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70B1 -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70B1
KR930004970B1 KR1019900701602A KR900701602A KR930004970B1 KR 930004970 B1 KR930004970 B1 KR 930004970B1 KR 1019900701602 A KR1019900701602 A KR 1019900701602A KR 900701602 A KR900701602 A KR 900701602A KR 930004970 B1 KR930004970 B1 KR 93000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image
wrinkles
wrinkle
pattern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357A (ko
Inventor
노리유끼 스즈끼
요시카즈 오까하시
히로후미 후지와라
카쯔노리 오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021/8927Defects in a structured we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22Periodic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 G01N2201/0635Structured illumination, e.g. with g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Fuzzy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2도는 본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테이프주름조정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특징량추출부(17)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압축부(21)에서 압축된 데이터구조를 표시한 도면.
제4a도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2치회상데이터를 표시한 도면.
제4b도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데이터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표시한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에서 어떤 모양으로 주름의 특징량을 추출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주름상태결정부(18)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의 추론루울연산부에 있어서, 루울적합도가 어떤 모양으로 계산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제6도의 멤버십함수교시부에 있어서 어떤 모양으로 멤버십함수를 교시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작성부 및 멤버십함수작성부에 있어서 어떤 모양으로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 및 멤버십함수가 작성되는지를 표시한 도면.
제9a도는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을 도시한 도면.
제9b도는 멤버십함수를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19)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구성예를 표시한 도면.
제11도는 비디오테이프의 로우딩포오스트부근의 요부사시도.
제12도는 종래의 모아레줄무늬처리에 의한 테이프주름검출수단을 사용한 테이프주름검사조정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테이프주름조정검사장치에 의해 테이프에 투영된 광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14도, 제15도는 의미의 애매함을 양적으로 표현하고, Fuzzy이론에 있어서의 멤버십함수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발명은, 비디오덱의 제조에 있어서 테이프주름상태를 검사하고 조정하는 공정등에서 행하여지는 테이프 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와 이것을 사용한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검사, 조정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종래의 모아래줄무늬처리에 의한 테이프주름검출수단을 사용한 주름검사 및 조정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테이프주름검사조정장치에 의해 테이프에 투영된 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2도에 있어서, (1)은 투광기, (2)는 촬상장치, (3)은 모아레줄무늬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절격자, (4)는 테이프, (5)는 화상처리장치, (6)은 작동기제어장치, (7)은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는 조정작동기이다.
제13도에 있어서, (8)은 회절격자(3)에 의해 테이프(4)에 투영된 모아레줄무늬이다. (9)는 댁(도시하지않음)로부터의 반사광이다. (10)은 모아레줄무늬(8)의 중심선이다. (11)은 모아레줄무늬(8)의 근사직선이다. (12)는 모아레줄무늬(8)의 근사직선(11)에 대한 변위이다.
제12도에 있어서, 투광기(1)에서부터 투광된 광은, 회절격자(3)를 통과하여 테이프(4)에 모아레줄무늬로서 투영된다. 투영된 광은 촬상장치(2)에 의해 도입되고, 화상처리장치(5)에 의해 테이프(4)의 주름검출이 행하여진다. 테이프(4)의 주름의 판정기준은, 모아레줄무늬의 구부러짐의 크기와 구부러져있는 줄무늬의 위치이다. 제13도에 있어서 모아레줄무늬의 구부러짐의 크기는, 모아레줄무늬(8)의 중심선(10)의, 모아레줄무늬(8)의 근사직선(11)에 대한 변위(12)의 최대치로 부여하게된다. 또 구부러지고있는 줄무늬의 위치는 최대치를 취하는 변위(12)의 위치에서 부여하게된다. 이와같이해서 화상처리장치(5)에 의해 주름의 상태를 식별하여 주름의 검사를 행한다. 검사결과 테이프(4)이 주름이 적절한 상태가 아닌경우, 작동기제어장치(6)는 조정작동기(7)를 작동시켜서 주름의 조정을 행한다. 이후, 주름이 적절한 상태로 되기까지 검사조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회적격자, (3)를 통과시켜서 테이프(4)에 광을 투영하는 방법에서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댁으로부터의 반사광(9)도 투영되어 버린다. 또, 투광기(1)에 의해 테이프(4)에 투영된 모아레줄무늬(8)는, 배경이 되는 테이프(4)와의 경계가 분명치않아, 콘트라스트도 나쁘다.
