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22B1 - 시저잭(scissor jack) - Google Patents

시저잭(scissor j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22B1
KR930003322B1 KR1019860700935A KR860700935A KR930003322B1 KR 930003322 B1 KR930003322 B1 KR 930003322B1 KR 1019860700935 A KR1019860700935 A KR 1019860700935A KR 860700935 A KR860700935 A KR 860700935A KR 930003322 B1 KR930003322 B1 KR 93000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leg
support arm
support
foot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569A (ko
Inventor
페르디난트 알텐
Original Assignee
아우구스트 빌스타인 게엠베하운트컴파니카게
쉬미트-오프 하우스, 아이. 비. 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8513829U external-priority patent/DE8513829U1/de
Priority claimed from DE8522952U external-priority patent/DE8522952U1/de
Application filed by 아우구스트 빌스타인 게엠베하운트컴파니카게, 쉬미트-오프 하우스, 아이. 비. 벤트 filed Critical 아우구스트 빌스타인 게엠베하운트컴파니카게
Publication of KR87070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 발명은 장치(device)등을 들어올리는 잭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 말하면, 타이어(tire)를 교환하며, 차량의 하부측에 접근하기 위하여 차량의 본체를 들어올리거나(lift) 기타목적으로 쓰이는, 시저잭(scissor jack)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을 들어올리는 시저잭은 레그(leg)와, 그 레그에 부착되어 수평회전축 주위를 회전시킬수 있고 자유단에 하중을 가진 부재를 가진 제 1 지지암과, 잭스크루(jack screw)을 구성한다.
그 잭스크루의 일단부는 그 레그의 상단부에서 잭스크루너트(jack screw nut)와 결착하고 그 타단부는 제2 및 제3 지지암 또는 브레싱암(bracing arm)을 서로 접속하는 피벗조인트(pivot joint)에서 잭스트루베어링에 결착되어있다.
제 2 지지암은 제 1 지지암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제 3 지지암은 그 하단부에 부착한 푸트피스(foot piece)를 가진 레그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독일실용신안등록 DE-GM NO.8313974.5의 시저잭은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푸트피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그 시저잭의 조작자가 그 레그를 알맞게 경사진위치로 조절하여 그 차량을 들어 올리도록 함으로써 그 푸트피스위에 그리고 그 푸트피스에서 형성되는 마찰원주(friction cone)에 위치되어 그 시저잭이 하중을 받고있을때 슬립핑(slipping)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로다른 수개의 개시위치, 즉 하중을 충분히 가진 차량이 타이어를 평편하게 하는 최하위치와 그 차량에서 하중을 제거시켜 타이어가 원상으로되는 다른위치에서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시저잭의 슬립핑은 하나의 특별한 문제가 된다.
그 마찰원추(cone)는 그 정점으로서, 지면(ground)에서 지지점과 정각(apex angle)을 가진 원추로 정의되며, 그 정각내에서 하중의 수평력 성분이 마찰저항이동(friction resisting displacement)을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하중점(load point)이 이 가상원추(imaginary cone)내에 있을경우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 원추각(cone angle)은 지면(ground)에서 지지점의 슬라이딩마찰(sliding fiction)계수에 의해 정해진다. 독일공개공보 DE-OS NO.2427443에 기재되어 있는 시저잭은 평면접촉면(place contacting surface)을 구성하는 레그의 하단부에 롤러푸트(roller foot)를 가진다. 이 롤러푸트 및/또는 접촉면을 가진 시저잭 및/또는 레그는 알맞은 경사위치로 조절된다.
그러나, 이 시저잭을 사용할때 이것과 그 롤링푸트(rolling foot)를 그 차량에 맞게 조절하거나 또는 알맞게 맞추어 그 차량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시저잭은 여러가지목적에 만족스러우나 여러가지 타입의 차량에 일반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종래의 잭의 결점을 제거한 차량을 들어올리는 시저잭(scissor jack)의 개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시저잭을 경사지게 하거나(tipping) 활동(slipping)됨이없이 그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위치로 들어올리는 차량의 타입에 관련됨이 없이 설정될 수 있는 시저잭의 개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하나의 또다른 목적은 그 지면(ground)에서 그 지지레그를 지지할뿐 아니라 가장 용이하게 설치하여, 신뢰성 및 안전성있게 들어올리는 간격을 둔 두 지점에서 브레이싱암(bracing arm)중 하나를 지지하며 여러가지 목적에 쓰이는 시저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더 명백하게 알 수 있는 이 발명의 목적등은 이 발명에 의해 레그(leg)와, 그 레그에 장착되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그 자유단에서 하중베어링부재(load bearing member)를 가진 제1지지암(first supporing arm)과 잭스크루(jack screw)를 구성하는 시저잭(scissor jack)에서 달성된다.
