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31B1 -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 Google Patents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31B1
KR920004231B1 KR1019900008008A KR900008008A KR920004231B1 KR 920004231 B1 KR920004231 B1 KR 920004231B1 KR 1019900008008 A KR1019900008008 A KR 1019900008008A KR 900008008 A KR900008008 A KR 900008008A KR 920004231 B1 KR920004231 B1 KR 92000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tax
suction
separation
clean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575A (ko
Inventor
이영찬
이성빈
박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0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231B1/ko
Priority to DE69121142T priority patent/DE69121142T2/de
Priority to US07/706,932 priority patent/US5210902A/en
Priority to EP91304851A priority patent/EP0459783B1/en
Priority to JP3228129A priority patent/JP2721280B2/ja
Publication of KR91001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1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additional means or devices between nozzle and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42Gaskets; Sealing mean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제 1 도는 종래 건식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습식 진공청소기의 외관도.
제 3 도는 동상의 개략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 세액분사가 가능한 습식 진공청소기의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종래 건, 습식 진공청소기의 외관도.
제 6 도는 동상의 단면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종래 건, 습식 진공청소기의 구성도로서,
제 7 도는 건식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도.
제 8 도는 습식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도.
제 9 도는 청소헤드부의 외관도.
제 10 도 내지 제 2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설명 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10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블록 구성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관도.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청소헤드부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 14 도 및 제 15도는 세액처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 16 도 및 제 17도는 세액처리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 18a,b 도는 세액처리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 19 도 내지 제 22 도는 세액처리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기존 건식진공청소기에 부가하여 습식으로 전환시킴에 접합하도록 한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건식진공청소기, 습식진공청소기, 건식 및 습식진공청소기로 분류된다. 여기서 건식 진공 청소기는 필터가 있어 먼지를 걸러주는 장치가 있는 청소기로 물을 흡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습식진공청소기는 세액 및 물을 흡입하거나 물을 뿌리고 흡입하는데,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조가 있는 청소기이다. 건식 및 습식진공청소기는 앞의 두가지 기능을 가진다.
건식진공청소기의 구성은 제 1 도에 나타내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및 카페트에 있는 먼지를 흡입하는 헤드부(2)는 바퀴 및 스퀴지(고무판)(13)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헤드부(2)와 본체(1)를 연결시켜주는 흡입관(3)이 있고, 먼지 및 기타 마른 오물을 걸려주는 필터부(5), (6), (10)와 청소기헤드부(2)에 흡입력을 주는 모터흡입구(7), 모터배출구(8), 배기구(9), 모터(11)로 이루어진 모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4는 흡입구, 5는 종이필터, 6은 먼지받이주머니, 10은 정전 필터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건식진공청소기는 모터(11)가 작동하면 청소기 내부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대기와 청소기 내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고 걸러준다.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부(2)의 흡입노즐(12)에서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크게 하고, 어느 정도 바닥을 쓰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고무판인 스퀴지(13)가 달려있다. 그 흡입노즐(12)에서 흡입된 먼지 및 오물은 흡입관(3)을 통해서 흡입구(4)로 가서, 종이필터(5)에서 대부분의 먼지 및 오물이 걸러진다. 여기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 먼지는 헝겊으로 만들어진 먼지받이주머니(6)에서 걸러진다. 그리고 모터흡입구(7)를 통과하고 모터(11), 모터배출구(8)를 통과한 정전기를 띈 아주 미세한 먼지는 정전필터(10)에서 3차로 걸러져서 정화된 비교적 깨끗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건식진공청소기는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아 원칙적으로 바닥의 물기를 흡입할 수가 없고, 건식용 청소헤드로는 바닥에 달라붙은 오물(때)를 세척하는 기능이 없다. 습식진공청소기의 한 실시형태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헤드(22), 흡입관(23)으로 이루어지는 청소헤드부와, 흡입구(24), 흡입통로 및 편향판(25), 회수조(26)로 이루어지는 물, 공기 분리부, 모터흡입구(27), 모터(21), 모터배출구(28)로 이루어지는 모터부로 구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진공청소기의 동작설명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에 물이 있는 경우에 모터(21)가 작동되면 청소헤드(22)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물과 공기가 같이 흡입된다. 흡입된 물과 공기는 흡입관(23)을 통해 흡입구(24)로 들어가고 흡입통로 및 편향판(25)에 이르러 물이 부딪혀 무거운 물은 회수조(26)에 떨어지고 공기는 모터흡입구(27)를 통해 모터(21)를 거쳐 모터배출구(28)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진공청소기는 물을 분사하지 않고 흡입하기만 하므로 바닥청소가 효과적으로 되지 못하며 건식필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건식으로의 활용은 한계가 있다.
또 물, 공기 분리시에도 회수조(26)에 모터흡입구(27)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수분이 모터(21)로 들어갈 위험성이 아주 높다.
또한 습식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 4 도와 같이 청소헤드부, 물, 공기분리부, 세액공급부 및 모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소헤드부는 청소헤드(32)와 흡입관(33)으로 이루어지고, 물, 공기 분리부는 흡입구(34), 흡입통로 및 편향판(35), 그리고, 회수조(36)로 이루어지며, 세액공급부는 펌프(37), 세액관(38), 세액토출관(39) 및 세액분사노즐(40)으로 이루어지고, 모터부는 모터흡입구(41), 모터(31), 모터배출구(42)로 이루어져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펌프(37)가 작동되면 세액관(38)을 통해 세액(43)이 흡입되고 세액토출관(39)를 통해 세액분사노즐(40)에 이르러 청소헤드(32)쪽으로 분사된다. 이때 모터(31)가 작동되면 청소헤드(32)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물과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물과 공기는 흡입관(33)을 통해 흡입구(34)에 이르게 되고 흡입통로 및 편향판(35)을 지나면서 물이 편향판에 부딪히게 되어 물은 회수조(36)에 모이게 되고 공기는 모터흡입구(41)로 가게된다. 모터흡입구(41)로 들어간 공기는 모터(31)를 거쳐 모터배출구(42)로 배출된다.
