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15B1 -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 Google Patents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15B1
KR100793415B1 KR1020060071999A KR20060071999A KR100793415B1 KR 100793415 B1 KR100793415 B1 KR 100793415B1 KR 1020060071999 A KR1020060071999 A KR 1020060071999A KR 20060071999 A KR20060071999 A KR 20060071999A KR 100793415 B1 KR100793415 B1 KR 10079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ust collecting
steam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6007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15B1/ko
Priority to CNA2007101412085A priority patent/CN10109163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팀, 진공, 청소, 집진

Description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Dust collecting unit for steam and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청소기 베이스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청소기 바닥판 저면도.
도 3은 상부 커버 분리 전면도.
도 4는 상부 커버 분리 측면도.
도 5는 상부 커버 분리 배면 사시도.
도 6은 스팀발생유닛 및 덕트 결합 단면도.
도 7은 밀대 조립체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중요부분 확대도.
도 9는 호스 조립체 측면도.
도 10은 메인 어셈블리 측면도.
도 11은 메인 어셈블리 전면도.
도 12는 상부하우징 평면도.
도 13은 집진유닛 분리 사시도.
도 14는 하부하우징 평면도.
도 15는 커넥터 배면 사시도.
도 16은 곡관부 사시도.
도 17은 하부하우징 전방부 확대 평면도.
도 18은 하부하우징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30 : 바닥판
131 : 흡입노즐 132 : 경사면
133 : 스팀분사공 135 : 벨크로
136 : 바퀴 137 : 스팀분리부
150 : 상부커버 151 : 회동축수용홈
152 : 덮개끼움홈 153 : 덮개체결공
154 : 덮개 155 : 끼움돌기
156 : 덮개측판 157 : 선회지지브라켓
158 : 내통끼움홈 159 : 안착홈
161 : 내통수용홈 162 : 돌기홈
163 : 외통가이드 164 : 돌출부
165 : 걸림홈부 166 : 송풍가이드
167 : 절개홈
170 : 스팀발생유닛 171 : 물통상판
172 : 물통하판 173 : 덕트장착홈
174 : 판 175 : 보일러
176 : 실링부재 177 : 돌출부
178 : 스팀배출관 190 : 덕트
191 : 흡입공 192 : 홈
210 : 회동축 211 : 내통
212 : 판스프링 213 : 멈춤돌기
214 : 외통 215 : 흡입가이드
216 : 흡입공 217 : 장착부
218 : 삽입홈 219 : 인출공
220a, 220b : 연장관 221 : 탄성고정편
222 : 체결부 223 : 인출공
230 : 브라켓 231 : 설치부
232 : 설치공 234 : 안착홈
235 : 홀더부 236 : 절곡부
240 : 체결부재 241 : 인출공
250 : 제1전선 251 : 콘센트부
252 : 플러그부 310 : 손잡이부
330 : 커버
340 : 체결부 350 : 제2전선
351 : 콘센트부 410 : 상부하우징
420 : 하부하우징 430 : 코드릴
440 : 모터 450 : 집진유닛
한국등록특허 제194379호
본 발명은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스팀청소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9437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진공스팀청소기는, 내부로 모터와 필터가 설치되고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며 끝단에 브러쉬가 연결되는 브러쉬파이프의 일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정량, 정압으로 공급하여 주기 위해 설치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정온도로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에서 발생시키는 증기를 브러쉬의 전면쪽으로 분사 공급시켜주기 위해 가열기와 브러쉬사이에 스팀관이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기에는 일정온도로 가열되면 전기를 차단시켜 주는 1차 안전장치인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이중안전장치로 온도퓨즈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정량, 정압으로 공급하여 주기 위해 설치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정온도로 대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기를 브러쉬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스팀관을 브러쉬내부에서 가열기와 직접 연결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물탱크에는 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게 캡이 외측으로 연결 설치 구성되며, 청소기본체의 일측에는 가열기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의 분사준비가 완료되면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램프나 부져(미도시)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능과 스팀청소기능을 가진 청소기는 스팀과 진공을 같이 사용시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통으로 유입된다.
