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79Y1 -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79Y1
KR930005279Y1 KR2019890003295U KR890003295U KR930005279Y1 KR 930005279 Y1 KR930005279 Y1 KR 930005279Y1 KR 2019890003295 U KR2019890003295 U KR 2019890003295U KR 890003295 U KR890003295 U KR 890003295U KR 930005279 Y1 KR930005279 Y1 KR 930005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electric
electronic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723U (ko
Inventor
오형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3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279Y1/ko
Publication of KR900017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여닫음 상태 일부절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힌지 5, 5' : 결착편
6 : 탄성로크편 8': 측판
8" : 내단면
본 고안은 브이티알(VTR) 등과 같은 전기ㆍ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도어를 부착함에 있어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텐션을 이용하여 여닫음 상태에서 로크 시켜 줄 수 있게 한 도어 부착 및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트롤부에 도어를 부착하기 위해 콘트롤부의 내면 양측벽에는 축을 돌출시키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는 일부가 개방되게 힌지를 연설하여 상기 측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힌지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도어를 콘트롤부에 부착하는 구조를 널리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구조를 도어를 열어준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개방된 부분에 의해 축이 힌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었으며, 또 도어의 로크장치를 힌지와는 별개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등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품 및 조립 공수가 증가되는 등의 결점도 있었다.
콘트롤부의 양측 내벽에는 힌지 결착공을 뚫어 설치하여 내면에는 탄성 로크편을 일체로 연설한 힌지를 끼워서 결착고정시키고, 도어의 양측 하단내면에 연설한 측판 외면에는 축을 돌출시켜 상기 힌지에 뚫은 축공에 축판의 축을 끼워 결합시켜 도어가 콘트롤부에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축판이 탄성 로크편에 의해 여닫힌 상태에서 로크되게 하므로 개폐시 도어가 유동이 되지 않게 함은 물론 하나의 힌지로 도어의 부착과 로크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1)의 콘트롤부(2) 양측 내벽에는 결착공(3)을 뚫어 설치하여, 힌지(4)의 내단 상하에 연설한 결착편(5)(5')을 끼워 결착시켜서 힌지(4)가 콘트롤부(2)의 양측 내벽에 고정 착설되게 하고, 힌지(4)의 내면에는 탄성 로크편(6)을 돌출 연설하고 정해진 위치에는 축공(7)을 뚫어서 축판(8)의 외면 중앙에 돌출시킨 축(9)을 끼워 주도록 하며, 상기 축판은 도어(10)의 내면양측 하단에 각기 일체로 연설하고 그 상단면(8')과 내단면(8")은 수평만으로 되게 하며 이들 사이의 모서리는 곡면으로 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1"은 도어손잡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어(1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닫으면 제2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로크편(6)의 단부가 축판(8)의 상단면(8')을 눌러 주게 되므로 도어(10)는 닫힌 상태에서 로크편(6)의 탄성에 의해 로크되며, 도어(10)를 가상선(A)과 같이 열어주게 되면 축판(8)이 축(9)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로크편(6)은 가상선(B)과 같이 들려졌다가 제2b도에서와 같이 도어(10)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원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어 그 단부가 이번에는 내단면(9")을 눌러 주게 되기 때문에 하고 도어(10)는 열린 상태에서 로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힌지에 탄성로크편을 일체로 연설하여 도어의 부착과 로크 작용을 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유동됨이 방지됨은 물론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또 로크장치가 힌지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 및 조립공수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힌지(4)의 내단 상ㆍ하에는 결착편(5)(5')을, 내측면에는 탄성로크편(6)을 각각 일체로 연설하고, 외면 중앙에는 축을 돌출하며, 상단면(8')과 내단면(8")은 수평면으로 되게 한 축판(8)은 도어의 양측내면 하단에 연설하여 상기 탄성로크편은 결착편(5)(5')으로 콘트롤부의 양측 내벽에 결착시키고 축판(8)의 축은 힌지(4)의 축공에 끼워 결합시켜 탄성로크편(6)이 힌지(4)를 눌러 주게 하므로 이 힌지만으로 도어의 부착과 로크 작용을 겸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부착 및 로크 장치.
KR2019890003295U 1989-03-24 1989-03-24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KR930005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295U KR930005279Y1 (ko) 1989-03-24 1989-03-24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295U KR930005279Y1 (ko) 1989-03-24 1989-03-24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23U KR900017723U (ko) 1990-10-05
KR930005279Y1 true KR930005279Y1 (ko) 1993-08-11

Family

ID=1928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295U KR930005279Y1 (ko) 1989-03-24 1989-03-24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23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47211T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KR927002312A (ko) 대형텔레비젼수상기의 외장골판지상자
KR900007624A (ko)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KR930005279Y1 (ko)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JP3686688B2 (ja) 電子機器収納用筐体
FR2659628B1 (fr) Dispositif de boite ou d'etui a couvercle mobile.
ATE306601T1 (de)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r wandöffnung
KR200151467Y1 (ko) 벽걸이형 기기의 도어개폐장치
KR89000157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보조장치
KR950008154Y1 (ko) 전자제품의 콘트롤 박스도어용 힌지구조
KR950006494Y1 (ko) 에어 댐퍼장치
KR930008277Y1 (ko) 도어 처짐 조절 힌지장치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60001990Y1 (ko) 전자제품용 도어 체결장치
JPS5929108Y2 (ja) 扉開閉装置
KR920007324Y1 (ko) 팩시밀리의 콘트롤 판넬 개폐용 판스프링 구조
KR900003123Y1 (ko) 개방시의 도어 취부장치
KR840000926Y1 (ko) 콘트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870000667Y1 (ko) 콘트롤 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KR0122457Y1 (ko) 자동판매기의 콘트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200296908Y1 (ko) 폐쇄회로용 디지털 멀티플렉서의 프론트 커버 고정장치
KR900004629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용 조작키 보호 장치
KR900002289Y1 (ko) 리모콘 수장함의 도어힌지
KR890001077A (ko) 문짝용 로크 장치
KR900001231Y1 (ko) 가전제품 문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