문제점을 살펴보면, 이와 같이된 습식진공청소기는 청소헤드에 바닥을 닦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오염된 바닥청소시에 세척 성능이 떨어지고, 물, 공기 분리시 물이 모터로 갈 위험성이 크며, 건식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건식 및 습식진공청소기의 일예가 미국특허(U.S.P.4,218,805)에 알려지고 있는 바, 이 건식/습식청소기 VAX는 먼저 건식으로 쓰일때,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는 헤드부가 있고, 먼지 및 오물을 걸러주는 필터부가 있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있다.
습식으로 쓰일때는 물과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는 헤드부가 있고, 헤드부에 물을 공급해주는 세액조가 있고, 흡입된 먼지, 물, 오물을 공기와 분리시켜 먼지, 물, 오물을 저장하고 공기를 모터로 보내는 분리부(저장부)가 있는데, 이 분리부는 편향판(deflector)과 분리조(저장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가 있다.
제 5 도는 VAX의 외관도이고, 제 6 도는 제 5 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 VAX가 건식으로 쓰일때는 기본구성 및 동작원리가 제 1 도의 건식청소기와 같다. 그런데 습식으로 쓰일때는 제 6 도의 흡입구(57)와 연결된 먼지받이주머니와 기타 필터부를 떼어내고 분리조(53)위에 세액조(52)를 얹어서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51은 모터이다. 제 6 도는 습식으로 전환된 모양이다. 습식으로 사용하는 VAX의 동작은 모터(51)가 작동하면 모터의 배기공기의 일부는 세액조(52)에 있는 세액(54)에 보내져서 배압이 작용하게 되어 세액을 펌핑(Pumping)한다. 세액조(52)에서 펌핑된 물은 세액토출관(58)을 통하여 헤드(60)의 세액분사노즐(59)에서 바닥에 분사된다. 분사된 물은 먼지 오물과 섞여서 헤드에서 흡입되어 흡입구(57)를 통과하여 편향판(61)에 부딪혀서 공기가 물 및 먼지, 오물과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 및 물과 오물은 분리조(53)에 저장되고, 공기는 콘모양벽(55)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거쳐서, 모터(51)로 들어가 모터 임펠러(56)로 배출되며 일부는 세액조(52)에 압력을 가하는 작용을 하면서 대기중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건식/습식청소기 VAX는 카페트(capet)등의 세척에는 성능이 좋으나 장판 및 방바닥의 세척 성능이 떨어지고, 분리조(53)에서 흡입된 세액의 튀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튀겨진 오염된 물이 모터(51)를 통하여 실내에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중 변환가능한 습식 및 건식형 진공청소기의 한 실시형태(EPO 245,873)가 제 7 도,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대하여 우선 건식형으로 사용될때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7,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헤드(85), 흡입관(87)으로 이루어지는 청소헤드부와 흡입구(78), 먼지받이주머니(73)로 이루어지는 먼지제거부와, 모터흡입구(72), 모터(71), 모터배출구(80)으로 이루어지는 모터부로 구성되어진다.
습식형으로 사용시에는 구조가 바뀌어지는데 제 8,9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청소헤드(85), 흡입관(87), 세액분사노즐(86), 세액단속손잡이(88)로 이루어지는 청소헤드부와, 흡입구(78), 흡입통로(82), 윗뚜껑(79), 회수조(84), 흡입구연결관 및 필터(83)로 이루어지는 물, 공기 분리부와, 접속구(77), 세액관(76), 펌프(75), 세액 토출관(74)로 이루어지는 세액공급부와, 모터흡입구(72), 모터(71), 모토배출구(80)로 이루어지는 모터부로 구성되어진다.
