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95B1 -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95B1
KR930004595B1 KR1019900020468A KR900020468A KR930004595B1 KR 930004595 B1 KR930004595 B1 KR 930004595B1 KR 1019900020468 A KR1019900020468 A KR 1019900020468A KR 900020468 A KR900020468 A KR 900020468A KR 930004595 B1 KR930004595 B1 KR 93000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lm
composition
polar solvent
elm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500A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김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김만경 filed Critical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95B1/ko
Publication of KR92001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느릅나무의 뿌리, 잎, 줄기 또는 껍질 등을 물 또는 유기용매 및 그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특히 종양 치료용 조성물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양은 크게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특히 악성종양의 일종인 암은 현대 의학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질병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화학물질이나 환경 및 식품 오염물질에의 노출이 점점 많아지면서 암의 발생요인이 그 만큼 더욱 커지고 있다고 하겠다. 암에 대한 연구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여러 관점에서 수행되어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푸르트라풀(Furtraful)등 여러가지 제암제가 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도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안전하게 치유할 수 있는 제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며 그동안 화학요법제, 물리치료 및 면역증강제 등의 사용으로 대처 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화학요법제 및 방사선조사를 통한 암 세포의 파괴에 있어서는 그 전신부작용 및 암세포외의 정상세포 손상이라는 부작용이 따라 점점 면역 증강 및 천연물질에서의 항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치하라(Chihara)등은 담자 균류 중 식용 버섯인 표고버섯(Lentinus edodes)으로 부터 마우스 육종 세포(Sarcoma-180cell)에 대해 강력한 억제력을 가진 베타(1-3) 글루칸인 렌티난(Lentinan)을 분리했으며 이밖에도 구름 버섯(Cariolus versicolor)에서 추출한 단백다당류인 피에스-케이(PS-K, 시판명 krestin, Tsukagoshi, S., Gann, 65 : 557-558, 1974)를 비롯하여 피시바닐(Picibanil, OK 432, Takashi Torikai, Gann, 71 : 52-59, 1980), 티씨-13(TC-13, Morihiro Kohno, Gann, 73 : 618-626, 1982)등이 항암 효과와 면역 증강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산 고등 균류와 한국산 인삼 중 지용성 성분에 항암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Hwang, W.I., Kor, J. Biochem., 10 : 1, 1978).
한편, 느릅나무에 대한 한방서의 약리효과에 대하여는 주로 구충작용, 항진균 작용 등이 수재되어 있으나 그 이외의 약리 작용 및 주성분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느릅나무의 약리 효과에 있어 항종양 효과 및 항염증 효과에 관련하여 발표된 특허 및 연구 논문은 아직 발표된 것이 없다.
최근 손(B.W. Son, Arch.pharm.Res. 12(3), 219-222, 1989)등은 당느릅나무중에서 카테친글리코사이드인 울다리오사이드 에이(uldarioside 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확인한 바 있으며, 양(H. S. Yang, 제39회 대한 약학회, 1990)등은 참느릅나무에서 플라보노이드 중 루틴(rutin)이 유기 용매 분획 과정에서 다량 결정으로 석출함을 보고한 바 있다.
또 느릅나무의 민간처방에 있어서 약리 작용과 관련하여서는 일부 지방에서 종기 및 창상 치료에 느릅나무 껍질이나 뿌리껍질의 점액질 및 말린 가루를 환부에 붙여 치유에 사용하였다는 예는 있으나 이들의 본 발명과 관련한 항종양 조성물의 효과에 관련한 정확한 보고는 없다.
항암제의 사용에 있어서 화학 요법제의 사용에 의한 암세포의 직접 파괴 및 방사선을 이용한 암세포의 파괴등의 물리적 치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암세포 이외의 정상 세포의 손상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생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느릅나무 추출물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종양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느릅나무는 그 종류가 참느릅 나무(Ulmus parvifolia Jacq.), 왕느릅 나무(Ulmus macrocarpa Hance), 큰잎느릅 나무(Ulmus macrocarpa var. macrophylla Nak.), 당느릅 나무(Ulmus davidiana Planch)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에서 자라는 낙엽 교목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느릅나무는 상기의 느릅나무의 어떤 종류를 사용하여도 가능한 데 그중, 특히, 당느릅 나무(Ulmus davidiana Planch)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느릅나무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데 예를들면, 느릅나무의 뿌리, 잎, 줄기, 껍질 등을 채취하여 햇빛에 의한 자연건조 또는 기계적인 강제건조의 어떠한 방법으로든 건조하여 잘게 자른후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및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들을 가하여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가온 추출할 수 있다.
