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54Y1 -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54Y1
KR930004554Y1 KR2019910024026U KR910024026U KR930004554Y1 KR 930004554 Y1 KR930004554 Y1 KR 930004554Y1 KR 2019910024026 U KR2019910024026 U KR 2019910024026U KR 910024026 U KR910024026 U KR 910024026U KR 930004554 Y1 KR930004554 Y1 KR 930004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guide
bow
measureme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297U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4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54Y1/ko
Publication of KR930013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29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제1a도는 연속주조기의 전체개략도, (b)도는 연속주조기의 캐스팅보우(casting bow)정면도.
제2a도는 종래의 인 보우(in bow) 곡률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도는 종래의 아웃 보우(out bow)곡률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도는 종래의 롤갭(roll gap)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a도는 본 고안의 인 보우 곡률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도는 본 고안의 아웃 보우 곡률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도는 본 고안의 롤갭 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d)도는 본 고안의 구조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카(guide car)
2 : 인 보우 곡률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R-gauge)
3 : 아웃 보우 곡률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
4 : 롤 갭 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
5 : 인 보우 곡률측정용 단열형 알 게이지
6 : 아웃 보우 곡률측정용 단열형 알 게이지
7 : 롤 갭 측정용 기즌 플레이드(plate)
20 : 인 보우에 조립된 기이드롤(guide roll)
30 : 아웃 보우에 조립된 가이드 롤
120 : 인 보우
121 : 인 보우 프레임(frame)포켓(pocket)
130 : 아웃 보우
131 : 아웃 보우 프레임 포켓
200 : 캐스팅 보우(casting bow)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수직 만곡형인 연속주조기의 캐스팅 보우(casting bow)곡률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스팅보우 외측에 조립된 가이드 롤(guied roll)의 곡률을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의 캐스팅 보우 설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에 조립된 인 보우(in bow; 120)와 외측에 조립된 아웃 보우(out bow; 130)로 구분되는데 인 보우(120) 및 아웃 보우(130)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guide roll; 20, 30)을 장착하여 용강으로 부터 슬라이드(slab)를 연속적으로 주조하고 있다. 아웃 보우(130)에 조립된 가이드 롤(30)의 표면은 R10,000의 곡률을 형성하고 있으며, 인 보우(120)에 조립된 가이드 롤(20)의 표면은 슬라브 두께가 150m/m일때를 기준으로 하여 R9750의 곡률을 형성하여만 고품질의 슬라브를 주조시킬 수 있으므로 아웃 보우 가이드 롤의 곡률(R10,000)과 인 보우 가이드 롤의 곡률(R9750)의 정확도에 따라 슬라브 품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현재 인 보우 및 아웃 보우의 곡률 허용차는 ±0.15m/m이며, 인 보우 및 아웃 보우 가이드 롤 간의 간격 허용차는 ±0.30m/m으로 되어 있는데, 이를 조정하기 위한 곡률측정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는 종래의 인 보우 곡률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R9750의 곡률로 가공한 단열형 알 게이지 측정변(5′)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 기준 라이너(liner; 9a, 9b)를 부착시키고 주조방향으로 네개의 가이드 롤(20-1~20-4)이 걸쳐지도록 얹은 후 틈새 게이지(11)를 사용하여 알 게이지 측정면(5′)이 닿지 않은 중간 두개의 가이드 롤(20-2, 20-3)과 알 게이지 측정면(5′)의 최소간격을 각각 한개씩 측정한 후 다음 기준롤(20-4~20-7)로 알 게이지(5)를 옮겨가며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다음 기준롤은 가이드 롤(20-7)과 가이드 롤(20-10)이 되며 측정면(5′)이 닿지 않는 중간 2개의 가이드롤은 (20-8)과 (20-9)이며 이들과 알 게이지 측정면(5′)과의 최소간격을 같은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게 된다.
이 방법은 기본적인 측정이며 측정이 완료된 후 기본측정시 기준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롤(20-2)또는 가이드 롤(20-3)에서 시작되는 기준 롤을 정하여 가이드롤(20-3)과 (20-4)또는 가이드롤(20-4)와 (20-5)를 측정한다[가이드 롤(20-3)과 (20-6)기준 시는 가이드 롤(20-4)와 (20-5)를 측정함].
