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68B1 -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 Google Patents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68B1
KR930005168B1 KR1019880001131A KR880001131A KR930005168B1 KR 930005168 B1 KR930005168 B1 KR 930005168B1 KR 1019880001131 A KR1019880001131 A KR 1019880001131A KR 880001131 A KR880001131 A KR 880001131A KR 930005168 B1 KR930005168 B1 KR 93000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valve
skirt
inner knob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322A (ko
Inventor
더블류. 힐만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리갈 웨어, 인크.
윌리암 지. 크루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갈 웨어, 인크., 윌리암 지. 크루커 filed Critical 리갈 웨어, 인크.
Publication of KR88001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2Alarms or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2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with signaling means, e.g. whistlin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청신호 밸브 노브(knob)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3도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노브 및 그 내부에 상기 노브가 장착되는 용기 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노브의 부분 절췌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내부 노브 기부 23 : 호형부분
24 : 요구부 30 : 외부 노브
31 : 스커트 35,53,65,76,85 : 오리피스
60 : 밸브 활주 부재 50 : 노브 카버
70 : 판스프링 80 : 내부 노브 정부
82 : 턱
“무수(waterless)” 조리법은 오래 되었으며, 증기가 형성될때 노브들은 조리 온도에 도달되었음을 지시하게 된다. 경적(whistle)이 마련되어 있고 경적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 조리 용기 정부(top)들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의 뚜껑들은 본 발명의 장치와는 기계적으로 판이하다. 상기 노브들은 분해할 수 없다. 세척을 위해 분해할 수 있는 선행 노브들 중의 몇몇은 증기압에 의해 노브 부분이 불시에 분리되어, 노브가 유실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부상을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현존의 밸브 조립체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불시에 삽입되어 부상되거나 또는 조합 및 분해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 용기의 뚜껑의 개구부를 상당히 축소시킨 것에 대한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인 미합중국 특허 제4,418,637호(Heermans)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조리용기의 정부 또는 뚜껑의 노브에는 경적, 공명실, 별도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활주 밸브 조립체가 마련된다. 노브는 다음과 같은 6개의 주요 부분들을 갖는다. 뚜껑 내의 보족 개구부들을 통하여 돌출되는 두개의 접합하게는 두개 이상의 호형 부분들을 갖는 내부 노브 기부 ; 기부 부분을 계합시키고 경적 오리피스 및 공명실의 일부를 반송하는 내부 노브 정부 ; 뚜껑 계합부, 비대칭 활주 밸브 안내부들 및 정지부들, 및 공명실 상부 부분을 반송하는, 용기 뚜껑의 외측면에서 기부 부분이 체결되는 상부 본체부 ; 상부 본체상의 안내부들 및 정지부들에 대해 비대칭 접촉부들을 결합시키도록 성형된 활주밸브 부재 ; 상부 본체에 비회전식으로 체결되어 밸브 활주 부재를 감싸고 장식 무늬 또는 문자 식각용 표면을 제공하고 또한 공명실에서 노브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밸브 노브 카버 부분 ; 슬라이드 밸브 부재와 밸브 카버 부분 사이에 지지되어 밸브의 착좌상태를 보조하고 밸브 부재를 정위치에 보유하는 판스프링.