종래의 집진통은 바닥면이 측면과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집진통으로 모인 먼지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집진통으로 스팀이 유입되게 되면 스팀이 물방울로 변하여 집진통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바닥면과 측면 사이로 물이 빠져나가(집진통을 통해 누수되어) 다른 부품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은,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필터에 형성된 흡입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부 상부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모든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 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청소기 베이스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청소기 바닥판 저면도이며, 도 3은 상부 커버 분리 전면도이고, 도 4는 상부 커버 분리 측면도이며, 도 5는 상부 커버 분리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스팀발생유닛 및 덕트 결합 단면도이며, 도 7은 밀대 조립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중요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호스 조립체 측면도이고, 도 10은 메인 어셈블리 측면도이며, 도 11은 메인 어셈블리 전면도이고, 도 12는 상부하우징 평면도이며, 도 13은 집진유닛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하부하우징 평면도이며, 도 15는 커넥터 배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곡관부 사시도이며, 도 17은 하부하우징 전방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18은 하부하우징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진공스팀청소기는, 스팀발생유닛(170)이 구비된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설치된 밀대와, 상기 밀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연결되는 제1전선(250)과, 일단은 상기 제1전선(25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제2전선(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스팀발생유닛(170)이 구비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물통을 포함하는 스팀발생유닛(170)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발생유 닛(170) 상부에 배치되는 덕트(190)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은 물통하판(172)과, 상기 물통하판(172) 상부에 설치되는 물통상판(171)을 포함한다.
물통하판(172)과 물통상판(171) 사이에는 수증기가 드나드는 관통공이 형성된 판(174)이 배치된다.
상기 물통 내부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배출관(178)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스팀배출관(178)은 물통하판(172)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178)에 대응되도록 상기 물통 상면인 물통상판(171) 상면에는 돌출부(177)가 형성된다.
또한, 물통상판(171) 상면에는 덕트(190)가 안착되도록 덕트장착홈(173)이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장착홈(173)은 베이스 본체(100)의 전체 높이를 줄일 뿐 아니라, 덕트(190)로 유동하는 공기로 인해 덕트(190)가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이 거의 없게 한다.
이로써, 보일러(175)의 가열로 물통의 물이 증발하여 스팀분사공(133)로 스팀을 전달하게 한다.
덕트(190)는 전체적으로 중심부가 위쪽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부에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덕트(190)는 먼지 흡입시 물이 유입되더라도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덕트(190)는 상부 커버(150)의 상부 내벽에 흡입노즐(131)과 흡입공(216)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덕트(190)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측면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의 외주면에는 덕트(19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덕트(190) 전방측에는 상기 바닥면에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공(19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덕트(190)에서 상기 물통의 상부에 놓여지는 부분인 위로 볼록하게 굴곡된 부분의 바닥면에 상기 돌출부(177)에 대응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홈(19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홈(192)은 덕트(190)로 인해 상기 스팀배출관(178)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컴팩트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스팀이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중심부에서 배출되어 바닥판(130) 전면으로 고르게 스팀이 배출될 수 있다.
스팀발생유닛(170)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일러(175)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바닥판(130)과 상기 바닥판(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50)를 포함한다.
바닥판(130)은 흡입공(191)에 대응되는 위치인 전방에 흡입노즐(13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스팀분사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사공(133)의 주변 바닥에는 패드가 부착될 벨크로(1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사공(133)에는 스팀발생유닛(170)의 스팀배출관(178)이 접속되게 된다.
바닥판(130)의 하면에는 스팀분사공(133)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흡입노즐(131) 측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분리부(137)가 고무 등과 같은 실링부재로 형성되어, 바닥판(130)의 좌우방향으로 흡입노즐(131)과 스팀분사공(133) 사이에 설치된다.
바닥판(130)의 하면에는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바퀴(136)가 설치된다.
흡입노즐(131)은 바닥판(130)의 상부로 향할수록 양 측면의 사이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면(132)이 형성된다.
