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70Y1 - 관 이음구 - Google Patents

관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70Y1
KR930003270Y1 KR2019870018508U KR870018508U KR930003270Y1 KR 930003270 Y1 KR930003270 Y1 KR 930003270Y1 KR 2019870018508 U KR2019870018508 U KR 2019870018508U KR 870018508 U KR870018508 U KR 870018508U KR 930003270 Y1 KR930003270 Y1 KR 930003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cylinder
fitting
pip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8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068U (ko
Inventor
마고도 나구모
도시오 미끼야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이음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구의 실시예시 단면도.
제2도는 척을 확대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동 단면도.
제3도는 피접속관체의 숫나사부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동 단면도.
제4도는 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음구 주관 5 : 통체
13 : 슬리브 19 : 척
22a : 암나사 25 : 피접속관체
26 : 숫나사부
본 고안은, 예를들면 냉방기의 내압 테스트시에 냉방기와 테스트기와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관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단에 숫나사부를 갖는 냉방기측의 피접속관체에, 단순히 밀어넣는 것만으로 척이 상기 숫나사부에 자동적으로 나사결합으로 끼워서 원 텃치의 접속을 가능케 한 관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나 냉동기기, 냉장기기등을 내압 테스트하는 경우, 이들 기능과 테스트기와의 접속에는 종래로부터 관 이음구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 공조기기측의 피 접속관체의 직경은 생산업체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는 것중 나사핏치(Pitch)에 차이가 있으므로, 특정의 관 이음구를 모두 생산업체의 관체에 적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이미 척식 관 이음구를 제공했다. 이 척식 관 이음구의 기본구조는, 이음구 주관에 형성된 통체의 선단부에, 복수의 절결凹부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이 절결凹부내에 척을 각각 수납하고, 상기 통체의 외주에 형성한 슬리부(Sleeve)를 축방향으로 조작함으로서 모두의 척 물어맞춤부를 벌리도록 한 것으로 이 벌리는 개구부에 피접속관체의 숫나사부를 단순히 밀어 넣으면, 피 접속관체의 숫나사부와 관 이음구 등이 원 텃치로 접속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척의 폭은 모두 극히 넓고, 또 각 물어맞춤부에는 피 접속관체의 숫나사부에 나사결합할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숫나사부의 밀어 넣는 것이 불량하면, 척(Chuck)의 숫나사와 피 접속관체의 숫나사부등이 나사결합 불량이 되어 내압테스트중에 개스 누출을 발생한하는 결점이 있다.
종전의 관 이음구는, 척의 물어맞추부에 숫나사부를 가지며, 이것이 개스누출을 발생하여 내압 테스트에 지장을 가져온 점을 감안, 본 고안은 상기 척식 관 이음구를 문제점을 주목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척의 물어맞춤부를, 폭을 좁게 하여 이 좁은폭의 척을 수납할 좁은폭의 절결凹부를 통체의 선단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각 절결凹부 사이에 있는 통체의 선단부에 넓은 폭 즉 광폭의 안내벽부를 각각 형성하고 또 상기 좁은폭의 척을 적어도 1개의 물어맞춤부에, 피접속관체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할 암나사부를 형성한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관 이음구는, 척의 물어맞춤부의 폭을 넓게 형성함으로서 안내벽부를 넓게하고, 또 안내벽부의 안내작용에 여유를 갖게 하고, 슬리브를 당기면, 척은 자동적으로 벌려서, 피접속관체를 밀어 넣을 때, 확실한 숫나사부의 밀어넣는 자세를 얻어서, 척과 숫나사부의 완전한 나사결합을 보장한다. 한편, 슬리이딩통은 압축 코일 스프링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되어, 피접속관 관체의 삽입에 구비한다. 이와같이 하여, 피접속관체를 삽입할 태세가 정리되면 피접속관체의 삽입구부에 피접속관체를 삽입하고, 동 관체의 선단에서 슬라이딩통 단면의 밀봉링을 누른다. 이 상태 그대로 슬리브(13)를 원 위치에 복귀시키면, 상기 밀봉링은 관체의 단면을 밀봉한 상태로 척은 원상복귀하고 물어맞춤부에 의하여, 관체의 외주면을 협압한다.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내부에 연통공(2)을 갖는 이음구 주관(1)의 외주적소에, 6각상의 조임부(3)를 형성하고, 또 이음구 주관(1)의 선단부에 숫나사부(4a)를 갖는 통부(4)를 형성하여, 이 통부(4)의 숫나사부(4a)에 통체(5)의 후단부에 구비한 암나사부(5a)를 나사부착으로 고정하여, 주통을 구성하고 있다.
