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27Y1 -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427Y1
KR900001427Y1 KR2019860011157U KR860011157U KR900001427Y1 KR 900001427 Y1 KR900001427 Y1 KR 900001427Y1 KR 2019860011157 U KR2019860011157 U KR 2019860011157U KR 860011157 U KR860011157 U KR 860011157U KR 900001427 Y1 KR900001427 Y1 KR 900001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push
support plate
ope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1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25U (ko
Inventor
최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1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427Y1/ko
Publication of KR880003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
제2a도 내지 제2c도는 횡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구 2 : 지지판
3,3' : 탄성편 3a,3'a : 걸림돌기
4 : 접지돌기 5 : 전면판
6 : 누름봉 7 : 접지봉
8 : 도어 9,9' : 후크
본 고안은 푸시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푸시 오픈 타입(Push Open Type)의 도어를 간단한 구조로서 개폐시킬 수 있게한 푸시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시도어의 개페장치에는 여러종류의 기술이 제안 사용되고 있는 바, 그 전형적인 일예로는 단차면을 갖는 하트형 캠을 이용하여 스프링에 탄지된 탄성편이 캠곡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단차면에 걸리게 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이는 다수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요인 및 잦은 고장의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 외의 대부분의 기술 역시 여러개의 부품을 결합시킨 복합부품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어 있어 불량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의 요인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복잡한 구조에서 탈피하여 간단한 구성으로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의 요인을 갖지 않으며 부품수의 감소로 원가절감을 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판(2)의 일측면에 걸림돌기(3a)(3'a)를 가지는 원호상 탄성핀(3)(3')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단부에 접지돌기(4)가 형성되는 탄성구(1)를 형성하여 전면판(5)의 체결공(5a)에 지지판(2)을 삽입 결합하고, 양 탄성핀(3)(3')사이의 지지편(2) 내측에는 일측단부가 도어(8)의 외부로 관축되는 누름봉(6)의 접지봉(7)이 접하게 하되 누름봉(6)의 타측단부는 전면판(5)의 통공(5b)에 끼워지게 하며, 도어(8)의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핀(3)(3')의 걸림돌기(3a)(3'a)가 걸리는 후크(9)(9')를 돌설하여서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도어(8)가 결합되는 힌지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b도 및 제3a도는 도어(8)가 기기본체에 닫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구(1)의 양 탄성편(3)(3')에 형성한 걸림돌기(3a)(3'a)의 도어(8)의 양 후크(9()')가 걸려 있으므로 기기 본체에 도어(8)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도어(8)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누름봉(6)을 기기본체측으로 누르게 되면, 그 누름봉(6)은 전면판(5)의 통공(5b)을 따라 후방측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그의 접지봉(7)이 탄성구(1)의 지지판(2)을 밀어주게 되므로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탄성편(3)(3')의 걸림돌기(3a)(3'a)에 지지되어 있던 도어(8)의 양 후크(9)(9')는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며, 그 걸림돌기(3a)(3'a)로 부터 양 후크(9)(9')가 벗어나게 되면 제2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구(1)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그의 양 탄성편(3)(3')이 도시한 화살표의 A방향(제2a도에 도시)으로 오므라지게 됨으로써 도어(8)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8)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도어(8)를 닫을 경우에는 제2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8)를 도시한 화살표의 B방향(제2a도에 도시)으로 밀게 되면 도어(8)가 탄성구(1)의 접지돌기(4)를 누르게 되므로 탄성구(1)의 양 탄성편(3)(3')은 제2a도에 도시한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벌어진 타원형을 이루게 되며, 이때 도어(8)의 양 후크(9)(9')는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면서 탄성편(3)(3')의 외주면을 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8)를 약간만 밀어주게 되면 제2b도 및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편(3)(3')의 걸림돌기(3a)(3'a)에 도어(8)의 후크(9)(9')가 완전히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8)는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탄성편(3)(3')의 자체탄성을 이용하여 도어(8)의 개폐작동을 시킬수 있게 되므로 고장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감소로 제조원가의 절감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지지판(2)의 일측면에 걸림돌기(3a)(3'a)를 가지는 원호상 탄성편(3)(3')이 대향 형성되고 단부에 접지돌기(4)가 구비되는 탄성구(1)를 향하여 전면판(5)의 체결공(5a)에 지지판(2)을 삽입 결합하고, 지지판(2)의 내측에는 일측단부가 도어(8)의 외부로 관출되는 누름봉(6)의 접지봉(7)이 접하게 하되 누름봉(6)의 타측단부는 전면판(5)의 통공(5b)에 끼워지게 하며, 도어(8)의 내측면에는 후크(9)(9')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3)(3')의 걸림돌기(3a)(3'a)가 걸리도록 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KR2019860011157U 1986-07-28 1986-07-28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KR900001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157U KR900001427Y1 (ko) 1986-07-28 1986-07-28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157U KR900001427Y1 (ko) 1986-07-28 1986-07-28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25U KR880003325U (ko) 1988-04-13
KR900001427Y1 true KR900001427Y1 (ko) 1990-02-26

Family

ID=1925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1157U KR900001427Y1 (ko) 1986-07-28 1986-07-28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4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25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796B1 (ko) 컴퓨터 하우징용 도어 걸쇠
EP0115826A2 (en) Spring mount hinge for eyeglasses bows
US4506921A (en) Security seal
US4215884A (en) Touch latch
KR20050038570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900001427Y1 (ko)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KR900016579A (ko) 래치 장치
KR950011802A (ko)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
US3893209A (en) Hinge for a piece of furniture
US3568241A (en) Hinge
KR20030065739A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US5186643A (en) Latching device for an edge connector
US3062399A (en) Hinge structure
KR90000845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홀더장치
KR950006230Y1 (ko) 판넬도어 개폐장치
KR860002353Y1 (ko)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KR0138903Y1 (ko) 정지레버가 부착된 스테이장치
KR92000352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4289Y1 (ko) Vcr의 프론트도어 로킹장치
KR890001195Y1 (ko)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KR870001927Y1 (ko) 가구문 접속구
KR920005120Y1 (ko) 카세트 플레이어의 건전지 케이스
KR910002918Y1 (ko)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KR920002119Y1 (ko) 브이티알의 하우징 플레이트 로크 장치
KR880000334Y1 (ko) 자동차 문의 스테이 뎀퍼 소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