또 상기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계통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상으로 조제하여 추출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느릅나무 추출물로 사용 가능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양 치료용 조성물의 조제]
<느릅나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느릅나무 줄기, 뿌리 또는 껍질의 분쇄물 1kg에 10배량의 메탄올을 가하여 3시간 가온한 후 여과하여 상등액과 잔사를 분리한다. 상등액을 감압 농축하여 느릅나무의 메탄올 추출몰 40g을 얻었다. 메탄올 추출물은 짙은 적갈색의 파우더상이며 가볍고 윤기가 있고 융점은 125∼130℃이다. 이 추출물을 증류수 1리터에 현탁 시킨 다음 에테르를 가하여 재추출하므로써 에테르 추출물 4g을 얻었다. 얻어진 에테르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보다 점도가 높은 적갈색이며 융점은 110~12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양 치료용 조성물의 조제는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 의해 조제된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떠한 제형 예를들면, 정제, 캅셀제, 수액제, 과립제, 환제 등으로 하여 경구용, 주사용, 국소 도포용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느릅나무 추출물의 함유량은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이다.
본 발명의 종양치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종양 조성물과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제예 1. 수액제]
제조방법은 전술성분을 혼합 후 여과한다.
[제제예 2. 정 제]
제조방법은 전술 성분을 혼합 후 과립상으로 만든 후 정제화 한다.
[제제예 3. 캅셀제]
제조방법은 전술 성분을 혼합 후 과립으로 만든 후 캅셀화 한다.
[실시예 2]
[종양치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느릅나무 추출물의 항종양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종양 세포(ICR mouse sarcoma-180 ascite tumor cells)를 7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시킨 것을 복수와 함께 채취하여 적절 농도의 세포를 생리 식염수로 희석한 후 (1.0×107cells/ml) 실험 동물(ICR계 숫컷생쥐) 각 개체당 실험용 세포수를 조정(1.0×106cells/mouse)하여 복강내에 주입하였다. 각 군의 실험 동물수는 10마리로 하고 시험 물질은 그 시험 농도를 조절하여(100mg/kg, 몸무게) 생리 식염수에 녹여 마우스 육종 세포 이식 후 익일 부터 10일간 계속 투여하였다. 이 실험의 대조군에는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각 개체의 생존 일 수를 관찰하여 각 군의 평균 생존 일 수를 구하여 대조군에 대한 시험물질 투여군의 수명 연장율을 백분율로 구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느릅나무 추출물이 종양 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같이, 느릅나무 추출물이 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실험동물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입증되므로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종양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3]
[염증치료 효과 측정]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의 종양 치료 효과 이외에 염증 유발 억제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한 결과 염증 치료 효과가 입증되었다.
1. 느릅나무 추출물의 제조
느릅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염증 유발 및 염증 치료 효과 시험
염증 유발은 크로톤오일(5% v/v 에탄올) 15μl를 마우스 양쪽 귀의 내측에 도포하여 유발시켰으며 시험 물질은 그 후 30분 경과시 한 쪽 귀부에 도포하여 6시간 경과 후 도포 부위 귀 및 비도포 부위 귀를 6mm 펀치로 잘라 각각의 무게를 잰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대조군에 대한 시험물질 도포군의 염증 유발 억제정도를 측정하여 항염증 효과로 하였다. 사용한 동물수는 각 군 1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을 5%(에탄올 : 프로필렌글리콜=1 : 1 혼압액) 농도로 조제한 것 중 15마이크로 리터를 한 쪽 귀 부위에 다른 쪽 부위에는 대조군으로 상기 용매만을 도포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느릅나무 추출물의 마우스 귀부위 부종에 미치는 영향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같이, 느릅나무 추출물의 염증유발 억제 효과가 입증되므로 이를 이용한 조성물은 염증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염증 치료용 조성물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의 양으로 함유한다.
[실시예 4]
[느릅나무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시험의 일환으로 아래의 시험 결과 느릅나무 추출물은 생체에 극히 안전한 물질로 입증된다.
