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757B1 -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757B1
KR100662757B1 KR1020000085469A KR20000085469A KR100662757B1 KR 100662757 B1 KR100662757 B1 KR 100662757B1 KR 1020000085469 A KR1020000085469 A KR 1020000085469A KR 20000085469 A KR20000085469 A KR 20000085469A KR 100662757 B1 KR100662757 B1 KR 10066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cell stack
fan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159A (ko
Inventor
윤홍식
김인규
김혁덕
박일권
박명석
이성환
이명호
황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8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7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Abstract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는 케이스(13)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구(11)로 흡입되는 먼지와 오물을 필터링하는 백 필터(30)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17)을 구동하는 팬모터(18)와, 그 팬모터(18)에 인가되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19)과, 그 연료전지 스택(19)에 액체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통(20)과, 그 연료통(20)의 하면 후위와 스택(19)의 상면 후위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21)으로 구성되어, 연료전지 스택(19)의 발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원에 의하여 팬모터(18)가 구동이되어 흡입력이 발생되고, 그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및 오물이 백 필터(30)에 필터링되며, 청소기가 수직상태로 세워지는 경우에도 연료통(20)의 연료가 스택(19)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발전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FUEL CELL DRIVING TYPE CLEANER}
도 1은 종래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흡입구 13 : 케이스
13a : 배기공 17 : 팬
18 : 팬모터 19 : 연료전지 스택
20 : 연료통 21 : 연료공급라인
30 : 백 필터
본 발명은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기가 수직상태가 되어도 별도의 펌프 없이 연료통의 액체연료가 연료전지 스택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기는 본체(1)의 일측에 오물 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2)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코드(3)가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케이스(4) 내측 전방에는 흡입되는 먼지와 오물을 필터링하는 백 필터(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는 팬(6)이 장착된 모터(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 필터(5)와 팬(6) 사이에는 다수개의 흡입공(8a)들이 형성된 차단벽(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4)의 후면에는 팬(6)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공(8a)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디수개의 배기공(1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청소기는 사용자가 전원코드(3)를 콘센트에 꽂고, 스위치를 조작하면 모터(7)에 회전력에 의하여 팬(6)이 회전되며 흡입력이 되어 흡입관(2)을 통하여 먼지와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흡입되는 먼지와 오물은 백 필터(5)에서 필터링되고, 공기는 흡입공(8a)들을 통하여 흡입되어 배기공(1a)을 통하여 케이스(4)의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는 발전소에 송전되는 가정용 전원이 있는 곳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므로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시 코드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청소하는데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코드가 필요 없도록 연료전지를 청소기에 장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연료전지의 장착은 액체연료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펌프가 필요하여 청소기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가 수직상태가 되어도 펌프 없이 연료통의 액체연료가 연료전지 스택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다수개의 배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백 필터와, 그 백 필터의 후위에 설치되며 팬이 고정된 팬모터와, 그 팬모터를 구동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그 연료전지 스택의 상측에 설치되어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통과, 상기 케이스가 수직상태로 되어도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료통의 하면 후위와 연료전지 스택의 상면 후위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는 일측에 흡입공(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흡입관(12)이 결합되어 있으며, 후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3a)들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3)의 내측이 다수개의 흡입공(14a)들이 형성된 차단벽(14)에 의하여 전방의 집진실(15)과 후방의 기계실(16)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15)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공(14a)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와 오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백 필터(30)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16)의 내측 전방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17)을 구동하는 팬모터(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팬모터(18)의 후방에는 전기를 발생시켜서 팬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전지 스택(19)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연료전지 스택(19)의 상측에는 연료전지 스택(19)에 공급되는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통(2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통(20)의 하면 후위와 연료전지 스택(19)의 상면 후위에 연결되도록 연료공급라인(21)이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기가 수직상태가 되어도 연료통(20)에서 연료전지 스택(19)에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기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면 연료통(20)의 액체연료가 스택(19)에 공급되어 양극과 음극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되고, 그와 같이 발생되는 전기에 의하여 팬모터(18)의 팬(17)을 회전시켜서 청소기 케이스(13)의 내측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며, 그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관(12)으로 먼지 또는 오물이 흡입이되고, 그 흡입되는 먼지와 오물은 백 필터(30)에 포집되어 지며, 공기는 흡입공(14a)들을 통하여 흡입된 후에 다시 배기공(13a)들을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기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때에도 연료통(20)의 연료가 연료공급라인(21)을 통하여 스택(19)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므로 연료전지 스택(19)의 발전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는 액체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의 하면 후위와 연료전지 스택의 상면 후위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도록 연료공급라인을 설치하여, 연료통의 연료가 스택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청소기가 수직상태로 세우는 경우에도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별도의 펌핑수단 없이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다수개의 배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백 필터와, 그 백 필터의 후위에 설치되며 팬이 고정된 팬모터와, 그 팬모터를 구동하는 연료전지스택과, 그 연료전지 스택의 상측에 설치되어 그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통과, 그 케이스가 수직상태로 되어도 액체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그 연료통의 하면 후위와 그 연료전지스택의 상면 후위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KR1020000085469A 2000-12-29 2000-12-29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KR10066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469A KR100662757B1 (ko) 2000-12-29 2000-12-29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469A KR100662757B1 (ko) 2000-12-29 2000-12-29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159A KR20020056159A (ko) 2002-07-10
KR100662757B1 true KR100662757B1 (ko) 2007-01-02

Family

ID=2768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469A KR100662757B1 (ko) 2000-12-29 2000-12-29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7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382A (ja) * 1994-11-04 1996-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382A (ja) * 1994-11-04 1996-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159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340423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619787B1 (ko) 습식 청소 기능을 구비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JP3221609U (ja) ハンドヘルド掃除機
WO1994002063A1 (en) Vacuum cleaner
EP1602306B1 (en) Complex type suction cleaner
CA2552302A1 (en) Vaccum cleaner equipped with bag compartment including a bag cage
KR200377710Y1 (ko)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KR100662757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CN101242770A (zh) 真空清洁器的过滤器安装结构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CN109770797A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清洁机器人
CN209884055U (zh) 卧式表面清洁设备
KR100662758B1 (ko) 연료전지를 이용한 청소기
CN215502736U (zh) 用于清洁机的除螨头及具有该除螨头的清洁机
KR100662759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KR970000317Y1 (ko) 습건식 전기 소제기
CN218870179U (zh) 洗地机
KR100700186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CN215738684U (zh) 吸尘器进气口的单向阀结构
KR102589494B1 (ko) 송풍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CN218870184U (zh) 水箱及其清洁设备
CN218684131U (zh) 一种扫地机
CN218009526U (zh) 一种吸尘器
CN215502769U (zh) 一种用于清洁机的风机组件及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