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03Y1 -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03Y1
KR930004503Y1 KR2019910000372U KR910000372U KR930004503Y1 KR 930004503 Y1 KR930004503 Y1 KR 930004503Y1 KR 2019910000372 U KR2019910000372 U KR 2019910000372U KR 910000372 U KR910000372 U KR 910000372U KR 930004503 Y1 KR930004503 Y1 KR 930004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tapping machine
fixed
insertion groov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846U (ko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임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수 filed Critical 임진수
Priority to KR2019910000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03Y1/ko
Publication of KR920014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4a,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종래 너트 고정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주축 2 : 이동대
3 : 고정대 7 : 고정구
8 : 삽입홈 9,9a : 회동편
10,10a : 힌지축 14,14a : 스프링
15,15a : 조정보울트 16 : 높이조절판
17 : 너트이송대 20 : 탭진입부
21 : 받침편 N : 너트
T : 탭
본 고안은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구에 삽입되는 너트가 쓰러지지 않게하여 가공불량과 탭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공되는 너트의 크기와 태핑머신의 기종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결정 기능을 구비하여 호환성을 갖게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너트공급기의 너트공급관으로부터 고정구(30)에 너트(N)가 안착되면 일측의 이동편(31)이 전진하여 회전하는 탭(T)의 위치까지 너트(N)를 밀어주어서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너트의 두께가 얇을 경우 너트가 고정구에서 자립할 수가 없게 되므로 너트의 자동공급시에 너트가 쓰러져서 가공불량은 물론 탭의 손상이 빈번하게 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너트를 고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이며 더우기 얇은 너트의 중앙을 보강한 특수한 너트에 있어서는 무게중심의 편중에 의해 자동화에 의한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가공할 너트의 규격에 따라 별도의 너트 고정장치를 마련해야 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고정구의 선단양측에 회동편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너트가 개입되게 함으로써 너트가 쓰러지는 일이 없이 너트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회동편이 고정구에 삽입된 조정 보울트로 지지되고 높이 조절판에 의해 너트의 받침판이 승강되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너트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너트 고정장치는 양측 주축(1)(1a)에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는 이동대(2)와 대향측에 고정되는 고정대(3)로 구성된다.
이동대(2)는 일반적인 태핑머신의 구동부에 의해 진퇴작동을 하고, 고정대(3)는 고정나사(4)에 의해 주축(1)(1a)에 고정된다.
주축(1)(1a)에 형성된 나사부(5)에는 로크너트(6)(6a)가 결합되어 이동대(2)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동대(2)의 상단에는 고정구(7)가 안착 고정되고 그 선단에 형성된 삽입홈(8) 양측에 회동편이 힌지축(10)(10a)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회동편(9)(9a)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요구(11)(11a)를 각각 형성하여 탭(12)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고정구(7)의 삽입홈(8) 측벽에는 탭삽입구멍(13)을 형성한다.
고정구(7)와 회동편(9)(9a)의 외곽에는 스프링(14)(14a)을 탄설하여 회동편(9)(9a)이 고정구(7)의 선단에 밀착되게 하여 삽입되는 너트를 협지토록 한다.
고정구(7)에는 별도의 조정보울트(15)(15a)를 삽입하여 회동편(9)(9a)이 삽입홈(8)으로부터 적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조정될 수 있게된다.
고정대(3)의 중앙에는 높이 조절판(16)의 상부에 너트 이송대(17)와 안내편(18)을 고정보울트(19)로 고정한다.
너트 이송대(17)는 중앙에 형성된 사각홈 형상의 탭진입부(20)의 하측면으로부터 받침편(21)을 연설한다.
한편, 이동대(2)에는 고정구(7) 및 회동편(9)(9a)의 하측으로 요입부(22)를 형성하여 너트 이송대(17)의 받침편(21)이 진입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축(1)(1a)을 이동대(2)와 고정대(3)에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주축(1)(1a)을 통상의 태핑머신에 고정하면서 이동대(2)를 태핑머신의 구동축(22)에 접속시키고 너트공급기(도시하지 않음)의 너트공급관(23)의 하단을 삽입홈(8)의 상부에 일치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좌우측의 로크너트(6)(6a)를 조절함으로써 이동대(2)가 주축(1)(1a)에서 미세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너트공급관(23)과 삽입홈(8)의 중심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대(3)는 받침편(21)이 요입부(22)에 삽입되어 고정구(7)의 하단에 위치한 지점에서 고정나사(4)로 고정되어 있으며 탭진입부(20)에는 탭(T)이 진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너트공급관(23)으로부터 고정구(7)의 삽입홈(8)으로 너트(N)가 삽입되면 너트(N)의 하부는 받침편(21)에 안착되면서 전면은 회동편(9)(9a)의 양단이 막고 있기 때문에 자증이나 진동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게 된다.
