763 B1 KR930007763 B1 KR 930007763B1 KR 1019890005367 A KR1019890005367 A KR 1019890005367A KR 890005367 A KR890005367 A KR 890005367A KR 930007763 B1 KR930007763 B1 KR 930007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 shaft
steel ball
drill b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13A (ko
Inventor
요시히로 사까모도
히사시 오다
쇼오이찌 혼고오
이찌로오 기시
히로시 기꾸찌
고오이찌 이와나가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016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33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773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5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773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96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머드릴
제1도는 본발명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상의 클러치 접속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동상 클러치의 강제 분리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상의 파단 측면도.
제5도는 동상의 횡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동상 클러치부의 횡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부 횡단면도.
제10도(a)(b)는 동상 걸어맞춤오목부의 형상의 차를 설명하는 횡단면도.
제11도(a)(b)는 구동축과 통체 상이의 여유를 설명하는 횡단면도.
제12도는 부분 종단면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동상의 부분 횡단면도.
제19도는 동상의 통체의 사시도.
제20도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1도는 동상의 통체의 사시도.
제22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23도(a)(b)(c)는 동상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4도는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25도(a)(b)(c)는 동상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6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7도(a)(b)(c)는 동상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8도 및 제29도는 강구(鋼球)의 튕겨나오기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0도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1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우터 3 : 스핀들
4 : 피스톤 5 : 운동변환부재
6 : 클러치 7 : 드릴비트
23 : 구동축 27 : 걸어맞춤오목부
35 : 클러치푸쉬 41 : 타격체
60 : 클러치축 61 : 강구(鋼球)
65 : 클러치판 69 : 스토퍼
76 : 가압 스프링
본발명은 드릴비트에 회전만이 아니고 축방향의 타격충격도 부여하도록 한 해머드릴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구멍뚫기를 위한 공구로서, 해머드릴이라 부르는 것이 있다. 이것을 축방향으로 왕복구동되는 타격수단과, 같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로운 타격체와를 설치하여, 타격수단이 타격체에 그 움직임을 전달하면 회전구동되는 드릴비트에 타격체가 다시 타격충격을 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피천공면에 드릴비트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작동시킬 때에는 드릴비트에 타격충격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즉 공타(空打)가 발생하면 각부의 손상이 빨라지기 때문에 통상 이 종류의 공구는 공타방지로서 피천공면에 드릴비트를 가압하지 않을 때는 타격체의 움직임을 제한해 버리는 등의 수단에 의해 타격체가 드릴비트를 타격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타격수단의 왕복구동은 여전히 행해지고 있었던 사실로하여 공타에 의한 손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에너지 소모가 크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에너지 소모는 전지를 전원으로 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영국 공개특허 제2,170,746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타격수단과 모우터와의 사이에 클러치를 설치하여 드릴비트를 피천공면에 가압하면 이 클러치가 접속되고, 피천공면에서 드릴비트를 떼면 클러치가 끊어져 타격수단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드릴비트를 유지함과 동시에 모우터로 부터의 회전력을 드릴비트에 전달하고 있는 스핀들을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하고, 그리고 드릴비트를 피천공면에 가압한 때의 스핀들의 후퇴를 이용하여 상기 클러치를 접속하고 있으며, 드릴비트에 타격충격을 부여하기 위한 타격수단의 작동은 드릴비트가 피천공면에 가압한 때에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타격수단에의 동력전달을 분리할 수 있는 클러치를 설치한 해머드릴에서는 상기 종래예도 포함하여, 그 클러치가 드릴비트의 축방향으로 소요의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동력전달의 분리접촉을 행하는 것이었던 사실에서 천공시의 타격충격의 반동이 클러치에 전달되고, 이 반동에 의해 분리접촉을 위한 부재도 분리접촉 방향으로 미진동을 일으켜 클러치의 접속상태를 불안정하게 하거나, 이상음을 발생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의 것에서는 드릴비트이 축방향의 움직임을 직접 클러치에 전달하여 클러치에 입절동작을 시키는 사실에서 더더욱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천공시의 타격충격반동을 클러치가 받더라도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하는데에 이상음의 발생도 없는 해머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의해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드릴비트를 유지하는 스핀들과, 상기 모우터에 운동변환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행함과 동시에 타격체를 통하여 드릴비트에 그 축방향의 타격충격을 가하는 타격수단과를 구비함과 동시에 모우터에서 운동변환부재에 이르기까지의 회전전달부에 위치하여 운동변환부재에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해머드릴에 있어서, 클러치는 드릴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를 구비하여, 이 부재의 이동으로 모우터측과 운동변환부재측과의 회전중심이 서로 평행인 한쌍의 부재 사이의 연결상태의 