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273Y1 - 마스킹재 - Google Patents

마스킹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273Y1
KR930007273Y1 KR2019870016852U KR870016852U KR930007273Y1 KR 930007273 Y1 KR930007273 Y1 KR 930007273Y1 KR 2019870016852 U KR2019870016852 U KR 2019870016852U KR 870016852 U KR870016852 U KR 870016852U KR 930007273 Y1 KR930007273 Y1 KR 930007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material
hole
flange
wall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133U (ko
Inventor
세이노스께 호리끼
레이지 마끼노
구니노리 이도오
Original Assignee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세이노스께 호리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584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4886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587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4886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4958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4885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607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5268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569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1244Y2/ja
Application filed by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세이노스께 호리끼 filed Critical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05B12/26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for masking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킹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4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5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5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6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6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7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8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9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0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0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2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코팅, 도금, 인산염처리, 진공층착등과 같은 표면처리로부터 물 분출공, 케이블 관통공 등의 내주면과 주변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킹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바닥과 바닥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와 삽입부 주위에 형성된 플렌지로 구성되며, 열가소성 폼(form)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마스킹재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표면에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품의 표면에는 포면처리로부터 그 내면을 보호해야 하는 구멍이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구멍으로는 물 분출공, 케이블 관통공 등이 있으며, 또, 구멍에는 그로멧, 플러그,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표면처리로부터 구멍을 보호하기 위해서 플러그형 마스킹재가 사용되었다. 상기한 마스킹재는 표면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보호하고자 하는 제품의 구멍에 삽입되며, 제품의 표면에 표면처리가 실시될 때 마스킹재가 삽입된 구멍에는 표면처리가 실시되지 않는다.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마스킹재는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런데,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층은 제품의 표면과 함께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마스킹재를 원활하게 제거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마스킹재의 표면도 덮게 된다. 그리고 표면처리가 피막층의 형성이며, 마스킹재가 테이퍼형인 경우에, 피막층이 구멍의 주위 즉, 마스킹재의 주위에 모여서 구멍의 주위에서 두꺼운 피막층을 형성하게 된다.
두꺼운 피막층은 그로멧, 플러그, 볼트 등이 구멍에 간격없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마스킹재를 제고할 때의 수고를 감소시키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멍의 내면을 표면처리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로멧, 플러그, 볼트 등을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간격없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과 바닥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와, 삽입부의 주위에 형성된 플렌지로 구성되며,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지는 마스킹재를 제공하게 된다. 마스킹재를 사용할 때는, 마스킹재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필요한 곳의 내면을 표면처리로부터 보호 하고, 마스킹재의 플렌지가 구멍의 주위를 덮개 되므로, 표면처리로부터 구멍의 주위와 내면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마스킹재는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그로멧, 플러그, 볼트 등을 느슨함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스킹재는 폴리스틸렌폼, 폴리에틸렌 홈, 폴리플로필렌 폼 등과 같은 열 가소성 수지로 만들며, 마스킹재가 삽입되는 구멍에 따라 특정의 마스킹재를 선택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마스킹재를 적당한 색상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폴리스틸렌 폼으로 만든 마스킹재가 본 고안에 의한 마스킹재중 가장 적합한 마스킹재가 된다.
제1도~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마스킹재(110)는 원형의 바닥(111A)과 바닥(11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11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11)와 수직벽(111B)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12)로 구성되며, 마스킹재(11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삽입부(111)는 삽입부(11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1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스킹재(11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1)를 구멍(311)에 삽입하므로써, 제품(310)에 형성된 구멍(311)의 내면을 보호하게 되며 마스킹재(110)의 플렌지(112)가 구멍(311)의 주위(312)를 덮게 된다.
그리고, 제품(310)의 표면에 코팅 등과 같은 표면처리를 하여 표면에 피막층을 형성하며, 이때 구멍(311)의 주위와 내면에는 표면처리가 실시되지 않는다.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마스킹재는 손이나 또는 갈고리 등을 사용하여 구멍(311)으로부터 제거한다. 마스킹재(110)는 열가소성 폼의 연화점(軟化点)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구멍(311)으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마스킹재(110)가 마스킹재의 재료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폼의 연화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마스킹재가 연화 되면서 열가소성 폼의 셀의 내부에 있던 공기, 발포제 가스 등과 같은 가스가 팽창하면서 마스킹재로 팽창하여 파열되며, 그 후 가스 등이 셀로부터 방출되고, 마스킹재(110)는 급격하게 수축되면서, 마스킹재(110)는 구멍(31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제거된다.
