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86B1 -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86B1
KR930005186B1 KR1019900012809A KR900012809A KR930005186B1 KR 930005186 B1 KR930005186 B1 KR 930005186B1 KR 1019900012809 A KR1019900012809 A KR 1019900012809A KR 900012809 A KR900012809 A KR 900012809A KR 930005186 B1 KR930005186 B1 KR 93000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counter
clock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643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86B1/ko
Publication of KR92000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수직 및 수평동기 파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럭발생부 20 : 분주부
30 : 수평동기발생부 40 : 수직동기발생부
본 발명은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신호를 디지타이징하거나 디스플레이시 정지화상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처리의 응용분야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실용화되고 있으며 통신분야에 있어서는 정지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화상 통신이라함은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디지탈 처리하고 이를 변복조하여 아나로그 통신회선을 이용 소정상태로 정지된 정지화면을 전송하는 통신방식을 말하고 있다.
정지화상 통신을 일반 아나로그회선(전화선)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이 하여야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다.
일반 아나로그회선을 통하여 상대측 화상전화기에 흑백 정지화면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로부터 발생되는 화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화상메모리에 저장해놓은 다음 변조시켜 송신해야 한다.
또 상대측 화상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시킨후의 디지탈 화상데이타를 화상메모리 내에 저장한 다음, 다시 화상신호로 바꾸어 CRT(Cathode Ray Tube)에 주입하여 흑백 정지화면을 CRT화면상에 나타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통신을 실행할때 카메라에서는 2 : 1비월주사에 의해 화상신호를 만들어내며 각종 동기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제1도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V)와 수직동기신호(VS)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NTSC나 PAL방식은 비월주사 방식이기 때문에 수직화소수가 240이하인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때는 기수필드나 우수필드중의 어느 한 필드만이 다시 타이밍(Digitizing)시 선택된 후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므로 수평동기신호(HS)와 수직동기(VS)의 동기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정지화면이 수직으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신호를 디지타이징하거나 디스플레이시에 정지화상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배수의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는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소정의 클럭신호(14,318MHZ)를 발생하는 클럭발생부(10)와, 상기 클럭발생부(10)의 14,318MHZ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3,58MHZ 신호로 출력하는 분주부(20)와, 상기 분주부(20)에서 분주된 3,58MHZ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3,58MHZ 클럭신호의 정배수가 되도록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평동기발생부(30)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클럭으로 입력하여 수평동기신호의 정배수가 되도록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동기신호발생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클럭발생부(10)는 크리스탈발진기(X1) 및 저항(R1)과 인버터(I1)기 병렬연결되고 상기 인버터(I1)의 양단과 접지사이에 캐패시터(C1-C2)가 각각 병렬연결되며 상기 인버터(I1)와 캐패시터(C2)의 연결노트에 인버터(I2)가 연결되고 수평동기발생부(30)는 상기 분주부(20)의 출력을 제1클럭단(CLK1) 입력하여 카운팅하여 출력단(1Q0-1Q3, 2Q0-2Q3)으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단(1Q3)의 제2클럭단(CLK2)에 연결된 제카운터(31)와 상기 제1카운터(31)의 출력단(1Q0 ; 2Q0)의 카운팅값을 입력하는 동시에 출력단(1Q1-1Q3, 2Q1-2Q3)의 카운팅값을 인버터(I4-I9)를 통해 입력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2)와, 상기 앤드게이트(AN2)의 논리값을 클럭단(CLK)으로 입력하여 래치출력하는 플립플롭(32)와, 상기 분주부(20)의 분주된 신호를 인버터(I3)를 통해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1카운터(31)의 출력단(1Q2, 2Q1-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입력하여 상기 제1카운터(31) 및 플립플롭(32)의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N1)로 구성되며, 수직동기발생부(40)는 상기 수평동기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제3클럭단(CLK3)으로 입력하여 카운팅하여 출력단(1Q0-1Q3, 