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63B1 -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63B1
KR930003263B1 KR1019870009110A KR870009110A KR930003263B1 KR 930003263 B1 KR930003263 B1 KR 930003263B1 KR 1019870009110 A KR1019870009110 A KR 1019870009110A KR 870009110 A KR870009110 A KR 870009110A KR 930003263 B1 KR930003263 B1 KR 93000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ressure
cylinder
pum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111A (ko
Inventor
쓰네요시 도요시마
야스쓰네 지바
히데오 노무라
겐지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다이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지바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지바 히로시 filed Critical 다이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4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04Feeding or distributing systems us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Electromagnetic Pump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단면을 도시한 종단설명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및 종래예의 착화시의 승압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전자플런저
3 : 토출플런저 17 : 압력실
26 : 흡입밸브 27 : 토출밸브
28, 29 : 통로 30 : 제 1 실린더
31 : 제 1 플런저 32 : 제 2 실린더
33 : 제 2 플런저 33, 40 : O-링
35 : 밑덮개 36 : 스토퍼
37 : 조압스프링 41 : 호상홈
42 : 오리피스 44 : 누설로
45 : 억제밸브
본 발명은 압송된 연료유를 노즐에서 토출분무시켜서 착화 연소시키는 건식 기름 버어너용 전자펌프에 있어서의 이 버어너 착화시의 폭연음을 저하시키는, 소위 연착화시키기 위해, 펌프의 토출압력상승시의 압력과 상승시간과의 관계를 억제하는 것, 및 버어너의 연소정지시에 가압된 연료유의 잔압의 배제를 동시에 행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건식 기름버어너에 있어서의 연료펌프에 의한 버어너 착화시의 폭연음을 저하시키기 위해 연료펌프의 압력상승시간을 완만하게 지연시켜 비교적 저압시에 연착화시키는 방법 및 펌프정지시의 잔압 배제방법으로서는, 먼저 본원 발명자들이 제안한 특개소 54-16703호 공보에 개시한 것 및 실개소 58-8248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특개소 54-16703호 공보의 전자플런저 펌프의 승압지연장치는 코일에 펄스전류를 공급해서 가압함으로써 전자플런저를 왕복 운동시켜서 펌프작용을 수행하는 펌프의 흡입측에서, 흡입밸브, 압력실 및 토출 밸브를 거쳐 토출측에 이르는 경로에 대해서, 병렬적으로 연통시킨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 왕복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게 끼워 만들어지고 또한 상기 토출측에서 외부에 전달되는 토출압력을 받아서 상기 실린더내를 상기 흡입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실린더의 상기 토출측 및 상기 흡입측을 서로 연통시켜, 상기 토출측에서의 유체압력을 상기 흡입극에 연통시켜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흡입측 방향으로의 이동속도를 정하고, 토출압력상승시간을 지연시키는 압력전달특성을 주는 누설로와, 상기 실린더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측 방향의 밀부와 상기 플런저의 흡입측 단면과의 사이에 압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를 상기 토출측 방향에 가압하는 조압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상기 흡입측 방향으로의 이동종단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외면과 상기 실린더의 상기 흡입측 내벽면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누설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정지시에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조압스프링에 의해, 살기 토출측 방향으로 가압해서 상기 밸브기구를 열고, 상기 누설로를 거친 토출측의 잔압을 흡입측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실개소 58-82481호 공보에 개시된 전자펌프의 잔류압력배출장치는 「전자코일에 펄스전류를 통전해서 발생하는 전자력 및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왕복동하는 전자플런저와 연통의 토출플런저의 작동에 따라서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를 가지고 상기 전자코일로의 비통전시에는 토출측 유로를 폐색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이 폐색기구와, 상기 토출밸브와의 사이의 펌프내 요부에서 펌프의 흡입측에 누설로를, 밸브시이트를 조절스프링에 의해 가압하는 릴리이프 밸브에서의 잉여 압력유체의 바이패스 통로와 같이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의 잔류압력 배출장치이다.