위에 설명한 사항때문에, 촬상장치(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상태가 좋은것은 아니고 또 화상 처리장치(5)에 의해서 모아레줄무늬(8)의 근사직선(11)에 대한 최대변위량을 계산하기위해서는 복잡한 화상처리알고리즘이 필요하게된다. 따라서, 제12도에 표시한 장치에서는, 주름의 검출시간이 수십초 정도 걸려버린다. 이 속도는 실용적은 아니다. 또, 주행하고 있는 테이프의 주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테이프의 주름의 동적변화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도, 주름의 검출시간은 짧지않으면 안된다.
또,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절격자(3)는 테이프(4)에 거의 밀착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그 위치결정이 어렵다.
또, 주름의 식별에 있어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는 복잡하며, 그 상태는 모아레줄무늬(8)의 근사직선(11)에 대한 최대변위량 및 그 위치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좀더 많은 주름의 특징량을 추출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복수의 특징량을 복잡한 주름의 상태변화에 대해서 적절하게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또,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는 복잡하며, 주름상태의 적합여부기준은 현재 인간의 관능적인 판단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즉, 주름의 식별결과는 인간의 관능적인 판단과 대응지울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사항때문에, 제12도에 표시한 장치에서는 미묘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적절하게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본장치를 사용해서 검출된 주름의 상태를 기초로 테이프의 주름을 고속 또한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발명은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줄무늬 패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하고, 콘트라스트의 양호한 패턴의 경계가 분명한 투영화상에 의해 주름의 상태를 검사하는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메칭시켜서 복잡 또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을 할 수 없고, 또 주름의 상태에 대해서 인간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할 수 있는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이, 식별된 주름의 상태를 기초로 테이프의 주름을 고속 또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테이프주름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발명의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은,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므로서 테이프의 주름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다.
또 본발명의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는,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는 수단과,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하므로서, 주름의 상태를 검사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발명의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는,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는 수단과,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하여 줄무늬형상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과, 줄무늬형상패턴이 투영된 상기 테이프의 주름의 상태를, 상기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수단도 구비한 것이다.
또, 본발명의 테이프주름의 조정장치는 상기한 주름의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식별된 주름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므로서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패턴의 경계가 명확한 화상을 얻을수 있는 동시에, 줄무늬패턴의 위치결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하여 줄무늬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미소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짧은 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의 주름의 상태를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메칭시켜서 복잡 또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주름의 상태에 대해서 인간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는 수단과,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하여 줄무늬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과, 줄무늬패턴의 주름의 상태를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수단과, 검출된 주름상태의 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줄무늬패턴의 위치결정이 간단하며,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패턴의 경계가 명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어, 비소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짧은 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메칭시켜서 복수 또한 미소산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을 할 수 있어, 주름의 상태에 대해서 인간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할 수 있는 동시에, 테이프의 주름을 고속 또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13)은 투광기, (14)는 줄무늬패턴이 인쇄된 반사판, (15)는 테이프, (16)은 촬상장치, (17)은 화상특징량 추출부, (18)은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한 주름상태결정부, (19)는 화상특징량추출부(17) 및 주름상태 결정부(18)로부터 구성되는 화상처리장치이다.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특징량추출부(17)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20)은 화상 2치화부(2値化부), (21)은 화상데이터압축부, (22)는 화상데이터기억부, (23)은 검사라인추출부, (24)는 패턴피치계산부, (25)는 패턴피치기억부, (26)는 이상패턴피치추출부, (27)은 이상패턴피치기억부, (28)은 화상특징량계산부이다.