그 잭스크루의 일단부는 그 레그의 상단부에서 잭스크루너트에 결착되고 그 타단부는 제 2 및 제 3 지지암 또는 링크(link)를 서로 접속하는 피벗조인트(pivot joint)에서 지지되는 잭스크루(jack screw)에 결착되어 있다.
그 제2지지암은 제1지지암과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고, 제3지지암은 그 레그의 하단부에 부착된 푸트피스를 가진 레그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시저잭은 슬립핑됨이 없으며, 들어올릴 수 있는 차량의 타입에 관견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절브레이스(control brace)를 사용하여 그 시저잭이 들어 올리는 과정을 개시할대 얻어지는 경작(inclination)을 유지한다.
그 조절브레이스는 롤링(rolling)을 할 수 있는 레그의 지지점에서 항상 간격을 둔 지면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지점을 구성한다.
그 지지점은 그 지면에 직접 결착시킬 필요는 없으나 플레이트(plate)의 중간을 통하여 그 지면에 전달되는 그 지지점의 힘을 가질 수 있다.
이 조절브레이스는 제3지지암과 레그의 회전축상에서 형성되고 지면에서 고정할 수 있는 레그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는 제3지지암에 장착한 경질편(rigid piece)으로 할 수 있다. 또, 그 조절브레이스는 그 푸트피스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그 푸트피스는 그 레그와, 그 레그의 지지점에서 그 잭스크루 조작측과, 그 제3지지암 및 레그의 피벗조인트축의 잭스크루 조작축에서 제3지지암에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그 시저잭이 차량에 설정될때 그 시저잭은 조절브레이스가 경질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 조절브레이스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그 제조는 염가로 할 수 있다. 그 조절브레이스는 그 시저잭의 개시 및 초기하중위치에서 그 지면에 설정되어 있다. 그 차량을 들어올리는 즉시 그 조절브레이스 접촉면은 그 지면에서 이탈되고 그 레그는 그 푸트피스상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멘트는 차량을 들어올릴때 그 차량운동에 의해 종래의 시저잭을 사용하는것과 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발명의 제2실시에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는 제3지지암과 푸투피스 사이에서 영구접속(permanent connection)으로 되어 그 시저잭의 위치설정구조에서 볼때 그 레그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제3지지암의 수직배향(vertical orientation)이 증가함에 따라 그 조절브레이스에 의한 직접적인 접속은 그 수직배양에 영향을 주어 그 레그가 이에따라 들어 올려진다. 그 결과, 제1지지암은 제3지지암 따라서, 하중베어링 부재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 시저잭의 초기위치에 있는 하중베어링부재가 그 푸투피스상에서 레그의 지지점 위 마찰원추(cone)내에 있는 조절브레이스의 회전접속위치를 선택하여 그 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이 발명의 시저잭에서 그 시저잭의 운동과 조절브레이스의 운동은 그 차량이 들어올려질때 그 조절브레이스상에서 증가하는 힘이 가하여지지않도록 한다. 그러나, 그 조절브레이스에 하중을 가하는 그 레그의 회전운동이 상당히 크고 비예측적이므로, 들어올린 그 차량이 극히 다른 여러가지 운동경로를 가질때 특히 이 발명에 의한 시저잭 구조의 일부를 변형해야한다.
그 조절브레이스와 레그의 피봇조인트와 제3지지암의 하중 또는 과잉의 하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 조절레이스는 들어올리는 공정을 밟을대 그 피벗조인트의 상대운동에 따라 그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한 부분(a part)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그 조절브레이스는 예로서 경질고무로 구성할 수 있고, 시저잭이 작동할때 견디어낸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그 피벗조인트와 간격을 두고 더 떨어져있거나 동시에 더 가깝게 있는 그 차량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하중을 가한 결과 그 레그가 강제적으로 이동하는 즉시 그 조절브레이스의 재질은 적합한 형상변화를 하도록하여, 결국 그 피벗조인트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하도록 한다.
