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164B1 -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164B1
KR100208164B1 KR1019960044348A KR19960044348A KR100208164B1 KR 100208164 B1 KR100208164 B1 KR 100208164B1 KR 1019960044348 A KR1019960044348 A KR 1019960044348A KR 19960044348 A KR19960044348 A KR 19960044348A KR 100208164 B1 KR100208164 B1 KR 10020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gnetic shield
coupled
ray tub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026A (ko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1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8Passive shielding means of vess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프레임, 인너쉴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온/오프시 교류자장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쉴드의 진동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결합력을 높이고, 자기쉴드의 진동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결합력을 높이고, 자기쉴드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품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며 판넬의 내측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자기 차폐용 자기쉴드가 결합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자기쉴드는 관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일반적인 칼라 수상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새도우마스크(3)가 프레임(3b)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3b)은 다시 스프링(3c)에 용접 결합되어 판넬(1)에 고정된 판넬핀(1a)에 새도우마스크 조립체가 장착되고, 상기 새도우마스크(3)의 지지체인 프레임(3b)의 후방에 외부자계를 차폐하기 위한 자기쉴드(4)를 픽싱스프링(11)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판넬(1)과 융착되는 펀넬(2)의 네트부(8)에 전자빔(10)을 발산하는 전자총(7)을 장착함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칼라 수상관은 전자총(7)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10)이 편향요크(5)에 의해 편향된후 새도우마스크(3)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막(9)에 충돌하므로서 형광체 화소를 발광시키게 되며, 이때 자기쉴드(4)는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프레임(3b)의 후사면에 픽싱스프링(11)을 관축(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기쉴드(4)는 고투자율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외부자계가 변화하게 되었을 때는 소자코일(6)에 교류전류를 흘려서 소자작용에 의해 외부자계가 차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기쉴드의 조립작업은 제3도에서와 같이 자기쉴드(4)에 형성된 삽입공과 프레임(3b)에 형성된 삽입공을 서로 일치시킨후 픽싱스프링(11)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픽싱스프링(11)의 끝단을 작업자가 압축하여 삽입공에 삽입하면 삽입후에는 자기쉴드(4)와 프레임(3b)이 픽싱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조립방식은 자기쉴드와 프레임이 탄탄하게 밀착 조립되기 힘들며 자기쉴드가 프레임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을 정도로 된 형태로서, 반드시 유격이 존재하여 외부자계 차폐시, 특히 음극선관이 조립된 모니터를 온/오프할 경우 발생되는 교류자장에 의해 자기쉴드의 진동이 유발되어 진동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쉴드의 결합작업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프레임과 자기쉴드의 결합부에 관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스프링을 구비함으로서, 고정스프링의 적절한 탄성력으로 상기 부품을 결합시키고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 프레임, 자기쉴드의 결합 단면도.
제3도는 종래 프레임, 자기쉴드의 결합부 단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 고정스프링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레임 102 : 자기쉴드
103 : 고정스프링 103' : 고정스프링의 개구부
본 발명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101)과 자기쉴드(102)의 결합부에 관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스프링(103)을 구비하였으며, 상기 고정스프링(103)은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력을 높이도록 개구부(103')의 폭(A)을 프레임(101)과 자기쉴드(102)의 결합부 폭(B)보다 작게 구성하였다.
즉, 음극선관의 조립공정에서 프레임(101)과 자기쉴드(102)를 결합시키는 작업시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본 발명의 고정스프링(103)을 이용하여 제4도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스프링(103)의 개구부(103') 폭(A)은 제5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01)과 자기쉴드(102)의 결합두께(B)보다 약 10% 정도 적기 때문에 고정스프링(10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체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온/오프시 교류자장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쉴드의 진동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자기쉴드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품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새도우 마스크형 칼라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칼라 수상관내의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지자계 차폐용 쉴드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자기쉴드의 탈락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기쉴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며 판넬의 내측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자기 차폐용 자기쉴드가 결합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자기쉴드는 관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며 개구부를 갖는 고정부재는 크립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부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부 폭은 프레임과 인너쉴드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부 끝단은 외측으로 확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KR1019960044348A 1996-10-07 1996-10-07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KR10020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348A KR100208164B1 (ko) 1996-10-07 1996-10-07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348A KR100208164B1 (ko) 1996-10-07 1996-10-07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026A KR19980026026A (ko) 1998-07-15
KR100208164B1 true KR100208164B1 (ko) 1999-07-15

Family

ID=1947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348A KR100208164B1 (ko) 1996-10-07 1996-10-07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026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872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208164B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JPH053099B2 (ko)
US6448702B1 (en) Cathode ray tube with internal magnetic shield
KR910001401B1 (ko) 편향 요크
KR100201643B1 (ko) 평면브라운관의 지자기 차폐장치
EP0624895B1 (en) Display tube including a deflection unit
KR950003478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취부구조
US5736914A (en) Demagnetiz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KR950006114Y1 (ko) 수직편향코일의 조립중심조절이 가능한 편향요크
KR200175885Y1 (ko) 틸트 코일 고정 기능을 갖는 편향 요크 고정용 웨지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KR200153392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고정장치
KR200158739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오크
JP2002270115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100376997B1 (ko) 편향 요크용 수직 코일 고정 구조
KR93000673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시일드
KR100228171B1 (ko) 음극선관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KR0137648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지지프레임 장착장치
KR100229314B1 (ko) 평면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쉴드 고정장치
KR200153201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장치
JPH03112038A (ja) 偏向ヨーク
US20070108883A1 (en) Unified magnetic shielding of tensioned mask/frame assembly and internal magnetic shield
KR19980036713A (ko) 칼라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체결스프링
JPH08255578A (ja) 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