제4도는 화상데이터압축부(21)에서 압축된 데이터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4a도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2치화상데이터를 표시한 것이고, 제4b도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제5도는 제1도에 표시한 테이프주름검사장치에서 어떤 모양으로 주름의 특징량을 추출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29)는 검사라인, (30)은 줄무니의 패턴피치이고 검사라인(29)상에서의 줄무늬 패턴의 중심사이의 거리이다. (31)은 이상패턴피칭, (32), (33)은 이상패턴피치의 단부점이다.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주름상태결정부(18)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34)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특징추출부(17)에 의해 계산된 화상특징량정보전송로이다. (35)는 미리 교시된, 각 주름상태에 대응하는 추론루울연산부이다. (36)은 추론루울연산부(35)에 대응하는 멤버십함수의 기억부이다.
여기에서, 멤버십함수란, Fuzzy이론에 있어서의 중요한 개념이고, 「높음」, 「노인」등의 의미의 애매함을 양의 면에서 표현한 것이다. 신장 140cm에서부터 200cm까지의 범위에서 X(cm)의 사람이 높다고 말할 수 있는 정도는 μ이다, 라고 말하는 바와같이 신장 X에 정도 μ(단 0≤μ≤1로 한다)를 대응시켜본다. 횡축에 X, 종축에 μ를 취하면 제14도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이 그래프는, 「높음」이라고 하는 의미의 애매함을 양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일하게 「노인」이라고하는 개념의 애매함은 제15도의 그래프에 의해서 나타낼 수 있다. 횡축의 양으로서는 연령을 취하고, 종축은 정도이다.
제14도나 제15도의 그래프와같이, 말의 의미의 정도를 부여하는 함수는 Fuzzy이론에서 멤버십함수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또, 정도 μ는 멤버십치라고 일컬어지는 일이 있다.
(37)은 추론루우연산부(35), 멤버십함수기억부(36)에 의해 구성되는 루울적합도산출부이다. (38)은 멤버십함수교시부이다. (39)는 추론루울연산부(35)에 의해 계산된 추론루울의 적합도 정보전송로이다. (40)은 최적루울결정부이다. (41)은 최적루울결정부(40)에 의해 결정되 주름상태정보전송로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추론루울연산부(35)에 있어서, 추론루울의 적합도가 어떤 모양으로 계산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42)는 화상특징량에 대응하는 멤버십함수이다. (43)은 화상특징량이 멤버십함수(42)에 어느정도 적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멤버십함수적합도에 관한 정보의 정송로이다. (44)는 멤버십함수적합도에서부터 추론루울의 적합도를 결정하는 루울적합도계산부이다.
제8도는 제6도의 멤버시함수교시부(38)에 있어서 어떤 모양으로 멤버십함수를 교시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물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45)는 화상특징량히스트로그램작성부이다. (46)은 멤버십함수작성부이다. (47)은 TV모니터이다. (48)은 화상처리장치(19)에 부속되어있는 키이보오드이다. (49)는 교시를 행하는 인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작성부(45) 및 멤버십함수작성부(46)에 있어서 어떤 모양으로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 및 멤버십함수가 작성되는지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9a도는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을 표시한 것이고, 제9b도는 멤버십함수를 표시한 것이다.