그 조절브레이스의 피벗조인트는 그 푸투피스의 돌추루재와 제3지지암의 절곡편(bent piece)에 의해 형성되고 일단에 견고하게 부착된 강력한 축핀(axial pins)을 구성한다. 물론, 그 조절암의 피벗조인트는 제3지지암과 푸트피스의 부분(parts)을 일체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후자(푸트피스)는 통상팍판(sheet metal)으로 구성시켜 금속부분을 압축성형(stamp)을 하기 때문에, 그 피벗조인트와 그 피벗조인트를 형성하는 축핀은 제 3 지지암 및 푸트피스와 동시에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로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강력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들의 피벗조인트는 축볼트(axialbolt)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 시저잭의 부착수단, 예로서 리벳등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비교적 두께가 엷으나 강한 축핀은 그 시저잭의 중량에 의한 힘과 탄력있는 조절브레이스로부터 전달되는 힘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하다.
그 조절브레이스는 그 레그에 설정된 경질의 롤러푸트(roller foot)로 형성되는 푸트피스의 지지영역으로 돌출되며, 그 조절브레이스의 부착된 경질조절브레이스의 개구를 구비한다.
그 조절브레이스는 또 콤팩트(compact)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그 개구는 그 조절브레이스가 푸트피스의 지지영역에서 지면에 지지될때 필요로한다. 이 발명에서, 그 푸트피스는 그 레그상에 축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그 조절브레이스가 고정되어있는 지지판(supporting plate)을 가진다.
그 푸트피스 및/또는 그 지지판은 그 조절브레이스를 연속해서 지지상태로 구성하도록 협력한다. 따라서, 그 지지판상의 유연한 지면효과와 그 시저잭 성능신뢰성에 대한 그 지면효과는 무효로된다(nullified).
그 조절브레이스는 그 자유단부에 그 레그쪽방향의 곡선형 지지면을 구성한다. 이와같이, 그 조절브레이스의 지면단부상에 연속적으로 알맞은 지지면을 구성한다. 이 발명에서, 그 레그는 푸트피스에 인접한 외단부에 보강편을 가진다. 그 결과 얻어진 푸트피스 가까이있는 레그의 강도는 보장받게되고 축핀과 또 크기가 큰 조절브레이스의 보강편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게된다.
또, 비교적 크게들어올린 위치에 있는 그 레그는 푸트피스에 접촉되고, 차량을 들어올릴때 그 시저잭의 적합한 작동을 보장받는 또다른 축회전운동에 대항하면서 그 푸트피스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 하중베어링부재는 그 결과 그 차량의 지지점상에서 마찰원추내로 잡아 당겨지지않는다. 동시에, 그 들어올린위치의 초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레그운동에 의해 그 조절브레이스의 오버로딩(over loading)을 방지한다.
그 축핀이 조절브레이스에 장착될때 그 조절브레이스가 스트래들링(stradding)을 하도록 위치한 반경방향암(radial arm) 지지부재를 그 축핀은 가진다. 그 푸트피스의 지지영역이 그 시저잭이 중력(gravity) 중심아래에서 수직으로 있을때 그 지면에서 그리고 그 차량의 하부에서 또 다른 조절을 함이없이 직접 그 영역을 설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하중베어링부재는 그 차량본체의 적당한 장소에 결착한다. 이 발명의 시저잭을 사용하여 그 차량을 별문제없이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르는 실시예에 따라 아래에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의 의한 시저잭(scissors jack)을 지면(ground)에 내린 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2도는 차량의 적당한 위치에 결착시켜 들어올리도록(lifting)하거나 인양중에 있도록 위치를 설정시킨 최대의 개시구조(highest starting configuration)를 나타낸 제1도의 시저잭의 개략도.
제3도는 특히 푸트피스(foot piece)를 나타낸 이 발명의 시저잭의 또다른 실시예의 부분절단 측면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시저잭의 제3실시예로서 그 시저잭을 지면에 내린 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시저잭을 최대로 올린 위치를 나타낸 부분절단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시저잭의 "A"방향의 정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시저잭(10)에는 레그(leg)(11)와, 수평회전축(horizontal pivot axis)(13)을 중심으로 하여 축회전을 할 수 있는 레그(11)에 장착시킨 제1지지암(first supporting arm)(12)이 구성되어 있다.
그 수평회전축(13)은 잭스크루(jack screw)(15)가 스크루고정을 한 잭스크루너트(jack screw nut)상에 피벗핀(pivot pin)(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지지암(16)과 제3지지암(17)은 회전축(18,19)에 레그(11)와 제1지지암(12)으로 연결되고 그 회전축(18,19)은 제1지지암(12)의 상반부와 레그(11)의 하반부에 각각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2지지암(16) 및 제3지지암(17)은 조인트(joint)에 의해 이들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그 조인트는 각 스크루 장착베어링의 피벗핀(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잭스크루(15)의 일단은 이 잭스크루장착베어링(20')에 결착되고, 동시에 그 타단은 핸드크랭크(land crank)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같이, 그 잭스크루베어링은 그 잭스크루(15)의 회전과 제1 및 제3지지암(16,17)이 축운동을 하도록 한다. 그 잭스크루베어링과 또 앞서 설명한 잭스크루너트는 독일공개특허공보 DE-OS NO.2427443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있다.