분리접촉을 행하는 데에 주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클러치로서는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 동심인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 및 걸어맞춤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를 구비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중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부재로 유지된 강구가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의 연결을 행하고, 강구와 걸어맞춤오목부에서 이탈함으로써 연결해제를 행하는 것을 채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이 때는 상기 걸어맞춤오목부가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는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동심으로 설치된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 강구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구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강구를 이동시키는 클러치판과, 드릴비트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클러치판에 전달하는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판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압스프링과, 클러치판의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의 축방향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비트에 부여하는 타격충격의 반동이 클러치에 전달되어도, 클러치에 있어서의 분리접촉을 위한 부재는 드릴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서 연결상태의 분리접촉을 행하기 때문에, 드릴비트에 대한 타격의 반동, 즉 드릴비트이 축방향 진동의 영향을 받는 것이 없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가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동심의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 및 걸어맞춤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를 구비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중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부재로 유지된 강구가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의 연결을 행하고, 강구가 걸어맞춤오목부에서 이탈하는 것으로서 연결 해제를 행하는 것일 경우, 강구가 끼워지는 걸어맞춤오목부를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했다면 구동축이 고속회전하고 있을 때라도 강구가 걸어맞춤오목부에 끼워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여유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로인해 강구에 의한 클러치의 접속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를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동심으로 설치된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 강구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구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강구를 이동시키는 클러치판과, 드릴비트의 축방향 움직임을 클러치판에 전달하는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판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압스프링과, 클러치판의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의 축방향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을 경우에는 구동축과 함께 고속회전하는 강구가 그 원심력으로 클러치판을 가압하여 이것을 후퇴시켜서 튕겨나가려 하여도 스토퍼에 의해 클러치판의 이동이 방해되기 때문에 강구의 튕겨나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이하, 본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우선 전체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하우징(1)은 그 전단에 드릴비트(8)가 장착되는 척부(13)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후단하부에서는 핸들부(16) 가 연출되어 있으며, 중앙부 아래쪽에서 핸들부(16)의 전방에 위치하는 곳에 축전지팩(9)이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면중 14는 스위치핸들, 15는 회전방향 절환핸들이다.
모우터(2)는 본체하우징(1)의 후부에 그 축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그 출력축(20)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피니온(21)이 고착되어 있다. 이 피니온(21)이 맞물리는 기어(24)는 양단이 하우징(11)과 모우터 부착대(12)에 의해 축받이(22,22)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축방향이 모우터(2)의 축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는 구동축(23)의 일단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23)은 상기 기어(24)측에 운동변환부재(5)가 부착되고, 타단측의 외주면에 피니온(25)이 형성된 것으로, 피니온(25)과 운동변환부재(5)와의 사이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클러치(6)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의 기어케이스를 겸용한 전단부내에는 축받이(30)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 스핀들(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핀들(3)은 그 후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피니온(25)과 맞물리는 기어(32)가 키(38)와 리테이닝링(39)등에 의해 고정된 것이어서, 내부에는 스트라이커(33)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으며, 선단부는 상기 척(13)의 한 구성부재로 되어 있다. 이 척(13)은 드릴비트(8)의 외주면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긴홈(80)에 걸어맞춤체(81)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드릴비트(8)를 소정범위내의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유지하는 것으로, 드릴비트(8)의 착탈은 걸어맞춤체(81)의 외주에 위치하는 링(82)을 회전시켜서 링(8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83)내에 걸어맞춤체(81)를 퇴피시킴으로써 행한다.
