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05Y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05Y1
KR930005905Y1 KR2019910013429U KR910013429U KR930005905Y1 KR 930005905 Y1 KR930005905 Y1 KR 930005905Y1 KR 2019910013429 U KR2019910013429 U KR 2019910013429U KR 910013429 U KR910013429 U KR 910013429U KR 930005905 Y1 KR930005905 Y1 KR 930005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contaminated water
cylindrical body
electric motor
filt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396U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3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905Y1/ko
Publication of KR930004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19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원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전동기 7 : 부유안전판
8 : 안내부제 9 : 여과부재
13 : 집진통 16 : 원통체
W : 오염수
본 고안은 먼지이외에 오염수등도 흡입할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본체(1)의 일측에 주름관으로된 흡입관(2)이 접속되고, 이 흡입관(2)의 선단에는 연장관(3)을 개재해서 흡입구(4)가 접속되며, 이 흡입구(4)를 통하여 상기 기기본체(1)내에 내장된 전동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 및 오염수가 흡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기기본체(1)내에 흡입된 먼지 및 오염수는 별도의 여과 수단에 의해 여과된 깨끗한 공기만이 배출되어야 한다.
제2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기기본체(1)의 내부 상측에는 송풍기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5)가 설치되고, 이 전동기(5)의 하측에는 상기 전동기(5)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통기구(6)가 형성되며, 이 통기구(6)의 주변부에는 내부에 부유안전판(7)을 상하 승강작동 가능하게 삽입된 안내부재(8)가 설치되고, 이 안내부재(8)의 주변에는 봉지형태의 여과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부재(9)의 주변에는 물청소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통(10)이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전기배선 및 연결관등을 보관하는 수납통(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본체(1)의 상측에는 덮개(12)가 결합되어있다.
한편, 기기본체(1)의 하측에 형성된 집진통(13)내에는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 (14)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수(W)가 저장되어 있으며, 여과부재(9)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는 공기배출구(15)를 통하여 기기본체(1)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기구(14)를 통하여 흡입된 오염수 (W)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부유안전판(7)에 내부압을 작용시키게 되고, 이 내부압이 상기 부유안전판(7)을 상승시켜 통기구(6)를 폐쇄함으로써 더 이상 오염수(W) 및 먼지의 흡입을 막아 청소작업을 행할 수 없으며, 이때, 상기 집진통(13)내를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는 오염수(W)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여과부재(9)가 오염수(W)에 의해 적게되면, 통기저항이 증대하여 여과부재(9)가 제2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이 변한다.
그리고, 오염수(W) 의 수위에 따라 작용하는 내부압이 일정하지 않게되어 부유안전판(7)의 작동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또 상기한 부유안전판(7)의 불안정한 작동에 따라 안내부재(8)내로 오염수(W)가 역류하여 공기 배출구(15)를 통하여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 부재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토록 하여 부유안전판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함과 동시에, 더욱 안정되고 정확한 부유안전판의 작동을 얻을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는 전동기의 구동에 따라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 및 오염수를 저장하는 집진통과, 상기 전동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의 저장량에 따라 작용하는 내부압에 의해 안내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부유안전판과, 상기 안내부재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먼지를 여과하는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부재내에는 여과부재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도록 원통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원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 및 동일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기기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하는 전동기(5)의 하측에는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통기구(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부유안전판(7)이 안내부재(8)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케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8)의 주변부에는 부직포등으로 된 봉지형상의 여과부재(9)가 협지되어 있다. 이 여과부재(9)내의 바닥에는 전동기(5)의 흡인력에 의해 여과부재(9)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도록 고리형상으로 된 원통체(16)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여과부재(9)는 안내부재(8)를 감싸는 자세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원통체(16)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6각형, 8각형등의 다각형상을 갖고 상기 여과부재(9)가 안내부재(8)를 감싸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여과부재(9)의 주변부에는 물청소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통(10)이 하향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전기배선 및 연결관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기본체(1)는 하측에 오염수(W)가 저장되는 집진통(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덮개(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통(13)의 일측에는 흡입관 (2)이 연결되는 흡기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2)의 하측에는 전동기(5)를 냉각시키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여과부재(9) 및 통기구(6)를 통하여 흡입된 깨끗한 공기가 기기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밀폐부재이고, 19 및 20은 기기본체(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전륜 및 후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는 전동기(5)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2)를 통하여 먼지 및 오염수(W)가 집진통(13)내로 유입되면, 먼지는 여과부재(9)에 의해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이 여과부재(9)를 통과한 후, 통기구(6) 및 공기배출구(15)를 통하여 기기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며, 오염수(W)는 집진통(13)내에 저장된다.