경사면(132)는 먼지가 흡입될 때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버(150) 후방에는 회동축(210)이 수용되며 덕트(190)에 연통되는 회동축수용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회동축수용홈(151) 양측에는 선회지지브라켓(157)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버(150)에는 덮개(154)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덮개끼움홈(152)이 회동축수용홈(151)의 전방 양측에 오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끼움홈(152)은 회동축수용홈(15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150)에는 덮개(154)가 볼트 등에 의해 상부커버(15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가 끼워지는 덮개체결공(153)이 회동축수용홈(151)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수용홈(151)의 양측 내주면에는 내통(211)이 안착되는 내통수용홈(161)이 형성된다.
또한, 회동축수용홈(151)의 양측 내주면에는 내통수용홈(161)의 하부에는 돌출부(164)가 형성되고, 돌출부(164)에는 걸림홈부(165)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부(165)의 양측 내주면은 굴곡진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회동축수용홈(151)의 양측 내주면에는 돌출부(164) 및 내통수용홈(161)을 둘러싸도록 외통가이드(163)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가이드(163)는 돌출부(164)에는 접하고, 내통수용홈(161)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외통가이드(163)와 내통수용홈(161) 사이에 돌출부(164)가 배치된다.
회동축수용홈(151)의 양측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돌기홈(162)이 형성된다.
상부커버(150)에는 회동축수용홈(151)의 후방에 오도록 장착부(217)가 안착되는 안착홈(159)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축수용홈(151)의 바닥 내주면에는 흡입노즐(131)을 통해 흡입된 공기 및 먼지를 연장관(220a, 220b)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덕트(190)에 연통되는 흡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덮개(154)는 회동축수용홈(151) 상부에 배치되며,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 양측에 형성된 덮개측판(156)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 후방에는 장착부(217)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절개홈(167)이 안착홈(159)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절개홈(167)의 전방측에 송풍가이드(166)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송풍가이드(166)는 장착부(217)의 측면과 외통(214)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송풍가이드(166)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송풍가이드(166)는 중심부로 향할 수록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덮개측판(156)에는 내통(211)이 끼워지는 내통끼움홈(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측판(156)의 전방 일측은 덮개끼움홈(152)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전방 및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상부커버(15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돌기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내통수용홈(161)에 끼워지도록 돌기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덮개(154)의 상판 하부 후방측에는 덮개측판(156)의 외측에 각각 오도록 끼움돌기(155)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55)의 단면형상은 돌기홈(16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끼움돌기(155)는 돌기홈(162)에 끼워진다.
밀대 조립체는 밀대와, 일단에는 콘센트부(2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러그부(252)가 형성되는 제1전선(250)과, 상기 밀대에 설치되는 설치부(231)와, 상기 설치부(231)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변형되어 제1전선(250)을 홀딩하는 홀더부(235)를 포함하는 브라켓(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대는 회동축(210)이 구비되어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상부커버(1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축(210)은 양측에 원통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사각형상의 흡입공(216)이 형성된 외통(214)과, 상기 외통(214)의 양측 홈에 형성된 내통(211)과, 상기 외통(214) 상부에 상기 흡입공(216)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장착부(217)를 포함한다.
외통(214), 내통(211), 장착부의 단면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공(216)의 내주면은 장착부(217)로 향할 수록 흡입공(216)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외통(214) 전면 양측에는 흡입가이드(215)가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입가이드(215)가 형성되어, 상기 밀대가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수평하게 회동되었을 때 송풍가이드(166)에 흡입가이드(215)가 걸려서 흡 입된 공기 및 먼지가 덮개(154)와 외통(214) 사이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통(211)은 외통(214)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에 삽입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211)은 외통(214)의 양 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삽입홈(218)의 내부에는 내통(211)의 내구성을 크게 하기 위해 십자형상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18)에 연통되도록 내통(211) 하부에는 인출공(219)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삽입홈(218)에는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판스프링(212)으로 구비된 스프링이 십자형상의 돌기 외측에 오도록 배치된다.