통체(5)는, 앞 외주에 복수의 록크볼(6)을 개별로 유동 끼워맞추기 위한 테이퍼공(7)을 가지며, 또 선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에는 후술하는 척(19)을 개별로 수납할 절결 凹부(8)를 선단부에 등간격을 가지고 3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절결 凹부(8,8,8) 상호간에 플랜지부(5b)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5b)의 폭에 비하여 절결 凹부(8)의 폭은 극히 좁게 되어 있다.
통체(5)의 후부 외주에는, 이 통체(5)와 압축코일스프링 수납용의 공간(9)을 형성하여 카버통체(10)를 장착함과 동시에, 이 통체(5)의 앞 외부에는 슬라이딩링(11)을 개재시켜서 슬리브(13)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슬라이딩링(11)의 후단과 상기 카버통체(10)의 후벽부(10a)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12)을 장착한다.
슬리브(13)는, 그 후단부(13a)를 카버통체(10)의 내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슬라이딩링(11)의 외주면에 돌설한 돌조(11a)와 걸어맞춤돌조(13b)를 구비하고 또 선단부 내주에 후술하는 척(19)을 외주방향에서 누르는 돌부(13c)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슬리브(13)는, 슬라이딩링(11)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축코일스프링(12)의 작용으로 피 접속관체(25)의 삽입구(S) 방향으로 항상 탄지되게 된다.
13d는 슬리브(13)의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설한 누름돌조이다. 통체(5)의 내측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4)에 의하여 상기 삽입구(S) 방향에 탄성지지되는 볼 지지링(15)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입한다. 이음구 주관(1)과 통체(5)로 된 주통의 내뷰에는 개구단부에 밀봉링(17)을 구비하며, 외주홈에 O링(24)을 끼워진 슬라이딩통(16)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이 슬라이딩통(16)을 압축코일스프링(18)에 의하여 같이 삽입구(S)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16a는 슬라이딩통(16)의 외주면부를 통체(5)의 내주면부에 면접촉시키며 또, 압축코일스프링(18)으로 삽입구(S)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는 이 슬라이딩통(16)은 빠짐방지를 위한 돌조이다. 통체(5)의 3개의 절결凹부(8)내에 수납될 척(19)은, 선단부에 형성한 물어맞춤부(22)를 포함하여 전체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들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다. 즉 후부측에는 지지점(P)으로서 통체(5)의 플랜지부(21)의 외주면에 걸어맞춤凹부(19a)을 구비하고, 선단부에는 코일 스프링 링(20)이 끼워질 凹부(19a)를, 또 후부에는 슬리브(13)와 슬라이딩링(11)과의 사이의 공간(13e)내에 진출한 꼬리부(19b)를 가지며, 꼬리부(19b)는 슬리브(13)의 전진시에 슬라이딩링(11)의 전단 테이퍼면(11b)과 대향하고, 동 슬리브(13)가 후퇴시에는 슬리브(13)의 내주돌조(13c)의 누름력을 받아서 코일스프링 링(20)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구성방향으로 변위하여 물어맞춤부(22)를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척(19)은, 제2도에서와 같이 통체(5)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결 凹부(8,8,8)에 배치되어서 상술한 코일스프링 링(20)으로 구심방향을 향하여 조여지게 되고 슬리브(13)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이하 자유상태라 한다)에서는, 모든 척(19)은 제1도에서와 같이 축심선 X-X과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피접속관체(25)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척(19)의 물어맞춤부(22)에는, 피접속관체(25)가 숫나사부(26)와 나사결합할 암나사(22a)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22a)로 피접속관체(25)의 숫나사부(26)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 암나사(22a)는 모든 척(19)의 물어맞춤부(22)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예를들면 