상기 각각의 부분들은 증기 및 음향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밸브 활주 부재 내의 개구부는 다른 개구부들과 정렬된 위치로부터 다른 개구부들로부터 편위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노브 기부를 노브의 잔여 부분에 대해 나사 조립하고 내부 노브 정부를 내부 노브 기부에 대해 스냅 결속하였기 때문에, 상기 부분들을 용기 정부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세척을 할 수 있고 세척이 필요한 부분들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공명실은 세척이 용이한 3개의 부분들로 분리된다. 필요하면, 두개의 나사를 발출하여 보다 완전한 세척을 위해 노브를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다음에 밸브 스프링을 쉽게 발출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여러 부분들의 형태는 정확한 조립 상태를 지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부분들을 관찰함으로써 정확한 조립 상태를 쉽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활주 부재는 조립시에 단지 제한된 이동만을 할 수 있도록 제조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노브는 충분히 크게 하여 중심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와 접촉하지 않고서도 노브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내용물이 경적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조리 온도에 도달되면, 활주 밸브를 폐쇄하고 온도를 하강시켜 감소된 압력 및 온도하에서 무수 조리를 하도록 한다. 상기 모든 특징들은 본 발명에 모두 존재할 필요는 없으나, 그러한 것이 적합하다. 활주 밸브는 카버의 보조에 의해 증기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후술하는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써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로 정의되는 본 발명을 이에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조리 용기(10)의 정부에서 두개의 호형 개구부(11)과 중앙 개구부(12)가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노브의 여러 부분들이 장착된다. 상기 여러 부분은 내부 노브 기부(20), 내부 노브 정부(80), 외부 노브(30), 노브 카버(50), 밸브 활주부재(60), 및 판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노브 기부(20)은 하부 플랜지(21), 용기(10)내의 두개의 호형 개구부(11)들에 보족 삽입되는 두개의 호형 부분(23), 및 소형 원형 개구부(26)으로 구성된다. 두개의 호형 부분(23)은 그 외측면에 나사(25)를 가지며 그 내측면에는 요구부(24)를 갖는다. 내부 노브 정부(80)은 그 주연부에 얇은 턱(82)를 갖는 외부 스커트, 및 증기가 통과할때 음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 경적 오리피스(85)를 감싸는 저부 공명실 부분(84)로 구성된다. 오리피스(85)는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내부 노브(80)은 용기 뚜껑(10)을 통해 돌출하는 내부 노브 기부(20)의 호형 부분(23)들 사이에 내부 노브(80)을 삽입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된다. 내부 노브 정부(80)상의 외부 턱(82)와 호형 부분(23)상의 내부 요구부(24)는 상호 계합되어 내부 노브(80)을 제2도에 도시한 위치로 스냅 고정한다. 내부 노브(80)이 정위치에 스냅 고정되면, 그 스커트(81)이 조리 용기(10)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외부 노브(30)은 내부 노브 기부(20)의 호형 부분(23)의 나사(25)에 대해 나합되는 내부 스커트(31), 외부 노브(30)이 정 위치에 나합될때 용기(10)상에 착좌되는 외부 스커트(32), 수평 밸브 지지면(33), 공명실 측벽(34) 및 공명실 상부벽(35),공명실 상부벽(35)의 중심에 위치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제1오리피스(85)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경적 오리피스(36), 및 활주 안내 접촉부(38) 및 (39)들로 구성된다. 밸브 지지면(33)상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들에서 외부 노브(30)에 낮은 돌출부(41)들을 마련하는데, 그 각각에는 활주 밸브통로 저부에 위치하고 노브 카버(50)의 일부가 되어지는 현수 태브(42)를 마련한다. 카버(50)은 나사(43)에 의해 돌출부(41)들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정렬시켜 조립한다. 노브 카버(50)에는 노브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고 상부 노브(30)의 현수 태브(42)들을 절췌부(52)로 감싸는 스커트(51)을 마련하여, 노브 카버(50)을 상부 노브 본체 상에 위치시킬때, 상부 노브 본체를 구멍(44)들을 통해 노브 카버(50)에 고정하는 나사(43)들을 자동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정렬되게 한다. 노브 카버(50)은 상부벽(54)의 중심에 위치하고 오리피스(85) 및 (36)과 정렬되는 오리피스(53)을 갖는다. 노브 카버(50)는 그 상부벽(54)의 저면으로부터 스커트(51)의 여백내로 현수되어 밸브 스프링(70)을 위치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보스(55)들을 갖는다. 보스(55)들은 제3도에 도시하였다. 스커트(51)내의 절췌부(52)는 통로(42)들을 비회전 정렬 상태로 수납하는 키이(key)들 외에도 그 상부 부분에서 밸브 활주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역할도 한다. 밸브 활주 부재(60)의 단부들은 그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밸브 활주 부재(60)은 보스(37)상에 착좌되며 일표면 돌출부(41)로부터 대향된 돌출부(41)까지 활주 안내 접촉부(38) 및 (39)들 사이에서 노브의 현, 적합하게는 직경을 따라 연장된 밸브 활주 부재 통로를 따라 가동된다.