상기 특개소 54-16703호 공보(특공소 61-32511호)에 개시된 전자플런저 펌프는, 이 종류의 전자펌프로서는, 비교적 대용량의 예컨대 6GPH 즉 메시 22ℓ정도의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승압지연장치의 누설로 및 실린더와 플런저와의 간극에서의 누설량이 많아도 그 양이 노즐에서의 토출량에 비해서 적을때에는, 펌프의 토출능력이 충분히 이것을 커버해서 토출성능을 저하시키는 영향의 정도는 비교적 적다.
단, 상기 누설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전자플런저 및 이것과 연동하는 토출플런저의 왕복작동시의 부딪히는 정도의 길이가 커지고, 거기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련에는, 일반 가정용 혹은 비교적 소형의 업무용 순간 급탕기가 보일러 혹은 난방기에 사용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로로서는, 발열량이 대략 30,000kcal 전후의 것이 압도적으로 다수를 점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의 연료유분무용의 노즐의 용량은 1.25GPH 즉 연소량 메시 4.5ℓ 정도까지의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연료유는 주로 등유이고, 이 정상토출압력은 7kg/cm2를 표준으로 한다. 이와 같이 소용량의 전자펌프로 경제적 이유에서 한층 소용량으로 소형경량저가격이 아니면 안되는 것을 논할 여지도 없다.
상기 1.25GPH의 노즐의 오리피스 직경은 약 0.27mm이고, 여기에는 연료유토출분무시의 선회성을 주기 때문에 상기 오리피스의 배후의 당접하는 칩코온에 설치된 3개 내지 4개의 선회홈에 의한 연료유의 유동저항이 부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출량은 상술한대로 메시 4.5ℓ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토출량과 동등이하로 상기 승압지연장치의 누설로에서의 누설량을 제한하려고 하면, 이 누설로의 단면적은, 양산가공시의 비교적 용이성, 누락면적 즉 그의 길이에 의한 유동저항의 증대를 고려한 바, 단로의 직경 0.2mm 정도의 구멍으로 하는 것이 한도이다. 이 직경 0.2mm의 누설로에서의 누설량은 실질적으로 메시 4.4ℓ 이었다. 그리하여, 이때 상기 승압지연장치에 있어서의 실린더와 플런저와의 간극에서의 누설량은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전자펌프의 토출능력은 정상 토출압력에 있어서의 토출량의 대략 2배를 필요로 하고, 승압지연장치를 부가하기 위해 펌프는 그만치 용량을 큰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낭비가 있다. 단 이경우 승압지연장치란 잔압배제장치도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누설로의 직경을 0.2mm로 할때의 그의 단면적은 0.01πmm2이고, 상기 승압지연장치의 실린더와 플런저와의 간극면적을 이것과 동등하게 하는데는, 실린더의 직경을 예컨대 18.0000mm로 하면 플런저의 직경은 17.9989mm로 되고, 가령, 승압지연의 효과는 전연 얻을 수 없으나 이것을 무시해서 플런저의 직경을 5.00000mm로 하면, 실린더의 직경은 5.00399mm로 되고 이 실린더와 플런저의 끼워맞춘 부분의 전둘레에 거쳐 누락면적의 유동저항을 고려하여도 상기 등유와 같은 저점도의 액체의 경우, 상기 간극은 상응하는 구멍 또는 축기준의 헐거운 맞춤의 치수 허용차의 최고수준이상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실질적으로 양산에 부적당하거나 경제성이 전혀 없을뿐만 아니라, 플런저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우려가 다분히 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이것은 상기 소형 소용량의 건식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로서는 특히 경제상 부적당하다.
상기 실개소 58-82481호 공보로 개시되는 것은 상기 소형 소용량의 특히 건식 기름버어너용의 전자펌프의 잔류압력배출장치이고, 그의 실시예 제 8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된 잉여압력유체의 바이패스통로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0.011mm2이고, 메시 약 1.2ℓ의 상기 연료기름을 배출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류의 전자펌프에 있어서는, 그 흡입측에 별체의 스트레이너를 접속하고, 연료유중의 먼지, 섬유질의 먼지, 슬러지등의 협잡물을 여과시켜, 또한 이 스트레이너 접속시에 발생하는 염려가 있는 나사끼움에 의한 금속가루나 상기 협잡물 재여과를 위해 펌프본체내의 흡입측에 100 내지 200메시 상당의 필터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100메시의 필터로는 0.163mm 평방, 200메시에서는 0.081mm 평방의 필터의 그물코의 크기 즉 그 그물코마다의 표준개구면적을 가진다.