상기 스트라이커(33)는 스핀들(3) 내부에 고정된 걸어맞춤체(34)에 의해 그 축방향의 미끄럼이동 범위가 규제된 것으로, 그 소경으로 된 후단부에는 O링과 같은 탄성체(37)와 스핀들(3)의 후단부내에 수납된 캡형상의 클러치푸쉬(35)가 씌워져 있다. 상기 탄성체(37)는 스핀들(3)과 클러치푸쉬(35)와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한다. 또, 상기 클러치푸쉬(35)는 스핀들(3)의 후단개구에서 돌출하는 돌기(3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스트라이커(33)의 후방에는 유저통모양으로 된 타격수단으로서의 피스톤(4)과, 이 피스톤(4)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배치된 타격체(41)가 설치되어 있다. 스핀들(3)의 축방향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피스톤(4)은 상기 모우터(2)가 부착되는 모우터 부착대(12)에 형성된 실린더부에 의해 구동축(23)이나 스핀들(3)의 축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운동변환부재(5)에 연결되는 후단측이 폐쇄된 것으로 되어 있다. 타격체(41)의 미끄럼이동방향은 피스톤(4)과 같은 방향이다.
운동변환부재(5)는 구동축(23)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구동축(23)이 끼워진 통체(50)와, 이 통체(50)에 고차된 인너레이스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볼(51)을 통하여 유전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외부레이스(52)와, 외부레이스(52)에서 돌설된 축(53)과 축(53)이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지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면모양으로 된 외면이 이음매받이(55)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4)의 후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자재이음매(54)와, 축(53)에 장착되어 자재이음매(54)를 이음매받이(55)로 향하여 가압하는 이음매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재이음매(54)를 관통하고 있는 축(53)의 선단은 피스톤(4)의 후단부에 형성된 피스톤(4)의 축방향으로 긴, 긴홈(42)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운동변환부재(5)에 있어서의 외부레이스(52)는 그 회전중심축이 구동축(23)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으로 되어 있는 사실로해서, 구동축(23)과 함께 통체(50)가 회전할 때, 외부레이스(52)에서 돌설된 축(53)은 구동축(23) 주위의 회전이 피스톤(4)측에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4)과 구동축(23)과의 양축을 포함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요동을 행하는 것이며, 이 결과, 피스톤(4)의 왕복구동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구동축(23)과 구동축(23)에 대하여 유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운동변환부재(5)의 통체(50)와의 사이의 회전전달의 입절을 행하는 클러치(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클러치(6)는 구동축(23)에 있어서의 피니온(25)과 운동변환부재(5)와의 사이부분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클러치축(60)와, 클러치축(60)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판(65)과 운동변환부재(5)의 통체(50)를 이것과, 동축에 있는 구동축(23)에 연결하는 강구(61)와를 구비한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축(60)은 구동축(2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으로, 그 피니온(25)측에는 드러스트판(62)과 스프링받이(63)가 부착되고, 타단외주면에는 돌기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23)에 부착된, 리테이닝링(26)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귀스프링(75)에 의해 피니온(25)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클러치판(65)은 클러치축(60)에 대하여 다시 축방향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된 것으로, 클러치축(60)의 상기 돌기부(64)와 걸어맞춤하는 돌기(66)를 일단 내주면에 구비하고, 외주면에 플랜지(67)를 구비하고, 또, 통체(50)측인 타단 내주면에 내경이 크게 된 퇴피부(6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받이(63)와의 사이에 배설된 가압스프링(76)에 의해 운동변환부재(5)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강구(61)는 통체(50)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판(65) 내주면과 구동축(2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지공(57)내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그 직경은 통체(50) 단부의 두께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23) 외주면에는 클러치판(65)에 가압됨으로써 강구(61)가 구동축(23)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강구(61)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오목부(27)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해머드릴에서는 드릴비트(8) 선단을 피천공면에 대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트라이커(33)가 전진한 위치에 있다. 또, 이때에는 복귀스프링(75)에 의한 클러치축(60) 및 클러치판(65)의 가압으로 클러치판(65)의 내경이 큰 퇴피부(68)가 강구(61) 외주에 위치해 있으며, 강구(61)가 구동축(23) 외주면에 가압되어 퇴피부(68)로 퇴피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축(23)과 통체(50)가 절리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스위치 핸들(14)을 조작함으로써 모우터(2)를 작동시키면 모우터(2)의 회전은 구동축(23)에서 스핀들(3)을 통하여 드릴비트(8)에 전달되지만, 운동변환부재(5)는 절리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4)이 왕복이동을 행하는 일은 없고, 드릴비트(8)의 회전만이 행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드릴비트(8)의 선단을 피천공면에 가압시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릴비트(8)는 허용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스핀들(3)에 대하여 후퇴하고, 스트라이커(33)를 후방으로 밀어 이것을 후퇴시킨다. 그리고, 스트라이커(33)는 탄성체(37)와 클러치푸쉬(3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고, 클러치푸쉬(35)의 돌기부(36)가 드러스트판(62)과 스프링받이(63)를 통하여 클러치축(60)을 복귀스프링(75)에 대항하여 운동변환부재(5) 측으로 가압한다.