제10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19)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구성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10도에 있어서 (50)은 마이크로컴퓨터, (51)은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 (52)는 화상메모리, (53)은 화상연산장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주름검사장치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광기(13)로부터 강하광을 줄무늬형상패턴이 인쇄된 반사판(14)에 조사하고, 반사시켜서 반사판(14)의 줄무늬형상패턴을 테이프(15)에 투영한다. 투영된 광은 테이프(15)에서 반사하여 촬상장치(16)에 취입된다. 그리고, 화상특징량추출부(17) 및 주름상태결정부(18)로 이루어진 화상처리장치(19)에서 테이프의 주름검출이 행하여져, 주름의 상태를 식별해서 주름의 검사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화상특징량추출부(17)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장치(16)에 의해 도입된 화상은, 제10도에 표시한 화상연산장치(53)에 의해 2치화, 압축되어 화상메모리(52)에 기억된다. 이것은, 도입된 화상이, 제3도에 표시한 화상2치부(20), 화상데이터압축부(21)에 의해 2치화, 압축되어 있는 데이터기억부(22)에 기억되는 경우에 상당한다. 다음에, 화상메모리(5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50)를 사용하여 제5도에 표시한 검사라인(29)상의 패턴피치(30)을 계산하고,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에 기억한다. 이것은, 화상데이터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검사라인추출부(23) 및 패턴피치계산부(24)를 사용하여 검사라인(39)상의 패턴피치(30)을 계산하고, 패턴피치기억부(25)에 기억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화상메모리(52)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화상데이터는 제4b도와 같은 형태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피치계산부(24)의 계산코스트는 작고, 고속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에 기억되어 있는 패턴피치(30)에서부터 이상패턴피치(31)를 마이크로컴퓨터(50)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에 기억한다. 이것은, 패턴피치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이상패턴피치추출부(26)를 사용하여 이상패턴피치(31)를 추출하고, 이상패턴피치기억부(27)에 기억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이상패턴피치(31)란, 어떤 기준치에 대해서 값이 작은, 또는 큰 패턴피치(30)의 경우이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50)를 사용하여 이상패턴피치(31)로부터 화상특징량을 계산한다. 이것은, 이상패턴피치기억부(27)에 기억되어 있는 이상패턴피치(31)로부터 화상특징량계산부(18)를 사용하여 화상특징량을 계산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본실시예에서는, 이상패턴피치(31)의 수, 이상패터피치의 단부점(32), (33) 검사라인(29)에 평행한 좌표축상에서의 이상패턴피치(31)의 중심좌표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중심좌표(重心座標), 히스토그램치가 0인 부분의 수를 화상특징량으로 하고 있다. 물론, 발생하는 주름의 상태에 따라서는, 여기에서 천거한 특징량 이외의 것을 사용한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압축화상데이터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50)에 의해 패턴피치(30)를 계산하여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에 기억시키고 있으나, 화상연산장치(53)에 의해서 패턴피치(30)를 계산시켜서 화상메모리(52)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경우는 처리속도가 한층 향상된다. 압축화상데이터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50)에 의해 패턴피치(30)를 계산하여 마이크로컴퓨터 메모리(51)에 기억시키는 방법에는, 패턴의 중심을 1/2호소의 정밀도에 의해서 구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화상연산장치(53)에 의해서 패턴피치(30)를 계산시켜서 화상메모리(52)에 기억시키는 방법에서는 패턴의 중심의 정밀도는 1화소이기 때문에, 패턴피치(30)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다음에, 주름상태결정부(Fuzzy추론부)(1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의 연산은 마이크로컴퓨터(50)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화상특징량추출부에 의해 계산된 화상특징량은, 미리 교사된 주름상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추론루울연산부(35)에 각각 입력된다. 검출되어야할 주름상태의 패턴에 대해서 1대 1인 관계에서 추론루울이 있고, 추론루울이 수만큼 추론루울연산부(35)가 있다. 추론루울은 화상특징량에 대응하는 제7도에 표시한 멤버십함수(42)에 의해 특별히 정해진다. 즉, 주름상태를 미리 교시해 둔다고 하는 것은, 화상특징량에 대응하는 멤버십함수(42)의 형태를 교시한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멤버십함수(42)는 멤버십함수교시부(38)에 의해 미리 멤버십함수기억부(36)에 기억하여둔다. 