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23B1 - 원단 봉침기 - Google Patents

원단 봉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23B1
KR930005923B1 KR1019910006198A KR910006198A KR930005923B1 KR 930005923 B1 KR930005923 B1 KR 930005923B1 KR 1019910006198 A KR1019910006198 A KR 1019910006198A KR 910006198 A KR910006198 A KR 910006198A KR 930005923 B1 KR930005923 B1 KR 93000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machine
connecting piece
support
pneumat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996A (ko
Inventor
권만천
이진술
Original Assignee
권만천
이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천, 이진술 filed Critical 권만천
Priority to KR101991000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923B1/ko
Priority to JP3130471A priority patent/JPH0698233B2/ja
Publication of KR92001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00Hem-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단 봉침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원단탈착 장치를 보인 요부 사시도,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탈착 장치만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다른 원단 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축의 분해 사시도.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물레의 구성 사시도, b)도는 물레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집게 장치 부분의 확대사시도, c)는 제5a도에 표시되어 있는 점선 부분의 확대도.
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미싱기의 내부 사시도, b)도는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유동미싱기의 내부사시도, c)도는 천받침대의 작용 예시도, d)도는 로드캠 및 공압실린더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작용예시도, e)도는 로드캠에 장착된 장암 및 단암의 작용상태를 또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f)도는 1차 원통캠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g)도는 2차 원통캠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h)도는 3차 원통캠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i)도는 상기 (h)도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내부프레임
3 : 물레 4 : 고정미싱기
5 : 유동미싱기 6,6' : 홀더(HOLDER)
7,7' : 원단집게, 9,9' : 작동봉
10,10' : 가이드 횡봉 11,11' : 안내로울러
12,12' : 지지가이드 14,14' : 협지력보강스프링
15 : 원단탈착장치 16 : 사각봉
8,13,13',24,30,47,63,106 : 제1,2,3,4,5,6,7 공압실린더
21 : 상부프레임 22 : 하부프레임
23 : 로울러 이동부 25 :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27 : 외부회전축 28 : 지지축
29 : 중심축 31 : 삼중축
42 : 제5연결봉 43 : 집게
44 : 집게장치 46 : 천받침대
49,50 : 장암(長 ARM) 50' : 단암(短 ARM)
51 : 로드캠 52 : 제1차 원통캠
53 : 제3차 원통캠 54 : 제3차원통캠
61 : 슬라이드 핀 62 : 슬라이드대
85 : 장축(長軸) 86 : 제1요홈
87 : 원단감지센서 94 : 연결부
95,96 : 스프링
본 발명은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기 위한 준비공정의 하나의 원단봉침을 행하는 원단봉침기에 있어서, 특히 원단 바스켓에 원단이 투입되고부터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에 의하여 물레의 적정수직 위치로 이동되고, 원단을 물레에 설치되는 있는 집게장치로 집은 후 고정미싱기와 유동미싱기로 임의 크기의 원단의 양변사를 기계적으로 자동봉침하고, 삼중축의 기능으로 물레의 직경이 축소되는 동시에 집게장치의 기능이 해제되고, 이어서 원단탈착장치로 봉침완료된 원단을 물레에서 집어내어서 탈착하기까지의 전 시스템을 자동화한 원단봉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단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원단에 봉침을 실시할때에, 우선 원단바스켓에 투입된 원단을 작업자가 손으로 탁탁밀거나 당겨서 원단의 일측끝단을 물레의 일측 끝단 수직하방 위치로 맞추고, 원단을 물레에 권취시켰다. 이렇게 권취된 원단을 일측만을 고정미싱기로 봉침하고 물레의 직경을 축소시켜 권취된 원단을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물레에서 탈착한 후 별도의 미싱기나 인력으로 나머지 일측을 봉침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은 일명 "엔드리스 메틱(ENDLESS MATIC)"이라고 호칭하는 원단봉침기로 실시하여 왔는바, 통상의 엔드리스 메틱이라 함은 원단을 봉침(여기서의 봉침이란 제직된 원단자체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양변사를 실로서 매듭지음을 이른다)하기 위한 미싱의 일종으로서 권취된 원단의 일측만을 봉침하고 나머지 일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미싱기나 인력으로 일일이 봉침하여 왔다. 