각각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의 설명과 상호 변환시 동작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건식형인 경우에는 모터(71)가 작동되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청소헤드(85)로 공기와 먼지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흡입관(87)을 통과하여 흡입구(78)에 이르게 되고 먼지받이주머니(73)를 지나게 된다. 이때 먼지는 먼지받이주머니(73)에 걸러지게 되고 공기는 모터흡입구(72)를 지나 모터(71), 모터배출구(8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제 7,9 도). 한편, 습식형인 경우에는 핌프(75)가 작동하게 되면 세액(81)이 접속구(77)를 거쳐 세액관(76)에 있다가 세액토출관(74)을 통해 청소헤드부로 나가게 된다. 세액토출관(74)을 통과한 세액(81)은 세액단속손잡이(88)를 작동시킴으로써 세액분사노즐(86)을 통해 청소헤드(85)쪽으로 분사된다. 이때 모터(71)를 작동시키면 청소헤드(85)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분사된 세액과 공기와 먼지가 섞여 흡입된다. 흡입된 세액과 공기와 먼지는 흡입관(87)을 통과하여 흡입구(78)이 이르게 되고 다시 흡입통로(82)를 통과하여 윗뚜껑(79)에 부딪히게 된다. 이곳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세액(81)은 회수조(84)에 떨어져 모이게 되고 공기는 흡입구 연결관 및 필터(83)를 통해 모터흡입구(72)에 이르게 된다. 이곳부터는 건식형과 마찬가지로 모터(71)를 거쳐 모터배출구(80)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제 8,9 도). 또, 건식에서 습식으로, 습식에서 건식으로의 변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구조상 3개부의 조합에 의해 변환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세액을 저장하는 세액조부분과, 더러워진 세액을 저장하는 곳으로 이루어진 분리조 부분과, 먼지받이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건식필터부분과, 모터부와 핌프부로 구성되며 분리조부와 건식필터부를 장착하기에 알맞도록 된 접속장치를 갖는 베이스부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및 건식형 진공청소기는 건식에서 습식으로 바꿀 경우 제 7 도에서 윗뚜껑(79)을 연후 먼지받이주머니(73)를 떼어내고 분리조부를 끼워넣어 흡입통로(82)와 흡입구(78)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습식에서 건식으로 바꿀 경우에는 그 역으로 바꾸면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및 건식형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및 건식형 진공청소기는 카페트 청소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닥(하드플로워, 장판지, 비닐장판)을 청소시에는 세척성능이 떨어지고 물, 공기 분리시 물이 부딪치는 윗뚜껑(79) 바로 가까이에 모토흡입구(72)에 연결된 흡입구 연결관 및 필터(83)가 있어 모터(71)쪽으로 수분이 흡입될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기존건식진공청소기에는 분리조부를 끼울 수 없기 때문에 기존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베이스부에서 분리조부 이탈시 세액이 접속구를 통해 새어나오기 때문에 베이스부에 물이 남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건식진공청소기(100)와, 마른먼지를 흡입하고, 세액을 분사하여 브러쉬로 청소한 후 더러워진 세액을 흡입하는 청소헤드부(200)와, 상기 건식진공청소기(100)와 청소헤드부(200)사이에 연결되어 깨끗한 세액을 저장하였다가 펌프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청소헤드부(200)의 세액분사노즐로 세액을 펌핑하고,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를 유입하여 더러워진 세액을 저장하는 세액처리부(300)로 구성된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에는 세액처리부(30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세액처리부(300)에는 청소헤드부(20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습식진공청소기로 전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청소헤드부(200)는 청소헤드본체(201)의 후방부 흡입구에 연장관(202)이 결합되고, 그 청소헤드본체(201)의 밑면에는 전, 후방 양쪽에 전방흡입노즐(206), 후방흡입노즐(20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청소헤드본체(201)의 내부 중간부에는 브러쉬(208)가 설치되고, 브러쉬(208)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헤드본체(201)에는 세액을 분사하기 위한 세액분사노즐(20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액처리부(300)는 세액저장공간(301')을 가지는 베이스(301)위에 분리회수조(30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분리회수조(302)위에는 뚜껑(30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세액저장공간(301')에는 펌프(307)가 설치되어 그 펌프(307)에는 상기 청소헤드부(200)의 세액분사노즐(205)이 연결호스(204)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뚜껑(303)에는 흡입구(304)와 배출구(305)가 형성되고, 흡입구(304)에는 상기 청소헤드부(200)의 연장관(202)이 연결호스(20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액처리부(300)의 배출구(305)는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흡입구(101)에 연결호스(102)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존건식진공 청소기(100)의 모터가 작동하면 청소헤드부(200)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세액처리부(300)의 펌프(307)가 작동하게되면 청소헤드부(200)의 세액분사노즐(205)에 세액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브러쉬모터(209)를 작동시키게 되면 브러쉬(208)가 회전하게 된다. 제 10 도 나타난 주 작업 진행방향 전방으로 작업자가 청소헤드부(2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우선 전방흡입노즐(206)이 마른먼지를 흡입하는 비(빗자루)역할을 하게 되고 세액분사노즐(205)에서 나온 세액이 바닥면에 뿌려지게 되고 브러쉬(208)가 회전하게 되면 걸레질을 대체할 수 있는 물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 뒤에 후방흡입노즐(207)에서 더러워진 세액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게 된다. 만일 주작업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청소헤드부(200)를 이동시키면 후방흡입노즐(207)과 전방흡입노즐(206)의 역할이 뒤바뀌게 된다. 흡입된 세액과 공기는 세액처리부(300)의 분리회수조(302)로 가게되고 여기서 세액은 분리되고 남은 공기만이 배출구(305)를 통하여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로 배출된다.
제 12a,b 도는 청소헤드부(200)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헤드본체(201)의 하측부 전, 후에는 전방흡입노즐(206)과 후방흡입노즐(207)이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흡입통로(206'),(207')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칸막이(214)가 형성되고 칸막이 (214)의 결합부(214a)에 세액분사노즐(205)이 연결되며, 그 세액분사노즐(205)이 세액토출관(210)으로 세액처리부(300)에 연결된다. 또한 칸막이(214)의 하부에는 브러쉬(20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는 브러쉬(208)를 회전시키기 위한 청소헤드 모터(209)가 설치되어 있으며 풀리(215a)(215b)와 벨트 (215c)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헤드본체(201)의 하단부 네모서리부분에는 바퀴(216) 즉, 앞바퀴(216b)와 뒷바퀴(216a)가 설치되어 있으며 청소헤드본체(201)의 측벽에는 통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청소헤드본체(201)에는 청소헤드흡입관(211)이 구비되고, 흡입호스(213)로 세액처리부(3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청소헤드부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본체의 세액처리부(300)에 있는 펌프를 작동시키면 물(세액)이 세액토출관(210)을 통해 분사노즐(205)에서 바닥에 분사되면서, 청소헤드모터(209)가 작동되면 브러쉬(208)가 회전하여, 바닥에 달라붙은 오염물을 바닥과 박리시킨다.