멤버십함수(42)의 교시이나, 먼저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15)를 촬상장치(16)에 의해서 도입한 화상을 TV모니터(47)에 표시하여둔다. 인간(49)은 TV모니터(47)에 표시되어있는 주름상태를 보고, 이주름이 미리 분류된 주름상태중 어떤 상태에 적합하는가를 판단하고, 키이보오드(48)를 사용하여 화상처리장치(19)에 입력한다. 한편, 화상처리장치(19)의 내부에서는, TV모니터(47)에 표시되어있는 주름에 대해서 화상특징량추출부(1)를 사용하여 화상특징량을 계산하여둔다. 화상특징량 히스토그램작성부(45)에서는, 화상특징량(34)으로부터 키이보오드(48)에 의해 입력된 주름상태의 추론루울에 대응하는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교시를 복수회실행하므로서, 적절한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이 작성된다. 그리고 멤버십함수작성부(46)에서는, 제9a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에 대해서 평활화, 정규화를 해하고 제9b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받침대형태의 멤버십함수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작성된멤버십함수(42)는 멤버십 함수기억부(36)에 기억된다. 이와같이 작성된 멤버십함수(42)를 사용하면, 대체로 주름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나, 또 미묘한 식별을 필요로하는 경우나 예측하지 않했던 주름이 나타난 경우 등속 때문에, 본실시예에서는 키이보오드(48)를 사용하여 인간(49)이 멤버십함수(42)를 임의의 형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인간의 감각에 의거하여 임의의 분류된 주름상태에 대해서, 적절한 형상으로 멤버십함수(42)의 교시가 가능하다. 그래서, 추론루울연산부(35)에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화상특징량을 대응하는 멤버십함수(42)에 각가 참조해서, 화상특징량이 멤버십함수(42)에 어느정도 적합하고 있는지를 표시한 멤버십함수적합도를 각각의 화상특징량에 대해서 구하고, 또 그들을 루울적합도계산도(44)에 입력해서 화상특징량에 대한 추론루울의 적합도를 출력한다. 제7도에서는, 멤버십함수적합도는 g0,g1,g2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루울적합도계산부(44)이나, 본실시예에서는 멤버십함수적합도중 최소치를 추론루울의 적합도(39)로 하는 연산을 행하고 있다. 제7도에서는, 추론루울의 적합도는 g1에 상당한다. 또, 추론루울의 적합도는 화상특징량이 어느정도 교시된 주름상태에 적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해서 루울적합산출부(37)에 의해 구하게된 각 추론루울의 적합도는 최적루울(주름상태)결정부(40)에 입력되어, 최적한 루울이 선택되므로서 주름상태(41)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최적루울결정부(40)이나, 본실시예에서는 교시된 주름상태는 모두 동일한 무게를 가진다고 생각해서, 각 추론루울의 적합도중 적합도가 최대치를 취하는 추론루울을 하는 연산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본실시예에서는, 검출되어야할 주름상태의 패턴에 대해서 1대 1인 관계에서 추론루울이 있고, 화상특징량에 대응하는 멤버십함수(42)의 형태를 교시하고 있으나, 멤버십함수의 형태는 고정으로 해두고, 검출되어야할 주름상태의 패턴에 대해서 추론루울을 복수개 교시에 의해 설정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이들의 연산은 마이크로컴퓨터(50)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나, 마이크로컴퓨터(50)의 계산코스트 및 마이크로컴퓨터메모리(51)의 기억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본실시예에서는 멤버십함수(42)의 입력인 화상특징량 및 출력인 적합도를 10단계의 이산적인 정수로 표현하고 멤버십함수(42) 자신도 10×10의 정수배열의 집합에 의해서 표현하고 있다. 이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51)의 기억용량을 절약할 수 있어, 연산도 데이터 비교가 주체가 되기 때문에 수 ms이하의 고속의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므로서,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패턴의 경계가 명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그때문에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주름의 검출을 할때에 간단한 알고리즘에 의해서 주름상태를 검출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을 테이프에 밀착시킬 필요가 없어, 그 위치결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해서 줄무늬 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므로서, 필요 또한 충분히 압축된 주름의 정보를 기초로 주름의 검출을 행할 수 있어, 미소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짧은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줄무늬 패턴의 주름의 상태를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므로서, 계산기에 의해 실현하기 쉬운 형태로,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메칭시켜서 복잡 또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주름의 상태에 대한 인간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상태를 작업자가 직접 육안검사하고 식별할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대로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의 효과는 발휘할 수 있다.