이와같이 기본 측정시와 동일한 원리로 각 기준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계속측정해 나가는 방법을 복합측정이라 한다. 아웃 보우 곡률측정시에는 제2b도에 도시된 것처럼, 곡률 R10,000으로 가공된 단열형 알 게이지(6)를 사용하여 인 보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본측정 및 복합측정을 한다. 측정이 끝나면 측정수치를 기준라이너(9a, 9b)수치 (일반적으로 0.5-1m/m)와 비교하여 기록, 정리한후 아웃 보우는 곡률 R10,000에서, 인 보우는 곡률 R9750에서 이탈된 가이드 롤의 정도를 판정한 후 가이드 롤 블록(black)이 안치된 인 보우 및 아웃 보우 프레임 포켓(pocket; 121, 131)을 용접육성 및 그라인딩(grioding)하여 조정함으로 아웃 보우 곡률(R10,000)및 인 보우곡률(R9750)을 유지시켜 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틈새 게이지를 사용한 곡률측정시 측정자의 기능차이와 단열형 알 게이지 자체 이상에 의한 측정오차기 발생되며 알 게이지 전도 방지를 위해 측정인원이 많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가이드 롤 하나하나에 대해 측정해야하므로 과다한 측정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제2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곡률측정 및 조정이 끝난 캐스팅 보우의 인 보우 및 아웃 보우를 결합하여 롤갭을 측정할 때 인 보우(120) 및 아웃보우(130) 결합용으로 부착된 리프팅 실린더(lifting cylinder)의 부착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두개의 아웃 보우 가이드 롤(30-1, 30-2)을 기준으로 기준 플레이트(7)을 얹어 내측 마이크로미터(inside micrometer; 8)로 측정한 후 플레이트 두께를 더하여 롤갭을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기준 플레트 하단면이 평면이고, 가이드 롤 간(30-1과 30-2사이)에는 곡률(R10,000)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곡률과 기준 플레이트 하단면과의 편차(α)가 각 롤 마다 상이하여 이를 무시하고 있으므로 제품 품질이 저하되며 가이드 롤을 낱개로 측정하므로 측정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 보우 및 아웃 보우 곡률측정시 곡률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2, 3, 4)와 가이드 카(1)를 제작한 후 디지매틱 데이타 프로세서(digimatic data procesor; 1b)와 디지탈 인디게이터(digital indicator; 1a)를 센서(sensor)로 연결하여 가이드 카(1)에 부착시킨 후 가이드 카(1)를 가이드 롤 상에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롤의 곡률을 단 시간내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d도에서 측정면(2′, 3′, 4′)의 양 가장자리 기준부 R10,000의 곡률로 가공되어 있으며 (2는 R9750, 3, 4는 R10,000), R9925의 곡률(2는 R9820, 3, 4는 R9925)로 가공된 가이드 카(1)이동면(2″, 3″, 4″)위를 네개의 휠(1d)이 두개의 축(1e)에 간격유지용 슬리이브(1f)와 링(1g)의 지지를 받으며 너트(1h)와 와셔(washer; 1i)로 조립된 가이드 카(1)와 왕복하게 된다.
가이드 카(1)에는 디지탈 인디게이터(1a)가 고정볼트(1j)로 조립되어 있고 그 높이를 조절, 셋팅(setting)시킬 수 있는 볼트형 바(bolt type bar; 1c)가 두개의 너트(1k)로 조립되어 있으며 가이드 카(1) 상부에는 롤 갭측정시 디지탈 인디게이터(1a) 고정용 볼트형 바가 조립될 수 있는 볼트 홀(1″)이 형성되어 있다. 디지타인디게이터(1a)에는 디지매틱 데이타 프로세서(1b)가 센서로 연결되어 있어 측정과 동시에 측정장치가 디지매틱 데기타 프로세서에서 자체 프린트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 보우 곡률측정은 제3a도와 같이 복렬형 알 게이티 측졍면 양 가장자리의 기준부가 일곱개의 인 보우 가이드 롤(20-1~20-7)중 양끝 가이드 롤(20-1, 20-7)에 닿도록 얹어서 기준으로 정한 후 가이트 카를 이동시키며 가이드롤(20-2~20-6)의 상태는 디지탈 인지게이터의 수치를 확인하거나 디지매틱 데이타 프로세서가 프린트하는 수치로써 비교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기본측정이 된다. 가이드 롤(20-6)까지 측정이 끝나면 가이드 롤(20-3)과 가이드롤(20-9)을 기준으로 삼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이를 복합측정이라 함)다음은 가이드 롤(20-)과 가이드 롤(20-13)을 기준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기본측정 및 복합측정이 모두 끝남과 동시에 디지매틱 데이타 프로세서의 프린트 수치를 확인하여 곧바로 이탈된 가이드 롤의 조정작업을 하게 된다. 아웃 보우 곡률측정시에는 제3b도와 같이 아웃 보우 곡률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3)와 가이드 카(1)를 사용하여 인 보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 및 조정한다. 