제1지지암(12)의 자유단부에서 하중베어링부재(load bearing member)(21)는 힌지형상 구조와 이동성(mobility)을 가진 장착판을 구성하며, 제1지지암(12)상에 있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하여 부분적으로 축회전을 할 수 있다.
제1지지암(12) 및/또는 회전축(22)상에 하중베어링부재(21)의 위치는 지지편(retaining piece)(24)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 하중베어링부재(21)는 들어올리는 차량의 본체와 결착하는 장착면(mounting surface)(23)을 가진다.
더욱이, 리세스(reces)(25)가 있어 그 리세스에는 본체판용점심(body plate weld seam)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시저잭(10)은 그 차량본체에서 활동(sliding)을 할 수 없다.
그 하중베어링부재(21)의 이와같은 형상은 독일특허 제2801735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의해, 롤러푸트(roller foot)로 형성된 푸트피이스(foot piece)(26)는 그 레그(leg)(11)의 하단부에 위치되어있어 그 래그(11)상에 견고하게 설정되고 지지면(27)과 직립면(upright surface)(29)사이에 롤러에지(roller edge)(28)를 가진다. 그 지지면(27)은 중력 S의 중심이 위치되어있는 푸트피스(26)의 지지영역을 구성하여 그 시저잭(10)을 그 지면(ground)에 경사됨(tipping)이 없이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레그(11)에 인접한 제3지지암(third support arm)(17)상에 있는 조절브레이스(control brace)(31)는 그 레그(11)쪽방향의 구부러진 지지면(33)을 구성한 레그(11)에 인접단부를 가지며, 그 지지면은 지면(30)쪽에서 블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구부러진 지지면(33)은 그 조절브레이스(31)가 지면(30)에서 크기가 충분하게 큰면(surface)에 연속해서 지지하도록하여, 한 구성요소의 단부에서 시저잭(10)이 고정(bracing)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조절브레이스(31)은 제3지지암(17)의 종축에서 그 지면(30)쪽으로 분기(diverge)되어있다. 그 결과, 회전축(19)은 그 시저잭이 자동중에 있을때 그 조절브레이스(31)에 의해 끌어당김(drawing)을 방지하는 그 레그(11)의 단부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그 레그(11)와 제1지지암(12)은 에로서 U형상의 크로스섹션지지바(cross section supporting bars)를 구성하며, 그 U형상본체는 그 수평회전축(13)부근에서 절단되어 있어 그 필요한 운동의 유극(play)방지를 보장받는다.
제2지지암(16) 및 제3지지암(17)은 에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유지된 트윈바(twin bars)로, 역시 U형상의 크로스섹션을 가진다. 제2도는 그 시저잭(10)의 구성을 나타낸것으로, 피벗핀(14)(20)을 그 잭스크루(15)의 작동에 의해 제1도와 반대로 동시에 밀어나게되어, 그 시저잭(10)의 레그와 암에 의해 형성된 평행한 파이프형상은 이에 대응해서 펼쳐져 하중베어링부재(21)는 푸트피스(26)상에서 최고위치를 가진다.
이것은 제 1 도에 나타낸 위치에서 제 2 도에서와 같은 롤러에지(28)상의 우측으로 작동한다. 이것은 계속해서 μ=0.3이 마찰원추(friction cone)로 있다. 이와같이, 하중베어링부재(21)의 프로세스를 제 2 도의 대시선으로 나타낸다. 그 하중베어링부재(21) 및/또는 시저잭(10)은 조절브레이스(31)의 적당한 크기에 의해 이와같이 조절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시저잭(10)의 최저개시구성(lowesr starting configuration)과 제2도에 나타낸 최대개시구성에서 그 시저잭이 활동(slipping)됨이 없이 그 차량을 들어올릴수 있다. 그 차량을 들어올릴때 그 조절브레이스(31)는 그 지면에서 주로 떨어져 있고 그 하중 베어링부재(21)는 그 차량을 이동하는 상방향과정을 따른다.