이 결과, 클러치판(65)은 가압스프링(76)에 의한 가압을 받은 상태로 운동변환부재(5) 측으로 이동하고, 퇴피부(68) 보다도 내경이 작은 부분을 강구(61)의 외주부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강구(61)는 안쪽으로 압출되어 구동축(23)의 걸어맞춤 오목부(27)에 걸어맞춤한다. 강구(61)를 유지공(57)내에 유지하고 있는 통체(50)가 강구(61)를 통하여 구동축(23)에 연결되어 구동축(23)의 회전이 운동변환부재(5)에 전달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후, 운동변환부재(5)를 통하여 피스톤(4)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고, 피스톤(4)의 왕복운동에 피스톤(4)의 내저면과 타격체(41)와의 사이의 공간 스프링을 통하여 타격체(41)가 추종되고, 그리고 타격체(41)가 스트라이커(33)를 칠때의 타격충격이 스트라이커(33)을 통하여 드릴비트(8)에 전달된다.
여기에 있어서 구동축(23)과 운동변환부재(5)와의 사이의 동력전달 입절은 드릴비트(8)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강구(61)가 이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타격충격을 드릴비트(8)에 부여할 때의 반동에 의한 축방향 진동이 클러치판(65)등에 전달되어도 여기에 있어서의 클러치(6)의 강구(61)에 의한 구동축(23)과 통체(50)의 연결은 제2도에 α로 표시하는 거리만큼 클러치판(65)이 움직이지 않고는 그 상태가 전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축방향 진동에서 생기는 클러치판(65)의 미소한 축방향 이동으로는 접속상태에 전혀 영향이 생기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며, 또, 이상음을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표시하는 것은, 스트라이커(33)와 클러치푸쉬(35)와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37)와, 상기 가압스프링(76)이 진동흡수를 행하기 때문에 클러치판(65)과 강구(61)쪽에 전달되는 진동자체가 적어진다.
천공작업이 종료하여 드릴비트(8)를 피천공면에서 분리하면 복귀스프링(75)에 의한 가압으로 클러치축(60)이 복귀하고, 클러치판(65)도 클러치축(60)에 잡아당겨 운동변환부재(5)에서 분리되어 강구(61)의 외주부에 퇴피부(68)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강구(61)가 구동축(23) 외주면에서 압출되어 퇴피부(68)로 퇴피하고, 클러치(6)가 절리된다. 또, 클러치푸쉬(35)나 스트라이커(33) 및 드릴비트(8)도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드릴비트(8)는 회전만을 행하는 상태가 된다.