마스킹재(110)가 구멍(311)으로부터 제거된 후,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구멍(311)의 주위(312)와 내면에는 피막층(313)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구멍(311)의 추위(312)에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313)의 두꺼운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제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볼트(314)가 틈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구멍(311)에 삽입된다.
또, 마스킹재(110)의 삽입부(111)가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킹재(110)를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구멍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5도와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20)는 원형의 바닥(121A)과 바닥(12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2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21)와 벽(121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22)로 구성되며, 마스킹재(12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삽입부(121)는 삽입부(12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2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20)는 제1실시예에 의한 마스킹재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323)은 제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삽입부(121)의 상부 단부에 의해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20)는 피막층(323)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320)에 형성된 구멍(321)으로부터 원할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7도와 제8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30)는 그림(13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바닥(131A)과 바닥(13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3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31)와 벽(13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32)로 구성된다. 삽입부(131)는 삽입부(131)의 뿌리로부터(13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3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30)는 마스킹재(130)를 제품(330)에 형성된 구멍(331)에 삽입하거나 구멍(331)으로부터 제거할 때, 그립(131C)을 잡고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40)는 그림(14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바닥(141A)과 바닥(14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4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41)와 벽(141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42)로 구성된다.
삽입부(141)는 삽입부(14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4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4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40)는, 마스킹재(140)를 제품(340)에 형성된 구멍(341)에 삽입하거나 구멍(341)으로부터 제거할 때 제3실시예에사와 마찬가지로 그림(141C)을 잡고 쉽게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343)은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삽입부(141)의 상부 단부에 의해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40)는 피막층(343)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340)에 형성된 구멍(341)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1도와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50)는 원형의 바닥(151A)과 바닥(15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51B)이 있는 용기형상의 삽입부(151), 벽(15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52) 및 플렌지(15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152A)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151)는 삽입부(15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5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5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50)는 제1, 제2, 제3 및 제4실시예에 의한 마스킹재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353)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152A)의 단부에 의해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50)는 피막층(353)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350)에 형성된 구멍(351)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3도와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60)는 그림(16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바닥(161A)과 바닥(16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61B)이 있는 용기형상의 삽입부(161), 벽(161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플렌지(162), 하부 플렌지(16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163) 및 수직벽(163)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플렌지(164)로 구성된다. 삽입부(161)의 바닥(161A)과 하부 플렌지(162)에 각각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165), (16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61)는 삽입부(16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6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60)는 열가소송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60)는, 마스킹재(160)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거나 구멍으로부터 제거할 때 제3 및 제4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림(161c)을 잡고 쉽게 취금할 수 있으며,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은 상부 플렌지(164)에 의해 완전하게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60)는 피막층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70)는 그림(17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바닥(171A)과 바닥(17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7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71), 벽(171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플렌지(172), 하부 플렌저(17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수직벽(173), 하부 수직벽(173)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플렌지(174) 및 상부 플렌지(174)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벽(175)으로 구성된다. 삽입부(171)의 바닥(171a)과 하부 플렌지(172)에는 각각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71)는 삽입부(17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7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7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 마스킹재(170)는, 마스킹재(170)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거나 구멍으로부터 제거할 때 제3, 제4 및 제6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림(171C)을 잡고 쉽게 취금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은 하부 플렌지(172), 하부 수직벽(173), 상부 플렌지(174)등과 함께 상부 수직벽(175)에 의해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의 경우보다도 더욱 완전하게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70)는 피막층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6도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80)는 그림(18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 바닥(181A)과 바닥(18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8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81), 벽(18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플레지(182), 하부 플레지(18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수직벽(183), 내부 수직벽(183)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플레지(184) 및 상부 플레지(184)의 원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부 수직벽(185)으로 구성된다. 삽입부(181)의 바닥(181A)과 하부 플렌지(182)에는 각각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81)는 삽입부(18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8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8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180)는, 마스킹재(180)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거나 구멍으로부터 제거할 때 제3, 제4, 제6 및 제7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립(181C)을 잡고 쉽게 취급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은 하부 플렌지(182) 및 내부 수직벽(183)과 합께 상부 플렌지(184) 및 외부 수직벽(185)에 의해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경우보다도 더욱 완전하게 절단되므로, 마스킹재(180)는 피막층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7도는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190)는 원형의 바닥(191A)과 바닥(19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수직리브(191D)가 형성된 벽(19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191)와 벽(19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192)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191)는 삽입부(19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19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19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리브(191D)가 벽(191B)을 보강하여 마스킹재(190)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190)의 삽입부(191)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190)의 삽입부(19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킹재(190)의 수직리브(191D)가 구멍의 내부 벽면과 팽팽하게 접촉하므로 마스킹재(190)가 구멍에서 확고하게 지지된다.
