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230B1 -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230B1
KR930007230B1 KR1019900022872A KR900022872A KR930007230B1 KR 930007230 B1 KR930007230 B1 KR 930007230B1 KR 1019900022872 A KR1019900022872 A KR 1019900022872A KR 900022872 A KR900022872 A KR 900022872A KR 930007230 B1 KR930007230 B1 KR 93000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program
program
communication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034A (ko
Inventor
김화성
임동선
조주현
한태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230B1/ko
Publication of KR92001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도.
제 2 도는 통신 메세지 태스크 생성처리흐름도.
제 3 도는 태스크들의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세서 유니트 2 :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PPCA)
3 : 메모리 및 하드웨어 디바이스 정합보드(PPIA)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로세서 유니트들로 구성되어진 대용량 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프로세서 유니트들은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소규모의 통신망처처럼 구성되게 되는데, 이들 전체 프로세서 유니트들은 마치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처럼 동작하기 위해 수시로 통신 선로를 통해 메세지들을 주고 받아야 한다.
이때, 메세지들을 주고 받는 주체는 각 프로세서 유니트들에서 수행되어지는 사용자 프로그램인데, 사용자 프로그램은 병렬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순차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프로그램을 병렬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장점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구성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이나 강력한 실시간 처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정합기능, 스위치 제어기능등의 강력한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 유니트에서 수행되어지는 프로그램들을 순차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높은 효율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순차 처리 방식을 이용한 것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사용자 프로그램과 운영체계(Operating System)와의 구조적으로 불가능하여 메세지 큐등의 자료구조들을 공유함으로써 프로그램 디버깅 및 프로그램 유지를 어렵게 하였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모듈성(Modularity)도 기대할 수 없었다.
둘째, 수신된 메세지에 대하여 이 메세지를 처리할 사용자 프로그램 모듈을 서브루틴 호출식으로 수행시켜 주므로써 프로그램 디버깅의 어려움과 메세지 전송기능과 사용자 프로그램의 비동기적 수행의 어려움이 있었다.
세째,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통신 선로 및 전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들을 검출하는 방법이 완벽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검출시에도 이의 복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신 명령 프리미티브(Primitive)의 구현과 통신 메세지의 처리를 서브루틴 호출방법이 아닌 통신메세지 태스크의 생성 및 수행방법으로 구현하므로써, 메세지 전송과 메세지 처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프로그램간의 비동기 수행과 사용자 프로그램과의 완전격리를 가능하게 한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 간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PPCA),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디바이스 정합 보드로 내부가 구성된 프로세서 유니트들이 통신선로를 통해 다수 연결되어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 간의 메세지 전송을 수행하는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부터 메세지 송신 명령 프리미트(Primitive)를 받아 메세지 송신 요구시 필요한 목적 프로세서 유니트 고유번호, 메세지 고유번호, 메세지 크기등의 내용을 점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처리후 메세지를 메세지 큐에 저장한 후 인터럽트에 의해 사용자 프로그램의 수행과 비동기적으로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메세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통신장애 여부를 조사하여 장애 발생시 메세지 재전송을 요구하여 손실된 메세지를 복구하는 제 3 단계, 장애가 없는 경우 메세지 고유번호에 따라 이 메세지를 처리할 사용자 프로그램 모듈을 태스크로 생성시켜 수행대기 행렬에 추가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의해 생성된 수행대기 상태의 태스크들을 수행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1)은 프로세서 유니트, (2)는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PPCA), (3)은 메모리 및 디바이스 정합보드(PPIA)를 각각 나타낸다.