1의 척(19)의 물어맞춤부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면중 23은 슬리브(13)의 삽입구(S)방향에의 전진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링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관이음구에 피접속체(25)의 숫나사부(26)가 접속하고 있지 않은 통상의 경우에는, 제1도, 제2도에서와 같이, 슬리브(13)는 압축 코일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의하여, 삽입구(S)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음으로, 각 척(19)의 물어맞춤부(22)는 구심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한편, 슬라이딩 통(16)도 스프링(18)의 탄발력으로, 삽입구(S)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제3도에서와 같이, 슬리브(13)를 압축코일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이음구주관(1)측으로 후퇴시키면, 이 슬리브(13)의 후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링(11)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잠시후 통체(5)의 테이퍼공(7)내의 록크볼(6)이, 볼 지지링(15)에 눌려져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 상태의 록크볼(6)은 슬라이딩링(11)의 선단부에 형성한 테이퍼면(11b)에 걸어맞춤으로, 이에 따라 슬라이딩링(11)은 잠겨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슬리브(13)에서 손을 떼어도, 이 슬리브는 되돌아가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3)를 후퇴시키는 동안, 이 슬리브(13)의 내주면부에 형성한 누름면부(13c)는, 각 척(19)의 외주면부에 형성한 테이퍼면부(19b)를 구심방향으로 누르므로, 각 척(19)의 물어맞춤부(22)는 반대로 원심방향으로 움직이고 척(19)의 물어맞춤부(22)를 벌려서 피접속관체(25)의 숫나사부(26)를 삽입구(S)내에 삽입 가능한 태세로 한다.
거기서, 삽입구(S)에 관체(25)의 숫나사부(26)를 삽입하면, 이 숫나사부(26)는 슬라이딩통(16)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링(17)과 밀착한 상태로 삽입구(S)내로 진입 한다.
이대, 슬라이딩통(16)은 스프링(18)에 저항하여 후퇴하므로, 외주면부에 돌출설치한 걸림부(16a)의 누름력으로 압축코일 스프링(14)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볼지지링(15)을 후퇴시킨다. 이어서 통체(5)의 테이퍼공(7)내에 형성한 록크볼(6)은, 볼 지지링(15)의 소경 외주부(15a)와 대향하게 되면, 이 록크볼은 통체(5)의 구심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 슬라이딩링(11)은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압축코일 스프링(12)의 탄발력으로 삽입구(S) 방향에 눌려지므로 동 링의 내주면에서 록크볼(6)을 구심방향으로 누름상태로 하고 제1도에 표시한 상태로 된다.
압출코일 스프링(12)의 탄발력을 받아서, 삽입구(S)방향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딩링(11)은 상기 이동과정에서 슬리브(13)을 동방향으로 진출(복동)시켜서, 이 슬리브(13)의 내주면부에 형성한 누름면부(13c)를 각 척(19)의 테이퍼부(19b)에서 떨어뜨린다. 통체(5)의 선단부에 형성된 3매의 척(19)의 자유단부는 스프링밴드(20)에 의하여 구심방향으로 조여져 있음으로, 척(19)의 물어맞춤부(22)는, 피접속관체(25)의 숫나사부(26)를 3방향에서 협압하고, 적어도 1의 척(19)의 물어맞춤부에 형성한 암나사(22a)를 숫나사부(26)에 나사 맞추어져서 피접속관체(25)와 이 관이음구와는 확실하게 접속된다.
피접속관체(25)와 이 관 이음구와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피접속관체(25)를 접속할때에 한 것과 같이, 슬리브(13)를 압축코일스프링(12)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후퇴시켜서, 각 척(19)의 물어맞춤부를 벌리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는, 척(19)을 3개 배설하여 모든 척을 슬라이딩가능하게 한 것이나, 4매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배설해도 된다. 또 척(19)에 암나사(22a)를 형성하지 않고, 이 물어맞춤부에는 고무층을 형성하여, 이 고무층으로 암나사부(22a)에 대신하여 물어맞춤부로 해도, 또 적어도 1개를 제외하고, 기타의 척을 고정식으로 해도 된다.