판스프링(212)의 양단은 끝단이 굴곡되게 형성되어, 힘이 가해지면 내통(211)의 내벽에 지지되어 서로 부딪히지 않고 말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212)의 외측면에는 멈출돌기(21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멈출돌기(213)는 판스프링(212)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판스프링(212)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멈춤돌기(213)는 인출공(219)에 삽입되어 회동축(210)에 설치되며, 판스프링(212)의 탄성력을 받으며, 멈춤돌기(213)의 바닥면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멈춤돌기(213)의 바닥면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걸림홈부(165)를 용이하게 이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형상으로 인해, 판스프링(213)을 내통(211)에 끼워넣는 동시에, 멈춤돌기(213)를 인출공(219)에 삽입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스프링을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내통(211) 내부에 배치하여,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내통(211)이 지지하도록 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 멈춤돌기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장착부(217)에는 후방측에 상기 밀대의 연장관(220a, 220b)과 탄성고정편(221)에 의해 장착되도록 탄성고정편(221)에 형성된 로크돌기가 드나드는 인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대 연결구조는, 판스프링(213)을 내통(211)에 끼워넣고 내통(211)을 내통수용홈(161)에 끼워넣고 덮개(154)를 덮어씌우면 조립이 완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밀대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걸림홈부(165)에 끼워져 있던 멈춤돌기(213)에 힘이 가해지면서 판스프링(213)은 수축하게 되고 멈춤돌기(213)는 내통(211)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때 멈춤돌기(213)가 걸림홈부(165)의 내주면인 굴곡진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걸림홈부(165)를 이탈하여 상기 밀대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밀대가 수직하게 하면 멈춤돌기(213)에 힘이 가해지면서 판스프링(213)은 수축하게 되고 멈춤돌기(213)는 내통(211) 내측으로 유입되어 멈춤돌기(213)가 걸림홈 부(165)의 굴곡진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걸림홈부(165)에 끼워짐으로써 밀대와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로킹상태가 된다.
즉, 밀대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다시 힘을 가하게 되면 밀대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커버(150)는 회동축(210) 및 밀대의 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밀대 및 베이스 어셈블리(100)를 들어올려 이동시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이스 어셈블리(100) 하부로 유출되는 스팀이 사용자 측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밀대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장관(220a, 220b)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연장관(220a, 220b)은 상부 및 하부 전방측에 인출공(223)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부에 있는 연장관(220b)는 하부의 연장관(220a)에 끼워지도록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상부에 있는 연장관(220b)의 하단에는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체결부(222)가 형성된다.
상부의 연장관(220b)과 하부의 연장관(220a)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체결부재(240)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재(240)에는 인출공(241)이 관통형성된다.
탄성고정편(221)은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에는 로크돌기가 형성된다.
탄성고정편(221)은 상부의 연장관(220b) 내부에 로크돌기가 인출공(223)을 통해 나오도록 설치된다.
상부에 있는 연장관(220b)을 체결부재(240)에 끼워넣은 후 체결부재와 연장관 사이로 연장관(220a)을 끼워넣어 상기 로크돌기가 하부에 있는 연장관(220a)에 형성된 인출공(223) 및 체결부재(240)에 형성된 인출공(241)을 통해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고정편(221)을 이용한 연장관(220a, 220b)의 체결은 한국공개실용 제40977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제1전선(250)은 일단에는 콘센트부(2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러그부(252)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양단에 모두 콘센트부가 형성되거나, 제1전선(250)은 양단 모두에 플러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전선(250)의 일단은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전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콘센트부 또는 플러그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230)은 상기 밀대의 연장관(220a, 220b)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설치부(231)와, 상기 설치부(231)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변형되어 제1전선(250)을 홀딩하는 홀더부(235)를 포함한다.
설치부(23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장관(220a, 220b)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면에 안착홈(234)이 형성된다.
설치부(231)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는 연장관(220a, 220b)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볼팅 될 수 있는 설치공(232)이 형성된다.