그외에, 필터소제로서는, 여과지, 초효비닐과 같은 다공질의 합성수지도 사용되지만, 상기 연료기름중의 협잡물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너무 작은 메시의 필터를 사용하면 연료유가 펌프의 흡입시의 부압에 의해 기화하기 쉬워지고, 그것때문에 소위 기포폐색현상이 발생하고, 펌프의 공타상태로 되어, 연료유의 급송이 두절되고, 연소를 중단하는 것이나 이상연소, 소음등이 발생하고, 매연이나 불연가스의 발생등의 폐해의 원인으로 된다. 그때문에, 이 기포폐색을 방지하도록, 상술과 같이 필터의 눈을 비교적 크게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이 필터를 통과한 상기 연료유중의 협잡물이 상기 바이패스통로에 걸려 퇴적해서 이것을 막고, 잔압배제의 효과를 상실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승압지연장치의 누설공의 직경을 예컨대 0.2mm로 했을때도 전혀 이것과 같은 이유로 누설공이 닫혀져서 승압지연장치의 기능을 상실하는 중대 결함이 있다.
또, 압력상승시간 조정장치를 가지는 전자펌프로서, 또한 특개소 59-7787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피스톤을 왕복동시켜서 펌프실의 용적에 변화를 주고, 이 용적변화를 흡입밸브와의 협동작용으로, 펌프작용을 행하도록 한 전자펌프에 있어서, 실린더내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플런저를 배치하고, 이 플런저에 의해 구획되는 고압측실에 토출밸브 이후의 토출압을 인도하고, 저압측실을 상기 흡입밸브 보다도 상류에 접속해서 이루어지고, 이 플런저를 저압측실에 배치된 메인스프링으로 가압해서 고압측실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에는 축방향으로 연통공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있고, 연통공의 고압측은 스프링으로 가압된 밸브로 닫혀져서 이루어지고, 이 플런저의 메인스프링에 저항하는 방향측에 스프링 받이겸 스토퍼가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플런저측에 향한 측에서 상기 연통공의 저압측을 개폐하는 밸브를 선단에 가지는 조정로드가 상기 스프링받이겸 스토퍼에 설치되서 이루어 지고, 플런저가 메인스프링에 저항해서 최대로 이동했을때에도, 연통공의 저압측에서 유체를 상시 미소 누설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이것은 상기 특개소 54-16703호 공보 기재의 것에 상기 실개소 58-8281호 공보기재의 선행기술을 이용해서 이것을 집어넣은데 지나지 않는다.
또, 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13페이지 제15행 내지 제14페이지 제 2 행에 「이 플런저(22)의 이동에 의해, 연통공(29)의 고압측(29a')이 밸브(34)에서 떨어져서 열리게 된다. 이 연통공(29)이 밸브(34)에서 폐색을 해제하는 위치(P1점이하 칭한다), 환원하면 밸브(34)의 연통공(29)의 추종거리는, 조정나사(35)를 조정하고, 스프링(33)의 설정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라고 되어 있으나 연통공(39)의 고압측(29a')의 돌출높이의 변환이 필요한 것이나, 스프링(33)은 메인스프링(28)에 비해 매우 반발력이 적고, 그의 반발력의 차가 영향하는 소위 합성스프링으로서의 효과는 전연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33)의 설정력을 변화시켜도 밸브(34)의 연통공(29)의 추종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설명에서는 상기 추종거리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리하여, 이 선행기술도, 플런저본체와 오리피스본체의 사이에 필터를 개재시킨다고는 하나, 상기 연통공의 극히 소경의 오리피스를 연료유중의 상기 금속가루도 포함한 협잡물이 퇴적해서 이것을 폐색하고 압력상승시간 조정장치의 기능을 상실할 염려가 극히 높은 중대한 결함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기술의 결점을 배제하고, 연착화에 적응하는 착화시의 연료유토출압력 및 여기로의 도착시간, 착화후 정상연소로 옮기는 토출압력의 도달시간, 및 빈번하게 온 오프 연속시킬때의 연소중단, 펌프 정지시에 신속하게 펌프내부로의 잔류압력을 배제해서, 다음의 연착화에 대비하는 기구의, 연료유중의 협잡물의 퇴적에 의한 오리피스를 포함한 연통로의 폐색기능장해, 및 필터의 눈막힘 때문에 펌프의 기포폐색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연착화 작용때문에 필요한 펌프의 토출용량의 증대를 제한하고 토스가 적은 소형경량으로 원가 및 소비전력의 저감경제화를 달성하도록 한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 제어장치를 구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 제어장치는 코일(11)에 펄스전류를 가해서 