메모리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의 수행을 제어하고 메세지 송수신 기능이 이루어지는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2),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지는 메모리 및 디바이스 정합보드(3)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두가지 보드가 하나의 프로세서 유니트를 구성하여 각기 통신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서로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전체 흐름도로서, 제 2 도는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부터 메세지 송신 요구를 받았을 때의 처리 기능과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처리할 통신 메세지 태스크의 생성 기능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프로그램은 메세지 송신 명령 프리미티브를 사용하여 메세지를 특정 프로세서 유니트로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이때, 메세지 송신 명령 프리미티브는 메세지가 전달되어질 목적 프로세서 유니트 고유 번호, 메세지 고유 번호, 메세지 크기, 그리고 메세지를 포함하여야 한다.
메세지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부터 메세지 송신 요구를 받았을 때 위에 언급한 내용들이 올바르게 포함되어 있는가를 점검하여(4), 올바르게 사용되어지지 않은 경우 전송요구를 거부하고 올바르게 사용되어진 경우에 한하여 이 메세지를 송신 메세지 큐에 저장하게 된다(5).
메세지가 메세지 큐에 일단 저장되면 메세지 전송 관리 프로그램은 메세지 전송요구가 접수되었음을 사용자 프로그램에게 알리면서 리텅하게 되므로, 사용자 프로그램의 수행의 계속 이루어진다. 메세지 큐에 저장된 메세지는 곧바로 전송되지 않고 통신 선로가 가용할 경우 전송되게 되는데, 통신 선로의 가용함은 인터펍트(Interinpt)에 의해 알려지게 된다.
따라서, 인터런트에 의해 통신 선로가 가능하면 메세지 전송을 하게 된다.
메세지 전송은 메세지 큐에 있는 각각의 메세지에 대해 오류검출 코드와 메세지 일련번호를 첨부하여(6)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게 되며, 전송된 메세지가 점유하고 있던 메세지 큐를 반납함으로써(7) 메세지 송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메세지 전송 관리 프로그램은 수신된 메세지에 대하여 오류 검출 코드와 메세지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메세지 전송 오류가 발생했는가를 점검하게 된다(8). 만일 수신된 메세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 메세지의 재전송을 송신측에 요구하게 된다(9). 그리고 오류가 발생한 메세지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폐기하여야 한다(10).
반면에, 수신된 메세지에 오류가 없는 경우, 이 메세지는 두가지 부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하나는 전에 전송되어진 메세지에 대하여 오류가 발생했으므로 다시 메세지를 전송해줄 것을 요구하는 메세지이고, 또 다른 하나는 다른 프로세서 유니트로 부터 전달되어진 새로운 메세지이다(11).
전자의 경우, 재전송 요구되어진 메세지를 다시 송신하게 되며(12), 후자의 경우, 이 메세지를 처리할 통신 메세지 태스크를 생성하게 되는데(13), 이는 수신된 메세지에 포함되어 있는 메세지 고유번호에 따라 이 고유 번호의 메세지를 처리할 프로그램 모듈을 수행대기 상태인 태스크로 만들어 수행대기행렬에 첨부시킨다.
위와 같이 생성된 메세지 통신 태스크들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되어지는데 제 3 도는 수행대기 행열에 대기중인 태스크들의 차례로의 수행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시말하면, 디스패쳐(Dispatcher)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인데, 디스패쳐 기능은 중앙처리장치가 다른 일을 하지 않는한 무한정 수행을 계속하는 프로그램이다.
디스패쳐는 수행대기중인 통신 메세지 태스크가 존재하는가를 보고(14), 하나씩 이를 수행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 메세지를 송신한 프로세서 유니트 고유번호를 알려주어 이 메세지가 어느 프로세서 유니트로 부터 온 것인지를 통신메세지 태스크가 알수 있도록 하여, 메세지 포인터를 알려주어 사용자 태스크가 이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15).