이때 전방으로 청소헤드부(200)를 움직이면 전방흡입노즐(206)에서 마른먼지가 흡입되고, 후방흡입노즐(207)에서는 물 및 바닥에 붙은 오염물이 흡입되어 청소헤드흡입관(211)을 통하여, 흡입호스(213)을 거쳐서 세액처리부(300)의 회수조(302)로 흡입되어 들어간다. 이때 전방흡입노즐(206)과 후방흡입노즐(207)은 흡입된 세액 및 오염물이 청소헤드흡입관(211) 및 흡입호스(213)에서 작동중에 정체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분리 회수조(302)로 즉시 회수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풍량을 유지하면서 진공도를 충분히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충분한 진공도 즉 압력차(
Figure kpo00001
P)에 의해서 흡입속도가 아주 커짐으로서 바닥의 세액이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전, 후방흡입노즐(206)(207)의 폭은 그 흡입노즐(206)(207)의 폭은 그 흡입노즐(206)(207)의 바로 밑면(바닥)에서의 상승속도(흡입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전체 시스템의 흡입력이 저하되어 문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작게 유지해준다. 그리고 후방으로 청소헤드부(200)가 움직이면 후방 흡입노즐(207)은 마른먼지를 흡입하고, 전방흡입노즐(206)은 세액(물) 및 바닥에서 박리된 오염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에 의한 청소헤드부(200)의 효과는 기존의 건식/습식진공청소기가 주로 카페트용으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방바닥 즉 장판지, 민속장판, 모노륨 장판등에서 세척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었으나 본 실시예의 청소헤드부(200)는 물을 뿌려 주면서 브러쉬(208)에 의해서 바닥의 오물을 닦아줌으로써 세척성능이 아주 우수하며, 브러쉬(208)의 모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바닥이 상하는 것은 충분히 막을 수가 있다.
또한, 흡입노즐(206)(207)이 앞, 뒤로 있어서 효과적으로 흡입이 가능하고, 청소헤드부(200)가 전방으로 진행하나, 후방으로 진행하나, 동일한 흡입 및 세척효과를 갖추게 된다.
또한 진행방향의 흡입노즐에서 마른먼지 특히 머리카락 등을 흡입함으로써 브러쉬(208)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브러쉬(208)가 회전하는 부분을 대기압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본체(201)의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212)을 형성함으로써 청소헤드부(200)에 장판이 달라붙는 빨판효과를 제거해 줄 수 있다.
제 13a,b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헤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것은 바닥에 있는 오염물 및 물,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노즐(206)(207)이 청소기헤드 본체(201)의 전방, 후방에 형성되고 하부에 스퀴지(고무빗)(217a)(217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에 물을 분사해주는 분사노즐(205)이 있고, 바닥에 달라붙어 있는 오염물을 빗질하여, 분리시켜 세척하여 주는 브러쉬(208)가 칸막이(214)의 하부에 설치되는 그 브러쉬(208)를 구동시켜주는 헤드모터(209)가 칸막이(214)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 후방흡입노즐(206)(207)에서 흡입한 오염물이 유출되는 청소헤드흡입관(211)과 상기 분사노즐(205)에는 세액처리부(30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호스(213)(210)가 연결되어 있다.
제 13a,b 도에서 212는 헤드본체(201)의 주벽에 형성된 통공을 보인 것이고, 215a,215a은 풀리, 215c는 벨트, 216a, 216b는 바퀴를 보인 것이며, 220는 구동회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또다른 실시예의 청소헤드부(200)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면, 펌프, 분사노즐(205), 브러쉬(208), 헤드모터(209) 및 흡입노즐(206)(207)의 작동 및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같으나, 여기서는 전,후방헤드노즐(206)(207)의 하부에 스퀴지(고무비)(squeege)(217a)(217b)를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 스퀴지(217a)(217b)는 유연한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써 진공도(△P)를 유지시키는데 수월하다. 즉 전, 후방흡입노즐(206)(207)을 스퀴지(217a)(217b)로 보완하여 진공도(△P)유지가 간편하여 바닥의 잔류세액을 훨씬 우수하게 제거가 가능하다. 즉 진공도가 지나치게 크면 풍량이 현격히 떨어져서 흡입력이 저하되나, 스퀴지(217a)(217b)는 유연하여 진공도를 떨어뜨려서 일정한 진공도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그 반대현상에 대해서도 일정한 진공도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스퀴지(217a)(217b)가 유연하므로 고르지 못한 바닥에서도 일정한 진공도 유지가 가능하고 바닥의 오염물을 빗질하는 기능도 있어서 효과적이다.
헤드 본체(201)에 형성한 통공(212)은 앞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있다.
제 1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 15 도는 그 요부 단면도로서, 이 세액처리부(30)는 세액저장조(301')의 내측 중간부에 펌프(307)가 펌프설치관(307')에 고정되고, 펌프(307)의 양측부에는 세액유입관(314)과 세액토출관(3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1)의 상부에는 분리회수조(30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분리판(311)이 재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311)은 유동구(간극)(310)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그 일측부에 상향 분리돌부(31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1)의 분리판(311)상부에는 뚜껑(30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 결합구조의 한예로서 제 15 도와 같이 베이스(301)와 뚜껑(303)의 주연부에는 결합부(302a)(303a)가 형성되어 있어 실링(sealing)을 위하여 오링(315)을 개재하고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303)에는 중간에 반구형 차단부(308)가 형성되고 그 양측부에 하향분리돌부(308")를 가지는 반구형안내부(308')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303)의 양측부에는 흡입구(304)와 배출구(305)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09)이 흡입구(304)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1)의 하면 네모서리부에는 바퀴(3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다른 실시예의 세액처리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모니터가 작동하여 생긴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304)로 들어온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09)을 지나 반구형차단부(308)에 부딪히면서 세액이 분리되어 분리판(311)에 위치한 유동구(304)를 통해 분리회수조(302)에 모이게 된다.