왕복동하는 토출플런저(3)를 갖는 액체용 용적펌프의 흡입구(14)에서 흡입밸브(26), 압력실(17) 및 토출밸브(27)를 거쳐 토출구(16)에 이르는 펌프경로에 대해서, 여기에 병렬적으로 펌프본체(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토출밸브(27)에서 토출구(16)에 이르는 사이의 압력측과, 상기 흡입구(14)에서 흡입밸브(26)에 이르는 사이의 흡입측을 연통시킨 경로를 구성하는 제 1 실린더(30)와, 제 1 실린더(30)내를 왕복동하고 또한 이것과의 간극에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링형상의 탄성패킹(34)을 통해서 틈새끼움된 제 1 플런저(31)를 구비한 건식기름 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축심상에 상기 제 1 실린더(30)와 동축에 관통 설치한 제 2 실린더(32)내에 미소한 편심을 허용할 수 있고 왕복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또한 제 2 실린더와의 간극에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링형상의 탄성패킹(40, 40')을 통해서 틈새 끼움된 제 2 플런저(33)를 가지고, 이 제 2 플런저(33)는 축방향의 상기 압력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입력측과 반대측의 흡입측에만 개구하는 유저의 통공(43)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이 외주요부에서 상기 통공(43)에 연통하는 오리피스(42)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링형상의 탄성 패킹(40)은 상기 제 2 실린더(32)와 상기 제 2 플런저(33)와의 간극을 지나 상기 오리피스(42)에서 상기 통공(43)을 거쳐 상기 제 1 실린더(30)를 상기 제 1 플런저(31)에 의해 구획된 상기 압력측에서 상기 흡입측에 이르는 연통경로의 개폐밸브를 겸하고 있고, 상기 제 1 실린더(30)의 흡입측 저부와 살기 제 1 플런저(31)의 흡입측 요부와의 사이에 압축 끼움되고, 상기 제 1 플런저(31)를 상기 압력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압스프링(37)과,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 방향으로의 이동종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의 흡입측 방향의 단부와 걸어매달고, 상기 연통경로에서의 유량을 억제해서 미소유량을 허용하는 유량억제밸브기구(45를 포함)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측에서의 유체압력을 상기 흡입측으로 배출할때의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으로의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압력전달특성에 의하여 펌프의 토출압력상승 시간을 지연시키는 버어너의 연착화를 위한 승압지연기구와, 연소정지시의 펌프내의 잔류압력유체를 흡입측에 신속하게 배출하고, 다음의 버어너 연착화에 대비하기 위한 잔류압력 배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건식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는 버어너의 연착화에 적응하는 펌프의 토출압력에 도달하기까지의 상승시간을 빠르게해서, 노즐에서의 불연유의 소위 에이프런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착화 적응압력시의 상승을 완만하게 해서 착화연소를 완만하게 하고, 착화후는 신속하게 정상연소하는 토출압력으로 상승시켜, 버어너의 연소정지와 동시에 정지하는 펌프내의 잔류압력도 빠르게 그의 흡입측에 배출해서 빈번한 버어너의 연소의 온·오프 반복시에도 여기에 대응해서 확실하게 연착화 연소하고, 착화시의 폭발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실린더, 제 1 플런저 및 제 2 실린더에 대한 제 2 플런저의 편심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각각이 헐거운 끼워맞춤되어서 상기 서로 끼워맞춤되는 2조의 실린더와 플런저와의 간극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링상의 탄성패킹이 끼워져 있고, 상기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간극은, 제 1 플런저(31)와 제 2 실린더(32)의 왕복에 의해 상기 링상의 탄성패킹이 개폐밸브로서 작용하는 액체의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간극은 필터의 눈의 개구부분의 1변의 길이보다도 작고, 또한 미끄러져 움직이며 왕복하기 때문에 자정작용이 있어 연료유중의 협잡물의 침입을 보다 한층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연통공이나 오리피스의 눈막힘이 생기기 어렵고 이 장치의 고장을 방지한다.
