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34Y1 -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34Y1
KR930005134Y1 KR2019870024280U KR870024280U KR930005134Y1 KR 930005134 Y1 KR930005134 Y1 KR 930005134Y1 KR 2019870024280 U KR2019870024280 U KR 2019870024280U KR 870024280 U KR870024280 U KR 870024280U KR 930005134 Y1 KR930005134 Y1 KR 930005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eck
tension
accounter
bel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268U (ko
Inventor
함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4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34Y1/ko
Publication of KR890014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65H2403/25Arrangement for tens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B65H2404/255Arrangement for tens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a도는 벨트 정상 상태도.
b는 벨트 장력 조절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a : 베어링 3, 3' : 풀리
3a : 장력 조절 풀리 4 : 벨트
5 : 안내구멍 6 : 고정축
7 : 조정레버 8, 8' : 압축 스프링
9, 9' : 고정핀 10, 10' : 가이드
본 고안은 수표 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더욱 상세히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등과 같은 이송 수단으로 사용되는 벨트의 이완시 발생하는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한 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표처리기에 있어서는 이송모터에 설치된 풀리(plly)와 이동 로울러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벨트를 직접 연결하였다.
그런데, 사용시에 이송 모터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이나 벨트자체의 탄성에 의해 벨트는 어느 정도 인장되고, 이점은 특히 벨트의 노쇠화에 따라 인장되는 정도가 커지게 되나, 양 풀리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므로 벨트가 풀리와 긴밀히 밀착되지 못하여 슬립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이송모터의 동력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전력의 낭비가 극심할뿐 아니라 수표를 처리해야 하는 중요한 기기에서 이송 장치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양 풀리 사이에 설치된 벨트의 이완시에도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킬수 있게 된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바,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서와 같이 베이스(base; B)의 양측에 고정된 베어링(1,1')의 상부에 이송 로울러(2,2')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풀리(3,3')를 벨트(4)로 연결한 것에 있어서, 베이스(B)의 중간 부위에 벨트(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뚫은 안내구멍(5)에 장력조절풀리(3a)와 베어링(1a)의 조립된 고정축(6)을 끼워 조정레버(7)를 끼워 조정하고, 베이스(B) 하면에는 압축스프링(8,8')을 지지하는 고정핀(9,9')을 구비하며, 압축스프링(8,8')의 타측은 베어링(1a)의 외면에 지지되는 원호형 가이드(10,10')의 고정돌기(11,11')에 끼워 고정하여서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벨트(4)의 장력이 정상일때에는 장력 조절 풀리 (3a)가 제2a도에서와 같이 베이스(B)의 안내구멍(5) 하부에 위치되어 양 풀리(3,3')에 연결된 벨트(4)와 분리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B) 하부 양측의 고정핀(9,9')에 일측이 고정된 압축스프링(8,8')은 양 가이드(10,10')를 밀어 장력조절 풀리(3a)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1a)을 밀게 되므로, 장력조절풀리(3a)가 안내구멍(5)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중 벨트(4)가 이완되는 등의 이유로 양 풀리(3,3')사이에 헐겁게 연결되면, 베이스(B) 상면에 위치한 조정레버(7)를 안내구멍(5)의 상부로 밀어 벨트(4)의 이완된 정도만큼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조정레버(7)를 밀면 그 고정축(6)의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1a) 및 장력 조절 풀리(3a)도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베어링(1a)의 외면을 밀고 있던 양 가이드(10,10')는 압축 스프링(8,8')을 압축시키며 이동되어 제2b도의 위치에서는 다시 압축스프링(8,8')이 베어링(1a)를 밀게 되어 장력 조절 풀리(3a)가 벨트(4)를 밀면서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한편, 기기의 작동중 벨트(4a)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된 것으로, 벨트(4)의 일정장력을 유지하여 양 풀리(3,3')의 공전을 방지하고 벨트(4)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주변 부품의 공진으로 인한 고장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송장치의 베이스(B)에 벨트(4)와 직교하게 뚫은 안내구멍(5)에, 장력조절 풀리(3a)와 베어링(1a)이 조립된 고정축(6)을 끼워 조정레버(7)를 고정시키고, 베이스(B)의 고정핀(9,9')에 지지시킨 압축스프링(8,8')의 타단은 베어링(1a) 외면에 지지되는 가이드(10,10')의 고정돌기(11,11')에 끼워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표 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KR2019870024280U 1987-12-31 1987-12-31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KR930005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280U KR930005134Y1 (ko) 1987-12-31 1987-12-31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280U KR930005134Y1 (ko) 1987-12-31 1987-12-31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68U KR890014268U (ko) 1989-08-10
KR930005134Y1 true KR930005134Y1 (ko) 1993-08-09

Family

ID=1927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280U KR930005134Y1 (ko) 1987-12-31 1987-12-31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68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367B1 (ko) 감쇄장치를 구비하는 인장기
US6231465B1 (en) Belt tensioner assembly with unidirectional damping
US5951423A (en) Mechanical friction tensioner
US20020046932A1 (en) Belt driving apparatus
ES269984U (es) Un dispositivo para el tensado de una correa sin fin de transmision para vehiculos
KR920011794A (ko) 풀리가 내장된 인장기 및 동력 전달장치
US6033330A (en) Belt noise/vibration control mechanism
WO2004016970A3 (en) Dual friction surface asymmetrical damped tensioner
JPH11257444A (ja) テンション装置
KR930005134Y1 (ko) 수표처리기의 벨트 장력 조절 장치
US3365968A (en) Belt tensioning means
CA2238702C (en) Motor mount
US5413536A (en) Low noise active tracking mechanism
US8403780B2 (en) Tensioner
US5067423A (en) Sewing machine drive assembly, including pulley belt traction enhancement device
EP0523869B1 (en) Belt noise/vibration control mechanism
KR19980036788A (ko) 엔진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US5119925A (en) Belt conveyor
JPH04244644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2039298A (ja) 駆動伝達装置における張力調整装置
JPH09324849A (ja) 従動側プーリーの固定装置
US3365969A (en) Transfer pulley tensioning device
KR100228091B1 (ko) 버스 에어콘 콤프레서 마운팅 구조
KR20020044774A (ko) 엔진 벨트 자동 텐션 기구
KR100227944B1 (ko) 장력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