제2도는, 본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물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64)는 작동기제어장치, (65)는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는 조정 작동기이다.
제11도는 비디오테이프의 로우딩포오스트부근을 표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54)는 로우딩포오스트본체, (55)는 로우딩포오스트부, (56)은 베이스부, (57)은 주름조정포오스트부, (58)은 베이스고정나사, (59)는 스토퍼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제1의 실시예에 표시한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테이프주름의 조정장치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광기(13)로부터 강한 광을 줄무늬 패턴이 인쇄된 반사판(14)에 반사되어서, 반사판(14)의 줄무늬패턴을 테이프(15)에 투영한다. 투연된 광은 테이프(15)에 의해서 반사해서 촬상장치(16)에 도입된다. 그리고, 화상특징량추출부(17)및 주름상태결정부(18)로 이루어진 화상처리장치(19)에 의해서 테이프의 주름검출이 행하여지고, 주름의 상태를 식별해서 주름의 검사가 행하여진다. 검사결과 테이프의 주름이 적절한 상태가 아닌 경우, 작동기제어장치(64)는 조정 작동기(65)를 작동해서 주름의 조정을 행한다. 이후, 주름이 적절한 상태로 되기까지 검사조정을 반복한다.
다음에, 작동기제어장치(64) 및 조정작동기(6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로우딩포오스트본체(54)는, 스토퍼(59)에 압압되어있고, 또 베이스고정나사(58)에 의해 베이스부(56)가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고정나사(58)를 늦추므로서 베이스부(56)는 스토퍼(59)와 로우딩포오스트본체(54)와의 접점을 받침점으로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 주름조정포오스트부(57)는 베이스부(56)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56)를 회전시키면, 주름조정포오스트부(57)에 접하고 있는 테이프(15)의 각도가 변하고, 로우딩포오스트부(55) 부근의 테이프(15)의 주름의 상태가 변화한다. 즉 주름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고정나사(58)를 늦추어서 베이스부(56)를 좌우로 회전시켜, 조정이 완료하면 나사를 죄어주면 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작동기제어장치(64) 및 조정작동기(65)는 이와같은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본실시예의 제어대상인 비디오테이프의 로우딩포오스트부근의 주름에 대해서는, 베이스부(56)의 회전방향과 주름의 발생상태와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작동기제어장치(64)는, 검출된 주름상태에 대한 조정회전량의 테이블을 설정하여 적절한 주름상태가 되기까지 베이스부(56)를 회전시키는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비디오덱에 따라서는, 동일하게 주름상태를 변화시켜도 조정회전량에 차가 나타난다. 이때문에, 비디오덱에 따라서는 표준적인 조정량을 적용하여도 조정회수가 증가해버리고,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지나치게 걸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주름조정검사장치에서는, 조정전과 조정후의 주름상태의 비교에 의해 베이스부(56)의 회전량이 어느정도 지나치게 많은지 지나치게 적은지를 알 수 있다. 본실시예의 작동기제어장치(65)는, 이와같은 정보를 기초로 비디오덱에 대한 적절한 조정량을 적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적절하게 검출된 미묘한 주름의 변화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므로서, 비디오덱의 조정특정에 따라서 테이프의 주름을 고속 또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에 투영하므로서,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패턴의 경계가 명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그때문에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주름의 검출을 할 때에 간단한 알고리즘에 의해서 주름상태를 검출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을 테이프에 밀착시킬 필요없이, 그 위치결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해서 줄무늬형상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 또한 충분히 압축된 