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92Y1 -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92Y1
KR930006992Y1 KR2019870023818U KR870023818U KR930006992Y1 KR 930006992 Y1 KR930006992 Y1 KR 930006992Y1 KR 2019870023818 U KR2019870023818 U KR 2019870023818U KR 870023818 U KR870023818 U KR 870023818U KR 930006992 Y1 KR930006992 Y1 KR 930006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jaw
cam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451U (ko
Inventor
오경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992Y1/ko
Publication of KR890015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
제2a-c도는 문을 열때의 작용도.
제3a-b도는 문을 닫을때의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문
4 : 스프링 5 : 래치
9 : 탄성편 14 : 캠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등 각종 전자 제품에 구성되는 문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닫혀있는 문을 열때 살짝 누른후 놓음으로서 열수 있는 이른바 원터치 방식의 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동작을 하는 문들이 많이 고안된 바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미세하고 복잡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고장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원터치 구조와는 전혀 다르게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는 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문 개폐 장치의 구성이 단면도로서 도시되는데, 제품의 캐비넷(1)에 설치된 문(2)은 하단부에 측(3)이 형성되고 캐비넷(1)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되며 축(3)에는 한 단부가 캐비넷(1)에 닿고 다른 단부가 문(2)에 닿은 비틀림 코일형 스프링(4)이 설치되어 문(2)은 열리려는 힘을 받는다.
둔(2)의 상단에는 래치(5)가 일체로 형성되고 래치(5)는 캐비넷(1)의 록킹홈(6)으로 출입한다. 래치(5)에는 선단에 낮은턱(7)이 형성되며 낮은턱(7)에 마주보는 위치에 높은턱(8)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넷(1)의 록킹홈(6)을 형성하는 탄성편(9)은 캐비넷(1)과 일체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탄성편(9)의 상단부에는 경사면(10)이 형성되고 경사면(6)의 바로 밑에는 만곡면(11)이 형성되며 만곡면(11)의 하부에는 받침편(12)이 돌출되어 있다.
래치(5)와 탄성편(9)이 이루는 공간에는 캠(14)이 핀(1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캠(14)에는 좌측으로 부터 선단부(15), 중간턱(16), 잠금단부(17) 및 열림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캠(14)의 선단부(15)는 탄성편(9)의 경사면(10)과 만곡면(11)에 마찰 작동하고 중간턱(16)은 받침편(12)과 작동하며 잠금단부(17)는 래치(5)의 낮은턱(7)과 작동하여 열림단부(18)는 래치(5)의 낮은턱(7) 또는 높은턱(8)과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된 본 고안 장치의 개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또는 제2a도와 같이 문(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열고자 할때에는 일단 문(2)을 살짝 눌러주면 제2b도와 같이 래치(5)에 의하여 탄성편(9)이 뒤로 젖혀지고 동시에 래치(5)의 높은턱(8)에 캠(14)의 열림단부(18)가 밀리어 핀(13)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며 잠금단부(17)가 낮은턱(7)에서 이탈된 상태로 된다.
누르고 있던 문(2)을 놓으면 문(2)은 스프링(4)에 의해 열리려하므로 래치(5)가 빠져나오면서 탄성편(9)이 곧바로 복원되고 캠(14)의 열림단부(18)는 래치(5)의 낮은턱(7)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연동한다.
따라서 제2c도와 같이 캠(14)의 선단부(15)는 탄성편(9)의 경사면(10)을 타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고 문(2)은 이미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 문(2)을 닫고자 할때에 문(2)을 밀어 제3a도와 같이 록킹홈(6)에서 래치(5) 단부가 캠(14)의 잠금 단부(17)를 밀고 들어가면 캠(14)의 선단부(15)는 탄성편(9)의 만곡면(11)을 타고 약간 회전할 상태로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래치(5)가 완전히 진입하면 캠(14)이 복원되며 캠(14)의 잠금단부(17)가 래치(5)의 낮은턱(7)을 걸고 동시에 탄성편(9)의 받침편(12)에 캠(14)의 중간턱(16)이 걸리게 되어 제2a도와 같은 상태로 닫혀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래치(5)의 낮은턱(7)은 캠(14)의 잠금단부(17)에 걸려 있고, 중간턱(16)은 받침편(12)에 걸려 있으므로 래치(5)가 곧바로 빠져 나올수 없어 문(2)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문을 개폐하며 본 고안의 구성이 래치, 탄성편, 캠으로 되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고 확실한 개폐 작용을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문(2)의 하단부에 축(3)이 형성되고 축(3)에는 스프링(4)이 설치되어 문(2)은 열리려고 하는 캐비넷(1)에 설치된 전자제품의 문 개폐 구조에 있어서, 문(2)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래치(5)를 가지고 래치(5)에는 선단에 낮은턱(7)이 형성되며 낮은턱(7)에 마주보는 위치에 높은턱(8)이 형성되고 캐비넷(1)의 탄성편(9)은 수직하게 설치되고 탄성편(9)의 상단부에는 경사면(10)이 형성되고 경사면(6)의 바로 밑에는 만곡면(11)이 형성되며 만곡면(11)의 하부에는 받침편(12)이 돌출되어 있고 래치(5)와 탄성편(9)이 이루는 공간에는 캠(14)이 핀(1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캠(14)에는 좌측으로 부터 선단부(15), 중간턱(16), 잠금단부(17) 및 열림단부(18)가 형성되어 캠(14)의 선단부(15)는 탄성편(9)의 경사면(10)과 만곡면(11)에 마찰 작동하고 중간턱(16)은 받침편(12)과 작동하며 잠금단부(17)는 래치(5)의 낮은턱(7)과 작동하며 열림단부(18)는 래치(5)의 낮은턱(7) 또는 높은턱(8)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문개폐 장치.
KR2019870023818U 1987-12-30 1987-12-30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KR930006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818U KR930006992Y1 (ko) 1987-12-30 1987-12-30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818U KR930006992Y1 (ko) 1987-12-30 1987-12-30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51U KR890015451U (ko) 1989-08-12
KR930006992Y1 true KR930006992Y1 (ko) 1993-10-11

Family

ID=1927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818U KR930006992Y1 (ko) 1987-12-30 1987-12-30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9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51U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97195A (en) Latch
EP0388935A3 (en) Child protecting mechanism in door lock apparatus
ES2139476A1 (es) Mecanismo de seguridad para cierre de cajones.
KR930006992Y1 (ko) 전자제품의 문 개폐장치
KR840001695A (ko) 가열조리기의 문 개폐장치
US3980330A (en) Safety latch
US3651539A (en) Door hinge
US3115358A (en) Snap action latch
KR920001868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940004120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910001118Y1 (ko) 창문 개폐장치
KR900001427Y1 (ko)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KR930004289Y1 (ko) Vcr의 프론트도어 로킹장치
JPS594711Y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前板の玉孔開閉装置
KR920001869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100195912B1 (ko) 시건장치가 된 통신케이블단자함
KR920000662Y1 (ko) 양측 개폐문
KR860002441Y1 (ko) 서랍의 2단계 개폐장치
JPS603898Y2 (ja) 観音開き扉のロック装置
KR92000352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5279Y1 (ko)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KR910000721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89000157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보조장치
KR960013528B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 구조
US1408845A (en) Bag-fram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