홀더부(235)는 설치부(231) 전면에 두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두 돌출부 사이 간격은 전방으로 향할 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홀더부(23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홀더부(235)이 전방에는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236)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홀더부(235)의 두개의 돌출부 사이로 제1전선(250)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밀대에 제1전선(250)을 브라켓(230)을 통해 밀착시켜 청소시에 제1전선(250)이 흔들거려 청소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대 및 제1전선(250)을 베이스 어셈블리(100) 및 호스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제품 포장시에 제품 부피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호스 조립체는 메인 어셈블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를 둘러싸는 커버(330)와, 상기 호스와 상기 커버(33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콘센트부(3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러그부가 형성되는 제2전선(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밀대 조립체에 연결된다.
호스는 일단에는 손잡이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메인 어셈블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체결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호스는 주름진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랙서블하게 형성된다.
손잡이부(310)는 호스에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313)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313)에는 모터(44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버튼 등으로 형성된다.
손잡이부(310)의 상기 관부에는 제2전선(350)을 홀딩하는 홀더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부(311)는 손잡이부(3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어 손잡이부(310)에 설치될 수 있다.
홀더부(311)는 두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부는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손잡이부(310)의 상기 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분할부에는 상부에 손잡이(313)가 끼워지는 관통공(315)이 형성되며, 관통공(315)의 전방 및 후방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부에는 하부에 제2전선(350)의 플러그부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 제1홀더(316)가 형성되며, 제1홀더(316)의 후방에는 제2전선(350)의 선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 제2홀더(317)가 형성된다.
제1홀더(316)에 형성된 홈은 플러그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홀더(316) 및 제2홀더(317)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두개의 상기 분할부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홀 더(316) 및 제2홀더(317) 및 돌기(312)에 형성된 설치공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양쪽의 상기 분할부를 서로 체결하여 손잡이부(310)에 홀더부(311)를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홀더부(311)는 손잡이부(310)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제2전선(350)의 플러그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선(350)을 손잡이부(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손잡이부(310)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고, 기존의 청소기 손잡이부(310)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되어, 금형 제작 비용과 같은 제작비용이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제품의 생산비용이 감소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체결부(340)는 호스가 연결되는 걸림부(341)와, 걸림부(341) 배면에 형성되어 메인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삽입부(342)와, 삽입부(342) 상부에 형성되어 메인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344)가 설치되는 보조삽입부(343)를 포함한다.
걸림부(341)는 삽입부(34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340)가 더이상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341)에는 후크(344)와 연결된 버튼(345)이 설치되어, 버튼(345)을 누르게 되면 후크(344)도 동시에 아래로 하강한다.
또한, 버튼(345)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후크(344) 및 버튼(345)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삽입부(3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먼지 및 공기를 집진유닛(450)으로 이송한다.
보조삽입부(343)는 상부가 각지게 형성되어 삽입부(342)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헛돌지 않도록 한다.
보조삽입부(343) 전면에는 사각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호스를 메인 어셈블리에 연결할 때에는 버튼(345)를 누른 상태에서 삽입부(342) 및 보조삽입부(343)를 후크(344)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질 때까지 밀어넣은 후 버튼(345)에 가하던 힘을 없애면 후크(344)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연결된다.
커버(330)는 천과 같은 플랙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를 둘러싼다.
제2전선(350)은 제1전선(250)과 마찬가지로 양단 모두에 콘센트부가 형성되거나, 양단 모두에 플러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호스에 전선을 밀착시켜 청소시에 전선이 흔들거려 청소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호스 및 제2전선(350)을 메인 어셈블리 및 밀대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제품 포장시에 제품 부피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포장시에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메인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포장함으로써 포장후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품 이송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 어셈블리는 호스 조립체를 통해 상기 밀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어셈블리는 진공흡입할 수 있도록 모터(440)와, 흡입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유닛(450)과, 전선을 감는 코드릴(430)과,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410)과, 상부하우징(41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하 우징(420)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410) 후방에는 청소기 작동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 형상으로 손잡이(41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10)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411)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10) 전방에는 집진유닛(450)이 설치될 수 있는 집진수용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수용홈(412)에 연통되도록 상부하우징(410) 상부에는 토출공(413)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410)에는 집진수용홈(412) 하부에 오도록 집진유닛(450)의 집진통(451)의 바닥면(457)을 지지하는 지지면(415)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415) 중앙부에는 흡입공(41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10)의 내벽에는 집진유닛(450)의 설치돌기(458)가 끼워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417)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410)의 상부에는 집진유닛(450)의 탈착후크가 끼워지는 관통공(414)이 형성된다.