이때 반구형차단부(308)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작은 물방울을 포함하는 공기는 분리판(311)의 분리돌부(311a)와 뚜껑(303)의 하향돌부(308")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작은 물방울은 충돌에 의해 커지면서 밑으로 흘러내려 유동구(310)를 통해 분리회수조(302)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분리회수조(302)에 모인 물은 흡입력에 의해 다시 빨려 돌아가려하는데 분리판(311)이 이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리돌부(311a)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구(305)를 지나 건식진공청소기의 흡입구쪽으로 가게된다.
한편, 세액처리부(300)의 세액펌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펌프(307)가 작동하면 세액저장조(301')안에 있는 세액이 세액유입관(313)을 통해 펌프(307)안으로 들어와 세액토출관(314)을 통해 청소헤드부(200)족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액처리부(300)의 전체적인 조립은 다음과 같이한다.
바퀴(316)가 있는 베이스(301)에 세액저장조(301')이 놓이고 그위에 펌프(307)가 설치되며 세액저장조(301')에서 확장되어 나온 가이드(guide)(301")에 분리회수조(302 )가 안착된다. 그위에 분리판(311)이 조립되고 뚜껑(303)에 분리회수조(302)가 맞추어진다. 이때 뚜껑(303)과 분리회수조(302)가 조립되는 부위에 오링(315)이 부착되어 모터동작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실링(sealing)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액처리부(300)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세액처리부(300)는 흡입된 세액과 공기를 여러개의 차단장치를 통과하면서 거의 완벽하게 세액을 분리시키며 뚜껑(303)의 형상을 이용하여 차단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차단구조가 없어도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했다. 또, 분리판(311)은 기화현상에 의해 분리회수조(302)에 있던 물이 다시 분리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제 16 도 및 제 17 도는 본 발명이 또다른 실시예에 의해 세액처리부(300)의 종단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보인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01)에는 세액저장조(301')가 삽입결합되고, 세액저장조(301')의 내측 중간부에는 펌프설치판(307')에 펌프(307)가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설치되며, 펌프(307)의 양측부에는 세액유입관(313)과 세액토출관(314)이 구비되고, 펌프커버(317)가 펌프(307)를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세액저장조(301')의 가이드(301'a) 내측에는 분리회수조(302)가 삽입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뚜껑(30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분리판(3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리회수조(302)와 뚜껑(303)은 주연부에 결합부(302a)(303a)가 형성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실링을 위한 오링(315)을 개재하고 결합된다.
상기 분리판(311)은 유동구(310a)(310b)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3)의 양측부에는 흡입구(304)와 배출구(30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1)의 하면 네모서리부에는 바퀴(3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에 연결한 상태에서 그에 내장된 모터가 작동하여 생긴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304)로 들어온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을 지나면서 부딪힌 후 분리판(311)의 유동구(310)를 통해 분리회수조(302)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뭉쳐진 물방울은 자중에 의해 분리회수조(302)안에 모이게 되고 분리된 공기는 그림 17에서 보여지는 분리판(311)의 유동구(310)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유로를 따라 배출구(305)측으로 나가게 된다. 분리판(311)의 또다른 역할은 증발등에 의해 분리회수조(302)에 모인 물이 다시 배출구(305)쪽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세액펌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펌프(307)가 작동하면 세액저장조(301')안에 있는 세액이 세액관(313)을 통해 펌프(307)안으로 들어와 세액토출관(314)을 통해 청소헤드부(200)쪽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세액처리조(300)는 흡입된 세액과 공기를 분리시키는데 있어서 분리판(311)의 유동구(310)에 의한 유로를 따라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에서 나온 공기가 배출구(305)로 배출되면서 가장 긴 경로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분리판(311)을 쓰지 않고도 물 분리를 효과적으로 시키도록 했다. 따라서 유로저항이 줄어들고 흡입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제 18a,b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조(300)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316)가 하면 네모서리부에 결합된 베이스(301)에는 중간부에 구분판(301a)이 형성되어 그 양측부에 세액저장조(세액저장공간)(301')와 펌프설치공간(307a)이 구비되어 있으며, 펌프설치공간(307a)에는 펌프(307)가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는 세액유입관(313)과 세액토출관(3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1)의 상부에는 분리회수소(302)가 삽입설치되고 분리회수조(302)의 상부에는 뚜껑(303)이 올려져 후크(325)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뚜껑(303)과 분리회수조(302)의 중간부에는 분리판(3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303)의 양측부에는 흡입구(304)와 배출구(305)가 고정되고 흡입구(304)에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이 내측으로 연결되고 배출구(305)에는 내측으로 필터(321)가 감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뚜껑(303)의 중간부에는 반구형요입면(324)을 하단에 가지는 반구형차단부(323)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의 유출단부 상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분리판(311)에는 상기 반구형차단부(32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동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차단부(323)의 일측부 즉, 배출측에 위치하도록 분리돌부(322)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액처리부(300)를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와 청소헤드부(200)를 연결한 후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모터를 작동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면, 흡입구(304)로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가 유입되고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를 지나 반구형차단부(323)에 부딪히면서 세액이 분리되어 분리판(311)에 형성된 유동구(310)를 통해 분리회수조(302)에 모이게 된다.
이때 반구형차단부(323)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작은 물방울을 포함한 공기는 분리돌부(322)에 다시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작은 물방울이 충돌에 의해 커지면서 밑으로 흘러내려 분리판(311)의 유동구(310)를 통해 분리회수조(302)에 모이게 된다. 이때 분리회수조(302)에 모인 물은 낮은 압력과 흡입력에 의한 공기흐름에 의해 다시 기화하여 빨려 올라가려 하는데 분리판(311)이 이것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리판(311)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321)를 통과한 후 배출구(305)를 지나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흡입구쪽으로 가게된다. 그리고, 세액펌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펌프(307)가 작동하면 세액저장조(301)안에 있는 세액이 세액유입관(313)을 통해 펌프(307)안으로 들어와 세액토출관(314)을 통해 청소헤드부(200)쪽으로 나가게 된다.