인 보우 및 아웃보우의 곡률측정과 조정이 완료된 후 제3c도와 같이 롤갭 측정시에는 디지탈 인디게이터 고정용 바의 위치를 가이드 카(1) 상부 볼트 홀(1″)에 고정한 후 롤갭 측정용 복렬형 알게이지(4)와 가이드 카(1)를 사용하여 아웃 보우 세개의 가이드 롤(30-1~30-3)을 기준으로 인 보우 두개의 가이드 롤(20-1, 20-2)과의 간격을 인 보우 및 아웃 보우 곡률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고안은 연속주조기의 캐스팅 보우 곡률측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벤딩 디바이스(bending divice), 수평 스트랜드 디바이스(horixontal strand divice), 스트레이팅 스트랜드 디바이스(straightening strand divice), 핀치 롤(pinch roll)및 각종롤(roll) 수평도 측정시에도 본 고안과 동일한 원리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가이드 롤 상에 가이드 카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롤의 곡률을 정확하게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곡률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어 제품품질 향상과 정비기간 단축에 따른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연속주조기의 캐스팅 보우 곡률측정장치에 있어서 휠(1d)이 축(1e)에 간격유지용 슬리이브(1f)와 링(1g)지지를 받으며(1h)와 와셔(washer; 1i)로 조립되고 볼트형 바(1c)가 셋팅 및 높이조절용 너트(1k)로 조립되도록 홀(1′)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형 바(1c)의 지지로 디지탈 인디게이터(1a)와 디지매틱 데이타 인디게이터(1a) 고정용 볼트형 바 조립용 본트 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카(1), 측정면(2′, 3′, 4′)의 기준부가 곡률과 동일한 수치로 가공되며 상기 가이드 카(1) 이동면(2″, 3″4″)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물의 곡률과 나란하고, 양 가장자리에 가이드 카 이탈 방지 장치(2a)가 부착되어 있는 곡률측정용 볼렬형 알 게이지(2, 3, 4); 상기 곡률측정용 복렬형 알 게이지(2, 3, 4)에 상기 가이드 카(1)를 올려놓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KR2019910024026U 1991-12-26 1991-12-26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KR930004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026U KR930004554Y1 (ko) 1991-12-26 1991-12-26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026U KR930004554Y1 (ko) 1991-12-26 1991-12-26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54Y1 true KR930004554Y1 (ko) 1993-07-21
KR930013297U KR930013297U (ko) 1993-07-26

Family

ID=1932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026U KR930004554Y1 (ko) 1991-12-26 1991-12-26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297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0182C (zh) 数个共同作用的轧制单元或辊子单元的精确定位方法和装置
KR930004554Y1 (ko) 연속주조기 곡률측정장치
CN101844210B (zh) 连铸机弧形段支承结构的安装方法
KR101367300B1 (ko)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KR10126205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정렬상태 측정장치
CN201632605U (zh) 连铸机弧形段支承结构和连铸机扇形段支承结构
US4132003A (en) Apparatus for measuring curvature and other geometric relations of dual roller tracks
CN114178495B (zh) 一种连铸结晶器对中自动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215748610U (zh) 一种自适应调整砂轮间隙的数控磨簧机
CN111438344A (zh) 一种连铸机液压扇形段热态辊缝的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205156834U (zh) 缠绕瓶内胆同心度检测装置
JPS6132089B2 (ko)
CN111438227B (zh) 一种热矫直机框架调整方法
JPH0758189B2 (ja) 管棒材の曲り測定方法
KR102626307B1 (ko) 세그먼트 롤 레벨 측정장치
KR20030052750A (ko) 휴대용 폭압연롤 정밀간격 측정장치
JPS62161447A (ja) 連続鋳造設備の鋳片通路パスライン測定装置
CN216369510U (zh) 一种具备在线检测反馈调整的多辊星型轧制机组
KR0123138Y1 (ko) 주편 냉각용 스프레이 노즐의 냉각수 분사위치 조정장치
JPH0330443B2 (ko)
CN215786626U (zh) 一种连铸扇形段辊系对中调整装置
CN211990278U (zh) 一种铍铜用压延轧机
CN211178260U (zh) 一种厚板坯连铸机内弧框架中心距的测量装置
SU11382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оси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заготовок
JPH05570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