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753Y1 -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753Y1
KR930005753Y1 KR2019910007827U KR910007827U KR930005753Y1 KR 930005753 Y1 KR930005753 Y1 KR 930005753Y1 KR 2019910007827 U KR2019910007827 U KR 2019910007827U KR 910007827 U KR910007827 U KR 910007827U KR 930005753 Y1 KR930005753 Y1 KR 930005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aser
barcode
rotating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975U (ko
Inventor
정종선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7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753Y1/ko
Publication of KR920021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주사 패턴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4a, b도는 종래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 6 : 1차 회전다면경
7 : 2차 회전다면경
본 고안은 바코드 라벨에 새겨진 바코드의 광학적 반사율 차이를 신호로 받아들여 전기적 데이터로 변화시키는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Bar Code Laser Scanner)의 레이저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캐너의 상부로 물류를 흐르게하는 고정형 스캐너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는 레이저 주사방식에 의한 바코드의 해독을 위치나 자세에 관계없이 안정된 해독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기본원리는 미세한 레이저광이 스캐너(레이저 주사광학계)를 통해 바코드상을 이동하면서 방출되며 광반사율이 상이한 바(Bar)와 스페이스(Space)로 구성된 바코드상의 반사광 강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 변화를 2개 신호로 변환시키고 복조회로로서 해독하게 된다.
이러한 레이저 스캐너는 레이저광이 여러번 바코드상을 주사하기 때문에 해독정밀도가 대단히 높고 스캔폭(유효해독범위)을 넓게 취할 수 있으며, 검출물이 정지 또는 이동해도 해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인식 장치로서 대단히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때 스캐너에서 래스터(Raster)주사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사체의 설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래스터 주사패턴을 만들기위해 제4a도와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거울(2)(3)을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하여 각기다른 모터(2a)(3a)를 이용, 진동거울(2)(3)을 진동시키거나, 회전다면경(4)(5)을 교차되도록 설치하여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1)에서 나온 빔(11)이 모터(2a)에 의해 움직이는 진동거울(2)이나 회전다면경(4)에 입사되어 단일 주사선을 만들어 그 주사선을 다시 상호교차되게 설치된 또다른 진동거울(3)이나 회전다면경(5)으로 입사시켜 횡방향의 주사선이 상호로 움직이는 주사를 얻게되는데, 이때 1차 반사체의 주사 주파수가 2차 반사체의 주사주파수 보다 커야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래스터 주사패턴을 얻기위해서 진동거울(2)(3)이나 회전다면경(4)(5)을 구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구동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광학계 및 구동부의 설치공간이 커지게되어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었음은 물론 래스터 주사를 위해서는 두개의 반사체 주사속도를 적절히 동기화 시켜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1개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래스터 주사패턴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광원에서 나온 빔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1차 회전다면경에 입사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1차 회전다면경의 상방에 2차 회전다면경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회전다면경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거울을 설치하여 1차 회전다면경에서 입사된 수평주사빔이 고정거울을 통해 2차 회전다면경에 수직주사빔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여서된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요부사시도로서, 모터(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회전하는 1차 회전다면경(6)의 상부에 2차 회전다면경(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회전다면경(6)(7)의 일측에는 광원(1)에서 나온 빔(11)이 1차 회전다면경(6)에서 의해 수평주사빔(12)으로 변화되어 2차 회전다면경(7)으로 주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거울(8)(9)(10)을 별도의 고정편(도시는 생략함)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광학계의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3개의 고정거울을 수직관계로 배치하였으나, 고정거울을 적절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면 2개만 설치하여도 수평주사빔을 수직주사빔으로 바꾸어 2차 회전다면경(7)에 입사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주사각도와 주사선의 수 그리고 간격은 회전다면경의 구조, 특히 1차 회전다면경의 수(n)와 2차 회전다면경의 수(m)에 의해 결정되는데, 각각의 주사선이 갖는 주사각도는 1차 회전다면경의 수(n)에 의해 결정되고 수직주사선의 수( )는 n의 m에 대한 배수, 즉 n/m으로 결정되며 주사선의 간격은 2차 회전다면경의 수(m)와 주사선의 수( )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주사패턴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광원(1)에서 나온 빔(11)이 1차 회전다면경(6)에 의해 수평주사빔(12)으로 변화되어 고정거울(8)을 통해 방향이 바뀌어진 다음 또다른 고정거울(9)에 반사되어 수직주사로 변화되어 고정거울(10)을 통해 2차 회전다면경(7)에 입사된다.
따라서, 2차 회전다면경(7)에 입사된 수직주사빔은 결국 제2도와 같은 래스터 주사패턴을 갖는 주사빔으로 변화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사패턴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주사선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광학계를 조절하여 단일주사에 비해 수평방향은 물론 수직방향의 주사능력도 갖도록 한 것으로 바코드 라벨(18)의 높이가 높을 경우, 주사선(14)에 의해서는 완전히 주사되지 못하지만 또다른 주사선(15)(16)에 의해 완전 주사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바코드 라벨(18)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완전 주사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장치는 1, 2차 회전다면경(6)(7)을 일체로 형성하여 1개의 모터로 구동시킬 수 있게되어 있으므로 주사속도의 동기화가 필요없게 됨은 물론 모터의 회전속도만 증가시키면 래스터 스캔의 주사패턴이 변형되지 않고 주사속도가 증가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3a~c도는 본 고안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요부인 1, 2차 회전다면경(6)(7)을 에러형태로 일체화하여 설치한 것으로 그 일측으로 다수개의 고정거울을 적절히 배치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Claims (1)