상기한 집진통(13)내에 오염수(W)가 계속 유입되어 수위가 세제공급통(10)의 저면을 막는 상태가 되면, 이 세제공급통(10)과 안내부재(8)의 내부에는 오염수(W)의 상승에 따른 내부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원통체(16)가 여과부재(9)의 내부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함에 따라, 오염수(W)의 상승 및 전동기(5)의 흡인력에 의한 형태의 변화가 없이 안내부재(8)의 주위를 감싸는 자세가 계속 유지되고, 이에따라 부유안전판(7)의 작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내부압의 변화에 따라 일정하고 정확한 부유안전판(7)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오염수(W)의 상승으로 내부압이 상승하면 부유안전판(7)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8)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여 통기구(6)를 막게됨으로써, 흡기구(14)를 통하여 유입되던 공기·먼지 및 오염수(W)의 흡입이 중단된다. 이때 사용자는 집진통(13)내의 오염수(W) 를 쏟아버림으로써 다시 사용이 가능케 된다.
또한, 여과부재(9)는 원통체(16)를 상기한 여과부재(9)로 부터 분리하면 용이하게 소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여과부재(9)내에 원통체(16)를 삽입함으로써, 이 여과부재(9)가 오염수(W)나 전동기(5)의 흡입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부유안전판(7)은 여과부재(9)의 간섭없이 내부압의 변화에 따라 일정하고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여과부재내에 원통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여과부재가 안내부재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유지되어 부유안전판의 동작이 정확할 뿐만아니라, 오염수의 상승에 따라 작용하는 내부압이 정확하게 부유안전판에 전달되어 더욱 신뢰성이 향상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전동기(5)의 구동에 따라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 및 오염수(W)를 저장하는 집진통(13)과, 상기 전동기(5)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W)의 저장량에 따라 작용하는 내부압에 의해 안내부재(8)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부유안전판(7)과, 상기 안내부재(8)의 주변분에 설치되어 먼지를 여과하는 여과부재(9)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부재(9)내에는 여과부재(9)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원통체(16)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6)는 고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6)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19910013429U 1991-08-22 1991-08-22 진공 청소기 KR930005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429U KR930005905Y1 (ko) 1991-08-22 1991-08-22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429U KR930005905Y1 (ko) 1991-08-22 1991-08-22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96U KR930004396U (ko) 1993-03-20
KR930005905Y1 true KR930005905Y1 (ko) 1993-09-04

Family

ID=1931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429U KR930005905Y1 (ko) 1991-08-22 1991-08-22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9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29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출력제어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29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출력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96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CN109893026B (zh) 垃圾桶式吸尘器
KR890004769Y1 (ko) 전기 소제기
EP2223644A2 (en)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KR860001634B1 (ko) 건 · 습식 진공 소제기
US4896396A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for steam cleaning
US5386613A (en) Water and air separating mechanism
US20070012001A1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930005905Y1 (ko) 진공 청소기
KR100411432B1 (ko) 합체형 진공 청소기
RU2262285C2 (ru) Пылесос с контейнером
EP1743558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JP2567666B2 (ja) 電気掃除機
CN215738693U (zh) 具有尘满报警保护功能的桶式吸尘器
CN219661596U (zh) 一种污水箱及清洁设备
KR100203436B1 (ko)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JPS6346098Y2 (ko)
CN215502736U (zh) 用于清洁机的除螨头及具有该除螨头的清洁机
KR100595576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KR100793415B1 (ko)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KR970011921B1 (ko)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KR930000527B1 (ko) 무(無)필터 방식의 액체여과 진공청소기
KR900006968Y1 (ko) 흑판 지우개
KR100662757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