그러므로 원단이 원단바스켓에 투입되고부터 봉침완료가지 작업시간은 물론이고 인력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원단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수작업조차 원만하게 실시할 수 없었고, 수작업을 통한 원단자체의 봉침상태 불균형으로 말미암아 염색마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전체적인 경제성 및 생산성과 제품의 신뢰도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단바스켓 하부에 원단바스켓 자동이동받침대를 설치하여 원단바스켓내에 투입된 원단의 일측끝단을 물레의 일측끝단 수직하방인 적정위치로 위치시켜주고, 원단 봉침기 상부에 고정미싱기와 함께 원단의 다른 일측 끝단을 감지하고 적정위치로 이동하는 유동미싱기를 설치하여 원단폭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유공압을 이용한 기계적인 봉침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삼중축에 물레 직경축소 장치와 함께 집게 장치를 구성하여 봉침과정 및 봉침완료 후의 작업을 도와주도록 하고, 원단 봉침기의 일측에 홀더와 공압장치 및 원단집게 등으로 구성된 원단탈착장치를 설치하여 봉침완료 된 원단을 이동하여 집어냄으로서 자동적으로 원단이 탈찰되도록 하는, 전시스틈이 자동화된 원단 봉침기를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바,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체(1)의 정면 하방에 원단바스켓(20)을 안착하고 있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와 기체(1)의 중심에 삼중축(31)과 물레(3)의 집게장치(44)와, 기체(1)의 상부에 고정미싱기(4)와 함께 유동미싱기(5)가, 또한 기체(1)의 전방 측면에는 원단탈착장치(15)가 양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먼저 기체(1)의 정면 하방에 원단바스켓(20)을 안착하고 있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원단바스켓(20)의 하부 형상에 따라 원단바스켓(20)이 안착되고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상부프레임(21)과, 기체(1)의 일측면에 볼트고정부(75)로 볼트체결하여 고정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양쪽을 연결하면서 상부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로울러 이동부(23)와 상부프레임을 일정구간동안 이동시키는 힘을 만들어내는 제3공압실린더(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1)의 중심에 위치한 봉침기의 삼중축(31)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2단 스프라켓(26)이 외부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회전축(27)과, 단지 지지만할 뿐 아무런 작동하지 않은 지지축(28)과 지지축의 중심에서 일측끝단에 연결된 제4공압실린더(30)의 작동으로 전후진 작동을 하는 중심축(29)으로 구성되고, 이 중심축(29)은 제1연결편(32)과 연결되어 있으며, 2단 스프라켓(26)은 제2체인(65)에 의해 기체(1) 하부의 일측에 있는 공지의 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체(1)의 중심부에 위치한 물레(3) 내부의 집게장치(44) 구성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중심축(29)에 고정되어 있는 제1연결편(32)이 제1연결봉(33), 제2연결편(34), 제3연결편(35), 제4연결편(36), 제5연결편(37), 제6과 제7연결편(38, 39)으로 고정·연결되어 있고, 제6연결편(38)이 고정되어 있는 쪽의 제5연결편(37)에 제4연결봉(40)이 연결되어지고 제4연결봉(40)은 제8연결핀(41)에 의해 제5연결봉(42)과 연결되며, 제5연결봉(42)에는 군데군데 열가소성 수지재로 만든 집게(43)가 고정볼트로서 고정되어 있고, 집게(43)는 물레(3)의 축소, 확대 기능과 함께 물레의 횡봉(19)일측에 용착되어 있는 사각봉(16)에 접탈,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4연결편(36)은 제2연결봉(17) 및 제3연결봉(18)으로 연결됨으로 인해 좌우에서 물레의 축소, 확대를 돕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1)의 상부에 고정미싱기(4)와 함께 설치되어 있는 유도미싱기(5)는 제6도에 역전되어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그 내부는 중앙지지판(45)을 경계로 하여 하부에는 상부의 천받침대(46)와 연결되어 있는 제5공압실린더(47)와, 바늘(48)을 장착한 장축(85)와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장암(49,50) 및 단암(50')과 결부되어 있는 제6공압실린더(63)과, 장암(49,50)의 하단부에 있는 핀(61)이 끼워짐으로 인해 장암의 상하곡선운동을 돕는 로드캠(51)과, 상부원통캠(52,53,54)의 축(55)과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라켓(56)과 제1체인(57)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58)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는 하부의 제5공압실린더(47)와 연결되어 있어서 꺽어져 있는 상태가 90°회전하여 직선상태로 이동하는 천받침대(46)가 있고, 직선상태로 된 천받침대(46)의 요홈속에 바늘(48)의 삽탈을 가능케하는 두개의 장압(49,50) 및 갈고리(60)를 가진 단암(50')이 상부의 제5공압실린더(47) 및 로드캠(51)과 연결되어 있고, 장암이 좌우로 흔들림없이 정확하게 상승하도록 함과 아울러 장암의 슬라이드핀(61)이 지나갈 수 