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927Y1 - 가구문 접속구 - Google Patents

가구문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927Y1
KR870001927Y1 KR2019840012344U KR840012344U KR870001927Y1 KR 870001927 Y1 KR870001927 Y1 KR 870001927Y1 KR 2019840012344 U KR2019840012344 U KR 2019840012344U KR 840012344 U KR840012344 U KR 840012344U KR 870001927 Y1 KR870001927 Y1 KR 870001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oor
jaw
shaft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186U (ko
Inventor
정정섭
Original Assignee
정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섭 filed Critical 정정섭
Priority to KR2019840012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927Y1/ko
Publication of KR860006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문 접속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지지대 5,5a : 축공
6 : 협지구 7 : 핀
8,8 : 삽지구 9 : 스프링
10 : 걸림턱 11 : 접속구
12 : 연결턱.
본 고안은 가구문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고정 협지구를 핀의 후면에 스프링으로 탄력을 갖으며 전면 걸림턱에 삽입되는 접속구의 연결턱을 걸어줄 수 있게된 가구문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구문 협지구이 있어서는 가구의 몸체내면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닫혀지는 문의 연결턱 요홈에 볼이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게되어 가구문을 여닫게 되었으나 이와같은 가구문 협지구를 장기간 사용시 협지구내의 볼이 연결턱 요홉에 걸리는 상태가 헐거워져 가구문이 닫히지 않고 열려지게 되므로 가구의 몸 체면에 이 물품을 끼위주며 가구문을 닫게되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양측면 연결부(9)면에 나사못구멍(3)을 뚫어주고 연결부(2)내면 양측에 수직이되는 지지대(4)를 설치하며 지지대(4)의 중간부 상면에 축공(5)을 뚫어 양측지지대(4)사이로 끼워주게 되는 협지구(6)의 축공(5a)을 맞추어주면서 지지대(4)의 축공(5)에서 협지구(6)의 축공(5a)으로 핀(7)을 관통시켜 협지구(6)의 후면 삽지구(8')와 몸체(1)의 삽지구(8)사이에 스프링(9)을 설치하여 협지구(6)의 전면에 내향되게 걸림턱(10)을 형성한 걸림턱(10)이 전면으로 숙여지게 되었으며 이에 삽입되는 접속구(11)외 연결부(2a)에서 직각이 되도록 접속구(11)의 연결턱(12)을 협지구(6)의 걸림턱(10)에 걸어줄 수 있게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연결부(2) 구멍(3)에 나사못을 끼워넣고 가구의 내면에 몸체 (1)를 고정시켜 주면서 협지구(6)의 걸림턱(10)에 접속구(11)의 연결턱(12)이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는 가구문의 위치에 접속구를 설치하여 가구의 문을 닫아주게되면 협지구(6)의 걸림턱(10)으로 접속구(11)의 연결턱(12)이 삽입되어 협지구(6)의 걸림틱(10)에 접속구(11)의 연결턱(12)이 교합되면서 협지구의 후면에 삽지구(8')와 몸체(1)의 삽지구(8)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9)의 탄력으로 걸림턱(10)에서 이탈되려는 접속구(11)의 연결턱(12)을 제지하도록 지지대(4)의 축공(5')에서 협지구(6)의 축공(5a)에 끼워 맞춤한 핀(7)이 역활을 하게되어 가구의 문을 열어줄때 핀(7)을 중심으로 협지구(6)의 걸림턱(10)을 벗어나기 위해 접속구(11)의 연결턱(12)이 서로 엇갈리게되면 헙지구(6)의 후면은 몸체(l)의 삽지구(8) 내로 스프링(9)을 눌러주게되므로 가구의 문을 열어줄 수 있게된 것으로 종래의 연결턱인 요홈에 볼이 끼워지거나 분리시 볼의 지지력이 견고성이 없으므로 가구의 문이 치부의 약한 충격에도 자주 열리는 것에 비하여 본원은 마찰면이 넓은 걸림턱(10)에 연결턱(12)이 걸리도록 스프링(9)의 탄력을 갖게하므로 인위적으로 가구의 문을 열기전에는 가구의 문이 열리 않게 형성되어 고급가구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것이다.

Claims (1)

  1. 지지대(4)의 축공(5)에서 협지구(6)의 축공(5a)으로 핀(7)을 관통시켜후면 협지구(6)의 삽입구(8)에서 몸체(1)의 삽지구(8') 사이에 스프링(9)을 설치하여 협지구(6)의 전면 걸림턱(10)내로 삽입되는 접속구(11)의 연결턱 (12)을 걸어줄 수 있게된 가구문 접속구.
KR2019840012344U 1984-11-29 1984-11-29 가구문 접속구 KR870001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344U KR870001927Y1 (ko) 1984-11-29 1984-11-29 가구문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344U KR870001927Y1 (ko) 1984-11-29 1984-11-29 가구문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186U KR860006186U (ko) 1986-06-18
KR870001927Y1 true KR870001927Y1 (ko) 1987-05-27

Family

ID=7016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344U KR870001927Y1 (ko) 1984-11-29 1984-11-29 가구문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17Y1 (ko) * 2007-08-30 2009-09-17 한정화 문 및 창문용 방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186U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6686A (en) Plastic clip
US3061346A (en) Door catch
US2203580A (en) Door catch
KR920010397A (ko) 컴퓨터 하우징용 도어 걸쇠
KR870001927Y1 (ko) 가구문 접속구
US2805093A (en) Chain latch for doors and the like
FR2194865B1 (ko)
JP3663273B2 (ja) ドアボトムのシール装置
KR860000933Y1 (ko) 턴테이블용 경첩
KR900010935Y1 (ko) 여닫이문 자력흡착 괘정구
KR920001305Y1 (ko) 안내편이 부착된 창문용 프레임
CN218791730U (zh) 一种窗帘防漏光仿回弹闭合器和窗帘轨道
KR910008076Y1 (ko) 브이티알의 콘트롤부 도어 오픈장치
KR910008601Y1 (ko) 안경다리의 탄지장치
CN211736791U (zh) 一种弹簧合页
KR920005898Y1 (ko) 안경케이스의 자동개폐장치
JP2537618Y2 (ja) 網戸用上部摺動部材
KR900001427Y1 (ko)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JPS6012060Y2 (ja) 2つ折り扉のビボツトピン取付装置
JPS59192399A (ja) 挾持具
KR20020084637A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고정장치
KR910005308Y1 (ko) 캐비넷 도어 고정 장치
KR870003625Y1 (ko) 자동닫힘 경첩의 스프링 탄력 조절 장치
KR840001338Y1 (ko) 음향기기의 힌지(hinge) 고정장치
KR900001809Y1 (ko) 화폭틀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