제2도에 의한 조절브레이스(31)는 그 이동과정에서 레그(11)에 장착된 경질의 롤러푸트(roller foot)로 형성된 푸트피스(26)와 결착되기 때문에 이 푸트피스는 적당한 리세스(recess)를 구비하여야하며, 그 조절브레이스(31)는 그 푸트피스(26)의 지지면 양측에 의해 포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 푸트피스(26')는 레그(11)의 하단부(38)에 있는 회전축(37)에서 회전할 수 있는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푸트피스(26')의 지지면(27)은 그 지면(30)에 연속해서 위치되고 그 제3지지암(17)의 조절브레이스(31)는 그 푸트피스(26')의 내면(34)에 지지되어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시저잭(10)은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시저잭과 주로 동일하여 다음의 설명에서와 같은 내용이 다르다. 그 도면에서는 그 잭스크루(15)가 스크루고정을 한 잭스크루너트(도시 생략)을 가지며, 피벗핀(20)에서 U형상피팅(fitting)(52)은 그 U-베이스(base)상에 잭스크루 장착베어링(54)을 부착한다. 이 잭스크루장착베어링(54)에서는 그 잭스크루(15)의 일단부가 결착되고, 그 타단부는 핸드크랭크(hand crank)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레그(11)의 한단부에서 지지판으로 형성된 푸트피스(26)은 회전할 수 있게 설정되어 그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hinge)와 같은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 푸트피스(26)의 지지면은 지면(30)상에 계속해서 정지되어 잇고 슬립방지스트립(antislip strips)(55)에 설정되며 연장부재(extensions)(56)는 푸트피스(26)의 지면측에 고무(rubber)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슬립방지스트립(55)과 연장부재(56)는 특히 평탄한지면 또는 압축할 수 있는지면에서 푸트피스(26)의 슬립핑을 방지한다. 그 푸트피스(26)상에서 레그(11)의 지지점(supporting point)(41)은 슬립방지스트립(55)와 연장부재(56)의 인근에 위치시킨다. 제1지지암(12), 제2지지암(16) 및 제3지지암(17), 그리고 레그(11)은 U형상크로스섹션 지지암으로 형성된다.
U형상크로스섹션암은 그 시저잭이 동시에 접어지거나 완전히 크랭크회전을 시킬때, 그 잭스크루장착베어링(54)에 필요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그 잭스크루장착 베어링(54)에 가까이에서 폭을 넓힌다. 그 레그(11)의 U형상본체는 그 하단부(38)가까이에서 요홈형상을 형성한다. 그 개구(58)의 인근에 있는 레그(11)의 U형상크로스섹션에 의해 형성된 에지(edge)(57)는 그 외측방향에 있는 보강편(51)을 가진다.
그 보강편(51)이 형성됨으로써, 그 보강편은 푸트피스(26) 및/또는 시저잭(10)의 정치 구조지지면(27)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지지점(41)의 잭스크루측면에 형성된다. 그 보강편은 도면에서와같은 각도로 작동하며 직립면(29)은 그 레그(11)가 지지점(41)의 타측에 있는 푸트피스(26)의 최고위치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그 레그(11)의 측벽(59)사이의 개구(58)에는 조절브레이스(40)가 위치되어 제3지지암(17)의 일단부와 푸트피스(26)의 타단부에는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그 결합은 피벗조인트(pivot joint)(42,43)에서 행하여진다. 그 피벗조인트(42)는 거의 회전축(37)의 수평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피벗조인트(43)는 접속라인(48)에 위치되고 그 접속라인은 피벗핀(20)과 회전축(19)을 접속한다. 그 결과, 그 조절브레이스(40)는 비교적 짧아진다.
그 시저잭(10)은 조절브레이스(40)를 방해함이없이 가장 평편한 구조로 접을수 있다. 그 차량에서의 그 접은 시저잭(10)의 구조에서 스 시저잭(10)의 한 구성요소는 푸트피스(26)의 인장(tension)상태하에서 접속되어 있어 그 결과, 비교적 충돌됨이 없는 시저잭(10)을 가진다.
그 피벗조인트(42,43)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핀(axialpins)(44,45)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이들의 축핀(44,45)은 제3지지암(17)의 절곡편(bent piece)(46)과 푸트피스(26)의 돌출부재(47)가 일체로된 구성요소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절곡편(46)이 제3지지암(17)의 평면에서 일정한각으로 구브러져있고 더욱이 회저축(19)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그 절곡편(46)은 조절브레이스(40)을 통과하며, 그 조절브레이스(40)의 양측에 암지지부재(arm retaining members)(49,50)를 가지며, 그 조절브레이스는 그 조절브레이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작동한다.