밸브 활주 부재(60)은 1조의 장변(62) 및 1조의 단부(63)들을 갖는 밸브 부재로 구성된다. 장변(62)들중의 하나에는, 경적 오리피스(65)가 오리피스(36)상의 제1위치로부터 오리피스(36)과 완전히 정렬되지 않은 제2위치로 밸브 활주 통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일 방향의 활주 정지 접촉부(38) 및 (39) 사이의 간격보다는 충분히 작은 간격으로 활주 밸브 통로를 따라 격설된, 측면으로 연장된 1조의 접촉부(64)들을 마련한다. 위 목적을 위해, 오리피스(65)는 장방형 본체(61)의 정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보다는 장변(62)와 평행하게 밸브 활주 통로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약간 격설되게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판스프링(70)은 예컨대 스프링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탄성이고 내열성이 있는 임의의 재료로 성형된 대체로 장방형인 부재로 되어 있다. 판스프링(70)은 만입된 중심부(71), 양단부의 상승된 날개(72), 노브 카버(50)으로부터 현수된 보스(55)들 사이에 스프링(70)을 위치시키기 위해 각각의 날개에 형성된 포크형 단부(74), 및 노브가 조립되었을때 오리피스(85), (36) 및 (53)과 동축으로 위치하는 중심 오리피스(76)을 갖는다. 판스프링은 밸브 활주 부재(60)을 상부벽(54)로부터 그 반대방향으로 압압하여 보스(37)과 계합되도록 하여, 밸브 활주 부재가 보스(37)과 항상 양호한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압압하고 밸브를 폐쇄할 시 효율적인 밀봉 상태를 제공한다. 정확한 압압력의 정도는 판스프링(70)의 규격 또는 재질을 변경함으로써 가변시킬 수 있다. 압압력은 활주 부재(60)의 선택된 위치를 유지하고 밀봉 상태를 이루기에 충분하여야 하나, 밸브 활주 부재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활주 부재가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작동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커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서는 밸브 부재를 밸브 지지면(33), 경적 오리피스(36), 보스(37), 밸브 활주 부재(60) 및 그 부분(62) 내지 (65), 및 상부 벽(54)와 밸브 활주 부재(60)사이에서 가변되는 판스프링(70)으로 형성한다. 상기 부분들은 상호 협력하여 밸브 활주 부재(60)의 위치 및 앞서 정의한 밸브 활주 통로에 따라 경적 오리피스(36)과 노브의 외부 사이에서 공기와 같은 가스가 유동되는 상태를 조절한다. 노브를 제2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하면, 밸브 활주 부재(60)의 단부(63)들 중의 하나는 절췌부들 중의 하나를 통해 돌출되며, 여기에는 밸브 개폐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밸브 활주 부재는 노출 단부(63)을 손가락으로 눌러 밸브 통로를 따라 활주시켜, 노브 스커트(51)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압압하고 타단부(63)를 돌출시키면 밸브를 개폐시키게 된다. 전술한 밸브 구조는 제조가 간단하고, 세척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선행 구조들과는 달리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분출되는 증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경적 발생에 대해 고찰하여 보면, 노브에는, 내부 노부 정부(80)내의 하부공명실 부분(84), 외부 노브(30)내의 공명실 측벽(34) 및 공명실 벽(35)로 구성되는 공명실에 의해 분리되는 일련의 오리피스(85), (36), (65), (76) 및 (53)이 마련되는데, 이들은 매우 효율적인 경적을 구성한다. 나머지 3개의 오리피스들은 경적 부분을 구성하지 않으며, 각각 밸브 및 배출통로를 각각 구성한다. 용기 내에서 음식이 가열되어 증기 발생 온도로 도달되면, 증기는 오리피스(85) 및 (36)과 중간의 공명실을 통과하여, 효율적인 무수 조리를 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저하시켜야 하는 것을 경고하는 경적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제3도에서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밸브 활주 부재의 돌출 단부(63)을 다른 접촉부(64)가 대응된 활주 정지 접촉부(38)에 충돌될때까지 압압하여, 밸브 활주 부재(60)을 제2도에 도시한 개방 위치로부터 오리피스(65)가 오리피스(36)에 대해 편위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노브가 위치하고 있는 조리 용기(10)의 뚜껑의 정부는 완전히 밀봉되어 있는 상태로 위치하며 팬내의 증기를 보유하여 향미 및 수분을 포집한다. 이러한 조리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노브의 공명실 내의 경적 오리피스들은 휘발성 식품에 의해 심지어는 오리피스(85)를 통과하는 고형물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어느 경우에도 노브를 완전한 청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외부 노브(30), 스프링(70), 활주 부재(60), 및 노브 카버(50)을 내부 노브 기부(20)으로부터 풀어 발출하고, 내부 노브정부(80)을 내부 노브 기부(20)으로부터 스냅 해정(unsnapping)함으로써, 전체 노브를 용기(10)으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단지 노브 카버(50)에 대해서만 힘을 인가할 수 있으나, 절췌부(52)는 나사(43)들과 마찬가지로 상대 회전을 방지하고, 상부 노브 본체의 태브(42)들에 힘을 가하여 카버(50)이 회전될때 이를 함께 회전시킨다. 개구부(11)들을 통해 호형부분(23)들이 삽입된 후에는 개구부(11)들이 노브 기부(20)들이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하부 부분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부 부분을 쉽게 회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내부 노브 정부(80)을 스냅 해정하여, 노브 기부도 역시 분리시킨다. 노브를 완전히 분해할 필요가 있을때는 단지 두개의 나사(43)을 풀기만 하면 된다. 노브의 외부 부분들이 제거되면 상기 나사들은 노출되나, 이들은 노브를 조리할 때에는 절연 플래스틱으로 감싼다.