있게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대(62)가 있고, 하부의 모터(59)와 연결되어 있는 제2스프라켓(58)과 제1체인(57)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라켓(56)이 3개의 원통캠(52,53,54)이 장착된 축(55)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의 측표면상에의 폐곡선을 따라 홈이 패여짐과 동시에 이 홈에 꽂혀진 핀에 의해서 피동체(76,77,78)들을 왕복운동시키는 원통캠중에서도 제1스파프라켓(56)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제1차원통캠(52)은 2차 실치개(68)을 구동하기 위함이고 제2차 원통캠(53)은 1차 실치개(67)와 3차 실치개(69)를 구동하기 위함이고 제3차 원통캠(54)은 원뿔형기어(70)를 구동시켜서 나이프(71)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고, 나이프(71)의 측면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흡입구(7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와 하부의 구성중 천받침대(46)와 장암(49,50)과 단암(50') 구성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6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천받침대(46)는 하부의 제5공압실린더(47)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왕복지지대(88)와 결착편(89)을 통하여 지지볼트(90)로 연결되어 있고, 이때의 또 다른 지지볼트(90')는 천받침대 측면에 있는 고정지지대(91)의 제2요홈(92)에 끼워져서 천받침대(46)의 90"회전을 도와주고 있으며, 하부의 제5공압실린더(47)의 몸통 상하에는 상승과 하강을 감지하는 센서(9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6d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두개의 장암(49,50)과 갈고리(60)를 가진 한개의 단암(50')은 하단끝에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핀(61)에 의해 하부의 로드캠(51)에 따로따로 끼워져 있으며, 이핀(61)은 로드캠(51)의 표면에 약간 다른 모양으로 홈이 패여져 있는 부분을 따라 곡선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의 상승하고자 하는 힘은 제6공압실린더(63)의 장축(85)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바늘(48)이 상승할시 장암(49,50)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연결부(94)에 의해 동시에 곡선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바늘(48)이 장착된 축과 장암(49,50)의 사이에는 스프링(95)이 내장되며 볼트(97)도 스프링(95)의 영역을 한계시켜 놓고 상부에 다시 스프링(96)을 설치한 바늘 지지대(98)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여기에서의 제6공압실린더(63)에도 센서(93)가 부착되어 있다. 제6i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3차 원통캠(54)은 측면표면상에 폐곡선을 따라 홈이 패여져 이 홈에 꽂혀진 핀과 피동체(78)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피동체(78)는 두 갈래의 가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은 축(55)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홈에 꽂혀진 핀과 연결된 피동체(55)의 다른 가지의 피동체는 연결편(81)에 고정되고 연결편(81)은 원뿔형기어(70)와 고정되어 구동시켜주는 구동편(74)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편(74)의 하단은 지지고정대(99)의 측면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원뿔형기어(70)는 중심 역시 지지고정대(99)의측면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원뿔선상의 기어에는 작은 치차의 피니언(73)이 물려있다.
여기에서의 피니언(73)은 지지고정대(99)의 상내부에서 나이프(71)의 축과 결합되어 있다. 나이프(71)는 제6h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날(100)과 날집(101)의 축이 편심되어 있는 동시에 날(100)의 하단이 원통(102)내부에 회전하면서 날(100)과 날집(101)의 축이 편심되어 있는 동시에 날(100)의 하단이 원통(102)내부에 회전하면서 날(100)이 날집(101)에 들어갔다 나왔다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날(100)내부에는 날 나이프(103)가 내장되어 있다. 제2차 원통캠(53)은 제6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표면상에 폐곡선을 따라 홈이 패여져 이 홈에 꽂혀진 핀과 피동체(77)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피동체(77)는 두갈래의 가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은 축(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홈에 꽂혀진 핀과 연결된 피동체(77)의 다른 가지의 피동체는 연결편(80)이 고정되고 연결편(80)은 3차 실치개 고정편(83)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3차 실치개 고정편(83)은 3차 실치개(69)를 고정하고 연결축(105)으로 1차 실치개 고정편(84)과 연결되어 있으며 1차 실치개 고정편(83)은 1차 실치개(67)를 고정하고 3차 실치개(69)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같이 작동하게 되어 있다.