집진유닛(450)은 바닥면(457)과 바닥면(457)을 둘러싸는 측면(456)을 포함하는 집진통(451)과, 상기 집진통(451)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집진통(451)에는 연결관부(422)에 접속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461)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451)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461)을 둘러싸도록 돌출부(462)가 형성된다.
관통공(461)은 흡입공(416)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측면(456)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설치돌기(458)가 형성되며, 설치돌기(458)의 상부 모서리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집진통(451)을 상부하우징(410)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면(456)의 외주면에는 집진통(451)을 용이하게 들수 있도록 손잡이가 상하방향으로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상부에는 뚜껑(459)에 끼워지는 후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크는 스프링에 의해 그 위치가 복귀되게 된다.
상기 후크에 의해 뚜껑(459)을 집진통(451)에 탈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필터는 필터부(454)와, 필터부(454) 하부에 배치되는 사이클론부(453)와, 사이클론부(453) 하부에 배치되는 미세필터부(452)를 포함한다.
필터부(454)는 필터부재(470)와 필터부재(470)를 둘러싸는 필터하우징(469)을 포함한다.
필터하우징(469)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부에는 필터부재(47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하우징(469)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하우징(469)의 측면 하단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부재(470)는 지름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클론부(453)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는 집진통(451) 상부에 걸리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하부에는 미세필터부(452)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 외주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사이클론부(453)와 집진통(451)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설치부에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도록 흡입관(46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관(467)은 관통공(461)에 연통되도록 돌출부(462) 상부에 배치되며, 돌출부(462)와 흡입관(467)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의 흡입관(467)과 돌출부(462)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모든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에는 미세필터부(4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돌출부가 흡입관(467) 둘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 나선형상으로 나선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홀의 출구(472)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홀의 입구는 흡입공에 연통되고, 상기 나선홀의 출구(472)는 집진통(451)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몸체에서 흡입관(467)과 상기 끼움돌출부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흡입공(468)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미세필터부(452)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프레임(465)과, 프레임(465)에 설치된 미세여과막(464)과, 바닥면의 하부에 상기 바닥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판(463)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에는 흡입관(467)이 끼워지는 삽입공(466)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프레임(465)은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 상면에는 끼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설치부의 끼움돌출부가 끼워지게 된다.
미세여과막(464)은 미세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메쉬형상으로 형성되어,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게 된다.
경사판(463)은 하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판(463)에 의해 자중에 의해 집진통(451) 하부로 떨어진 이물질 들이 다시 제2흡입공(468)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집진통(451)의 하부에 효과적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집진통(451)은 슬라이딩 용이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집진통(451)을 개폐하는 뚜껑(459)이 구비된다.
뚜껑(459)은 상면과 상면 하부에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토출구(471)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집진유닛(450)은 토출구(471)가 토출공(413)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면에는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뚜껑(459)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뚜껑(459)의 내부에는 필터부재(47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71)를 통해 효과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판이 뚜껑(459)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은 토출구(471)를 향할 수록 각각의 사이 간격이 더욱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로써, 관통공(461)을 통해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돌출부(462)를 통해 흡입관(467)과 상기 나선홀을 따라 이송되어 출구(472)를 통해 집진통(451)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일정 중량을 가진 이물질은 집진통(451) 바닥면(457)에 낙하하게 되어 집진통(451) 내부에 모이게 된다.
이어서, 미세한 먼지와 같이 공기에 떠다니는 이물질을 포함한 집진통(451) 내부의 공기는 미세여과막(464)을 통과한 후 제2흡입공(468)을 통과하게 되고 이어서 필터부재(470)를 통과한 후 뚜껑(459)에 형성된 토출구(471)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미세여과막(464)을 통해 미세 먼지가 여과되게 되고, 필터부재(470)를 통해 이중으로 여과되게 되어 효과적으로 여과되게 된다.
