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422U - 물필터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필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422U
KR19990002422U KR2019970015984U KR19970015984U KR19990002422U KR 19990002422 U KR19990002422 U KR 19990002422U KR 2019970015984 U KR2019970015984 U KR 2019970015984U KR 19970015984 U KR19970015984 U KR 19970015984U KR 19990002422 U KR19990002422 U KR 19990002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ater
cleaner
suction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5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422U/ko
Publication of KR19990002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422U/ko

Link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청소기는 외부의 오물이 흡입안내되는 흡입호스와 흡입호스에 연통된 몸체 그리고 몸체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오물이 물에 걸러지도록 물이 저장된 물통을 구비하고, 물통내부에는 그 단부의 일부가 물통내부에 잠겨 물통내부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이 설치된다. 또한 물통으로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임펠러를 구비한 모터와 물통에 설치되어 물통의 물이 모터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 그리고 물통에서 칸막이부와 물저장부를 분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물필터 청소기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물필터 청소기는 물에의한 오물의 흡수정도는 거의 99.9%에 가까워 청소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향사되는 이점이 있으며, 청소기 액체오물도 청소기를 통하여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먼지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오물이 걸러진 물만 교체하여주면 청소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사용, 유지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물통 내부의 청소를 위하여 물통을 분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물통 내부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필터 청소기
본 고안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의 흡입력으로 외부의 오물을 흡입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에 의하여 오물이 걸러지도록 한 물필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내부에 먼지봉투가 설치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한 임펠러의 흡입력으로 외부의 공기와 오물을 흡입하고, 이중의 오물이 먼지봉투에서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시 미세먼지가 먼지봉투에서 미처 걸러지지않고 먼지봉투를 통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의 미세먼지는 모터와 임펠러등에 쌓이게 되어 이들의 작동에 지장을 주게된다. 그리고 이들 먼지중에서 모터를 통과한 먼지는 외부로 배출되게되어 청소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청소기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청소기 내부에 설치된 먼지봉투에 오물이 가득 차게되면 먼지봉투를 교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청소기의 계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다수의 먼지봉투를 지속적으로 구입하여야 하므로 청소기의 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유지비가 소모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기에서 오물의 집진과 제거를 종래의 먼지봉투로 하지 않고, 청소기 내부에 물통을 설치하여 이 물통에 저장된 물을 통하여 오물이 집진되도록 하여 미세먼지까지도 효율적으로 청소기 내부에서 집진되도록 한 물필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저장된 물통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물통의 청소성을 보다 향상시킨 물필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필터 청소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필터 청소기의 몸체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필터 청소기에서 물통의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1...흡입구
20...물통 23...구획판
24...칸막이 30...모터
40...결합돌기 41...걸림터
42...걸림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의 오물이 흡입안내되는 흡입호스, 상기 흡입호스에 연통된 몸체, 상기 몸체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오물이 물에 걸러지도록 물이 저장된 물통, 상기 물통내부에 설치되며 그 단부의 일부가 상기 물통내부에 잠겨 상기 물통내부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물통으로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임펠러를 구비한 모터, 상기 물통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모터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 상기 물통에서 상기 칸막이부와 물저장부를 분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필터 청소기는 먼저 청소기 몸체(10)가 마련되고, 이 몸체(10)의 일측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구(11)에 연통결합되는 흡입호스(12)와 흡입호스(12)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오물이 최초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체(1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흡입구(11)와 연통되는 흡입구(24)가 형성된 물통(20)과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임펠러(31)가 설치된 모터(30), 그리고 물통(20) 내부의 모터(30)측에 설치되어 물통(20)의 물이 모터(30)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칸막이(22)가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하부에는 청소기의 구동을 위하여 전후방에 각각 바퀴(17)(18)가 설치되며, 손잡이(14) 또한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14)에는 몸체(10)의 개폐를 통하여 물통(2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크장치등으로 된 개폐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물필터 청소기를 각 부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물통(20)은 하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고임부위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내부공간이 연장되어 있고, 상부의 양측면, 즉 전면으로는 흡입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으로는 칸막이(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26)의 상측에서 물통(2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획판(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이 구획판(23)의 자유단이 일부 잠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물통(20)의 내부는 이 구획판(23)을 경계로하여 흡입측(21)과 토출측(22)으로 구획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이 물통(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20)내부의 청소를 위하여 칸막이부(20b)와 물저장부(20a)로 분리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칸막이부(20b)와 물저장부(20a)의 분리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수단은 칸막이부(20b)의 물저장부(20a)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이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40)를 구비하고, 또한 이 결합돌기(40)의 걸림턱(41)이 걸리도록 물저장부(20b)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2)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 결합부위에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통(20)의 모터(30)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물통(20)에서 일부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이 모터(30)부위로 유입되지않도록 차단하는 물 유입방지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 유입방지부재(23)는 스폰지, 또는 부직포로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물필터 청소기는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0)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면 흡입체(13)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와 오물이 함께 흡입된다. 이 흡입체(13)를 통하여 흡입된 오물과 공기는 흡입호스(12)와 몸체(10)의 흡입구(11)를 통하여 물통(2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물통(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오물은 물통(20) 내부의 흡입측(20a)을 통하여 물이 있는 쪽으로 안내되어 물과 혼합되게 된다. 그리고 물에 혼합된 먼지는 물분자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물에 잠기게 되고, 그외의 공기만이 물통(20) 내부의 토출측(20b)을 통하여 칸막이(20)을 거쳐 모터(30)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의 공기중의 먼지입자의 흡수율은 거의 99.9% 에 가깝다.
이때 토출되는 공기는 칸막이(22)를 통하여 유로를 변경하면서 공기중의 수분의 일부가 걸러지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칸막이(22)와 모터(30)사이에 있는 물 유입방지부재(23)에서 나머지 수분의 대부분이 흡수되게 된다. 그리고 오물과, 먼지가 걸러진 순수한 공기만이 모터(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물필터 청소기는 먼지 등의 청소외에 외부의 액체 오물도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적인 청소로 내부의 물이 상당히 오염되어 더이상의 오물 제거기능을 할 수 없을때에는 몸체(10)의 물통(20) 설치부위를 열어 물통(20)내부의 물을 깨끗한 물로 교체하여 청소기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되고, 물통(20)내부를 청소할 시에는 물통(20)의 물저장부(20a)와 칸막이부(20b)를 분리하여 분리하여 물통(20)내부를 청소하면 된다. 이때의 분리는 걸합돌기(40)부분을 당겨 결합돌기(40)의 걸림턱(41)이 물저장부(20a)의 걸림홈(42)에서 빠지도록 하여 분리하면 되고,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돌기(40)를 칸막이부(20b)에 끼워 걸림턱(41)이 걸림홈(42)에 걸리도록 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결합돌기(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 구조를 부가하여 설치할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물필터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중의 오물과 먼지가 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물에 적셔지면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걸러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의 물에의한 오물의 흡수정도는 거의 99.9%에 가까워 청소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향사되는 이점이 있으며, 청소기 액체오물도 청소기를 통하여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먼지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오물이 걸러진 물만 교체하여주면 청소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사용, 유지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물통 내부의 청소를 위하여 물통을 분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물통 내부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의 오물이 흡입안내되는 흡입호스,
    상기 흡입호스에 연통된 몸체,
    상기 몸체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흡입된 오물이 물에 걸러지도록 물이 저장된 물통,
    상기 물통내부에 설치되며 그 단부의 일부가 상기 물통내부에 잠겨 상기 물통내부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물통으로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임펠러를 구비한 모터,
    상기 물통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모터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
    상기 물통에서 상기 칸막이부와 물저장부를 분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칸막이부의 상기 물저장부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걸림턱을 구비한 다수개의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걸림턱이 걸리도록 상기 물저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 청소기.
KR2019970015984U 1997-06-27 1997-06-27 물필터 청소기 KR199900024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984U KR19990002422U (ko) 1997-06-27 1997-06-27 물필터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984U KR19990002422U (ko) 1997-06-27 1997-06-27 물필터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422U true KR19990002422U (ko) 1999-01-25