활주 부재(60) 및 스프링(70)들이 외부 노브(30)상에 위치할때, 태브(42) 및 절췌부(52)들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카버(50)을 스프링 및 활주 부재상에 덮어, 나사(43)들을 정확하게 상입될 수 있도록 정렬한다. 나사(43)을 체결하게 되면 노브의 전체 외부 부분은 단일체가 된다. 노브 기부(20)의 호형 부분(23)은 다음에 개구부(11)을 통해 용기 정부(10)내로 삽입하는데, 내부 노브(80)은 다음에 호형 부분(23)들 사이의 위치로 스냅 결속시키고, 외부 노브 부분은 나사(25)상에 착좌되도록 하여 매우 단단한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노브를 완전히 분해하는가 또는 상부의 분리 자재한 부분만을 기부 부분으로부터 풀어 분리하는가에 따라, 부분들을 분리하였을때 모든 표면들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제1경적 오리피스 및 그 주위의 하부 공명실 부분이 마련된 내부 노브, 및 용기 정부와 접촉되는 표면을 갖는 외부 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노브는 내부 노브에 발출 자재하게 고정되고 용기 정부 외측면에 배설되며, 상기 외부 노브는 제2오리피스를 갖는 공명실 상부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공명실 부분 및 상부 공명실 벽 부분은 함께 공명실을 감싸는 조리 용기용의 노브에 있어서, 내부 노브 기부 및 내부 노브 정부로 이루어진 2분체 내부 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노브 기부는 그 중심에 개구부를 갖고 있고 또한 용기 정부를 통해 돌출되는 호형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호형 부분들은 그 외측면 상에서 상기 외부 노브와 계합될 수 있는 장치를 가지며, 상기 호형 부분들은 그 내부면에 상기 내부 노브 정부와 계합될 수 있는 장치를 가지며, 상기 내부 노브 정부에는 제1경적 오리피스 및 주위의 하부 공명실 부분을 마련하고, 상기 내부 노브 정부는 상기 공명실 부분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스커트 부분은 그 외부면에서 상기 내부 노브 기부의 상기 호형 부분의 내부면과 계합될 수 있는 장치를 갖는 조리 용기용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부분들의 외부 표면들 상의 장치들이 나사들이고, 상기 외부 노브는 상기 외부 노브를 상기 내부 노브 상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내부 노브에 방출 자재하게 고정되는 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브 정부를 계합할 수 있는 상기 호형 부분들의 내부면들 상의 장치가 요구부이고, 상기 호형 부분들을 계합할 수 있는 상기 내부 노브 정부의 스커트 내부면상의 장치가 상기 스커트의 주연부 둘레에 위치한 턱인 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노브 정부가 상기 내부 노브 기부에 계합될때, 상기 내부 노브 정부의 스커트가 조리 용기에 접촉되는 노브.
  5. 제1항에 있어서, 단지 두개의 호형 부분들만을 마련하는 노브.
