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21B1 -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 Google Patents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21B1
KR970011921B1 KR1019950027821A KR19950027821A KR970011921B1 KR 970011921 B1 KR970011921 B1 KR 970011921B1 KR 1019950027821 A KR1019950027821 A KR 1019950027821A KR 19950027821 A KR19950027821 A KR 19950027821A KR 970011921 B1 KR970011921 B1 KR 97001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water
container
suc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736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2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921B1/ko
Publication of KR97000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물제트청소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제트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도.
제 3 도는 제2도에 있어서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3도에서 상부본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하부본체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물제트청소기2 : 필터
3,28 : 흡입모터4 : 회수탱크
5,25 : 모터펌프6 : 공급탱크
7,23 : 회수관8,43 : 회수관 헤드
9,24 : 공급관10,45 : 분사노즐
11,44 : 손잡이겸 조절스위치12,42 : 바퀴
21 : 상부본체21a : 결합편
22 : 하부본체22a : 결합돌기
25 : 모터펌프26,26a : 공급라인
27,40 : 필터28 : 흡입모터
29 : 팬30 : 콘트롤러
31,36b,37c : 손잡이32 : 경고등/경고음장치
33 : 습기방지필터34 : 차단벽
35 : 분리판36 : 공급물통
36a : 구멍37 : 회수물통
37a : 흡입구37b : 회수구
38, 41 : 센서39 : 패킹
본 발명은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본체를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간단하고 소형화한 구조로 구성하여 상부본체에는 물분사 및 물흡입장치를 구비하고, 하부본체에는 공급 물통과 회수물통을 좌우로 설치함으로써 편리하게 물을 공급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흡입효율의 향상과 흡입모터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물제트 청소기의 본체 구성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물제트청소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 1 도에 따르면, 물제트청소기(1)는 필터(2)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흡입모터(3)를 구비한 회수탱크(4)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모터펌프(5) 및 바퀴(12)를 구비한 공급탱크(6)가 설치되어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회수탱크(4)에는 플렉시블한 회수관(7)이 연통설치되며 그 끝단에는 회수관헤드(8)가 구비된다.
또한, 공급탱크(6)에는 공급관이 연통설치되며 그 끝단에 분사노즐(10)을 구비하여 상기 회수관(7)을 따라 고정된다.
회수관(7)에 구비된 부호(11)는 손잡이겸 조절스위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룬 물제트청소기(1)에는 사용자가 손잡이겸 조절스위치(11)를 잡아 조절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흡입모터(3) 및 모터펌프(5)가 작동되고 모터 펌프(5)의 작동에 의해 공급탱크(6)내의 물은 분사관(9)을 따라 공급되어져 노즐(10)을 통해 바닥에 분사된다.
따라서 강한 분사력에 의해 바닥청소가 이루어지며 바닥청소에 의해 오염된 물은 흡입모터(3)가 구비된 팬의 회전에 의해 회수관 헤드(8)를 통하여 흡입시켜 회수관(7)을 따라 회수탱크(4)에 수집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물제트청소기(1)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안게 된다.
즉, 회수탱크(4)와 공급탱크(6)와 필터(2)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구비되어 조립되어 있는 까닭에 물을 공급하고 제거하는 것이 불편하게 된다.
즉, 공급탱크(6)에 물을 채워넣기 위해서는 흡입모터(3)와 함께 뚜껑을 개방시키고 상기 공급탱크(6)위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2) 및 회수탱크(4)를 제거한 후 공급탱크(6)내에 구비된 수조에 물을 채워넣게 되며, 회수탱크(4)에 수집된 오염된 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회수탱크(4)를 몸체로부터 빼낸 후 수조의 오염된 물을 제거하게 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 특히, 물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수탱크(4)가 하부에 위치시키고 더욱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몸체와 일체로 된 때에는 회수된 물의 제거가 더욱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모터(3)가 직접 회수탱크(4)상에 설치되는 까닭에 회수탱크(4)내로 흡입되어지는 오염공기 및 오염물이 상기 흡입모터(3)에 들어가게 되므로써 흡입모터의 수명단축을 초래하게 되는 염려를 주게 된다.