2Q0-2Q3) 출력하며 상기 출력단(1Q3)이 제4클럭단(CLK4)에 연결된 제2카운터(41)와,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클럭단(CLK)으로 입력하여 카운팅 출력하느 제3카운터(43)와,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1Q0-1Q1)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입력하는 동시에 출력단(1Q2-1Q3, 2Q0-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인버터(I12-I17)을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3카운터(43)의 카운팅출력값을 인버터(I18)을 통해 입력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4)와, 상기 앤드게이트(AN4)의 논리값을 클럭단(CLK)으로 입력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42)과,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1Q1-1Q2)으로 출력된 카운팅값 및 상기 제3카운터(43)에서 출력된 카운팅값과 상기 수평동기발생부(30)의 출력값을 인버터(I11)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제2-3카운터(41, 43)와 플립폴립(42)의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AN3)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1도의 각부동작 파형도로서,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크리스탈발진기(X1) 및 인버터(I1-I2)와 저항(R1) 및 캐패시티(C1-C2)로 구성된 클럭발생부(10)에서 발생된 제3도(3A)와 같은 14,318MHZ 클럭신호는 분주부(20)를 통해 4분주되어 제3도(3B)와 같은 3,58MHZ 클럭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분주부(20)의 출력신호를 제1클럭단(CLK1)으로 입력하는 제1카운터(31)는 카운팅하여 출력단(1Q0-1Q3, 2Q0-2Q3)으로 카운팅값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카운터(31)가 카운팅하여 17이 될 때 즉 00010001일 때 앤드게이트(AN2)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인 하이신호를 클럭단(CLK)으로 입력하는 플립플롭(32)은 출력단(Q)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상기 플립플롭(32)이 세트된다.
상기 플립플롭(32)이 하이로 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제1카운터(30)의 카운팅 출력값이 228이 될 때 즉 11100100일때 상기 분주부(20)의 출력신호가 인버터(I3)을 통해 반전된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31)의 출력단(1Q2, 2Q1-2Q3)으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는 앤드게이트(AN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AN1)의 출력인 하이신호는 제1카운터(30)를 클리어 시키는 동시에 인버터(I10)을 통해 반전되어 상기 플립플롭(32)을 클리어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32)은 출력단(Q)으로 제3도(3C)와 같은 로우 17클럭(CLK), 하이 211클럭(CLK)의 수평동기신호(HS)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32)의 출력단(Q)으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를 제3클럭단(CLK)으로 입력하는 제2카운터(41)는 카운팅하여 출력단(1Q0-1Q3, 2Q0-2Q3)으로 카운팅값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2Q3)로 출력된 신호를 클럭단(CLK)으로 입력하는 제3카운터(43)는 카운팅하여 출력단(3Q0)으로 카운팅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3카운터(41, 43)가 카운팅하여 3이 될 때 즉 000000011일 때 앤드게이트(AN2)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인 하이신호를 클럭단(CLK)으로 입력하는 플립플롭(42)은 출력단(Q)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상기 플립플롭(42)이 세트한다.
상기 플립플롭(42)이 하이로 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카운터(41, 43)의 카운팅 출력값이 262가 될 때 즉 100000110일때 상기 플립플롭(32)의 출력신호가 인버터(I11)을 통해 반전된 신호와 상기 제2-3카운터(31, 41)의 출력단(1Q2, 2Q1-2Q3, 3Q0)으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는 앤드게이트(AN1)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AN3)의 출력인 하이신호는 제2-3(30)를 클리어시키는 동시에 인버터(I19)을 통해 반전되어 상기 플립플롭(42)을 클리어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42)은 출력단(Q)으로 제3도(30)와 같은 로우 3H, 하이 259H의 수직동기신호(HV)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화상을 디지타이징하거나 디스플레이시에 정수배의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정지화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부(10)와, 상기 클럭발생부(10)의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출력하는 분주부(20)와, 상기 분주부(20)에서 분주된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클럭신호의 정배수가 되도록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평동기발생부(30)와, 상기 수평동기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클럭으로 입력하여 수평동기신호의 정배수가 되도록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동기신호발생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발생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동기발생부(30)는 