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724B1 -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724B1
KR930007724B1 KR1019910001302A KR910001302A KR930007724B1 KR 930007724 B1 KR930007724 B1 KR 930007724B1 KR 1019910001302 A KR1019910001302 A KR 1019910001302A KR 910001302 A KR910001302 A KR 910001302A KR 930007724 B1 KR930007724 B1 KR 93000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od
vehicle
pin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식
Original Assignee
오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식 filed Critical 오영식
Priority to KR101991000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2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제1도의 (a)는 자동차 후드의 로킹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자동차 후드의 로킹을 위한 앞엔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의 (a)는 자동차 후드가 닫혔을때 주 로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자동차 후드가 열릴때 주 로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자동차 후드의 로킹 구조중 보조 로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 (a)는 본 발명중 자동차 후드의 로킹해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3도 (a)중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중 자동차 후드의 열림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전기 연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드 로크 케이블(HOOD LOCK CABEL)
5 : 로크 스프링(LOCK SPRING),
6 : 앞엔드 패널 7 : 주 로크
8 : 보조 로크 9 : 스트라이커
18 : 제1솔레노이드 19 : 제2솔레노이드
27 : 보조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절도자가 자동차를 절취한 후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후드(HOOD, BONNET)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므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거나 절도자의 차내 침입 상태 등을 감시하여 경보를 울리는 전자적 구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난 방지 장치는 절도자가 도난 방지 장치를 파괴하거나 여러가지 대응수단을 통하여 무력화 시키므로써 본질적으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절도자가 자동차를 절취한 후 도망가기 위하여 시동을 걸면 후드가 열리면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하므로써 절도자가 차내로 무사히 잠입했다 할지라도 자동차를 주행시키지 못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본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닫혀 있는 상태의 자동차 후드를 열어주기 위하여 주 로크와 보조 로크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구조와, 상기 주 로크와 보조 로크가 로킹상태로부터 해제된 후 후드가 스스로 열리도록 하기 위한 후드의 열림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크 해제구조는 자동차 내부에 은폐되어 있는 보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보조 로크의 로킹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솔레노이드와, 보조 케이블에 의해서 로크케이블과 연결되고, 자동차의 시동 키박스중에서 이그니션코일의 통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타트 모터의 작동과 동시에 주 로크의 로킹상태를 해제하는 제2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드의 열림구조는 후드의 내면중에서 후드 힌지(HOOD HINGE)와 인접한 부위에 래크의 일단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하며, 상기 래크와 후드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위치시켜 피니언이 항상 밀착한 상태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로킹하기 위한 구조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후드(1)의 내면에 주 로크(7)와 보조 로크(8)를 연결하고, 앞엔드 패널(6)의 상면에는 주 로크 공(12) 및 보조 로크 공(13)을 뚫고 로크 스프링(5)을 연결한뒤 로크 스프링(5)의 일단이 주 로크 공(12)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로크케이블(2)을 연결하였다.
따라서 후드(1)를 닫기 위해 후드(1)를 앞엔드 패널(6)을 향해 내리면 주 로크(7)의 압력판(14)이 앞엔드 패널(6)과 접촉하고, 이로인해 스프링(15)이 압축되면서 압력판(14)과 파일럿볼트머리(4)와의 간격이 생기며, 제2도의 (a)와 같이, 이 간격에 로크 스프링(5)의 일단이 끼워지므로써 주 로크(7)가 로킹된다.
이때 보조 로크(8)는 보조 로크 공(13)을 관통하여 제2도의 (c)중에서 a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후드(1)를 열기 위해 로크케이블(2)과 연결된 후드 개방버튼을 차내에서 당기면 압력판(14)과 파일럿볼트머리(4) 사이에 끼워져 있는 로크스프링(5)의 일단이 이동하게 되어 후드(1)는 제2도의 (b)와 같이 스프링(15)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보조 로크(8)는 제2도의 (c) 중에서 b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주 로크(7)의 로킹상태는 해제되고, 보조 로크(8)는 로킹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보조 로크(8)에 일체로 연결된 누름판(17)을 누르면 보조 로크(8)는 제2도 (c)중에서 c의 상태가 되어 후드(1)는 완전히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중 로크의 로킹상태 해제구조는 주 로크와 보조 로크를 차내에 은폐된 보조스위치 및 기존의 시동키 박스중에서 이그니션코일의 통전단자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로써 열리도록 하였다.
즉, 차내의 임의의 부위, 예컨데 콘솔박스(CONSOLE BOX), 대시보드, 장갑보관함(GLOVE COMPARTMENT) 등에 은폐되어 있는 제6도에의 보조스위치(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27)에 의해 작동하는 제1솔레노이드(18)는 제3도의 (a)와 같이 그 선단부가 보조 로크(8)의 걸고리부가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제1솔레노이드(18)의 작동시에는 보조 로크(8)를 소정구간만큼 밀어내어 보조 로크(8)가 제3도 (b)의 a상태에서 b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2솔레노이드(19)는 자동차의 시동키 박스중에서 키스위치의 후단에 이어진 이그니션 코일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그니션 코일등과의 통전과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고, 그 선단부는 제3도의 (a)와 같이 로크케이블(2)의 임의의 지점에서 분기된 별도의 보조케이블(22)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중 후드의 열림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의 내면중 임의의 지점에 래크(10)의 일단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래크(10)는 피니언(11)과 맞물리도록 연결하며, 상기 피니언(11)은 피니언모터의 회전축(28)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래크(10)와 피니언(11)을 항상 밀착시키기 위하여 후드(1)의 내면과 래크(10) 사이에 탄성체(21)를 위치시킨다.