본 고안의 관이음구는, 척의 물어맞춤부의 폭을 비교적 좁게 형성하여, 이 척을 수납할 절결 凹부를 통체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또 상기 척을 적어도 1개를 구원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물어맞춤부에 피접속관체의 숫 나사부와 나사결합할 암나사 또는 혹은 고무층을 형성한 것임으로, 피접속관체의 선단 숫나사부를 축심을 따라 밀어넣으면 이 숫나사부는 단면이 완전하게 밀봉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척상태로되고, 또 물어맞춤부는 숫 나사부와 완전한 나사결합, 밀착상태로 되어 확실한 결합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척의 물어맞춤부의 폭이 상기와 같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피접속관체의 숫나사부의 피치에 갖지 않아도 결합상태에 불량이 생기는 일은 전혀 없다.

Claims (1)

  1. 이음구 주관(1)에 고정된 통체(5)의 선단부에, 적어도 3개의 척(19)을 형성하여, 이 각 척(19)의 물어맞춤부를 상기 통체(5)의 외주에 장치된 슬리브(13)의 이동으로 벌어질 수 있는 구성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상기 각 척(19)의 물어맞춤부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이 척(19)을 수납할 절결 凹부(8)를 통체(5)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또 상기 척(19)을 적어도 1개를 구원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물어맞춤부에, 피접속관체(25)의 숫나사부(26)와 나사결합할 암나사(22a)나, 고무층을 형성한 관이음구.
KR2019870018508U 1986-11-10 1987-10-30 관 이음구 KR9300032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72296U JPH0235111Y2 (ko) 1986-11-10 1986-11-10
JP172296[U] 1986-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068U KR890009068U (ko) 1989-05-30
KR930003270Y1 true KR930003270Y1 (ko) 1993-06-07

Family

ID=1593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8508U KR930003270Y1 (ko) 1986-11-10 1987-10-30 관 이음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35111Y2 (ko)
KR (1) KR9300032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82564C2 (de) * 1997-07-28 2002-02-28 Nitto Kohki Co Rohrkupplung
JP4148682B2 (ja) * 2002-01-08 2008-09-10 横浜ゴム株式会社 管継手における継手部の接続構造
JP4400130B2 (ja) * 2003-07-24 2010-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5761931B2 (ja) * 2010-06-15 2015-08-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CN107606357A (zh) * 2017-08-23 2018-01-19 麦景威 一种用于管道快速对接的快锁器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77195U (ko) 1988-05-23
KR890009068U (ko) 1989-05-30
JPH0235111Y2 (ko) 199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32A (en) Contact device
US5112087A (en) Pipe joint
US4508374A (en) Tube connection fittings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KR970000889Y1 (ko) 관이음구
JP2559233Y2 (ja) 管継手
KR101343900B1 (ko) 표준 관 피팅/포트를 삽입 연결식 관 피팅/포트로전환하는 연결장치 및 방법
US3719367A (en) Collet chuck for threaded shank tools
US4645246A (en) Tube couplers
US3439944A (en) Nipple for pipe joints
US3822074A (en) Releasable coupling for tubular members and method for assemblying said coupling
KR950005554B1 (ko) 관 연결구
KR930003270Y1 (ko) 관 이음구
US5657741A (en) Quick release coupling for archery bow stabilizer
GB2102637A (en) Cable gland connector with a safeguard against inadvertent loosening
KR930003266Y1 (ko) 유체 접속구의 소켓
US20120001418A1 (en) Connector
KR930003267Y1 (ko) 유체 접속구
JP2023501060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2349780A (ja) 管継手構造
GB208599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leasable tube couplings
KR950000610B1 (ko) 관이음매
JP3322488B2 (ja) プラグ
KR930006369Y1 (ko) 관 커플링 소켓
KR930003268Y1 (ko) 유체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