주름의 정보를 기초로 주름의 검출을 행할 수 있어, 미소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짧은 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의 주름의 상태를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계산기에 의해 실현하기 쉬운 형태에서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메칭시켜서 복잡 또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주름의 상태에 대해서 인간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 줄무늬형상패턴을 투광기에 의해 반사시켜서 테이프에 투영하는 수단과, 테이프에 투영된 줄무늬패턴의 피치를 복수의 검사라인상에서 해석해서 줄무늬패턴의 복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과, 줄무늬패턴의 주름의 상태를 복수의 특징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Fuzzy추론기구를 사용하여 식별하는 수단과, 검출된 주름상태의 정보에 의거하여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줄무늬패턴의 위치결정이 간단하며,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고 패턴의 경계가 명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어, 미소한 주름의 변화상태를 짧은 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복수의 특징량을 적절하게 매칭시켜서 복잡 또한 미소한 주름의 상태변화를 고속으로 식별할 수 있어, 주름의 상태에 대해서 사람의 판단과 대응지워서 고속으로 검사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비디오덱이 조정특성에 따라서 테이프의 주름을 적절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3)

  1.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판(14)을 광원으로 조사하여 테이프(15)에 투영하는 공정 ; 테이프(15)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화상을 화상촬상장치(16)로 촬상하여 화상처리장치(19)에 도입하는 공정 ; 화상특징량추출부(17) 및 주름상태결정부(18)로 이루어진 화상처리장치(19)에서, 상기 화상특징량추출부(17)에 의해, 화상을 2치화상데이타로 2치화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화상데이타를 기억하고, 화상데이타로부터 줄무늬형상패턴의 검사라인상의 패턴피치를 연산하고, 검사라인의 패턴피치를 기억하고, 기억된 패턴피치로부터 이상패턴피치를 추출하고, 이상패턴피치가 기준치보다 작거나 클경우 이상패턴피치를 기억하고, 이상패턴피치로부터 화상특징량을 계산함으로써 화상특징량을 추출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상태결정부(18)에 의해, 주름상태를 입력하고, 입력된 주름상태의 추론루울에 상응하는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을 만들고, 히스토그램을 평활화, 정규화하여 멤버쉽함수를 작성하고, 화상특징량을 멤버쉽함수에 참조해서 화상특징량에 대하 멤버쉽함수 적합도를 얻으으로써 주름상태를 결정하는 공정의 화상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2. 줄무늬형상패턴의 반사광을 테이프(15)에 투영하기 위한 투광기(13) 및 반사판(14)과 ; 테이프(15)에 투영된 줄무늬형상패턴의 화상을 취입하고 화상처리장치(19)에 도입시키는 촬상장치(16)와 ; 화상을 2치화하고 압축하는 수단(20, 21), 입력된 화상데이타를 기억하는 수단(22), 화상데이타로부터의 줄무늬형상패턴의 검사라인상의 패턴피치를 연산하는 수단(23, 24), 검사라인의 패턴피치를 기억하는 수단(25), 기억된 패턴피치에서 이상패턴피치를 추풀하는 수단(26), 이상패턴피치가 기준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이상패턴피치를 기억하는 수단(27), 이상패턴피치로부터 화상특징량을 계산하는 수단(28)으로 이루어진 화상특징량추출부(17)와, 주름상태를 입력하고, 입력된 주름상태의 추론루울에 상응하는 화상특징량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수단(45), 히스토그램을 평활화, 정규화하여 멤버쉽함수를 작성하는 수단(46), 화상특징량을 멤버쉽함수에 참조해서 화상특징량에 대한 멤버쉽함수적합도를 얻는 수단(44)으로 이루어진 주름상태결정부(18)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19)로 이루어진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식별된 테이프주름의 상태에 따라 테이프의 주름을 조정하기 위한 작동기제어장치(64)와 조정작동기(6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프주름의 검사장치.