그 도면에서, 그들의 암지지부재(49,50)는 그 조절브레이스(40)의 그 대응되는 구멍직경 보다 폭이 더넓은 절곡편(46)을 제3지지암(17)의 두께가 두터운 곳에서 조절하여 타격을 가함으로써(punching out)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암지지부재(49,50)의 경우와 동일한 제작을 그 푸트피스(26)의 돌출부재(47)에도 적용된다.
그 돌출부재(47)는 그축핀(44)이 회전축(37)으로서 동일높이에 주로 있도록 한다. 제5도에서도 조절하여 타격을 가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는 그 절곡편(46)의 축핀(44,45) 및/또는 돌출부재(47)는 그 제작에 따르는 공정에서 제3지지암(17)을 제작할대 4개의 코너로 하거나 원형으로 프레스가공(press)을 할 수 있다.
그 조절브레이스(40)는 그 대응되는 축핀(44,45)에 맞는 구멍을 가져 이것과 제3지지암(17) 및/또는 푸트피스(26)사이에는 상대운동을 형성한다. 그 조절브레이스(40)가 탄성재, 특히 고무로 구성되어있는 것과 같이, 그 조절브레이스와 푸트피스(26) 및/또는 제3지지암(17)을 조립할때, 그 조절브레이스는 암지지부재(49)에 밀어넣어 축핀(44,45)을 스냅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snap on).
그 조절브레이스가 탄성이 아니고 강(steel)으로 구성될 경우 그 축핀(44,45)에 그 조절브레이스(40)을 예로서 단단히 조이게하여(squeezing) 설정시킨 다음 그 암지지부재(49)를 형성한다.
제4도는 지면(30)에서 그 하중베어링부재(21)에 결착시켜 들어올리는 차량에 있어서 최저로 허용되는 개시높이에 해당되는 시저잭(10)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 잭스크루(150)를 회전시켜 그 잭스크루방착베어링(54)이 그 잭스크루너트에 접근하면 피벗핀(20,14)을 동시에 같이 밀고나간다.
그 결과, 평행한 파이프형상의 시저잭(10)은 솟아올라(rise), 그 하중베어링부재(21)는 그 푸트피스(26)상에서 높은위치를 취한다. 이것은 그 푸트피스(26)의 레그(11)의 지지점(41)상에 예로서 μ=0.3의 마찰원추(friction cone)를 결코 벗어나지 않는다.
시저잭(10)으로 초기결착위치에서 그 차량을 들어올릴때, 그 시저잭(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sliding)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가할 수 없다. 이와같이 그 차량은 제4도에 나타낸 최하위치에서 제5도에 나타낸 최고위치에 이르기까지 슬립핑(slipping)됨이 없이 위로 올릴 수 있다.

Claims (9)

  1. 레그(leg)(11)와, 수평회전축(horizontal pivot axes)(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작동할 수 있으며 자유단부에 하중베어링부재(load bearing member)(21)를 가진 제1지지암(first supporting arm)(12)과, 일방으로 잭스크루너트(jack screw not)에 의해 하방으로 잭스크루장착베어링(jack screw mounting bearing)에 의해 그 레그(11)의 상단부와, 제2 및 제3 지지암(second and third supporting arms)(16,17)를 동시에 접속하여 제2지지암(16)은 제1지지암(12)에 관절 접속하고 제3지지암(17)은 레그(11)에 관절접속하는 조인트(joint)에 결착하는 잭스크루(jack screw)(95)와, 그 레그(11)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지지면(supporting surface)(27)을 구성하는 푸트피스(foot piece)(26)와, 그 차량을 들어올리는 공정(lifting process)초기에 그 시저잭(10)의 경각(inclination)을 설정하도록 하고 그 레그(11)에 관절접속하는 제3지지암(17)에 견고하게 접속하는 조절브레이스(control brace)(31)를 구성시켜 그 조절브레이스(31)가 제3지지암(17)의 회전축(19)을 지나 돌설하여 지면(ground)(30)과 접촉지지하도록 하는 시저잭(scissor jack)(10)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31)는 푸트피스(26)의 구부러진 지지면(33)을 구성하며, 지지면(27)의 틈새공간(clearance apace)을 통하여 지면(30)과 접촉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그 지지면(33)에 의해 그 레그(11)와 함께 그 푸트피스(26)가 롤링푸트(rolling foot)로서 견고하게 형성되는 시저잭(10)을 그 차량에 설치할때 그 시저잭(10)이 그 지지면(33)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31)는 지지면(33)에서 그 레그(11)쪽방향으로 절곡된 지지곡면(support curve)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는(31) 레그(11)에 고정되고 지면(30)쪽 방향의 지지암종축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4. 레그(leg)와, 수평회전축(13)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작동하며 그 자유단부에 하중베어링부재(21)를 가진 제 1 지지암(first supporting arm)(12)과, 일방으로 잭스크루너트(jack screw nut)에 의해, 하방으로 잭스크루장착베어링(jack screw mounting bearing)에 의해 그 레그(11)의 상단부와, 제2,3지지암(16,17)을 동시에 접속하며 제2지지암(16)이 제1지지암(12)에 관절접속되고,제3지지암(17)이 회전축(19)에 의해 그 레그(11)에 관절접속되는 조인트(joint)와 결착할 수 있는 잭스크루(jack screw)(15)와, 차량을 들어올리는 공정(lifting process)초기에 그 시저잭(10)의 경각(inclination)을 설정하도록하는 조절블이스(control brace)(40)를 구성하는 시저잭(scissor jack)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40)는 그 레그(11)지지점(41)의 잭스크루 작동측면에서 그 푸트피스(26)에 힌지접속(hingedly connection)을 하며, 그 회전축(19)의 잭스크루 작동측상에서 제3지지암(17)에 힌지접속을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5. 