이들 작용효과는 이하 기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그 실시예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예컨대 상용교류 전원을 반파 정류하는 등으로 얻어지는 펄스전류가 가해져서 발생하는 전자림프코일(11)의 단속자기 흡인력에 의해, 자기헤드(8)와 환상자극(9)과의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케이스(4) 내를 왕복동하는 전자플런저(2), 및 이것과 연동하여, 토출실린더(5)내를 미끄러져 움직여 왕복하는 토출플런저(3)가, 상기 자기헤드(8)와 펌프본체(1)의 주요부와의 사이에서 보조스프링(6)과 복원스프링(7)에 의해 압축지지되어 있다. 이 토출플런저(3)의 왕복동에 의한 압력실(17)의 용적변화와 이것에 의한 흡입밸브(26), 토출밸브(127)와의 협동작용과 더불어 펌프작용을 영위한다. 즉, 흡입연결부(13)의 흡입구(14)에서 화살표(a)와 같이 흡입된 유체는, 필터(23), 흡입밸브(26), 압력실(17), 토출밸브(27), 통로(18), 가이드케이스(4)내, 전자플런저(2)내, 자기헤드(8)내를 순차 세로로 관통하고, 펌프작동과 동시에 전자밸브코일(12)로 통전해서 열린 전자밸브(10)를 거쳐 토출연결부(15)의 토출구(16)에 이르고, 화살표(b)와 같이 토출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토출연결부(15)에 노즐을 배관에 의해 접속해서 건식 기름버어너의 연료유압송분 무연소에 제공하는 경우의 정상연소시의 토출압력 예컨대 7kgf/cm2의 조정은, 상기 토출밸브(27)에서 앞의 펌프내부의 압력측 요부에서 통로(24)에 의해 연통하는 밸브시이트(22), 릴리이프밸브체(21)를 구비한 릴리이프 밸브기구(20)에 의해 행하고, 잉여 압력유체는 통로(25)에서 펌프의 흡입측으로 되돌려진다. 또 19는 축압기이다.
이상 기술한 것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는 먼저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실공소 57-43102호 공보 「전자펌프」 및 실공소 53-3474호 공보 「축압기」에 상세한 설명이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음에, 본체(1)에 일체적으로 배설되고, 펌프의 도출밸브(27)에서 앞의 압력측과 그의 일단부를 통로(28)로 연통시킨 제 1 실린더(30)에 상기 압력측과, 통로(29)를 거쳐 흡입밸브(26)와 흡입구(14)의 사이에 연통하는 흡입측을 구획해서 왕복동하고, 또한 이것과의 간극에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링상의 탄상패킹 즉(예컨대 O-링 이하 단지 O-링이라함) O-링(34)을 통해서 헐거운 끼워맞춤된 제 1 플런저(31)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축방향에, 상기 압력측에 개구하고, 상기 흡입측에 통로(52)을 뚫은 유저의 제 2 실린더(32)를 관설하고, 이 제 2 실린더(32)에 이들과의 미소한 편심을 허용할 수 있고 왕복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며 이것과의 간극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O-링(40, 40')을 통해서 헐거운 끼워맞춤되는 제 2 플런저(33)를 제 1 실린더(30)의 토출측 방향의 단부에 조정나사(49)를 가지고 나사맞춤해서 배설 고정하도록 하고, O-링(51)을 가지고 기밀을 유지한다. 이 제 2 플런저(33)의 축방향에 상기 흡입측구반 개구하는 유저의 통공(43)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그의 외주요부에서 상기 통공(43)에 연통하는 오리피스(42)를 천공한다. 상기 제 2 플런저(33)의 외주요부에는 호상홈(41)을 설치한다. 제 1 플런저(31)와 제 2 실린더(32) 및 제 2 플런저(33)와의 상호간의 제작시의 축심상의 편심은 기하학적으로 피하기 어려운것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치수 허용차를 필요로 하고, 또, 각 실린더 및 플런저의 직경에도 각각 치수 허용차를 필요로 한다. 그외에 각 실린더 및 플런저에는 공작상 타원비나 왜원이 발생하기 쉽고, 그때문에 플런저의 원활한 왕복작동은 물론 조립도 불가능하게 되는 염려가 있다. 