전체적인 조립은 다음과 같이한다. 바퀴(316)가 있는 베이스(301)에 세액저장조(301)와 펌프(307)가 위치해 있고, 그 위에 분리회수조(302)가 놓여지고, 다시 그 위에 분리판(311)이 높여진 후 뚜껑(303)이 장착되게 된다. 이때 결합방법은 분리회수조(302)측면에 달려있는 후크(325)가 뚜껑(303)하단에 있는 후크구멍(325')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이 세액처리부(300)는 흡입된 세액과 공기를 여러개의 차단장치를 통과시키면서 거의 완벽하게 세액을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세액을 저장하는 분리회수조(302)와 그 상부의 분리공간 사이에 분리판(311)을 둠으로써 기화현상에 의해 분리회수조(302)에 있던 물이 다시 분리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즉, 흡입된 물과 공기중에서 물을 완전히 제거시켜 줌으로써 기존의 건식진공청소기(100)에 연결사용시 흡입원 인 모터를 보해줄 수 있는 세액처리장치이다.
제 19도 및 제 20 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책처리부(300)와 건식진공청소기(100)의 결합상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를 보인 것이고, 제 21 도는 그 요부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네모서리부에 바퀴(316)가 달린 베이스(301)에는 세액저장조(301')와 분리회수조(302)가 삽입설치되고, 베이스(301)의 분리회수조(302)일측에는 펌프(307)가 설치되어 있으며, 펌프(307)의 양측부에는 세액유입관(313)과 세액토출관(31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리회수조(302)의 상부에는 뚜껑(30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뚜껑(303)하부에는 분리판(3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303)에는 흡입구(304)와 배출구(305)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304)에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이 연결되어 분리판(311)하측으로 연장돌출되고 상기 분리판(311)에는 유동구(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301)에는 청소기 걸이 (326)가 고정되어 있어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를 걸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분리 및 회수조(302)에는 손잡이(327)가 부착되어 있다.
제 22 도는 세액처리부(300)의 흡입구(304)와 청소헤드부(200)의 연결관(329)을 연결하고, 배출구(305)와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연결부(330)를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04)와 배출구(305)의 플랜지(332)에는 수개의 삽입홈(33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329) 및 연결부(330)의 단부에는 수개의 걸림돌기(33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331)를 상기 삽입홈(330)에 삽입하고 약 45°정도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액처리부(300)를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 및 청소헤드부(200)에 연결한 후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모터가 작동하여 생긴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304)로 들어온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을 거치면서 그 흡입통로 및 편향관(320)에 부딪혀 세액은 분리회수조(302)에 모이게 되고 분리된 공기는 분리판(311)에 위치한 유동구(310)를 통해 배출구(305)를 지나 건식 진공청소기(100)의 흡입구쪽으로 가게 된다. 또, 세액펌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핌프(307)가 작동하면 세액저장조(301')안에 있는 세액이 세액유입관(313)을 통해 펌프(307)안으로 들어와 세액토출관(314)을 통해 청소헤드부(200)쪽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액처리부(300)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공간을 줄였고 세액저장조와 분리 및 회수조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세액을 채우거나 회수조를 배울때 편리하게 했고 기존의 건식진공청소기를 걸 수 있는 청소기걸이부를 장착해 놓음으로써 이동시에 편리하도록 했다. 또한 분리 및 회수조를 각형으로 만들어 분리 및 회수조 형상으로 인해 생기는 필요없는 공간을 줄였다.

Claims (14)

  1. 세액을 분사하여 회전브러쉬(208)로 청소하고, 더러워진 세액을 흡입하는 청소헤드부(200)와, 세액을 저장하고 펌프(307)를 보유하여 세액을 상기 청소헤드부(200)에 공급하는 세액저장공간(301')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청소헤드부(200)에서 흡입된 더러워진 세액과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회수조(302)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헤드부(200)와 기존건식진공청소기(100)의 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세액처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헤드부는 청소헤드본체의 저면 전, 후방부에 전, 후방흡입노즐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회전브러쉬가 굴대설치됨과 아울러 일부측에는 회전브러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굴대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부에는 회전브러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며, 세액을 분사하기 위한 세액분사노즐이 내부에 설치되고 후방에는 더러워진 세액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헤드부의 전, 후방흡입노즐의 하단부에는 헤드본체 내부의 진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바닥의 세액의 흡입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된 스퀴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헤드부는 브러쉬 및 세액분사노즐에서 세액이 분사되는 공간을 대기압 조건으로 유지하여 장판이 달라붙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벽에 통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5. 제 1 항에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헤드부는 바퀴가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깨끗한 세액을 저장하는 세액저장조와, 더러워진 세액을 분리하는 분리회수조와, 상기 세액저장조에 결합되어 세액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회수조 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부에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흡입구에 내측으로 결합되는 흡입통로 및 편향관과, 상기 뚜껑과 분리회수조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구를 가지는 분리판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바퀴가 달린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베이스위에 세액 저장조가 삽입설치되고 그 위에 분리회수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베이스의 일측부에 세액 저장조가, 타측부에는 분리회수조가 탑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뚜껑에 반구형차단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흡입통로 및 편향관의 개구부가 반구형차단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리판의 중간부에는 상기반구형차단부에서 일차 분리되는 세액이 하측의 분리회수조로 떨어지도록 하는 유동구가 형성되는 한편, 세액을 이차로 분리하여 상기 유동구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의 양측부에는 하향 분리돌부를 가지는 반구형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의 일측부에는 상향 분리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분리판의 일측부에 유입측 유동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유출측 유동구가 형성되어, 뚜껑의 흡입구에서 흡입통로 및 편향관으로 유입되는 더러운 세액과 공기가 분리판의 유입측 유동구로 유입되고 분리회수조에서 분리된 후 유출출 유동구와 뚜껑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는 베이스에 세액저장조와 펌프설치공간이 일체로 구분판에 의하여 구분 형성되고 그 베이스위에 분리회수조와 뚜껑이 차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뚜껑의 일측부에는 반구형 요입면을 가지는 반구형차단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흡입 통로 및 편향관의 개구부가 반구형 요입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분리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반구형차단부에서 일차 분리되는 세액 일 분리회수조로 덜어지도록 하는 유동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분리판의 타측부에는 세액을 이차분리하여 상기 유동구를 통해 분리회수조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돌부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13. 