제6f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제1차 원통캠(52)은 측면표면상에 폐곡선을 따라 홈이 패여져 이 홈에 꽂혀진 핀과 피동체(76)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피동체(76)는 두 갈래의 가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은 축(5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가지의 피동체는 연결편(79)에 고정되고 연결편(79)은 고정편(82)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편(82)은 연결축(104)으로 2차 실치개 고정편(82)과 연결되어 있으며 2차 실치개 고정편(82')은 2차 실치개(68)를 고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체(1)의 일측에 홀더와 공압장치 및 원단잡게 등으로 구성된 원단탈착장치(15)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체의 내부후레임(2)의 전후방 양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1공압실린더(8)의 축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작동봉(9,9')의 일단에 각각 홀더(6,6')을 고정설치하고 홀더,6,6')의 하부는 가이드횡봉(10,10')에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안내로울러(11,11')가 지지가이드(12,12')에 연접설치되며, 상측에 홀더(6,6')의 내부중앙에 위치한 제2공압실린더(13,13')가 한쌍의 원단집게(7.7')들의 중앙연결부를 밀고 당기면서 협지력을 발생시켜고, 원단집게의 끝단에는 협지력보강 스프링(14,14')을 탄설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원단집게(7.7')들의 중앙연결부기 제2공압실린더(13)에 의해서 밀리면 협지력보강 스프링(14,14')이 압축되는 동시에 원단집게는 벌려지게 되어 물레의 원단이 삽입된다. 물론 다시 제1공압실린더(8)에 의해서 다시 당겨지면 탄성력이 강하게 존재하고 있는 협지력보강 스프링(14,14')에 의해서 원단집게(7,7')가 강하게 원단을 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작동순서에 따라 그 구성과 역활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하부프레임(22)의 볼트고정부(75)로서 봉침기의 일측면에 볼트로 단단히 체결하여 고정시킨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의 상부프레임(21)에 원단바스켓(20)을 안착시키고 이 바스켓 내부에 제직된 원단을 던져 넣었을 경우, 이와 동시에 내부후레임(2)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원단감지센서(87)가 권취되어져야 할 물레의 위치와 원단이 일측끝단이 맞추어 지는가를 감지하여 중앙콘트롤 박스로 연락하고, 역시 원단바스켓(20)의 위에서 바스켓 내부를 향하여 원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시센서(87)가 원단바스켓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여 중앙콘트롤 박스로 연결을 한다. 원단의 위치를 인지한 중앙콘트롤 박스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의 제3공압실린더(24)에 전후진 명령을 내려서 적정구간 동안 전후진하여 원단의 일측끝단이 물레의 일측끝단 수직하방의 위치에 맞추어지도록 원단바스켓을 이동시키는데 이때의 전후진 이동은 상부프레임(21)의 로울러 지지편에 감싸져 있는 로울러가 하부프레임(22)의 로울러 가이드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원단의 끝을 잡고 원단바스켓 상부에 있는 다수의 횡봉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시켜 원단을 물레의 집게(43) 사이에 끼워서 걸어놓게 된다.
그리하여 중앙콘트롤 박스에서 중심축(29)이 제4공압실린더(30)와 모터의 작동을 지시하여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외부회전축(27)의 2단 스프라킷(26)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외부전전축(27)이 회전하면서 원단봉침기의 물레(3)가 회전하여 권취작업이 완료되는데, 권취작업이 완료됨이 콘트롤박스에서 인식되면 고정미싱기는 그자리에서 원단봉침 작업을 행하되, 유동미싱기와의 동시 봉침이 이루어 질수 있게끔 계속 쉬고 있고 이 사이에 유동미싱기는 유동미싱기 케이스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하여 원단의 끝단을 감지, 콘트롤박스에 전달하면 이와 동시에 유동미싱기(5)의 케이스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7공압실린더(105)에 작동을 지시하여 유동미싱기(5)를 적정위치로 이동케하고 이동되어진 유동미싱기(5)는 고정미싱기(4)와 함께 동시에 원단봉침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미싱기의 봉침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되, 유동미싱기(5)만은 본 발명의 특징적 요부중에 하나이므로 상술키로 한다.