제4도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21)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 봉(23)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1)을 직접 구동시키는 피니언모터는 제2솔레노이드(1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동키 박스의 이그니션코일 통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2솔레노이드(19) 및 피니언모터와 이그니션코일 통전단자간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보조스위치(27)가 통전되는 경우에만 접속되고, 상기 보조스위치(27)를 개방시킨 경우에는 전기적 연결이 끊기게 되어 스타트 모터등을 구동시키면 스타트 모터만 구동하고, 제2솔레노이드(19)와 상기 피니언모터등은 구동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후드의 열림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제4도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즉 후드(1')에 가이드레일(32)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레일(32)에는 "T"자형의 슬라이더(33)를 삽입하며, 상기 슬라이더(33)의 일단은 래크(10')의 일단에 고정한다.
그리고, 차체에 또다른 가이드레일(31)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레일(31)에는 래크(10')을 끼우며, 래크(10')는 피니언(11')과 맞물리도록 연결하며 피니언(11)의 회전에 따른 래크(10')의 상, 하이동에 의해 후드(1')가 개폐되도록 하고, 이때 래크(10')의 상, 하이동시 슬라이더(33)가 가이드레일(32)에서 이동하면서 후드(1')를 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자가 평상시에는 보조스위치(27)를 off 상태로 조정하여 차량을 운행하고,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은폐된 보조스위치(27)를 on시키면 제1솔레노이드(18)가 작동하여 보조 로크(8)는 제3도의 (b)와 같이 a 상태에서 b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서, 자동차의 절도자가 자동차 내부에 잠입한 후 차를 몰고 도망가기 위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제2솔레노이드(19)가 작동하여 보조케이블(22)과 로크케이블(2)을 통해 로크스프링(5)을 잡아당겨 주 로크(7)는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제2도의 (a)(b) 참조) 후드(1)는 로크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이때, 피니언(11)기어와 연결된 피니언모터도 동시에 회전하며 피니언(11)을 회전시키고, 이로인해 래크(10)가 상승이동하게 되어 후드(1)는 상승하면서 자동차의 전면창을 가리게 되어 운전자는 시야가 완전히 가려지므로써 자동차를 주행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중 후드의 로킹해제 구조에 관한 또다른 실시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스트라이커(24)를 이용한 후드 로크 구조에서는 보조 로크(8')에 제1솔레노이드(18)를 연결하고, 주로크(7')를 걸어주는 폴(25)에는 제2솔레노이드(19)를 로크케이블(2')의 임의의 지점에 연결하여 스트라이커(24)에 걸려지는 주 로크(7')와 보조 로크(8')의 로킹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킹해제구조와 후드 열림구조를 이용하여 후드가 전면창을 가리도록 하여 자동차가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므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본질적으로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차내에 은폐된 보조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27)의 통전에 따라 상기 보조 로크(8)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18)와, 보조케이블(22)을 이용하여 로크케이블(2)과 연결되고, 시동키박스중 이그니션코일의 통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그니션코일 단자의 통전에 따라 주 로크(7)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19)로 이루어지는 로크의 로킹해제구조와; 일단이 후드(1)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래크(10)와, 상기 래크(10)와 맞물리고 피니언모터의 회전축(28)과 연결되는 피니언(11) 및 상기 래크(10)와 피니언(11)을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체(21)로 이루어진 후드(1)의 열림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KR1019910001302A 1991-01-25 1991-01-25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93000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302A KR930007724B1 (ko) 1991-01-25 1991-01-25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302A KR930007724B1 (ko) 1991-01-25 1991-01-25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24B1 true KR930007724B1 (ko) 1993-08-18

Family

ID=1931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302A KR930007724B1 (ko) 1991-01-25 1991-01-25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72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024A (en) Vehicle security system
US3820361A (en) Automotive anti theft device
US4322959A (en) Locking means for a trunk in an automobile
JPS6345332B2 (ko)
US3541505A (en) Automobile alarm system
US5586457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US4744231A (en) Closure lock system
US3710317A (en) Auto alarm system
US4595903A (en) Tamper resistant automotive anti-theft device
US5477090A (en) Auto anti-theft device
JPS62146378A (ja) 自動車扉の施解錠方法および施解錠装置
JP7486716B2 (ja) 車両ドア開放アセンブリ
US3399554A (en) Lockout preventer for automotive vehicles
KR930007724B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JPS5810550B2 (ja) 自動車開閉部材のロック及び/又は閉止の中央制御装置
US5401924A (en) Remote battery switch
US4700801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US4589514A (en) Lock for vehicle hood release for theft prevention
US3815089A (en) Anti-hijacking vehicular alarm system with timer controlled alarm circuit
KR10041802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JP2003104172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H0219335Y2 (ko)
KR10023382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릴리즈 핸들의 도난 방지 장치
JPS58168782A (ja) オ−トドアの制御装置
KR100367853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