철판이나 목재에의 구멍뚫기 작업과 같이 타격을 수반시킬 필요가 없을 때는 본체하우징(1)의 측면에 설치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분리레버(70)를 조작하면 된다. 본체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자체에 부착된 절리레버(70)는 선단면의 편심위치에서 핀(71)을 돌출시키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클러치판(65)의 플랜지(67)에 있어서의 운동변환부재(5) 측의 면에 접하는 로울러(72)를, 핀(71)에 의해 유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으며, 절리레버(70)를 회전시키면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울러(72)가 플랜지(67)에 맞닿음으로써 클러치판(65)이 운동변환부재(5)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푸쉬(35)가 클러치축(60)을 가압할 때에도 클러치(6)가 들어가는 것을 강제적으로 저지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축(23)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7)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강구(61)의 지름과 대략 대등한 크기를 갖는 반구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이 경우 구동축(23)의 회전이 저속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는 강구(61)가 걸어맞춤 오목부(27)에 빠져서 걸어맞춤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구동축(23)의 회전의 주속도가 2m/초에 도달할 만큼 고속일 때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7)의 한쪽 가장자리의 강구(61)에 접근하여 강구(61)가 끼워지기 시작하여도 구동축(23)의 회전속도가 강구(61)가 끼워지는 속도보다 빨라져서 걸어맞춤 오목부(27)의 다른쪽 가장자리에서 강구(61)를 압출해 버리고, 이 때문에 드릴비트(8)를 피천공면에 갖다대고 강구(61)가 구동축(23)과 걸어맞춤하여 실제로 타격충격이 시작되기까지에 큰 지연이 발생하거나, 이상음이 발생하거나 하는 수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걸어맞춤 오목부(27)의 형상을 이하와 같이함으로써 대처할 수가 있다.
즉,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축(23) 외주면에 설치되어 클러치(6)에 있어서의 강구(61)가 끼워지는 걸어맞춤 오목부(27)를 둘레방향으로 긴 노치면으로서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구모양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27)와 비교하여 같은 깊이 D1=D2라 하더라도 둘레방향의 길이 L2〉L1이 되기 때문에 강구(61)가 걸어맞춤 오목부(27)에 끼워지는 것을 허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구동축(23)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어도 강구(61)의 걸어맞춤 오목부(27)에의 걸어맞춤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단, 이와같은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한 걸어맞춤 오목부(27)는 클러치(6)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도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축(23)에 대한 통체(50)의 여유를 허용하는 것이 되고, 이것은 구동축(23)에 의해 통체(50)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도시예의 구조의 것에서는 구동축(23)에 대하여 통체(50)가 미동의 회전진동을 일으킴과 동시에 피스톤(4) 측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제12도에 β로 표시하는 영역에 있어서 구동축(23)과 통체(50)와의 사이에 소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제13도~제1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부의 점을 다시 고려하여 구동축(23)과 통체(50)와의 사이에 회전방향의 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축(23)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걸어맞춤 오목부(27,27) 가운데의 한쪽만을 둘레방향으로 긴 노치면으로 형성하고, 다른쪽 걸어맞춤 오목부(27)는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모양인 걸어맞춤 오목부(27)의 구동축(23)의 축방향 길이를 길게하고, 겸하여 통체(50)에 설치된 강구(61)를 유지하는 유지공(57)도 구동축(23)의 축방향 길이를 길게하며, 또한, 클러치판(65)의 퇴피부(68)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스토퍼(69)를 설치하여 강구(61)가 걸어맞춤 오목부(27)에 걸어맞춤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클러치판(65)이 축방향 이동을 행할 때 강구(61)가 클러치판(65)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서는 클러치판(65)이 운동변환부재(5) 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6)의 접속을 행할 때 우선 제14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구(61)가 끼워지기 쉽게 되어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27)에 강구(61)가 걸어맞춤하여 가연결을 행하며, 구동축(23)과 통체(50)가 대략 같은 속도로 회전하기 시작한 후 제15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른쪽의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 모양인 걸어맞춤 오목부(27)에고 강구(61)가 끼워지는 것이다. 이리하여 2종류의 걸어맞춤 오목부(27,27)에 함께 강구(61,61)가 걸어맞춤한 후는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모양인 걸어맞춤 오목부(27)와 강구(61)와의 걸어맞춤 때문에 구동축(23)과 통체(50)와의 사이에 회전방향의 여유가 생기는 일은 없으며, 구동축(23)에서 통체(50)에의 회전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7)와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모양인 걸어맞춤 오목부(27)와를 구동축(23)의 축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함과 동시에 통체(50)의 유지공(57)도 어긋나게 설치하고, 클러치(6)의 접속을 위하여 클러치판(65)이 이동할 때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7)에 우선 강구(61)가 걸어맞춤하여 가연결을 행하고, 클러치판(65)이 다시 이동하면 다른쪽 둘레방향 단면이 반원모양인 걸어맞춤 오목부(27)에 강구(61)가 걸어맞춤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한 걸어맞춤 오목부(27) 일단에 다시 반구 모양의 오목부(27a)를 설치하여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축(23)의 회전에 따라 강구(61)가 우선 걸어맞춤 오목부(27)의 타단측에서 걸어맞춤 오목부(27)에 끼워지고, 구동축(23)의 회전에 따라 최종적으로 강구(61)가 오목부(27a)에 빠져버리도록 하여도 좋다. 오목부(27a)에 강구(61)가 걸어맞춤했을 시점에서 구동축(23)과 통체(50)와의 사이의 회전방향의 여유가 없어진다. 상기 오목부(27a)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의 걸어맞춤 오목부(27)의 중앙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의 걸어맞춤 오목부(27)를 구동축(23)에 형성함에 있어서, 일단측에 원활하게 상승하는 상승부(27b)를 남겨두어도 좋다. 이 경우, 강구(61)의 걸어맞춤 오목부(27)에의 걸어맞춤이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구동축(23)과 통체(50)와의 사이에 회전방향의 여유는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대략 반이 된다.