특히, 회수탱크(4)는 흡입력을 보장받기 위해 기밀을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흡입모터(3)의 설치, 회수관(7) 및 공급관(9) 등의 설치에 따른 기밀유지가 완전하지 못해 흡입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또한, 회수탱크(3)와 공급탱크(6)의 상하구성 및 흡입모터(3)와 모터펌프(5)의 노출설치에 따른 본체의 부피가 크게 되는 문제점 또한 안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물제트청소기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력 향상과 본체의 부피최소화 및 흡입 모터에 물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며, 물공급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제트청소기의 본체구조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구성하고 상부본체가 하부본체에 용이하게 착탈, 조립되게 하며, 상부본체에는 물공급장치 및 물회수장치를 구비하고, 하부본체에는 공급물통과 회수물통을 좌우로 분할되게 구비하므로써 급수와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본체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하방으로는 필터를 개재시키게 하므로써 회수통의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되게 하며, 회수관이 삽입되는 회수통의 구멍에는 패킹을 구비하여 회수물과 흡입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므로써 흡입력을 향상되게 하는 본체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물통의 회수구로 빨려 들어온 수분이 흡입구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도록 회수구와 흡입구가 최대한 격리되고 그 회수구에 삽입된 회수라인의 단부의 출구가 흡입구 반대측 벽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수물통의 회수구와 흡입구 사이에 그 회수구에 삽입된 회수라인의 단부의 높이만큼 흡입된 공기를 우회시키기 위한 격벽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제트 청소기(20)는 상부본체(21), 하부본체(22), 회수관(23), 공급관(24)을 포함하여 대별 구성된다.
상부본체(21)의 하단에는 결합편(21a)이 형성되고, 하부본체(22)의 상단에는 결합돌기(22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편(21a) 및 결합돌기(22a)에 의해 상부본체(21)가 하부본체(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조립된다.
상부본체(21)에는 공급통의 물을 압송하는 모터펌프(25), 모터펌프(25)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라인(26),(26a), 공급라인(26a)에 구비되는 필터(27), 공급된 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모터(28) 및 팬(29), 상기 모터 펌프(25) 및 흡입모터(28)의 작동을 이루게 하는 콘트롤러(30)가 내설, 구비되며, 손잡이(31) 및 경고등/경고음장치(32)가 외설,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모터(28)에 연결된 팬(29)의 하방으로는 습기방지필터(33)가 구비되어 차단벽(34)에 의해 주위가 차단된다.
하부본체(22)에는 중앙에 설치되는 분리판(35)을 중심으로 좌우에 공급물통(36)과 회수물통(37)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물통(36)의 상단에는 공급라인(26a)이 관통삽이되도록 구멍(36a)이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8)가 구비된다.
회수물통(37)의 상단에는 습기방지필터(33)가 접하는 흡입구(37a)와, 회수관(23)에 연결되는 몸체내부의 회수라인(23a)이 관통삽입되는 회수구(37b)가 형성되며, 회수구(37b)에는 패킹(39)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37a)에는 흡입되는 가벼운 오물을 1차로 차단시키기 위해 또다른 필터(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한 높이에 회수물감지를 위한 센서(41)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물통(36)과 회수물통(37)의 상단에는 손잡이(36b)(37c)를 각각 형성한다. 하부본체(22)의 하단에는 바퀴(42)를 설치하여 물제트청소기(20) 자체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회수관(23)은 회수라인(23a)를 개재하여 상부본체(21)를 통하여 하부본체(22)에 구비된 회수물통(37)과 연결되며, 그 타단에 오염물 흡입을 위한 회수관 패드(43)가 연결되고, 중간부위에 손잡이겸 조절스위치(44)가 구비된다.
공급관(24)은 몸체내부의 공급라인(26)과 연결되어 상기 회수관(23)을 따라 지지되며 그 타단에 분사노즐(45)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을 이룬 본 발명에 따른 물제트청소기(20)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부본체(21)를 하부본체(22)로부터 탈착시켜 공급물통(36)에 물을 채워넣게 된다.
즉, 상부본체(21)의 하단에 구비된 결합편(21a)을 제키게 되면, 결합편(21a)은 하부본체(22)은 결합돌기(22a)로부터 해제되므로써 상부본체(21)는 하부본체(22)로부터 개방 내지는 분리시킬 수 있다.
상부본체(21)가 개방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상부본체(21)에 구비되어 각각 공급물통(36)과 회수물통(37)에 삽입되어 있던 회수관(23)의 삽입부(23a) 및 공급라인(26a)은 각각 회수구(37b) 및 구멍(36a)을 통하여 함께 해제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본체(22)로부터 공급물통(36)만을 꺼내어 상단에 형성된 구멍(36a)을 통하여 물을 채워 넣는다.