제18도와 제19도는 본 고안의 제10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200)는 그림(201C)의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바닥(201A)과 바닥(20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수직리브(201D)가 형성된 벽(20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201)와 벽(20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202)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201)는 삽입부(20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20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20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리브(201D)가 벽(201B)을 보강하여, 마스킹재(200)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200)의 수직리브(201D)가 구멍의 내부 벽면과 팽행하게 접촉하므로 마스킹재(200)가 구멍에서 확고하게 지지된다. 또,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200)는, 마스킹재(200)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할 때 그림(201D)을 잡고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제20도는 본 고안의 제1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마스킹재(210)는 그림(201C)이 수직으로 형성된 원형의 과 바닥(211A)과 바닥(21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수직리브(211D)가 형성된 벽(21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211), 벽(21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플렌지(212), 하부 플렌지(212)의 원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플렌지(214)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211)는 삽입부(211)의 뿌리로부터 삽입부(211)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스킹재(21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 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리브(211D)가 벽(211B)을 보강하여, 마스킹재(210)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210)의 삽입부(2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킹재(210)의 수직리브(211D)가 구멍의 내부 벽면과 팽팽하게 접촉하므로 마스킹재(210)가 구멍에서 확고하게 지지된다.
또,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210)는, 마스킹재(210)를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할 때 제1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림(211D)을 잡고 쉽게 취급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은 하부 플렌지(212) 및 수직벽(213)과 함께 상부 플렌지(214)에 의해 본 고안의 제9 및 제10실시예에서의 경우보다도 더욱 완전하게 절단되므로, 마스킹재(210)는 피막층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품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21도는 본 고안의 제1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220)는 십자형 바닥(221A)과 바닥(221A)의 주변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22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221), 벽(22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222) 및 플렌지(222)의 주변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223)으로 구성되며, 마스킹재(22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221)가 십자형 바닥(221A)에 의해 보강되어서, 마스킹재(220)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220)의 삽입부(2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마스킹재(220)는 단지 삽입부(221)의 끝(221C)에서만 접촉하여 구멍의 내면에서 지지되므로, 구멍으로부터 마스킹재(220)를 제거하기가 매우 쉽다.
제22도는 본 고안의 제1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재(230)는 십자형 바닥(231A)과 다닥(231A)의 주변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231B)이 있는 용기 형상의 삽입부(231), 벽(231B)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플렌지(232), 하부플렌지(23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벽(233) 및 수직벽(233)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플렌지(233)로 구성되며, 마스킹재(230)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231)가 십자형 바닥(231A)에 의해 보강되어서, 마스킹재(230)가 제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때 마스킹재(230)의 삽입부(2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마스킹재(230)는 단지 삽입부(231)의 끝(231C)에서만 접촉하여 구멍의 내면에서 지지되므로, 구멍으로부터 마스킹재(230)를 제거하기가 매우 쉽다.
표면처리에 의한 피막층은 하부 플렌지(232) 및 수직벽(233)과 함께 상부 플렌지(234)에 의해 본 고안의 제12실시예의 경우보다도 더욱 완전하게 절단된다.

Claims (10)

  1. 바닥(11A)과 상기한 바닥(11A)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11B)이 있는 삽입부(111)와, 상기한 삽입부(111)의 주위에 형성된 플렌지(112)로 구성되며, 열가소성 폼을 재료로 사용하고, 상기한 삽입부(111)가 구멍(311)에 삽입되어 부착되므로써, 표면처리로부터 상기한 구멍(311)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렌지(112)가 상기한 삽입부(111)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3. 제2항에 있어서, 플렌지(15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수직벽(15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 플렌지(162)와 함께, 상기한 하부 플렌지(162)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수직벽(163)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플렌지(16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5. 제4항에 있어서, 하부 수직벽(173)과 함께, 상기한 하부 수직벽(173)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부 플렌지(174)의 원주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벽(17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6. 제4항에 있어서, 내부 수직벽(183)과 함께, 상기한 내부 수직벽(183)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부 플렌지(184)의 원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부 수직벽(18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7. 제1항에 있어서, 플렌지(122)가 벽(121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8.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131)의 바닥(131A)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그립(131C)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킹재.
  9.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191)의 벽(191B)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리브(191D)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10.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21)의 바닥(221A)이 십자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재.