디스패쳐는 수행 대기 행열에 대기중인 모든 통신메세지 태스크를 위와 같이 반복하여 모두 수행시키고 또 다른 유형의 태스크들이 존재하는가를 조사하여(16) 이를 수행시키게 된다(17).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 교환시스템이 갖고 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사용자 프로그램과 운영체계와의 완전격리, 프로그램의 모듈성에 입각한 구성등을 가능하게 할수 있음은 물론, 통신 메세지 도착시 이를 곧바로 처리하지 않고 통신메세지 태스크를 생성하여 수행시킴으로써 사용자 프로그램의 수행과 통신메세지의 송수신 과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전체적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순차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프로그램들이 분산 구조로 이루어진 제어장치를 구성할 때 사용자 프로그램의 종류에 관계없이 손쉽게 적용되어질 수 있는 응용성도 함께 기대할 수 있으며, 병렬처리 프로그램을 있는 응용성도 함께 기대할 수 있으며, 병렬처리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응용예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적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PPCA)(2),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통신제어보드(2)에 연결된 메모리 및 디바이스 정합 보드(3)로 내부가 구성된 프로세서 유니트(1)들이 통신선로를 통해 다수 연결되어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1) 간의 메세지 전송을 수행하는 전전자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부터 메세지 송신 명령 프리미트(Primitive)를 받아 메세지 송신 요구시 필요한 목적 프로세서 유니트 고유번호, 메세지 고유번호, 메세지 크기등의 내용을 점검하는 제 1 단계 ; 와 상기 제 1 단계 처리후 메세지를 메세지 큐에 저장한 후 인터럽트에 의해 사용자 프로그램의 수행과 비동기적으로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 와 메세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통신장애 여부를 조사여 장애 발생시 메세지 재전송을 요구하여 손실된 메세지를 복구하는 제 3 단계 ; 장애가 없는 경우 메세지 고유 번호에 따라 이 메세지를 처리할 사용자 프로그램 모듈을 태스크로 생성시켜 수행대기 행렬에 추가시키는 제 4 단계 ; 와 상기 제 4 단계에 의해 생성된 수행대기 상태의 태스크들을 수행시켜 주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KR1019900022872A 1990-12-31 1990-12-31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KR93000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2A KR930007230B1 (ko) 1990-12-31 1990-12-31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2A KR930007230B1 (ko) 1990-12-31 1990-12-31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34A KR920014034A (ko) 1992-07-30
KR930007230B1 true KR930007230B1 (ko) 1993-08-04

Family

ID=1930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72A KR930007230B1 (ko) 1990-12-31 1990-12-31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2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34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7674B1 (en) Interface processor unit
US6012121A (en) Apparatus for flexible control of interrupts in multiprocessor systems
US6256660B1 (e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allowing application programs to avoid unnecessary packet arrival interrupts
KR930007230B1 (ko) 순차처리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세서 유니트들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US5343480A (en) System for detecting loss of message
CN110928828B (zh) 处理器间业务处理系统
KR0173205B1 (ko) 이더넷을 통한 아이피씨 메시지 송수신 방법
US20070230347A1 (en)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258243B1 (ko) 전전자 교환기 프로세서의 절체시의 메시지 복구 방법
KR10021413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KR95001048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망에 접속된 신호버스정합보드에서의 메시지 송신방법
CN116760510B (zh) 一种消息发送方法、消息接收方法、装置和设备
JPH054040Y2 (ko)
Williamson et al. Concurrent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mechanisms
Simoncic et al. Shipnet: A real-time local area network for ships
KR930006033B1 (ko)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간 메세지 송수신 기능 구현방법
JPS615361A (ja) 通信インタフエイス回路
CN117793040A (zh) 一种卫星分时分区操作系统分区间通信的实现方法
KR930002138B1 (ko)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링크 기능구현방법
KR940007156B1 (ko) 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프로세서 동기화 기법
JP2522435B2 (ja) 計算機システムの入力電文保証方式
KR930005844B1 (ko) 회선방식 다단 상호 접속망용 스위칭 소자.
JPH04267659A (ja) 会話型通信システム
KR950006564B1 (ko) 전후단 이중화(2×2) 구조에서 서비스 데이타 백업/복구 방법
De Grandi et al. Design issues for a fibre optic lo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