  1. 광원(1)에서 나온 빔(11)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1차 회전다면경(6)에 입사시키도록 된것에 있어서, 1차 회전다면경(6)의 상방에 2차 회전다면경(7)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회전다면경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거울을 설치하여 1차 회전다면경(6)에서 입사된 수평주사빔이 고정거울을 통해 2차 회전다면경(7)에 수직주사빔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KR2019910007827U 1991-05-30 1991-05-30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KR930005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827U KR930005753Y1 (ko) 1991-05-30 1991-05-30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827U KR930005753Y1 (ko) 1991-05-30 1991-05-30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75U KR920021975U (ko) 1992-12-19
KR930005753Y1 true KR930005753Y1 (ko) 1993-08-27

Family

ID=1931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827U KR930005753Y1 (ko) 1991-05-30 1991-05-30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7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75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8232B1 (en) Optical beam scanner for reading bar-codes
US3902048A (en) Omnidirectional optomechanical scanning apparatus
US4938551A (en) Light-scanning reader
EP0532205B1 (en) Method of producing an omnidirectional scan pattern
US4999482A (en) Optical scanning system for a bar code reader
KR100329535B1 (ko) 광학주사장치
EP0848344B1 (en) A scanning reader of an optical code placed on an article in movement and a method of scanning said optical code by means of said reader
KR930005753Y1 (ko)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주사장치
JPH07200714A (ja) 光学記号読取装置
US5975418A (en) Bar code scanner with increased number of scanning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WO1991013341A1 (en) Scanning apparatus
JPH05205088A (ja) 光学スキャナの焦点変更装置および方法
EP0347030A2 (en) Scanning device and method
KR20000012043A (ko) 화상기록개시위치정밀제어가능한멀티-빔화상형성장치및방법
KR100327046B1 (ko) 광주사장치
JPH0131235B2 (ko)
KR940000708Y1 (ko) 바코드 스캐너용 다방향 주사 광학장치
JPH11231239A (ja) 光学走査装置
KR19980030974A (ko) 광주사 장치
KR19990018444A (ko) 스캐닝 광학 시스템
KR100310132B1 (ko) 2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
JPH05143766A (ja) レーザ走査式バーコードリーダ
JPS59151124A (ja) ポリゴンスキヤナ
JPS6273386A (ja) バ−コ−ド読取装置
JPH04213177A (ja) バーコードリ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