이러한 집진유닛(450)에 의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450)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451)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451)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420) 내부 후방측에는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보내는 모터(440)와, 코드릴(430)이 배치된다.
모터(440)는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임펠러부와, 이 임펠러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된 습식모터이다.
습식모터의 사용으로 물이 모터에 들어오는 경우에도 쇼트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코드릴(430)에 감겨진 전원선은 일단에는 플러그부가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에 연결할 수 있도록 메인 어셈블리 외부에 인출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연결부(421)에 끼워지는 플러그부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호스(300)의 삽입부(342)가 삽입되며 흡입공(416)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결관부(422)와, 연결관부(422)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421)를 포함하여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연결관부(422) 및 연결부(421)가 형성된 전면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에는 하부하우징(42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는 양측에 다각형상(사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은 상기 측면보다 후방으로 더욱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전면에는 연결관부(422)의 양측에 오도록 설치공이 관통되어 형 성된다.
상기 설치공 중에 하나는 연결부(421)의 인출공 상부에 배치된다.
연결관부(42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의 후단에 끼워지는 곡관부를 포함한다.
상기 곡관부는 "ㄴ"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방에 배치된 흡입공(416)으로 이송한다.
상기 곡관부의 입구측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직관부의 후단이 끼워진다.
상기 곡관부의 출구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을 실링부재가 둘러싸고 있으며, 집진통(451)과 상기 곡관부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상단부에도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곡관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곡관부의 하부 외주면에는 원통형인 상기 곡관부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판이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의 하단은 굴곡지지 않고 밋밋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의 중심부에는 상기 받침판보다 더 돌출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41) 배면에 형성되어 메인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삽입부(342)와, 삽입부(342) 상부에 형성되어 메인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344)가 설치되는 보조삽입부(343)를 포함한다.
상기 직관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호스 조립체의 삽입부(342) 및 보조삽입부(34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입구측의 단면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관부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후크(344)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관부 내주면에는 중간부에 보조삽입부(343)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직관부는 상기 커넥터의 전면 후방까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부(421)는 제2전선(350)의 콘센트부(351)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421)의 후단에는 콘센트부(35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에 연결되는 선에 연결된 플러그부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부(421)의 후단 단면형상은 상기 플러그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421)에는 콘센트부(351)가 드나드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을 개폐하도록 하부하우징(420)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423)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의 전면에는 개폐도어(423)를 가이드하도록 개폐도어(423)의 양측에 상기 커넥터의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개폐도어(423)가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통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에 있는 상기 절개부는 수평선상에 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도어(423)의 전면 하부에는 사용자가 개폐도어(423)를 용이하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양끝단은 개폐도어(423)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421)의 개폐도어(423)는 개폐도어(423)를 상부로 슬라이딩시킨 후에 개폐도어(423)의 하단 양측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절개부에 걸리도록 개폐도어(423)가 기울이면 개폐도어(423)는 상기 절개부에 걸리게 되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개폐도어(423)를 열고 상기 인출공에 콘센트부(351)를 끼워넣을 때 개폐도어(423)가 자중에 의해 내려오지 않도록 하여 용이하게 콘센트부(351)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출공으로부터 콘센트부(351)를 빼내고 개폐도어(423)를 아래로 내려 상기 인출공을 닫을 때에는 개폐도어(423)를 살짝 위로 올려 개폐도어(423)의 양측 하단 모서리가 상기 절개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즉, 개폐도어(423)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개폐도어(423)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인출공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423)가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여 개폐도 어(423)가 연결부(42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스팀발생유닛(170)의 비사용시에는 제2전선(350)과 메인 어셈블리의 연결을 끊어 상기 스팀발생유닛(170)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비사용시에 연결부(421)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에는 전후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에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는 브라켓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전판에는 상기 설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설치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판의 전방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분리판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면(415)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면(415)을 지지하는 경사판이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측 상면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분리판의 우측에 오도록 상 기 직관부 후단 및 곡관부 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곡관이 안착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오도록 하부하우징(420)의 