1. 느릅나무 추출물의 제조
느릅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안전성 시험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소요농도(200mg/kg, 몸무게)를 생리 식염수에 현탁시켜 마우스(ICR mouse, 숫컷 20-25mg) 10마리에 5일간 투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몸무게 변화, 치사율, 행동양태, 장기적출을 하여 내부 조직에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3. 시험 결과
1) 몸무게 변화(평균 몸무게)
몸무게 변화에 있어서 시험군과 대조군(정상)간의 이상 몸무게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치사율, 행동 양태, 조직 소견
상기 시험 물질에 의한 시험 기간중 치사 및 이상 행동, 시험 물질 투여 후 30일 경과 시점에서 주요 장기간에 대한 특이한 이상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 결과로 부터 느릅나무 추출물의 생체 안전성은 극히 양호하므로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구성되는 조성물은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양 억제 및 염증 억제 효과가 입증되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 안전한 종양 치료 조성물 및 염증 치료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느릅나무의 줄기, 뿌리, 껍질 또는 잎을 극성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느릅나무 극성용매 추출물 또는 이 극성용매 추출물을 다시 비극성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느릅나무 비극성 용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양치료용 조성물.
  2. 느릅나무의 줄기, 뿌리, 껍질 또는 잎을 극성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느릅나무 극성용매 추출물, 또는 이 극성용매 추출물을 다시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느릅나무 비극성 용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느릅나무의 줄기, 뿌리, 껍질 또는 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에테르로 추출하여 얻은 에테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의 양으로 함유하는 종양 치료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느릅나무의 줄기, 뿌리, 껍질 또는 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에테르로 추출하여 얻은 에테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당 0.1∼50%의 양으로 함유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19900020468A 1990-12-13 1990-12-13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93000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468A KR930004595B1 (ko) 1990-12-13 1990-12-13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468A KR930004595B1 (ko) 1990-12-13 1990-12-13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00A KR920011500A (ko) 1992-07-24
KR930004595B1 true KR930004595B1 (ko) 1993-06-01

Family

ID=1930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468A KR930004595B1 (ko) 1990-12-13 1990-12-13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80A (ko) * 2003-03-20 2003-05-09 김태한 철판골조 구조물시공방법
WO2007091744A1 (en) * 2006-02-09 2007-08-16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ulmus davidiana planch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liom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551B1 (ko) * 1994-12-23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느릅나무의추출물을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화장료조성물
KR100893166B1 (ko) * 2002-03-18 2009-04-17 (주)케어젠 느릅나무 추출에서 추출한 당단백 농축획분의 화장품조성료로서의 응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80A (ko) * 2003-03-20 2003-05-09 김태한 철판골조 구조물시공방법
WO2007091744A1 (en) * 2006-02-09 2007-08-16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ulmus davidiana planch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lio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00A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dhuri et al. Antioxidant,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mblica officinalis: an overview
US6395311B2 (en)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Krishna et al. Guduchi (Tinospora cordifolia): Biological and Medicinal properties, a review
Bitasta et al. Aerva lanata: A blessing of mother nature
Sharma Enumerations on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ethnobotanical properties of Cassia fistula Linn: yellow shower
Beshel et al. The ethanolic extract of beetroot (Beta Vulgaris) ameliorates some red cell parameters in phenylhydrazine-induced anaemic rats
KR930004595B1 (ko)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Singh et al. Phytochemistry and medicinal uses of moringa oleifera: an overview
KR20000007346A (ko) 장생도라지 추출물로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제
Shaikh et al. A review on Indian Traditional herb Murraya koenigii its nutritive and medicinal properties in Human health management
Sangeetha et al. A Review on traditional herb Portulaca oleracea
Thakur et al.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of herbal based formulation “Amree Plus®” in diabetic rats
KR101772954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과 인삼이 혼합된 생약 혼합 추출물, 및 내독소를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20010068837A (ko) 느릅나무과에서 추출한 만소논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KR20000007347A (ko) 장생도라지 추출물로 제조된 당뇨병 치료제
Fathihah et al. THE ANTIULCER AND CYTOPROTECTIVE EFFECT OF AGERATUM CONYZOIDES'HONEY COMBINATION IN RATS
KR102437741B1 (ko) 구기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20010046028A (ko) 유니무스 알라투스종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Singh et al. A pharmacological and chemical constituents review on Tinospora cordifolia-a medicinal herb
Nejad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rat
Sovia et al. Effect of Sweet Orange and Pomegranate Peel Extract Combination on in Vivo Antidiabetic and Wound Healing Activity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949C (zh) 一种治疗肿瘤的辅助药物及其制备方法
Ghori et al. FICUS DALHOUSIAE MIQ.: A RARE PLANT SPECIES OF MEDICINAL IMPORTANCE
KR100338521B1 (ko) 대식세포 활성화능을 갖는 식용식물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