제 6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배출구 내측부에는 세액을 삼차로 분리하기 위하여 필터를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액처리부의 베이스에는 청소기걸이가 구비되어 그 청소기걸이에 기존건식진공청소기를 걸어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KR1019900008008A 1990-05-31 1990-05-31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KR92000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008A KR920004231B1 (ko) 1990-05-31 1990-05-31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DE69121142T DE69121142T2 (de) 1990-05-31 1991-05-29 Staubsauger
US07/706,932 US5210902A (en) 1990-05-31 1991-05-29 Vacuum cleaner
EP91304851A EP0459783B1 (en) 1990-05-31 1991-05-29 Vacuum cleaner
JP3228129A JP2721280B2 (ja) 1990-05-31 1991-05-31 真空清掃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008A KR920004231B1 (ko) 1990-05-31 1990-05-31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575A KR910019575A (ko) 1991-12-19
KR920004231B1 true KR920004231B1 (ko) 1992-05-30

Family

ID=1929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008A KR920004231B1 (ko) 1990-05-31 1990-05-31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10902A (ko)
EP (1) EP0459783B1 (ko)
JP (1) JP2721280B2 (ko)
KR (1) KR920004231B1 (ko)
DE (1) DE691211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1178D0 (en) * 1992-10-08 1992-11-25 Vax Appliances Ltd Pick-up heads for vacuum cleaners
AU5120693A (en) * 1992-10-13 1994-05-09 Kipley Roydon Marks Separator
US5398373A (en) * 1993-01-04 1995-03-21 Bissell Inc.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US5483726A (en) * 1993-01-04 1996-01-16 Bissell Inc.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US5354347A (en) * 1993-03-29 1994-10-11 E. B. S. Equipment Broker Services, Inc. Vacuum cleaner utilizing water to capture dirt and debris
BE1007489A3 (nl) * 1993-09-10 1995-07-11 Philips Electronics Nv Zuighulpstuk, alsmede sproeiorgaan geschikt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zuighulpstuk en stofzuiger voorzien van een dergelijk zuighulpstuk.
US5375292A (en) * 1993-12-01 1994-12-27 All Pro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extraction of foreign materials
US5555597A (en) * 1994-12-29 1996-09-17 Shop Vac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verting a vacuum cleaning device into a liquid dispensing and suctioning system
US5655254A (en) * 1995-04-28 1997-08-12 Windsor Industries, Inc. Cleaning machine including removable recovery tank
US5542147A (en) * 1995-05-02 1996-08-06 Bissell Inc. Spray suction and agitator control and deep cleaning machine
US5657509A (en) * 1995-05-09 1997-08-19 Professional Chemical Corporation Vacuum extractor
US5867861A (en) * 1995-11-13 1999-02-09 Kasen; Timothy E. Upright water extraction cleaning machine with two suction nozzles
US5600866A (en) * 1995-12-12 1997-02-11 Shop Vac Corporation Cleaning fluid tank assembly
US5920955A (en) 1996-07-12 1999-07-13 Shop Vac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US5966775A (en) 1996-07-12 1999-10-19 Shop Vac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US5850668A (en) 1996-07-12 1998-12-22 Shop Vac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US5918344A (en) 1996-07-12 1999-07-06 Shop Vac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US6009596A (en) 1996-07-12 2000-01-04 Shop Vac Corporatio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US5946769A (en) * 1997-01-13 1999-09-07 Sprinkle; Richard Self-contained, closed-loop, hard surface and carpet cleaning apparatus
US6079076A (en) * 1997-07-31 2000-06-27 Shop-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collection bag
US5873930A (en) * 1997-08-29 1999-02-23 Sanchez; Angelo Water-air baffle filter
US6272719B2 (en) * 1998-12-03 2001-08-14 Winbond Electronics Corp. Dust-collecting barrow
US6112366A (en) 1999-01-20 2000-09-05 Shop Vac Corporation Outlet priming self-evacuation vacuum cleaner
US6533871B2 (en) 2001-01-12 2003-03-18 Royal Appliance Mfg. Co. Carpet extractor with dual nozzles for dual brushrolls
ITMI20020252U1 (it) * 2002-05-13 2003-11-13 S I El S R L Apparecchiatura per la pulizia dotata di un elemento filtrante a liquido
GB2405577A (en) * 2003-09-05 2005-03-09 Reckitt Benckiser Cleaning Device
DE102004025370B4 (de) * 2004-05-24 2011-09-29 Glen Dimplex Deutschland Gmbh Nass-/Trocken-Abscheideeinheit für einen Haushalts-Bodensauger
KR100608666B1 (ko) * 2004-05-31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습식 겸용 청소기
US7293326B2 (en) 2004-07-29 2007-11-13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alignment bracket