이후에 태핑머신의 구동과 함께 탭(T)이 회전을 시작하고 구동축(22)이 전진하면서 이동대(2)가 주축(1)(1a)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탭(T)이 회동편(9)(9a)을 지나서 너트(N)에 암나사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대(2)가 후퇴하면 너트(N)는 탭(T)에 걸려있으므로 회동편(9)(9a)이 스프링(14)(14a)의 탄성을 이기고 힌지축(10)(1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너트(N)를 송출하고, 송출된 너트는 계속되는 탭(T)의 회전에 따라 안내편(18)에 안내되어 이송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며 계속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과정중에 너트의 두께가 두꺼워질 때에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조정보울트(15)(15a)를 고정구(7)에 체결하면 회동편(9)(9a)을 삽입홈(8)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되어 두꺼운 너트를 삽입하여 가공할 수 있으며 암나사부의 호칭지름이 커질때에는 적절한 삽입홈(8)을 갖는 고정구(7)와 높이조절판(16)을 낮은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받침편(21)이 요입부(22)에서 하향하여 너트와 랩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너트를 회동편을 협지하여 자동공급시에도 쓰러지는 일이 없게 되므로 얇은 두께의 너트도 자동공급에 의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가공불량이나 탭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너트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조정보울트와 높이 조절판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로크너트에 의한 이동대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태핑머신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주축(1)(1a)에 체결된 로크너트(6)(6a)에 일측에서 섭동하는 이동대(2)에 너트 삽입홈(8)이 형성된 고정구(7)를 고정하고, 삽입홈(8)의 양측에 회동편(9)(9a)을 힌지축(10)(10a)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고정구(7)와 회동편(9)(9a)의 외곽에 스프링(14)(14a)을 탄설하여 회동편(9)(9a)이 고정구(7)의 선단에 밀착되어 삽입홈(8)에 삽입되는 너트를 협지토록하고, 대향측에 고정된 고정대(3)에는 너트 이송대(17)에 개설된 탭진입부(20)로부터 연장된 받침편(21)의 상부면이 고정구(7)의 하부면에 위치되게 하며, 상단에 안내편(18)을 체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너트 이송대(17)의 하측으로 높이 조절판(16)이 개재되어 높이 조절판(16) 높이의 증감에 따라 받침편(21)의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고정구(7)에 조정보울트(15)(15a)가 삽입되어 조정보울트(15)(15a)의 선단이 회동편(9)(9a)을 지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KR2019910000372U 1991-01-12 1991-01-12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KR930004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372U KR930004503Y1 (ko) 1991-01-12 1991-01-12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372U KR930004503Y1 (ko) 1991-01-12 1991-01-12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46U KR920014846U (ko) 1992-08-14
KR930004503Y1 true KR930004503Y1 (ko) 1993-07-21

Family

ID=1930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372U KR930004503Y1 (ko) 1991-01-12 1991-01-12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46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92317A (ja) 複数の縦溝を有するねじが切られたピンファスナー
US35469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e cutting blanks from stacks of sheet material
RU2462326C2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винт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готовок в резьбонакатном станке, способ вставки заготовок в так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винт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для подачи заготовок в резьбонакатный станок
US5616082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fastener to a washer
KR930004503Y1 (ko) 태핑머신의 너트 고정장치
US7246508B1 (en) Automatic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US4613260A (en) Thread cutting die head for power driven threading machines
US5064049A (en) Device for lining up parts
US6921877B2 (en) EDM drill
CA1051152A (en) Oriented type shank slotter
CN109894690A (zh) 一种具有分拣功能的机械加工装置
CN111906394B (zh) 一种自动化连接件螺纹加工传料装置及传料方法
US4960273A (en) Dual mode document feeder
JPH03238220A (ja) 部品位置決め装置
CN113560676B (zh) 滚齿机
JP2002053232A (ja) 給紙テーブルにおいて枚葉紙の位置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20050017213A (ko) 스티어링 타이 로드단의 탭 전용 가공기
CN220196549U (zh) 一种螺杆加工用给料装置
KR970058818A (ko) 스크루우 선별장치
US3068991A (en) Vibratory feeder and orientor of articles such as screw blanks
RU2021063C1 (ru) Резьбонакатной автомат
SU1206056A1 (ru) Агрегатный станок
CN113560677B (zh) 滚齿机
CN212953188U (zh) 一种段差机的可调式支架
JP2811532B2 (ja) 水平ねじ締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