이때, 공급물통(36)은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36b)에 의해 하부본체(2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공급물통(36)에 깨끗한 물을 채운 후 그 공급물통(36)을 다시 하부 본체의 공급물통수납실에 넣고 상부본체(21)를 덮는다.
이때에는 해제시에서와 같이 상부본체(21)에 돌출구비된 회수관의 삽입부(23a) 및 공급라인(26a)은 각각 회수물통(37) 및 공급물통(36)에 형성된 회수구(37b) 및 구멍(36a)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태로 상부본체(21)가 하부본체(22)에 덮어지게 되며, 상부본체(21)는 그 결합편(21a)이 하부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22a)에 결합되어지므로서 조립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물제트청소기(20)본체를 청소위치로 이동시킨 후 손잡이에 부설된 조절스위치(44)를 온시키게 되면 콘트롤러(30)에 의해 모터펌프(25) 및 흡입모터(28)가 작동하게 된다.
먼저, 모터펌프(25)가 작동되면 공급물통(36)가 물이 공급라인(26a)에 구비된 필터(27)를 통해 흡입되어져 공급라인(26) 및 공급관(24)으로 압송되어지며, 그 끝단에 구비된 분사노즐(45)을 통하여 바닥에 분사된다.
따라서, 강한 분사력에 의해 오염된 바닥이 청소되며 청소에 의해 더러워진 바닥의 물은 회수관헤드(43)의 입구로 흡입되어진다.
이러한 흡입은 흡입모터(28)의 작동으로 이에 구비된 팬(29)이 회전하게 되므로써 회수물통(37), 흡입라인(23a) 및 흡입관(23)에 흡입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회수관헤드(43)로부터 흡입된 청소물은 회수관(23)을 따라 이송되어져 삽입부(23a)에 이르러 회수물통(37)에 수집된다.
이때, 회수물통(37)으로 수집되는 물질은 오염수 뿐만 아니라 주변의 오염된 공기 또는 가벼운 오물이 회수되어진다. 이러한 각종 오물들은 회수물통(37)으로 수집되어 그 바닥에 침전을 이루게 되지만 회수물통(37)내에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되고 있는 까닭에 하강하기에 앞서 흡입구(37a)를 통하여 흡입모터(28)에 빨려 들어가게 되는 염려를 주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흡입구(37a)에 필터(40)를 구비하므로서 흡입모터(28)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된다. 또한, 흡입 모터의 팬(29)과 흡입구(37a) 사이에는 습기방지필터(33)를 개재시키므로서 회수물통(37)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2차로 방지하여 흡입모터(28)가 보다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즉, 흡입모터(28)의 부식 및 기능저하, 또는 수명단축을 이루게 되는 요인을 제거하게 됨과 동시에 흡입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수물통(37)내의 흡입효율은 회수관의 삽입부(23a)가 조립되는 회수구(37b)에 패킹(39)을 구비하며, 필터(33)의 주위에 차단벽(34)을 설치하여 흡입모터(28)의 흡입력이 회수관의 삽입구(23a)에서만 발생되게 하므로써 더욱 향상된다.