먼저, 진공펌프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내부의 실의 장력을 계속 유지하게 되고, 제5공압실린더(47)가 작동을 시작하여 축이 상승하게 되면 천받침대(46)가 90°회전을 함과 동시에 직선위치로 되면서 물레에 권취되어 있는 원단의 끝단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원단천을 받치게 된다.
이때의 완전 상승을 센서를 통하여 콘트롤 박스가 감지하고, 제6공압실린더(63)의 작동을 지시한다. 제6공압실린더(63)의 축이 상승하면서 제6공압실린더(63)의 장축(85)에 장착된 바늘과 두개의 장암이 함께 상승하게 되어 천받침대(46)의 받쳐진 천을 바늘이 뚫고 봉침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두개의 장암(49,50)은 로드캠(51)의 표면에 각각 새겨진 홈을 따라서 장암 하단의 핀의 운동곡선에 의해 천을 피하여 곡선상승하게 된다.
이때의 상승은 측면에 있는 슬라이드대(62)에 장암의 핀이 끼워져서 상승하게 되므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 상승하게 되며,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바늘이 측면에 있는 바늘지지대의 내부 스프링의 한계 영역 때문에 멈칫하면서 약간 하강하게 되고 이때에 바늘에 걸려있는 실이 처진 원을 그릴때에 로드캠(51)의 폐곡선홈이 더 긴쪽의 장암(50)에 연결되어 있는 단암(50')의 갈고리(60)가 튀어나와서 처진원을 그리고 있는 실을 걸어 물면서 올라오게 된다. 이후에 제5공압실린더(47)와 제6공압실린더(63)가 차례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매듭작업은 제1스프라켓(56)의 1회전에서 다 끝나는데 원통캠(52,53,54)이 회전을 하면서 제3차 원통캠(54)의 작동과 원뿔형기어(70), 피니언(73), 편심된 나이프축의 관계에 따라서 200°회전, 360°역회전, 180°순회전을 하는 나이프(71)의 실치개(67,68,69)의 상호작용으로 매듭이 완성되게 된다.
이렇게 원단봉침이 완료되면 콘트롤 박스에서 중심축의 제4공압실린더(30)를 작동하게 하여 전진하게되고 중심축에 연결된 연결편들의 작동으로 물레의 축소기능과 원단집게 장치의 해제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먼저 중심축(29)이 앞으로 나오게 되면 제1연결봉(33)이 앞으로 나오게되고, 제1연결봉(33)이 앞으로 나오게 되면서 제2연결편(34)이 반대쪽 끝단의 제3연결편(35)이 반시계 방향으로 나오게 되고 제4, 제5 연결편(36,37)이 올라가게 된다. 이어 제5연결편(37)이 올라가게 되면 제6, 제7연결편(38,39)도 올라가되, 한쪽의 물레(3)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7연결편(39)이 같이 올라가게 됨으로써 물레의 직경은 축소된다. 이와 동시에 제5연결편(37)에 고정되어 있는 제4연결봉(40)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제8연결편(41)을 아래로 내리고 이어 제5연결봉(42)이 회전하면서 사이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집게(43)가 벌어지게 되어 한쪽 횡봉(19) 위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는 사각봉(16)과 떨어져 봉침된 원단내부에서 고정된 것이 풀리게 된다.