KR1019880001131A 1987-02-09 1988-02-08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KR930005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12584 1987-02-09
US07/012,584 US4776296A (en) 1987-02-09 1987-02-09 Mounting for audible signal valve kno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22A KR880010322A (ko) 1988-10-08
KR930005168B1 true KR930005168B1 (ko) 1993-06-16

Family

ID=2175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131A KR930005168B1 (ko) 1987-02-09 1988-02-08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76296A (ko)
JP (1) JPS63200716A (ko)
KR (1) KR930005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552A (en) * 1988-02-29 1989-09-05 Regal Ware, Inc. Knob with stainless steel cap
US4857897A (en) * 1988-04-11 1989-08-15 Chen Mu H Electronic boiling point musical alarm
US4953452A (en) * 1988-09-30 1990-09-04 Tarlow Kenneth A Collapsible steamer basket
US5352255A (en) * 1993-04-05 1994-10-04 Taft Andrew A Noise maker for air filter
US5471912A (en) * 1994-12-28 1995-12-05 Lin; Chia-Meng Vessel having boiling indicating device
US5771783A (en) 1995-09-22 1998-06-30 Uss; Tom Cookware top
JPH0994167A (ja) * 1995-09-28 1997-04-08 Yoshio Tanihata 水蒸気加熱食品用の発熱容器
US6004000A (en) * 1996-10-04 1999-12-21 Regal Ware, Inc. Temperature indicating device for a cooking vessel
US7416611B2 (en) * 1997-05-09 2008-08-26 Semitool,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workpiece with gases
US6202875B1 (en) * 1999-09-29 2001-03-20 Min-Lan Chang Whistling device of a cooker lid
US6273285B1 (en) * 1999-09-29 2001-08-14 Min Lan Chang Structure of a whistling device for a cooker lid
US7571675B1 (en) 1999-10-22 2009-08-11 Carico International, Inc. Lid for cooking pan
US7028605B2 (en) * 2003-05-27 2006-04-18 Regal Ware, Inc. Audible signal valve knob with timer
US20050205577A1 (en) * 2004-03-16 2005-09-22 Park Soonkwan Cookware lid assembly with sealing band and whistling handle
USD543774S1 (en) 2005-01-14 2007-06-05 Regal Ware, Inc. Salad cutter
EP2382896A1 (en) 2010-04-30 2011-11-02 Hussmann Koxka S.L. Merchandising platform and handle apparatus for a merchandiser
CN105054806A (zh) * 2015-04-17 2015-11-18 盛忠明 吸附式气流报警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699A (en) * 1914-10-01 1915-04-13 Margaret Knauber Adjustable fixture stud and support.
US2549393A (en) * 1945-03-23 1951-04-17 Josephine M Siesel Fastening
NZ184941A (en) * 1976-08-25 1980-12-19 Australian General Elect Pty Variable intensity whistle for tea kettle
US4134358A (en) * 1977-12-12 1979-01-16 Regal Ware, Inc. Audible signal valve knob
US4418637A (en) * 1981-04-21 1983-12-06 Regal Ware, Inc. Audible signal valve kno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00716A (ja) 1988-08-19
US4776296A (en) 1988-10-11
JPH0240325B2 (ko) 1990-09-11
KR880010322A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168B1 (ko) 가청신호 밸브 노브 장착부
US4418637A (en) Audible signal valve knob
US4419555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RU2382730C2 (ru) Укупороч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едоступное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детьми, комплек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US4349118A (en) Sterilizing and storing medical items
US5363720A (en) Stove knob safety cap
JPH04267756A (ja) 少量液体用プラスチック製反応容器
US5524755A (en) Sterilization container
EP0736248A1 (en) Apparatus for vaporizing insecticidal solutions and the like
CA1066527A (en) Audible signal valve knob
US11259568B2 (en) Liquid storage assembly,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the same
EP3870519A1 (en) Safety-cap bottle assembly
US4289963A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97865A (en) Valved flash sterilization container
CA2219892A1 (en) Cpr face mask with filter
WO1993005344A3 (en) Oven device
KR960008008B1 (ko) 스테인레스강 캡을 구비한 손잡이
US6004000A (en) Temperature indicating device for a cooking vessel
AU2004200359B2 (en) Audible signal valve knob with timer
US2484681A (en) Sterilizing device
KR950005848Y1 (ko) 전자레인지용 압력밥솥의 스팀배출 밸브
JP2836830B2 (ja) 滅菌容器に対する弁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に適した弁
KR200211172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JPH08280528A (ja) 調理器の蒸気抜き装置
KR930008459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강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