한편, 소모되는 공급물통(36)내의 수위는 센서(38)에 의해 감지되어 상부본체(21)의 상단에 설치된 경고등/경고음장치(32)가 작동하므로써 물의 공급시기를 인식하게 되며, 또한, 채워지는 회수물통(37)내의 수위는 센서(41)에 의해 감지되어 경고등/경고음장치(32)가 작동하므로써 수집된 오염수의 제거시기를 인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고등/경고음장치(32)가 작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본체(21)를 하부본체(22)로부터 해제한 후 공급물통(36) 또는회수물통(37)을 꺼내어 새로운 물을 채워넣게 하던지 또는 오염수를 제거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성장치는 공급물통과 회수물통을 하부본체에 구비케하므로서 물을 공급하고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본체 자체의 부피가 작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며, 흡입구와 회수구를 멀리 격리시키고 회수구 주위의 격벽을 설치하여 공기등의 유로를 우회시키고 흡입모터와 흡입구 각각에 필터가 구비됨에 따라 흡입모터에 수분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흡입모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며, 흡입라인을 회수물의 안쪽으로 들어오게 하고 그 입구를 패킹으로 실링하여 회수물통내의 물과 흡입공기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되게 하므로써 흡입력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공급물통에 연결되어 공급물통의 물을 압송시키는 모터펌프와, 모터펌프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공급물통의 물을 외부의 공급관으로 연결시키는 공급라인과, 외부의 회수관과 회수물통 사이에 연결되어 회수된 물을 회수물통으로 안내하는 회수라인과,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한 물을 흡입시키기 위하여 회수물통에 연결되는 팬을 구비한 흡입모터와, 상기 모터펌프 및 흡입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를 지니며, 하부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본체; 그리고, 공급물통수납실과 회수물통 수납실을 좌우로 분리시키는 분리판과, 그 공급물통 수납실에 수납되어 상부본체의 장착시 공급라인이 내부로 삽입되는 구멍을 지니며,손잡이가 제공된 공급물통과, 상기 회수물통수납실에 수납되어 상부본체의 장착시 외부의 회수관이 삽입되는 회수구 및 상기 팬의 흡입부에 유체적으로 기밀되게 연결되는 흡입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손잡이가 제공된 회수물통과를 지니는 하부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물통에 형성된 회수구에는 패킹을 구비하여 회수관의 삽입에 따른 회수물통내의 물과 흡입공기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력을 향상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물통에 형성된 흡입구에는 필터를 구비하여 흡입된 가벼운 오물이 팬에 빨려 들어가지 못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물통내의 수분이 흡입모터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흡입모터에 구비된 팬과 회수물통에 흡입구 사이에 습기방지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방지펄터의 주위에는 차단벽을 형성하여 주위의 공기차단이 되게 하므로써 흡입모터의 흡입력을 향상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물통의 회수구로 빨려 들어온 수분이 흡입구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도록 회수구와 흡입구가 최대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에 삽입된 회수라인의 단부의 출구가 흡입구 반대측 벽부를 향하고 상기 회수물통의 회수구와 흡입구 사이에 그 회수구에 삽입된 회수라인의 단부의 높이만큼 흡입된 공기를 우회시키기 위한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수물제거시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상기 회수물통의 내벽에 설치되고, 물공급시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상기 공급물통의 내벽에 설치되며, 공급물통의 물공급시기와 회수물통의 물제거시기를 알리는 경고등/경고음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하부몸체에 바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KR1019950027821A 1995-08-31 1995-08-31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KR97001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821A KR970011921B1 (ko) 1995-08-31 1995-08-31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821A KR970011921B1 (ko) 1995-08-31 1995-08-31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36A KR970009736A (ko) 1997-03-27
KR970011921B1 true KR970011921B1 (ko) 1997-07-18

Family

ID=1942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821A KR970011921B1 (ko) 1995-08-31 1995-08-31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65Y1 (ko) * 2009-09-03 2010-05-18 주식회사 텍콤 이동식 바닥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7496B (zh) * 2021-07-20 2023-08-04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低噪音表面清洁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65Y1 (ko) * 2009-09-03 2010-05-18 주식회사 텍콤 이동식 바닥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36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9425C2 (ru) Пылесос для влажной и сухой уборки
RU227737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робота-пылесоса
CA1299827C (en) Portable vacuum cleaner
US5392490A (en) Extraction cleaner and drier
JPH0153059B2 (ko)
KR970011921B1 (ko)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WO2007123304A1 (en) Compressed-air-operative complex vacuum cleaner
KR100697080B1 (ko) 습,건식 겸용 업라이트 청소기
EA021774B1 (ru) Пылесос с емкостью для воды, не имеющий средств крепления указанной емкости
RU2262285C2 (ru) Пылесос с контейнером
JP4220200B2 (ja) 電気掃除機
CN218606454U (zh) 一种基于洗地机基站的回吸风道
JP3105922U (ja) 水洗式濾塵構造
KR960003440Y1 (ko) 액체여과식 보조여과기
KR930008364B1 (ko) 습, 건식 전기 소제기
KR101055960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365234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150740Y1 (ko) 물필터 청소기
KR0121810B1 (ko) 장탈착 자재한 회수물통을 구비한 물제트청소기
KR101093876B1 (ko) 진공청소기
KR0133761B1 (ko)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
JP2772755B2 (ja) 電気掃除機
KR200160410Y1 (ko) 물필터 청소기
KR920008684Y1 (ko) 진공청소기
KR19990002422U (ko) 물필터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