한편, 제4연결편(36)은 제2연결봉(17) 및 제3연결봉(18)으로 연결됨으로 인해 좌우에서 물레의 축소. 확대 기능이 더욱 순조롭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를 콘트롤 박스에서 감지한 후에 봉침기 내부 후레임(2)의 전후방 양쪽에 고정되어 탈착장치를 가동케하는 제1공압실린더(8)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작동봉 일단부에 고정된 홀더(6,6')의 안내로울러(11,11')는 지지가이드(12,12')의 상부를 회동하면서 홀더(6,6')를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물레에 근접시키게 된다. 홀더(6,6')가 지정된 일정위치가 근접할시 홀더(6,6')상측의 제2공압실린더(13,13')의 작동으로 집게(7,7')의 연결부를 밀면 스프링(14,14')이 압축되는 동시에 집게(7,7')가 벌어지게 되어 봉침완료된 원단(20)을 삽입하여 협지할 준비를 하고, 다시 제2공압실린더(13,13')가 집게(7,7')의 연결부를 당기면 스프링(14,14')의 탄성력과 함께 완벽하고도 강하게 협지 완료된다. 이때에 최초의 제1공압실린더(8)가 재차 작동하여 작동봉(9,9')의 신장이 완료되면 홀더(6)의 제2공압실린더(13,13')가 다시 작동하여 집게(7,7')를 벌리게 하여 집게(7,7')에 협지하고 있는 원단이 집게(7,7')로부터 해제되어 기체(1)의 일측에 낙하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원단봉침 및 탈착장치가 완전자동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원단봉침을 행하는 원단봉침기에 있어서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에 원단이 투입되고부터 임의 크기로 제직된 원단의 양변사를 기계적으로 자동봉침한 후 봉침이 완료된 원단의 자동탈착 장치까지의 전 시스템을 자동화 한으로서, 수작업에서 왔던 인력의 낭비가 생산성 및 경제성의 비효율이 지양되어 인력의 절감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수 있음은 물론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경제성이 효율이 지대한 점이 많이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기 위한 준비공정의 하나인 원단봉침을 행하는 원단 봉침기에 있어서, 기체(1)의 정면하방에 원단바스켓(20)을 안착하고 있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를 설치하고 기체(10)의 중심과 중앙부에는 삼중축(31) 및 물레(3)의 집게장치(44)를 형성함과 동시에 기체(1)의 상부에는 고정미싱기(4)와 함께 유동미싱기(5)를 장착하며, 기체(1)의 전방 측면에는 원단탈착장치(15)가 양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원단봉침기.
  2. 제1항에 있어서, 원단바스켓이 안착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상부프레임(21)과, 봉침기의 몸체 측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양쪽을 연결하며 상부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로울러 이동부(23)와 상부프레임을 일정구간 동안 이동시키는 힘을 만들어 내는 제3공압실린더(24)로 구성된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25)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봉침기.
  3. 제1항에 있어서, 2단 스프라킷(26)이 외부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회전축(27)과, 단지 지지만 하면서 작동을 하지 않는 지지축(28)과, 지지축의 중심에서 일측 끝단에 연결된 제4공압실린더(30)의 작동으로 전후진 작동을 하는 중심축(29)으로 구성된 삼중축(31)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단봉침기.
  4. 제1항에 있어서, 기체(1)의 중앙부 물레(3)의 중심축(29)에 고정되어 있는 제1연결편(32)이 제1연결봉(33), 제2연결편(34), 제3연결편(35), 제4연결편(36), 제5연결편(37), 제6과 제7연결편(38,39)으로 연결. 고정되며 제5연결편(37)에 제4연결봉(40), 제8연결편(41), 제5연결봉(42)이 연결되고, 제5연결봉(42)에는 집게(43)가 결착되어 있는 집게장치(44)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물레의 횡봉(19)일측에는 사각봉(16)이 설치.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봉침기.
  5. 제1항에 있어서, 중앙지지판(45)을 경계로 상부의 천받침대(46)와 연결된 하부의 제5공압실린더(47)와, 바늘(48)을 장착한 장축(85)과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장암(49,50) 및 단암(50')과 결부되어 있는 제6공압실린더(63), 장암(49,50)의 하단부에 있는 핀(61)이 끼워짐으로 인해 장암의 상하곡선 운동을 돕는 로드캠(51)과, 3개의 원통캠(52,53,54)의 측면 표면상에 각각 패어져 있는 홈에 끼워져 작동하는 피동체(76,77,78) 및 연결편(79,80,81), 고정편(82,82',83,84), 실치개(67,68,69)등이 유기성 있게 결합,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원통캠(52,53,54)의 축(55)과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라켓(56)은 제1체인(57)으로 제2스프라켓(58) 및 모터(59)에 연결. 구성되어 있는 유동미싱기(5)가 기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봉침기.