또, 여기서는 구동축(23)의 외주에 운동변환부재(5) 측의 걸어맞춤부인 통체(50)가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은 반대일 때도 좋다.
또, 클러치(6)에 있어서의 가압스프링(76)은 상기와 같이 클러치(6)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이지만 이 가압스프링(76)의 존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는 수가 있다.
즉, 클러치(6)의 접속을 위하여 클러치판(65)이 이동하여 강구(61)를 안쪽으로 가압할 때에 고속회전하고 있는 구동축(2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오목부(27) 가장자리에서 강구(61)가 튕겨지거나 구동축(23)과 걸어맞춤하여 강구(61)도 회전할 때 강구(61)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바깥쪽으로 뛰어나오려할 때 제2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클러치판(65)을 가압스프링(76)에 대항하여 되밀려고 하는 분력을 발생시키는 힘(F)을 클러치판(65)에 부여하는 수가 있으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클러치판(65)이 크게 후퇴하면 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강구(61)가 뛰어나와 버리고, 이후 클러치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제30도는 상기의 점을 감안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해머드릴의 본체하우징에 고정시킨 막대기 모양의 스토퍼(69)를 설치하여 이 스토퍼(69)를 클러치판(65)과 스프링받이(63)와의 사이에서, 또 가압스프링(76) 외주에 위치하는 곳에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스토퍼(69)는 클러치판(65)의 운동변환부재(5) 측의 퇴피부(68)가 강구(61)의 외주에 위치할 때 클러치판(65)의 스프링받이(63)쪽의 끝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3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릴비트(8)가 후퇴하여, 본래는 강구(61)가 구동축(23)과 걸어맞춤하여 구동축(23)과 운동변환부재(5)와를 연결하고 있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일 때에 강구(61)가 클러치판(65)을 가압스프링(76)에 대항하여 후퇴시켜도 이 후퇴는 클러치판(65)의 퇴피부(68)가 강구(61) 외주에 위치하는 곳에서 스토퍼(69)에 의해 정지되어 버리고, 강구(61)의 튀어나옴을 허용하는 위치까지 클러치판(65)이 후퇴해버리는 일은 없다.
제31도나 제13도~제1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러치판(65)의 퇴피부(68)의 끝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설치하여 이 돌기부를 스토퍼(69)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클러치판(65)은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스토퍼(69)와 강구(6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자기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고, 이 규제에 의해 강구(61)의 뛰어나옴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릴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를 클러치가 구비하여, 이 부재의 이동으로 모우터와 운동변환부재와의 사이의 연결상태의 분리접촉을 행하는 사실로서, 드릴비트에 부여하는 타격충격의 반동에 의한 진동이 클러치에 전달되어도 클러치에 있어서의 분리접촉을 위한 부재는 그 연결상태의 분리접촉을 행하는 방향과 진동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연결상태가 진동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도 이상음의 발생도 없다.
