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89Y1 -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89Y1
KR930004989Y1 KR2019910001103U KR910001103U KR930004989Y1 KR 930004989 Y1 KR930004989 Y1 KR 930004989Y1 KR 2019910001103 U KR2019910001103 U KR 2019910001103U KR 910001103 U KR910001103 U KR 910001103U KR 930004989 Y1 KR930004989 Y1 KR 930004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main body
fasteners
fastening hole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300U (ko
Inventor
박흥수
Original Assignee
박흥수
가부시기가이샤 하세가와쥬고쇼
하세가와 데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수, 가부시기가이샤 하세가와쥬고쇼, 하세가와 데쯔시 filed Critical 박흥수
Priority to KR201991000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989Y1/ko
Publication of KR920015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결 접속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 접속후의 단면도.
본 고안은 배수관과 배수관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본체와 경사턱을 환설시킨 체결구사이에 링형 패킹을 압착시켜 배수관과 밀착되게 하여 손쉽고 용이한 시공으로 수밀성, 내수압성, 내구성 및 가동(可動)성을 한층 향상시킨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수관 연결구는 단일 단관체로서 단순히 배수관을 배수관 연결구에 끼워 연결하고, 연결된 배수관 주위를 접착제등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시켰으며, 완벽한 누수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과 동시에, 시공의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또한, 배수관의 외경이 연결 접속구보다 다소 작을시에는 연결상태가 헐거워져 밀폐부재등을 끼워야 하고, 더욱이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관이 일직선이 아닌 경사진 상태로 접속될 경우에는 시공이 상당히 난이하고,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됨은 물론 누수방지효과는 더욱 더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배수관 연결구는 단일 단관체이므로 배수관이 막혔을 때에는 해체하기가 매우 곤란하였고, 접속되는 배수관의 길이가 다소 짧을 때에도 배수관 연결구에 연결이 어려움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배수관용 연결접속구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경사턱을 환설시킨 양측 체결구 사이에 O-링 패킹고무를 끼우고 본체와 각각의 양측 체결구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링형 패킹을 압착시켜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에 끼워진 배수관 외주면에 링형 패킹고무가 밀착되어지므로 용이하고도 짧은 시간에 완전한 시공을 하며, 수밀성, 내수압성, 내구성 및 가동성을 고조시키며, 또한, 누수방지효과도 완벽하게 기대할 수 있게 한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체(1) 양측에 다수개의 체결공(2)(2')을 천공하며, 내면 중앙양측부에 단턱(3)(3')을 형성한 다음, 양측 체결구(4)(4') 각각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턱(5)(5')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체결공(6)(6') 및 고정구멍(7)(7')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체결공(6)(6') 및 고정구멍(7)(7')을 형성하되, 상기 양측 체결구(4)(4')의 경사턱(5)(5')과 본체(1)의 양측단부(8)(8')사이 각각에 링형 패킹(9)(9')를 끼우고, 본체(1)의 양측 체결공(2)(2')과 양측 체결구(4)(4')의 체결공(6)(6')을 맞닿게 하여 볼트(10)와 너트(11)로 결합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12'는 고정볼트, 13,13'는 배수관이다. 상기에서 고정구멍(7)(7')은 고정볼트(12)(12')가 끼워져 고정볼트(12)(12')를 조이면 배수관(13)(13') 외주면부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1) 양측에 다수개의 체결공(2)(2')을 천공하며, 내면중앙 양측부에 단턱(3)(3')을 형성한 다음, 양측 체결구(4)(4') 각각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턱(5)(5')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체결공(6)(6') 및 고정구멍(7)(7')을 형성하되, 상기 양측 체결구(4)(4')의 경사턱(5)(5')과 본체(1)의 양측단부(8)(8')사이 각각에 링형패킹(9)(9')을 끼운다.
그리고, 각각의 배수관(13)(13')이 상기 양측 체결구(4)(4')와 링형 패킹(9)(9')를 지나 본체(1)의 내면중앙 양측부분의 단턱(3)(3')에 맞닿게 끼우고, 상기 본체(1)의 양측 체결공(2)(2')과 양측 체결구(4)(4')의 체결공(6)(6')을 맞닿게 하여 볼트(10)와 너트(11)로 결합시켜 체결하면 양측 체결구(4)(4')의 경사턱(5)(5')과 본체(1)의 양측단부(8)(8') 사이 각각에 링형 피킹고무(9)(9')가 압착되고 또한, 본체(1)에 끼워진 배수관(13)(13') 외주면부를 긴밀하게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양측 체결구(4)(4')에 형성된 고정구멍(7)(7')에 고정볼트(12)(12')를 끼워 고정볼트(12)(12')를 조이면 배수관(13)(13') 외주면부를 고정지지하므로써 견고하고 충격에도 잘 견디게 된다.
또한, 배수관(17)이 일직선상이 아닌 약간 경사지게 접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체(1)와 체결구(4)(4')의 경사턱(5)(5')에 끼워져 있는 링형 패킹고무(9)(9')가 배수관(13)(13') 외주면을 경사도에 따라 밀착되어지므로 경사로에 따르는 연결시공 또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수관(13)(13')의 외주면에 따라 링형 패킹고무(9)(9')가 압착되어 밀착되므로 본체(1)보다 외경이 다소 작은 배수관(13)(13")도 긴밀하게 밀착된다.
한편, 접속되는 배수관(13)(13')과 또 다른 배수관(13)(13')과의 연결 접속 또한 본체(1)에 환설된 단턱(4)(4')까지의 거리로써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수관의 길이차에 따르는 연결시공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수밀성, 내수압성 내구성 및 가동성이 최대한 향상되는 것이고, 완벽한 누수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1) 양측에 돌출된 다수개의 플랜지에는 체결공(2)(2')를 가지며 본체(1) 내면 중앙에는 단턱(3)(3')를 가지며, 상기 체결공(2)(2')에 볼트(10)로 체결되는 좌우체결구(4)(4') 내측에는 경사진 경사턱(5)(5')를 가지는 동시에 외측으로 파이프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는 플랜지에는 볼트구멍(7)(7')를 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KR2019910001103U 1991-01-26 1991-01-26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KR930004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103U KR930004989Y1 (ko) 1991-01-26 1991-01-26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103U KR930004989Y1 (ko) 1991-01-26 1991-01-26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00U KR920015300U (ko) 1992-08-17
KR930004989Y1 true KR930004989Y1 (ko) 1993-07-26

Family

ID=1931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103U KR930004989Y1 (ko) 1991-01-26 1991-01-26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9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736B1 (ko) * 2001-08-09 2004-10-20 박실상 고밀폐 관 접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00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753B2 (en) Pipes coupling with integrated grip
US4699217A (en) Direct connect plumbing fixture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930004989Y1 (ko)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20070070335A (ko) 파이프연결구
CA2093720C (en) Pipe couplings
KR200414274Y1 (ko) 파이프연결구
JPS646474Y2 (ko)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850002929Y1 (ko) 강관 연결장치
KR880000490Y1 (ko) 관 이음쇠
KR100246032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구조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850000326Y1 (ko) 공업용 및 수도강관 연결장치
JP2671776B2 (ja) バタフライ弁の継手
KR920004972Y1 (ko) 관 이음쇠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JPH07127775A (ja) 管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