이들의 제작상의 오차 특히 상기 편심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린더(30)와 제 1 플런저(31)와는 축기준(h9)과 끼워 맞추기구멍(B10),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는 축기준(h8)과 끼워맞추기구멍(D8 내지 D9)의 상응하는 헐거운 끼워맞춤하는 제작은 극히 용이하게한 것이다. 그리고 제 1 플런저(31) 및 제 2 플런저(33)의 직경을 각각 예컨대 18mm, 5mm로 하였던 바, 상기 O-링(34, 40, 40')은 각각의 스퀴이즈의 허용차내에서 상기 제 2 플런저(33)의 상기 제1, 제 2 실린더(30, 32)에 대한 편심을 허용해서, 또한 원활한 미끄러져 움직이기 왕복과, 상기 틈에서 액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었다. 상기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틈을 50μm로 하면 이것은 상기 상용하는 축기준(h8)과 끼워맞추어지는 구멍(D8) 혹은(D9)의 최대틈 66μm 혹은 78μm과 최소틈 30μm와의 거의 중간치로 되고, 이틈의 총단면적은 상술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42)의 직경 0.2mm의 단면적보다도 매우 크고,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와의 끼워맞춘 부분의 전원주에 걸치는 젖은 면적에 의한 유동저항을 고려하여도 상기 등유와 같이 저점도의 액체의 경우에는, 오리피스(42)에 의하는 것보다도 매우 액체의 통과가 용이하고, 연료유의 연통로로서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호상홈(41)은, 제 2 플런저(33)가 그의 상기 편심에 의해 만일 제 2 실린더(32)의 벽면에 한쪽을 막아 상기 오리피스(42)를 폐색할 염려가 있을때, 이 호상홈(41)을 통해서 연료유를 오리피스(42)에 회류시키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상기 조정나사(49)는 이것을 회동해서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와의 끼워맞춤길이를 가감하고, 버어너 착화시의 펌프의 토출압력을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정후는 록너트(50)를 가지고 고정한다.
또, 제 2 실린더(32)를 설치한 제 1 플런저(31)는, 그의 왕복 작동시에, 그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그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불소수지등을 가지고하면, 연료유중의 수분이나 산화유동에 의한 부식의 염려도 없다. 특히 금속에 감마제의 코우팅이나 표면경화와 윤활성을 부여하는 처리를 한 것은 이들 표면처리물질의 박리에 의한 상기 오리피스(42)나 연통로의 매임을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는 편이 좋다. 제 1 의 플런저(31)의 정부(47)와 대향하는 제 1 실린더(30)의 압력측의 밑부에 필터(46)를 배설한다. 필터(46)는 상기 필터(23) 보다도 미세하고 펌프의 흡입연결부(13)에 접속되는 별개의 스트레이너(도시생략) 및 필터(23)로 여과된 연료유를 재여과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300메시의 철망을 사용하여 그의 눈의 수는 약 22,000, 한쪽 눈의 정방향의 개구부분의 1변의 길이는 0.44mm를 표준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와의 최대틈은 0.066 내지 0.078mm이고, 제 1 플런저(31)와 제 1 실린더(30)는 상용하는 축표준(h9)과 끼워맞추는 구멍(B10)의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최대통 263μm, 최소틈은 150μm로 되기 때문에, 제 2 플런저(33)의 제 2 실린더(32) 및 제 1 실린더(30)에 대한 상기 편심은, 제 1 실린더(30)와 제 1 플런저(31)와의 큰 간극으로 보다 많이 조정되고,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의 사이의 보다 적은 간극으로 조정되는 비율은 적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가 1점에서 내접했을때의 상기 최대틈은, 200메시의 철망과 필터의 한쪽 눈의 표준개구면적의 정방형의 1변인 상기 0.081mm 보다도 적은 것은 물론, 제 2 플런저(33)가 제 2 실린더(32)의 1측에 압압되어 계속되는 것도 상술의 이유에 의해 극히 적기 때문에 그틈도 상기 300메시의 철망제 필터(46)의 한쪽 눈의 개구면적의 정방향의 1변인 0.044mm 보다 실질적으로 작다고 단정해도 좋다. 