상면에는 상기 곡관부의 받침판이 끼워지도록 양측에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끼움판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양측의 상기 끼움판 사이에는 상기 곡관부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끼움판과 끼움돌기에 의해 관형상의 곡관이 판형상의 하부하우징(420) 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측 하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측 하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후크돌기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후크돌기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크돌기의 전후방향 단면형상은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하부하우징(420)에 조립시에,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하부하우징(420)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커넥터의 바닥면을 안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측면을 하부하우징(42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에 끼워넣는다. 이때, 양측의 상기 끼움판 사이에 상기 받침판을 끼워넣고, 동시에 곡관부의 끼움돌기를 하부하우징(420)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연결관부(422)의 좌측에 배치되는 설치공과 설치부에 볼트를 끼워넣어 볼팅하고, 연결부(421)의 인출공 상부에 배치되는 설치공과 상부하우징(410)에 형성된 설치부에 볼트를 끼워넣어 볼팅하여 상기 커넥터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같이, 상기 커넥터는 일측은 하부하우징(420)에 볼팅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하우징(410)에 연결되어, 공기를 이송하고 전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를 하부하우징(420)에 후방측으로 끼워넣기만 하면 원터치로 조립이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하부하우징(420)의 양측면에는 메인 어셈블리가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하우징(420)의 바닥면에는 보조바퀴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하우징(420)의 배면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팀이 먼지와 함께 집진유닛으로 유입되더라도 집진통에 물이 저장되어 집진통에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필터에 형성된 흡입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부 상부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모든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

  1.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집진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통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통 내벽에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필터에 형성된 흡입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부 상부에 상기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KR1020060071999A 2006-07-31 2006-07-31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KR10079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99A KR100793415B1 (ko) 2006-07-31 2006-07-31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CNA2007101412085A CN101091636A (zh) 2006-07-31 2007-07-31 一种用于蒸汽真空吸尘器的集尘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99A KR100793415B1 (ko) 2006-07-31 2006-07-31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415B1 true KR100793415B1 (ko) 2008-01-11

Family

ID=3899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99A KR100793415B1 (ko) 2006-07-31 2006-07-31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415B1 (ko)
CN (1) CN1010916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9786A (zh) * 2022-07-20 2022-11-18 宁波拓邦智能控制有限公司 蒸汽控制方法、装置和吸尘器
CN117810842A (zh) * 2024-03-01 2024-04-02 四川雅丽兴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缆沟的配电降温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74A (ko)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JP2004249067A (ja) 2003-02-21 2004-09-09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真空掃除機用集塵容器
KR20050066908A (ko) * 2003-12-27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20060013785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20766A (ko) * 2004-09-01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74A (ko)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JP2004249067A (ja) 2003-02-21 2004-09-09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真空掃除機用集塵容器
KR20050066908A (ko) * 2003-12-27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20060013785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20766A (ko) * 2004-09-01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1636A (zh)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282B2 (en) Vacuum cleaner
CN101262807B (zh) 具有可折叠把手的真空吸尘器
US20050198769A1 (en) Vacuum cleaner
US9901230B2 (en) Vacuum cleaner
EP1674022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US7779507B2 (en) Vacuum cleaner
US7662200B2 (en) Vacuum bag mounting and viewing features
US8707510B2 (en) Extraction cleaner and centrifugal air/water separator therefor
JP4352065B2 (ja) 電気掃除機
US20070095028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4367565A (en) Double insulated wet/dry vacuum extraction machine
US4930178A (en) Compact self-contained recycling extraction cleaner
US20090094786A1 (en) Surface cleaning implement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 and agitator
RU2589630C2 (ru) Пылесос
US773518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with water cleaning function
US20100162516A1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RU2494666C2 (ru) Цилиндрический пылесос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KR100793416B1 (ko) 진공스팀청소기 및 진공스팀청소기용 밀대 조립체 및진공스팀청소기용 호스 조립체
US20040172782A1 (en) Vacuum canister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therewith
KR100556498B1 (ko)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KR100756004B1 (ko) 스팀청소기 밀대 연결구조
KR100793415B1 (ko) 진공스팀청소기용 집진유닛
US20070012001A1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US7640623B2 (en) Vacuum cleaner
CN216823274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