KR2019870016852U 1986-09-30 1987-09-30 마스킹재 KR9300072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49582 1986-09-30
JP14958486U JPH0448861Y2 (ko) 1986-09-30 1986-09-30
JP14958786U JPH0448862Y2 (ko) 1986-09-30 1986-09-30
JP1986149582U JPH0448859Y2 (ko) 1986-09-30 1986-09-30
JP61-149587 1986-09-30
JP61-149584 1986-09-30
JP4607587U JPS63152688U (ko) 1987-03-27 1987-03-27
JP62-046075 1987-03-27
JP62-056988 1987-04-15
JP1987056988U JPH0721244Y2 (ja) 1987-04-15 1987-04-15 マスキング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133U KR880006133U (ko) 1988-05-30
KR930007273Y1 true KR930007273Y1 (ko) 1993-10-15

Family

ID=2752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852U KR930007273Y1 (ko) 1986-09-30 1987-09-30 마스킹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263637B1 (ko)
KR (1) KR930007273Y1 (ko)
CA (1) CA1283283C (ko)
DE (1) DE377551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6488T2 (de) * 1987-09-18 1994-06-09 Nagoya Oilchemical Maske.
FR2623734B1 (fr) * 1987-12-01 1990-02-02 Sofitec Sa Cache de protection
JP2863171B2 (ja) * 1988-07-08 1999-03-03 名古屋油化株式会社 マスキング材
US6793998B1 (en) 1988-09-22 2004-09-21 Jean Silvestre Masking method and masking means
US5260097C2 (en) * 1988-09-22 2001-04-17 Jean Silvestre Method for masking a surface by adhesive application of an elongated compressible windowless cushion
SE463400B (sv) * 1989-04-18 1990-11-19 Knut Gerhard Pihl Maskeringsanordning
SE463656B (sv) * 1989-06-15 1991-01-07 Michael Olsson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skering
DE4106960A1 (de) * 1991-03-05 1992-09-10 Jun Harald Ribic Vorrichtung zum zeitweise ueberbruecken von karosserie-fugen, insbesondere bei lackierungsarbeiten
US5413637A (en) * 1991-04-19 1995-05-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sking methods using a foam web
US5547725A (en) * 1994-02-25 1996-08-20 Tesa Tape Inc. Production of a novel sculptured strip of plastic foam
WO1996026789A1 (en) * 1995-02-28 1996-09-06 Donald Murray Western Masking method and device
EP0884235B1 (de) 1997-06-11 2002-07-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Durchführungsstopfen an einem beschichteten Blechteil und Maskierungsstopfen
US6596376B1 (en) 1999-03-09 2003-07-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sking materials and method of use
GB9925537D0 (en) 1999-10-29 1999-12-29 British Aerospace Masking techniques for metal plating
US6189356B1 (en) * 2000-02-17 2001-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ening
US20180202032A1 (en) * 2017-01-13 2018-07-19 Engineered Products And Services, Inc. Masking device for galvanized mas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8203A (en) * 1942-05-18 1943-08-31 Duggan James Edward Paint mask structure
DE2611631A1 (de) * 1976-03-19 1977-10-06 Daimler Benz Ag Voruebergehende abdeckung fuer verschraubungsstellen an metallenen gegenstaenden vor dem lackie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3637A2 (en) 1988-04-13
DE3775511D1 (de) 1992-02-06
EP0263637B1 (en) 1991-12-27
CA1283283C (en) 1991-04-23
KR880006133U (ko) 1988-05-30
EP0263637A3 (en) 198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273Y1 (ko) 마스킹재
US5328723A (en) Masking member
US4879158A (en) Masking member
KR930001190Y1 (ko) 마스킹재
US4844285A (en) Masking member
US3421681A (en) Cup and lid
US5453579A (en) Combination grommet and water trap
US3593612A (en) Sealing and anchoring device
MXPA96004321A (en) Pal container
US3083254A (en) Battery vent plug
EP1625948A1 (en) A packaging, and a mould and a method for making the packaging
EP0244514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and gastightening a cable and/or tube passage in a wall or the like, using a foamable synthetic resin
US3326409A (en) Drip proof paint can insert
US6371167B1 (en) Drain pipe for draining water or the like from casing
US5979683A (en) Moulded cap with a gasket
US6695164B1 (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paint roller sleeves
US5993991A (en) Battery vent plug improvement
JPH09187697A (ja) マスキング材
KR200150064Y1 (ko) 전자동 세탁기의 파워 코드 고정장치
GB2243079A (en) Shower tray overflow device
KR0109438Y1 (ko) 분체(紛體)용기의 안뚜껑
KR200157200Y1 (ko)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JP3847872B2 (ja) パウダー容器
US4361228A (en) Novel container to impregnate shaving brushes
CN214650336U (zh) 一种v筋波纹钢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