KR1019900701602A 1988-11-28 1989-11-28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KR930004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80388 1988-11-28
JP63-299803 1988-11-28
JP??63-299803 1988-11-28
PCT/JP1989/001199 WO1990006505A1 (en) 1988-11-28 1989-11-28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rinkles in ta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357A KR900702357A (ko) 1990-12-06
KR930004970B1 true KR930004970B1 (ko) 1993-06-11

Family

ID=1787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602A KR930004970B1 (ko) 1988-11-28 1989-11-28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30555A (ko)
KR (1) KR930004970B1 (ko)
WO (1) WO1990006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16B1 (ko) * 2000-04-29 2007-04-16 디엔엠에프티 (주) 천의 드레이프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구축한 전자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1164A (nl) * 1990-05-18 1991-12-16 Hoogovens Groep Bv Werkwijze en inrichting ter bepaling van de beeldhelderheid van een oppervlak.
JPH0833293B2 (ja) * 1991-04-15 1996-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の形状検査方法
US5461481A (en) * 1992-12-29 1995-10-24 Research Technology International Company System, apparatus and/or method for analyzing light intensities of light reflected from a surface of a sample
AUPM821994A0 (en) * 1994-09-19 1994-10-13 Amcor Limited Washboard measuring apparatus
AU696606B2 (en) * 1994-09-19 1998-09-17 Amcor Limited Washboard measuring apparatus
DE19607793A1 (de) * 1996-03-01 1997-09-04 Basf Magnetics Gmbh Optische Oberflächenprüfeinrichtung für linear bewegte, bandförmige Materialien
FR2830079B1 (fr) * 2001-09-26 2004-04-30 Holo 3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d'au moins une grandeur geometrique d'une surface optiquement reflechissan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004A (en) * 1979-11-26 1981-06-23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Measuring device of flatness
JPS6061936A (ja) * 1983-09-14 1985-04-09 Clarion Co Ltd テ−プ走行監視装置
JPS6175236A (ja) * 1984-09-20 1986-04-17 Nippon Soken Inc 塗装面測定装置
JPH0675322B2 (ja) * 1985-06-26 1994-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テ−プ走行系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5968B2 (ja) * 1986-08-11 1994-03-02 伍良 松本 立体形状測定装置
US4794550A (en) * 1986-10-15 1988-12-27 Eastman Kodak Company Extended-range moire contouring
DE3817559C1 (ko) * 1988-05-24 1989-12-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uenchen,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16B1 (ko) * 2000-04-29 2007-04-16 디엔엠에프티 (주) 천의 드레이프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구축한 전자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30555A (en) 1992-07-14
WO1990006505A1 (en) 1990-06-14
KR900702357A (ko) 199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212A (en) Volume determination process
US5353356A (en) Product gauge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optical determination of the acceptability of products
AU6954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packages
US5073949A (en) Personal verification apparatus
KR930004970B1 (ko) 테이프주름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EP1624412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KR100976930B1 (ko) 패턴 비교 방법
US50778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izing and segmenting a handwriting movement based on curvilinear and angular velocities
JPH06274736A (ja) 貨幣識別装置
JP6756417B1 (ja) ワークの表面欠陥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ワークの表面検査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Yamada et al. Recognition of kidney glomerulus by dynamic programming matching method
JP2637591B2 (ja) 位置認識装置及びその方法
JP2906662B2 (ja) テープしわ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US7184584B2 (en) Method for qualitatively evaluating material
JP2002131031A (ja) 三次元形状計測方法および三次元形状計測装置
RU2117989C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бъек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3078685B2 (ja) 位置認識方法
EP030016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image characteristics such as fingerprint minutiae
US20070292033A1 (en) Passive and interactive real-time image recognition software method
Chen et al. Inspection of tire tread defects using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JP3041056B2 (ja) 半導体ペレットの検出方法
JPH0933227A (ja) 三次元形状識別方法
JP3595015B2 (ja) 画像の重心位置検出方法
JPH0130183B2 (ko)
JPH0560559A (ja) 高さ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