또, 드릴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로서 강구를 사용하여, 이 강구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하는 것으로서 클러치가 접속되도록할 경우, 강구가 끼워지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해두면, 구동축이 고속회전하고 있을 때에도 강구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워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여유가 길어지는 것으로, 이 때문에 강구에 의한 클러치의 접속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드릴비트 선단을 피천공면에 갖다대면 지연되는 일없이 드릴비트에의 타격충격의 인가가 개시되는 외에 강구의 걸어맞춤 오목부에의 걸어맞춤 불량에 의해 생기는 이상음의 발생도 없어진다.
그리고, 드릴비트의 축방향 움직임이 가압스프링을 통하여클러치판에 전달되게 하는 것으로서 클러치 접속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는 클러치판의 구동축과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의 축방향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해둠으로써 강구가 클러치판을 가압하여 이것을 후퇴시켜서 튀어나가고자 하여도 스토퍼에 의해 클러치판의 이동이 방해되기 때문에 강구의 튀어나감이 생기지 않고, 클러치로서의 기능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Claims (3)

  1. 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의해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드릴비트를 유지하는 스핀들과, 상기 모우터에 운동변환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행함과 동시에 타격체를 통하여 드릴비트에 그 축방향의 타격충격을 가하는 타격수단과를 구비함과 동시에 모우터에서 운동변환부재에 이르기까지의 회전전달부에 위치하여 운동변환부재에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해머드릴에 있어서, 클러치는 드릴비트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를 구비하여, 이 부재의 이동으로 모우터측과 이동변환부재측과의 회전중심이 상호 평행인 한쌍의 부재사이의 연결상태의 분리접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는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동심의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 및 걸어맞춤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를 구비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중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부재로 유지된 강구가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의 연결을 행하고, 강구가 걸어맞춤 오목부에서 이탈하는 것으로 연결해제를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둘레방향의 노치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
  3. 제 1항에 있어서, 클러치는 모우터측의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동심으로 설치된 운동변환부재측의 걸어맞춤부와, 구동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과 걸어맞춤부와를 연결하는 강구와, 강구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구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강구를 이동시키는 클러치판과, 드릴비트의 축방향 움직임을 클러치판에 전달하는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푸쉬와 클러치판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압스프링과, 클러치판의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의 축방향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
KR1019890005367A 1988-04-25 1989-04-24 해머드릴 KR930007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1641A JPH0653327B2 (ja) 1988-04-25 1988-04-25 ハンマードリル
JP63-101641 1988-04-25
JP63-177347 1988-07-15
JP63177347A JPH0785842B2 (ja) 1988-07-15 1988-07-15 ハンマードリル
JP63177348A JPH0616963B2 (ja) 1988-07-15 1988-07-15 ハンマードリル
JP63-177348 198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13A KR890015913A (ko) 1989-11-27
KR930007763B1 true KR930007763B1 (ko) 1993-08-19

Family

ID=2730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367A KR930007763B1 (ko) 1988-04-25 1989-04-24 해머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7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13A (ko) 198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121B2 (en) Power tool
EP1808272B1 (en) Power tool comprising a torque limiter
EP3269513B1 (en) Impact tool
RU2507060C2 (ru)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US7296635B2 (en) Rotary hammer with mode change ring
SU755543A1 (en) Percussion-type nut wrench
KR930007763B1 (ko) 해머드릴
JP3369844B2 (ja) 空打ち防止機構を有する回転打撃工具
US4082152A (en) Cam mounting for an impact tool
US3414065A (en) Rotary impact tool
JP2828657B2 (ja) ハンマードリル
JPH02311280A (ja) ハンマードリル
EP2085190B1 (en) Percussion tool
JPH01274910A (ja) ハンマードリル
GB2085795A (en) A hammer drill
JPH0230411A (ja) ハンマードリル
JP2595262B2 (ja) ハンマードリル
JPH0616963B2 (ja) ハンマードリル
JP2852746B2 (ja) 連続衝撃発生装置
CN217168406U (zh) 一种内驱动机械式打击电动工具
SU1613315A1 (ru) Ручна машина ударно-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
SU1021591A1 (ru) Ударный гайковерт
JPS60177881A (ja) 振動ドリル
RU2200817C2 (ru) Ударно-поворотный механизм
JPH01274907A (ja) ハンマー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