제4항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40)는 피벗조인트(pivot joint)(42,43)의 상대운동에 의해 그 차량을 들어올리는 공정을 밟을때 변형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element)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 조절브레이스(40)는 피벗조인트(42,43)는 일단부에 고정된 축핀(44,45)과, 제3지지암(17)의 절곡편(bent piece)(46)에 의해 그리고 푸트피스(26)의 돌출부재(47)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두께가 두터운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7. 제4항에 있어서, 그 레그(11)는 푸트피스(26)에 인접되고 조절브레이스(40)에서 떨어진 돌출되는 에지(edge)(57)상에서 외측으로 보강편(reinforcing piece)(5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8. 제 4항에 있어서, 하중베어링부재(21)을 최대로올려 설정할때 그 레그(11)는 그 레그(11)의 지지점(supporting point)(41)과 푸트피스(26)의 차량측단부사이에서 그 푸트피스상에 설정된 슬립방지스트립(antislip strips)(55)에 장착시킴으로써 그 차량쪽방향의 또다른 회전운동에 대하여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9. 제6항에 있어서, 그 축핀(44,45)은 조절브레이스(40)설정영역의 양측면에 반경방향의 암지지부재(49,5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저잭.
KR1019860700935A 1985-05-10 1986-03-20 시저잭(scissor jack) KR93000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8513829.0 1985-05-10
DE8513829U DE8513829U1 (de) 1985-05-10 1985-05-10 Wagenheber
DE8522952U DE8522952U1 (de) 1985-08-09 1985-08-09 Wagenheber
DEG8522952.0 1985-08-09
PCT/DE1986/000120 WO1986006707A1 (en) 1985-05-10 1986-03-20 J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569A KR870700569A (ko) 1987-12-30
KR930003322B1 true KR930003322B1 (ko) 1993-04-26

Family

ID=2595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935A KR930003322B1 (ko) 1985-05-10 1986-03-20 시저잭(scissor jack)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765595A (ko)
EP (1) EP0221911B1 (ko)
JP (1) JPH064479B2 (ko)
KR (1) KR930003322B1 (ko)
AU (1) AU5662986A (ko)
BR (1) BR8606670A (ko)
DE (1) DE3664900D1 (ko)
ES (1) ES294056Y (ko)
WO (1) WO1986006707A1 (ko)
YU (1) YU44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02389C (en) * 1988-02-11 1992-06-02 Rudolf Gruber Jack and components therefor
DE8902808U1 (ko) * 1989-03-08 1989-05-03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DE9005572U1 (ko) * 1990-05-16 1990-07-19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DE9015483U1 (ko) * 1990-11-12 1991-01-31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GB2244975A (en) * 1990-06-14 1991-12-18 Ford Motor Co Jack for a motor vehicle
DE9015832U1 (ko) * 1990-11-20 1991-02-07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ES1019241Y (es) * 1991-11-12 1993-01-16 T U B, S.A. Gato mecanico elevador de automoviles/
FR2692241B1 (fr) * 1992-06-12 1997-06-20 Fabrication Accessoires Automo Cric a vis du type a quadrilatere deform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DE4314136C2 (de) * 1993-04-30 1995-05-24 Bilstein August Gmbh Co Kg Wagenheber
EP0749936B1 (de) * 1995-06-20 2004-08-11 ThyssenKrupp Bilstein GmbH Wagenheber
US5975497A (en) * 1998-01-06 1999-11-02 Norco Industries, Inc. Multipiece trunnion for a scissor type jack
DE19804334C2 (de) * 1998-02-05 2003-05-28 Thyssen Krupp Bilstein Gmbh Wagenheber