GB0427877D0 (en) * 2004-12-20 2005-01-19 Numatic Int Ltd Vacuum cleaning system
WO2006094089A1 (en) * 2005-02-28 2006-09-08 Shop Vac Corporation Dual-tank vacuum cleaner
CN100384361C (zh) * 2006-06-28 2008-04-30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吸尘器的地刷装置
US20080092926A1 (en) * 2006-10-23 2008-04-24 Kimball James F Cleaning apparatus with disposable elements and methods of cleaning
DE102007060847B4 (de) 2007-12-18 2013-09-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Abluftfiltereinrichtung
US20100125969A1 (en) * 2008-11-24 2010-05-27 Michael Genna Cleaning apparatus
US20110283475A1 (en) * 2010-05-18 2011-11-24 Cappuccio Louis W Vacuum cleaner conversion system
US9556987B2 (en) * 2012-07-25 2017-01-31 Ernest Allan OBryan Direct connect adapter device
JP5374631B1 (ja) * 2012-11-07 2013-12-25 有限会社 川本技術研究所 湿式吸引アタッチメント
CN105877620B (zh) * 2014-12-19 2019-01-11 北京雷动云合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结合机器人擦地装置的清洗机构
US20160287040A1 (en) * 2015-04-02 2016-10-06 Jay D. Geyer Vacuum cleaner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GB2547698B (en) * 2016-02-26 2020-11-25 Tyroc Industries Ltd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EP3841939A1 (en) * 2019-12-23 2021-06-30 Koninklijke Philips N.V. A wet and dry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9181A (en) * 1948-12-31 1951-04-17 Durham Luther Cleaning apparatus
US3048876A (en) * 1960-09-08 1962-08-14 Gen Electric Floor cleaning apparatus
US3431582A (en) * 1966-05-05 1969-03-11 Dale L Grave Cleaning device
US3490208A (en) * 1966-08-25 1970-01-20 Leonard Meyer Industrial heavy-duty vacuum cleaner
US3616482A (en) * 1967-11-13 1971-11-02 Wladyslaw Brycki Suction operated washing and cleaning apparatus
JPS5130074Y2 (ko) * 1971-05-31 1976-07-29
US3942217A (en) * 1972-06-07 1976-03-09 Bates Jack A Carpet cleaning machine
JPS5022720A (ko) * 1973-07-03 1975-03-11
US3958298A (en) * 1974-08-01 1976-05-25 Servicemaster Industries Inc. Cleaning nozzle
US4122579A (en) * 1975-04-23 1978-10-31 Parise & Sons, Inc. Steam cleaner dump bucket
JPS5267650A (en) * 1975-12-03 1977-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eflection control system
US4078908A (en) * 1976-11-24 1978-03-14 Parise & Sons, Inc. Dump bucket for a wet-dry vacuum system having improved liquid flow characteristics
US4218805A (en) * 1978-11-03 1980-08-26 Vax Appliances Limited Apparatu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and the like
US4226000A (en) * 1979-02-23 1980-10-07 Herbert Tribolet Wet and dry vacuum cleaning system
US4234995A (en) * 1979-07-09 1980-11-25 Parise & Sons, Inc. Power scrubber with pivotably mounted recovery head
US4327459A (en) * 1980-04-14 1982-05-04 Metropolitan Vacuum Cleaner Co., Inc. Combined steam and vacuum cleaner
JPS57148689A (en) * 1981-03-09 1982-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Ink sheet for heat-sensitive copying
JPS5843363A (ja) * 1981-09-08 1983-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冷凍サイクル
JPS5932135B2 (ja) * 1982-05-13 1984-08-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じゅうたん洗浄ノズル
DE3231679A1 (de) * 1982-08-26 1984-03-01 Lothar 5800 Hagen Hess Staubsauger fuer den haushaltsbedarf
US4586208A (en) * 1984-12-17 1986-05-06 Tennant Company Floor maintenance machine and method
CH670197A5 (ko) * 1986-05-16 1989-05-31 Siprotech Maschinen & Apparate
CA1323146C (en) * 1987-06-02 1993-10-19 Carl Salmon Cleaning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575A (ko) 1991-12-19
EP0459783B1 (en) 1996-07-31
EP0459783A1 (en) 1991-12-04
US5210902A (en) 1993-05-18
DE69121142D1 (de) 1996-09-05
DE69121142T2 (de) 1997-02-06
JP2721280B2 (ja) 1998-03-04
JPH04231016A (ja) 199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231B1 (ko) 건식진공청소기를 습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부대장치
KR200497014Y1 (ko) 표면 청소 장치
KR100619787B1 (ko) 습식 청소 기능을 구비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EP0695136B1 (en) Portable steam vacuum cleaner with squeegee
US6598262B2 (en) High pressure printing press cleaner
CN109700378B (zh) 用于真空吸尘器的表面清洁头
CN211408902U (zh) 用于湿式表面清洁装置的地面吸嘴及湿式表面清洁装置
CN109528074B (zh) 表面清洁基座
KR100565262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US4127913A (en) Fabric cleaning device
KR100619754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CN209808210U (zh) 用于湿式地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100761762B1 (ko) 로봇청소기
KR20060037185A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CN210810819U (zh) 用于湿式表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940001037Y1 (ko) 걸레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
KR92001068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회수세액 제거장치
KR920010683B1 (ko) 건식청소와 물청소가 가능한 습건식 진공청소기
KR920010681B1 (ko) 건식청소와 물청소가 가능한 습건식 진공청소기
KR200408333Y1 (ko)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CN209951157U (zh) 用于湿式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200381912Y1 (ko) 로봇청소기
KR100677257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CN111743454B (zh) 用于湿式地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KR2006010050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노즐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