  6. 제1항에 있어서, 기체의 내부 후레임(2)의 전후방 양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1공압실린더(8)의 축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작동봉(9,9')의 일단에 각각 홀더(6,6')를 고정설치하며, 홀더(6,6')의 하부는 가이등횡봉(10,10')에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안내로울러(11,11')가 지지가이드(12,12')에 연접설치되며, 상측에는 홀더(6,6')의 내부중앙에 위치한 제2공압실린더(13,13')가 한쌍의 원단집게(7,7')들의 중앙 연결부를 밀고당기면서 협지력을 발생시키고, 원단집게의 끝단에는 협지력보강 스프링(14,14')을 탄설시킨 원단탈착장치(15)를 기체의 측면에 전후방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봉침기.
KR1019910006198A 1991-04-16 1991-04-16 원단 봉침기 KR93000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198A KR930005923B1 (ko) 1991-04-16 1991-04-16 원단 봉침기
JP3130471A JPH0698233B2 (ja) 1991-04-16 1991-05-02 生地縫針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198A KR930005923B1 (ko) 1991-04-16 1991-04-16 원단 봉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996A KR920019996A (ko) 1992-11-20
KR930005923B1 true KR930005923B1 (ko) 1993-06-29

Family

ID=1931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198A KR930005923B1 (ko) 1991-04-16 1991-04-16 원단 봉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98233B2 (ko)
KR (1) KR930005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87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바이오텍주식회사 변사봉침을 이용한 피그먼트 염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4074B (zh) * 2010-11-02 2013-06-19 上海第三十六棉纺针织服装厂 一种纤维自动加湿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6073365A (zh) * 2016-08-09 2016-11-09 海宁市现代汽车座套有限公司 一种耐水洗的枕头套的加工方法
CN108277652B (zh) * 2016-08-09 2020-11-20 台州市椒江莱凡特眼镜厂 改进型枕头套的生产方法
CN114457526A (zh) * 2022-01-25 2022-05-10 长兴德弘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退浆精炼水洗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87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바이오텍주식회사 변사봉침을 이용한 피그먼트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3167A (ja) 1994-02-01
KR920019996A (ko) 1992-11-20
JPH0698233B2 (ja) 199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775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wrinkles from tubular fabric blanks on a frame
CN101027443B (zh) 用于加工如袜子等管状针织制品以缝合袜头的设备和方法
KR20040035740A (ko) 관형상 편성품을, 해당 편성품을 작성한 기계로부터발가락부분을 봉합하는 수단으로 이송하는 장치
CN209144405U (zh) 一种自动罗纹机的翻卷装置
WO1989003450A1 (en) Replenishing apparatus for web processing machines
KR930005923B1 (ko) 원단 봉침기
US5060588A (en) Method of attaching a strip of cloth with a zip-fastener component to a trouser forepart
CN215800353U (zh) 一种用于缝纫的自动勾夹线装置
CZ20022501A3 (cs) Způsob pletení hadicového úpletového výrobku, zařízení pro výrobu hadicových úpletových výrobků s koncovými ąpičkami, a způsob seąívání koncového okraje hadicového úpletu
CN210657452U (zh) 自动地毯包边机
JP3208013B2 (ja) 二つの管状物品を対応する支持体上の所定の位置に配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960009598B1 (ko) 유연성 직물의 취급 방법 및 그 장치
EP0353208A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 plurality of improved seaming lines
CN210657460U (zh) 一种套结加固折叠光织带装置
US4911091A (en) Sewing apparatus for attaching a strip of cloth with a zip-fastener component to a trouser forepart
CN211665420U (zh) 一种自动缝布装置及定形机
JPS61257683A (ja) 腰帯端部仕上用装置
KR920003944B1 (ko) 원단 봉침 및 탈착장치
US343443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ends of tubular fabric articles
KR102569803B1 (ko) 봉제 템플릿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봉제 방법
KR102274049B1 (ko) 봉침기
KR102009606B1 (ko) 슬링벨트 재단장치
CN209144408U (zh) 一种自动罗纹机的进料对折装置
JP3356826B2 (ja) 反物端部の巾合わせ装置
KR19990035910U (ko) 원단자동연폭기용 원단 끝단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