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32Y1 -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32Y1
KR930006732Y1 KR2019910008313U KR910008313U KR930006732Y1 KR 930006732 Y1 KR930006732 Y1 KR 930006732Y1 KR 2019910008313 U KR2019910008313 U KR 2019910008313U KR 910008313 U KR910008313 U KR 910008313U KR 930006732 Y1 KR930006732 Y1 KR 930006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hield
mask frame
ray tube
binding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474U (ko
Inventor
김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732Y1/ko
Publication of KR930001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인너시일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패널과 새도우마스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인너시일드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인너시일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마스크프레임
3 : 플랜지 4 : 결착용돌기
5 : 결착공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내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마스크프레임에 결합되어 전자비임이 지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해 주는 인너시일드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바임이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쳐를 관통하여 패널 내측의 형광면상에 랜딩됨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에 있어서 인너시일드는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마스크프레임에 연결되어 전자총의 종단에서부터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쳐에 이르는 비임 경로를 시일드해 주어 외부 지지계가 전자비임의 방사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인너시일드와 마스크프레임 사이의 연결을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P)의 내주에 현수되는 마스크프레임(F)의 결착공(H1)과 인너시일드(I)에 뚫려진 결착공(H2)을 일치시키고, 이렇게 일치된 결착공(H1)(H2)을 통해 소정형상의 결합용 클립(C)을 끼워 넣어 상호 일체가 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너시일드(I)의 조립구조는 별도의 결합용 클립(C)을 준비해야 하고, 조립작업에 있어서도 프레임(F)과 인너시일드(I)의 각 결착공(H1)(H2)이 상호일치되게 맞춰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서 조립 생산성의 측면에서 과히 좋은 방식이라 하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프레임의 결착공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의 인너시일드를 제공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와 조립수공의 간편화를 도모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너시일드 본체가 마스크 프레임과 접촉되는 플랜지의 소정부위에 "Ω"상으로 결착용 돌기를 타발 형성하여 된 인너시일드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에 관련된 인너시일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시일드 본체(1)는 마이크프레임(2)과 접촉되는 플랜지(3)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플랜지(3)에는 소정위치마다 "Ω"상으로 돌출된 결착용 돌기(4)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이 결착용 돌기(4)는 프레스에 의해 타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폭은 이것에 대응하는 마스크프레임(2)의 결착공(5)의 정폭보다 약간 큰 길이로 설정함이 좋다.
그 이유는 타발에 의해 "Ω"자상으로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4)가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마스크프레임(2)에 결착공(5)에 삽입되어 괘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2도는 상술한 결착용 돌기(4)가 마스크프레임(2)의 결착공(5)에 끼워져 연결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결착용 돌기(4)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스크프레임(2)의 결착공(5)에 일치시키고 강제로 밀어 넣는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인너시일드의 플랜지에 다수의 결착용 돌기를 소정위치마다 일체로 타발 형성하여 놓음으로써 마스크프레임에 다한 인너시일드의 조립이 한층 간편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착용 클립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실용성을 갖고 있다.

Claims (1)

  1. 인너시일드 본체(1)에서 마스크프레임(2)과 접촉되는 플랜지(2)에 다수의 "Ω"상 결착용 돌기(4)를 전기한 마스크프레임(2)이 보유하는 결착공(5)에 대응하는 위치로 타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KR2019910008313U 1991-06-05 1991-06-05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KR930006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313U KR930006732Y1 (ko) 1991-06-05 1991-06-05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313U KR930006732Y1 (ko) 1991-06-05 1991-06-05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74U KR930001474U (ko) 1993-01-21
KR930006732Y1 true KR930006732Y1 (ko) 1993-10-06

Family

ID=1931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313U KR930006732Y1 (ko) 1991-06-05 1991-06-05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74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7528A (ko) 컬러음극선관
KR100393388B1 (ko) 편향요크의보조코일패스너
KR93000673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CA2029556A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KR9400119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시일드의 조립구조
KR0133814Y1 (ko) 인너시일드 조립구조
KR0131374Y1 (ko) 브라운관의 프레임/인너실드의 결합구조
KR200142031Y1 (ko) 음극선관용패널과 프레임 결합구조
US6046536A (en) Inner shield for CRT
KR95000204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시일드 장착클립
KR920001977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프레임 구조체
KR20016439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실드와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162814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0208164B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JP2812144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付構造
KR920001978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프레임 구조체
KR950003535Y1 (ko) 칼라브라운관용 판넬-훤넬 콘넥터
KR960006526Y1 (ko) 인너 시일드
KR930007585Y1 (ko) 칼라 음극선관
JPH0721930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125409Y2 (ko)
KR0132674Y1 (ko) 편향 요크의 보정 코일 장착용 터미널 보드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920006861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