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54Y1 -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54Y1
KR930006454Y1 KR2019890016089U KR890016089U KR930006454Y1 KR 930006454 Y1 KR930006454 Y1 KR 930006454Y1 KR 2019890016089 U KR2019890016089 U KR 2019890016089U KR 890016089 U KR890016089 U KR 890016089U KR 930006454 Y1 KR930006454 Y1 KR 930006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evator
screw
hole
cuto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230U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6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454Y1/ko
Publication of KR910007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제1도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손잡이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면도.
제4a, 4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상태 단면도 및 고정지지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반 2 : 손잡이
10 : 고정지지구 11 : 설치홈
12 : 나사공 13 : 고정구
14 : 걸림부 15 : 통공
16, 17 : 나사부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측에 설치된 손잡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자용 운전반 하부에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토록 손잡이를 설치하므로서 장애자들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측에는 장애가 및 노약자들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케이지내면 양측 벽면(5)에 엘리베이터 운전용 운전반(1)과, 그 하단에 손잡이(2)를 횡설하였었는데, 종래의 손잡이 설치구조는 도면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지의 내측 벽면(5)에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도록 운전반(1)을 설치하고, 그 하방 벽면에는 손잡이 지지구(3)를 고정나사(4)로서 설치한 뒤, 상기 손잡이 지지구(3)를 연통해서 손잡이(2)를 횡설하였다. 그러나 이는, 장애자용 운전반 바로 밑에 손잡이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그 위치가 고정되어 손잡이의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운전반과의 공간이 적은 관계로 누름 버튼을 오조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폐단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합리한 점을 감안하여, 운전반 하방에서 승하강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손잡이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벽(5)에 설치된 운전반(1) 하방에 손잡이(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운전반(1) 내부 양측에는 중앙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절결부(11a)와 이 절결부와 크로스되는 절결부(11b)를 형성하여 설치홈(11)을 가지는 고정지지구(10)가 나사 결합 고정됨과 동시에 중앙에 통공(15)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절결부(11b)에 안내결합되는 걸림부(14)를 구비한 고정구(13)의 상기 통공(15)으로 나사부재(16)를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통공(15) 하방의 전방절곡된 손잡이(2)의 양측 말단부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설치홈(11)내에 안내 결합되며 상기 고정지지구(10)에는 상하 일정 간격의 나사공(12)을 형성하여 운전반 커버(6) 외측에서 나사부재(17)로서 상하 위치 가변되게 고정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2)와 고정지지구(10)전체를 단계적으로 승하강 시킬때에는 운전반 커버(6) 양측에 고정설치된 나사부재(17)를 각각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 또는 하부로의 다른 위치 나사공(12)에 상기 나사부재(17)를 체결하게 되면 전체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작동되는 것으로 특히 하강상태에서는 제4a도에서와 같이, 양측 나사부재(17)을 풀어내게 되면 고정지지구(10)의 손잡이(2)의 자중에 의해 소정의 높이만큼 내려오게 되는데, 사용자의 높이에 맞도록 적정하게 내린 뒤 운전반 커버(6) 외측에서 상측 나사공(12)에 나사부재(17)를 체결시키면 목적하는 바대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 높이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고정구(13)의 통공(15) 상부에 결하된 나사부재(16)를 회전시에 따라 나사부재(16) 말단부와 손잡이(2) 말단부가 나사결합된 상태이므로 손잡이(2)의 미세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손잡이의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노약자나 장애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과, 그 고정에 있어서도 운전반 자체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핸드레일의 취부위치 사양에 따라 변경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벽(5)에 설치된 운전반(1) 하반에 손잡이(2)를 설치함에 있어서, 중앙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절결부(11a)와 이 절결부와 크로스되는 절결부(11b)로 된 설치홈(11)을 가지며 외측면 상하 일정간격으로는 나사공(12)을 형성하여 운전반(1) 내부양측에 부설되어 나사부재(17)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구(10)의 상기 설치홈에는 중앙에 통공(15)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절결부(11b)에 안내결합되는 걸림부(14)를 구비한 고정구(13)의 통공으로 나사부재(16)를 관통시켜 손잡이(2)의 상부 말단부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KR2019890016089U 1989-10-31 1989-10-31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KR930006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089U KR930006454Y1 (ko) 1989-10-31 1989-10-31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089U KR930006454Y1 (ko) 1989-10-31 1989-10-31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230U KR910007230U (ko) 1991-05-29
KR930006454Y1 true KR930006454Y1 (ko) 1993-09-24

Family

ID=1929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089U KR930006454Y1 (ko) 1989-10-31 1989-10-31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4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230U (ko) 199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3345C (en) Apron assembly for a bathing fixture
US5365618A (en) Support system for bather's lift
US5940906A (en) Apron assembly for a bathing fixture
KR930006454Y1 (ko) 엘리베이터용 손잡이 설치구조
JPH0746231Y2 (ja) 浴槽のエプロン取付構造
KR950004103Y1 (ko) 엘리베이터의 이동식 핸드레일
KR102510550B1 (ko) 칸막이 장착장치
JPH057857U (ja) 浴室ユニツト
KR860001102Y1 (ko) 조립식 칸막이의 높이조절장치
JPH0648030Y2 (ja) バルコニーなどのパネル取付部構造
JPH0522637Y2 (ko)
JPH0515510Y2 (ko)
KR820000584Y1 (ko) 레일 부재의 부착구
KR960010404Y1 (ko) 출입문용 힌지장치
CN113585062A (zh) 一种具有顶置翻转装配机构的护栏立柱
JPH054500Y2 (ko)
JPH0280679U (ko)
JP2950637B2 (ja) 窓手摺りの取付構造
JPS6171774U (ko)
KR940003893Y1 (ko) 아파트 베란다의 창틀고정용 지주
JPS5923153Y2 (ja) 手摺
KR910009337Y1 (ko) 창문의 빗물침투방지판
JP2509811Y2 (ja) 間仕切り壁のスタッド支持装置
JPS6313314Y2 (ko)
KR840003721A (ko) 커어튼 월(Curtain Wall)의 섀시(Sash)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