Family

ID=6967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984U KR19990002422U (ko) 1997-06-27 1997-06-27 물필터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4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231B1 (ko)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KR10045617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
EP0768058B1 (en) Improved machine for household cleaning
KR100647196B1 (ko) 물청소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H0732741B2 (ja) 湿乾式電気掃除機
CN213758070U (zh) 一种用于分离灰尘及水混合物的分离装置及地面清洁机
GB2341124A (en) Suction cleaner
KR19990002422U (ko) 물필터 청소기
KR200150740Y1 (ko) 물필터 청소기
KR19990004041A (ko) 물필터 청소기
KR100842371B1 (ko) 청소기용 습식 흡입장치
KR19990002419U (ko) 물필터 청소기
KR20050013694A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KR19990002421U (ko) 물필터 청소기
KR970011921B1 (ko) 물제트청소기의 본체 구조
KR2006010050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노즐어셈블리
KR920010683B1 (ko) 건식청소와 물청소가 가능한 습건식 진공청소기
CN113876240B (zh) 一种用于分离灰尘及水混合物的分离装置及地面清洁机
KR92001068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회수세액 제거장치
KR920010681B1 (ko) 건식청소와 물청소가 가능한 습건식 진공청소기
KR101108048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388769Y1 (ko) 진공청소기
KR100222843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20040080092A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930008472Y1 (ko) 전기 소제기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