US20050092975A1 (en) * 2003-10-31 2005-05-05 Tarra Charles J. Airplane jack
US6799749B1 (en) 2003-12-15 2004-10-0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lim pantograph jack
DE102004003177B4 (de) * 2004-01-22 2005-10-20 Thyssen Krupp Bilstein Gmbh Wagenheber
US7073763B1 (en) 2004-09-14 2006-07-11 Trout Kenneth R Support rod for stabilizing an existing scissor jack
US9569912B2 (en) 2008-06-26 2017-02-14 Shopatm Bv (Sarl)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6721A (en) * 1925-08-21 1926-03-16 Earl W Conrad Lifting jack
US1954558A (en) * 1932-08-23 1934-04-10 Earl W Conrad Lifting jack
US1926610A (en) * 1933-03-13 1933-09-12 Carl E Berglund Jack
US2071470A (en) * 1933-04-18 1937-02-23 Jackomatic Corp Automobile jack
US2508934A (en) * 1946-03-14 1950-05-23 Arthur A Berg Lifting jack
US2467657A (en) * 1946-05-09 1949-04-19 Fred Lake Scissors jack
US2667328A (en) * 1950-06-13 1954-01-26 White Allen Andrew Automobile jack
DE889215C (de) * 1951-12-06 1953-09-07 Karl Kuhbier Beweglicher Staenderfuss fuer Wagenheber
US3210048A (en) * 1963-08-07 1965-10-05 Revere Electric Mfg Company Pole setting jack
DE2427443C3 (de) * 1974-06-07 1986-03-27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Wagenheber
DE2621425C3 (de) * 1976-05-14 1978-09-28 Allendorfer Fabrik Fuer Stahlverarbeitung Ing. Herbert Panne Kg, 6331 Allendorf Gelenkwagenheber
DE2625085A1 (de) * 1976-06-04 1977-12-08 Bilstein August Fa Wagenheber
JPS6042159B2 (ja) * 1978-07-25 1985-09-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ンタグラフ形ジャッキ
GB2114537A (en) * 1982-02-01 1983-08-24 Kenneth Carter Motor vehicle jack
FR2528410A1 (fr) * 1982-06-14 1983-12-16 Peugeot Cric en y pour vehicule automobile
DE3302399A1 (de) * 1983-01-25 1984-08-02 Gerdes GmbH, 5000 Köln Wagenheber fuer kraftfahrzeuge
DE8313974U1 (de) * 1983-05-11 1984-10-18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Wagenhe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65595A (en) 1988-08-23
ES294056U (es) 1986-12-16
WO1986006707A1 (en) 1986-11-20
JPS63500165A (ja) 1988-01-21
EP0221911B1 (de) 1989-08-09
ES294056Y (es) 1987-08-01
EP0221911A1 (de) 1987-05-20
DE3664900D1 (en) 1989-09-14
AU5662986A (en) 1986-12-04
YU74986A (en) 1989-06-30
YU44700B (en) 1990-12-31
KR870700569A (ko) 1987-12-30
JPH064479B2 (ja) 1994-01-19
BR8606670A (pt) 198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322B1 (ko) 시저잭(scissor jack)
JP5180090B2 (ja) シザージャッキ
US5529286A (en) Jack
US5501421A (en) Stay bar support for vehicle door stop
EP0151154B1 (en) Fifth wheel
US6070856A (en) Car jack
JP2703396B2 (ja) ジヤツキ
DK160019B (da) Hydraulisk loeftebord af saksetypen
CZ28894A3 (en) Joint for car lifting jack
CA2593126A1 (en) Pantagraph-type jack
EP0622329A1 (en) Automatic stabilizing and reinforcing device for vehicle raising jacks
EP0516314B1 (en) Vehicle jacks
CZ161496A3 (en) Vehicle jack
JPH0447191Y2 (ko)
EP0440348B1 (en) Vehicle jack
JPS63156185A (ja) ヒンジバネ構造体
US20080006800A1 (en) Pantagraph-type jack
RU2207319C1 (ru) Домкрат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GB2290070A (en) A vehicle jack
EP0383542A1 (en) Load-lifting jack
US5435522A (en) Vehicle lift
EP0937677A2 (en) Scissor Lifts
JPS5811225Y2 (ja) 製図台
EP0611241B1 (en) Vehicle-raising jacks
NL7908140A (nl) Autokri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