상기 분주부(20)의 출력을 제1클럭단(CLK1) 입력하여 출력단(1Q0-1Q3, 2Q0-2Q3)으로 카운팅값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단(1Q3)이 제2클럭단(CLK2)에 연결된 제1카운터(31)와, 상기 제1카운터(31)의 출력단(1Q0, 2Q0)의 카운팅값을 입력하는 동시에 출력단(1Q1-1Q3; 2Q1-2Q3)의 카운팅값을 인버터(I4-I9)를 통해 입력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2)와, 상기 앤드게이트(AN2)의 논리값을 클럭단(CLK)으로 입력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32)와, 상기 분주부(20)의 분주된 신호를 인버터(I3)를 통해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1카운터(31)의 출력단(1Q2, 2Q1-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입력하여 상기 제1카운터(31) 및 플립플롭(32)의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AN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발생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동기발생부(40)는 상기 수평동기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제3클럭단(CLK3)으로 입력하여 출력단(1Q0-1Q3, 2Q0-2Q3)으로 카운팅값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단(1Q3)이 제4클럭단(CLK4)에 연결된 제2카운터(41)와,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클럭단(CLK)으로 입력하여 카운팅 출력하는 제3카운터(43)와,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1Q0-1Q1)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입력하는 동시에 출력단(1Q2-1Q3, 2Q0-2Q3)으로 출력된 카운팅값을 인버터(I12-I18)을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3카운터(43)의 카운팅 출력값을 입력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4)와, 상기 앤드게이트(AN4)의 논리값을 입력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42)와, 상기 제2카운터(41)의 출력단(1Q1-1Q2)으로 출력된 카운팅값 및 상기 제3카운터(43)에서 출력된 카운팅값의 상기 수평동기발생부(30)의 출력값을 인버터(I11)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제2-3카운터(41, 43)와 플립플롭(42)의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AN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발생 회로.
KR1019900012809A 1990-08-20 1990-08-20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KR93000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2809A KR930005186B1 (ko) 1990-08-20 1990-08-20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2809A KR930005186B1 (ko) 1990-08-20 1990-08-20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43A KR920005643A (ko) 1992-03-28
KR930005186B1 true KR930005186B1 (ko) 1993-06-16

Family

ID=1930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809A KR930005186B1 (ko) 1990-08-20 1990-08-20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61B1 (ko) * 2000-11-13 2003-03-26 애경산업(주) 고분자 유화 타입의 오일-프리형 수중유 조성물
KR100442451B1 (ko) * 2001-07-13 2004-07-30 김원규 자외선차단 및 곤충기피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43A (ko) 199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07557A (ja) コンピュータビデオ信号からテレビジョンカラー副搬送波周波数信号を導出する装置及び方法
KR930005186B1 (ko) 정지화상 전화기의 동기 발생회로
CA1200891A (en) Color subcarrier generator
JP3652009B2 (ja) クロックジェネレータ
JP3911862B2 (ja) ピクセルクロック信号生成装置および同期信号生成装置
KR100272273B1 (ko) 동기 신호 검출 회로 및 방법
KR0161400B1 (ko) 디지탈 영상 신호 처리용 안정된 영상 제어 신호 발생 장치
KR100227425B1 (ko) 1픽셀 오차를 제거한 이중화면 표시장치
US4833523A (en) Chroma crawl elimination without any cumulative difference in frame time
US4701795A (en) Method and means to eliminate interaction between closely located cathode ray tubes
FI84546C (fi) Bildaotergivningsanordning innefattande en omvandlingskrets foer bildfaeltantalet.
JP3573784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S6153880A (ja) 文字画像表示制御装置
KR900006305Y1 (ko) 영상신호의 수평 수직동기신호 및 필드검출회로.
JP3118809B2 (ja) 同期回路
KR920009066B1 (ko) 배밀 주사용 수평동기 발생회로
KR100285431B1 (ko) 수평동기신호발생기
KR100243364B1 (ko) 동기 발생 ic를 이용한 더블 스캔 컨버터 회로
KR940001381Y1 (ko) 모니터의 주사선수 변환장치
JPH0321918B2 (ko)
KR0180617B1 (ko) 필드판별회로
JP3083031B2 (ja) 文字放送装置
JP3221562B2 (ja) 擬似映像信号生成回路
KR200147281Y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KR0175039B1 (ko) 영상 신호의 지터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