그뿐만 아니라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의 끼워맞춤길이를 가지는 것은 상기 틈에서의 연료유중의 미세한 협잡물의 통과를 더욱 곤란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위에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의 미끄럼식 왕복운동은 O-링(40, 40')의 활동과 더불어, 틈의 청소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정작용이 있고, 가령 상기 미세한 협잡물이 개입하여도 이것을 제거하는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1 실린더(30)의 흡입측단부에 나사끼우기한, 스토퍼(36)를 구비하는 밀덮개(35)와, 상기 제 1 플런저(31)와의 사이에 압축끼움시켜, 또한 제 1 플런저(31)를 상기 토출측방향에 가압하는 조압스프링(37)을 설치한다.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방향으로의 이동종단, 즉 제 1 플런저(31)가 상기 스토퍼(36)에 맞닿았을때, 이 제 1 플런저(31)의 단면과 계착해서, 통공(52)에서의 연료유의 유량을 억제하는, 탄성스프링과 같이 탄성체로 지지된 억제밸브(45)를 상기 밀덮개(35)에 구비한다. 이 억제밸브(45)와 협동하는 상기 제 1 플런저(31)의 단면에는, 통공(52)과 연통하는 상술의 실개소 58-82481호 공보로 개시된 전자펌프의 잔류압력배출장치에 있어서의 누설로와 같은, 미소류량으로 제한하기 위한 누설로(44)를 각설한다. 이 누설로(44)는, 상기 제 1 플런저(31)의 단면에 설치하는 대신에 억제밸브(45)의 계착면에 설치하여도 지장은 없다. 제 1 플런저(31)와 맞닿는 스토퍼(36)는, 그의 맞닿음에 의해 연료유의 통과가 차단되는 염려가 없도록 맞닿는 면에 통홈을 설치하는등 유로의 확보가 필요하다.
상기 밑덮개(35)를 회동하고, 제 1 플런저(31)의 스토퍼(36)까지의 이동거리를 변화시켜, 버어너 착화후의 정상 연소로 옮기는 펌프의 토출압력 상승시간의 조정을 하는 것이다. 록너트(39)는 밑덮개(35)의 고정용이다. 또 밑덮개(35)의 회동시에 나사의 금속가루가 제 1 실린더(30)에 침입되지 않도록, 기밀유지의 O-링(38)은 상기 나사보다도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이동거리를 변화시켜서 버어너 착화후의 정상연소로 이행하기까지의 펌프의 토출압력상승시간 가변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덮개(35)는 나사넣기로 하지 않고 비스멈춤 기타의 적당한 방법으로 끼워붙임하면 좋다.
똑같이, 버어너의 착화시의 펌프의 토출압력의 가변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플런저(33)의 조정나사(49)로 생략하고, 단지 제 1 실린더(30)의 토출측의 밑부에서 고정지지하면 족하다. 또 제 2 도의 요부확대도는 흡입접수(13), 흡입밸브(26) 및 토출밸브(27), 축압기(19), 릴리이프밸브기구(20), 및 본원 발명의 착화시 토출압력 제어장치를 그의 축심이 마치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는 것 같이 그려져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단, 상기 각 부분을 연통하는 통로(24, 25, 28, 29)등이 될 수 있는대로 단로직선적인 것은, 그의 통로의 용적을 적게해서, 연료유중의 용존공기나 기화가스가 누적 체류해서, 이것 간헐적으로 유리하는데 의한 펌프의 기포폐색이나 축압기의 작용을 변동시켜서 토출압력의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기포를 누적체류시키는 일없이 계속 통과시키기 때문에, 상승가능하게, 즉 통로(24, 28)는 토출측 방향으로, 통로(25, 29)는 흡입측 방향에 각각 위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 3 도를 참조해서, 이상 상술한 제 2 도에 도시한 구성의 본원 발명의 건식 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자펌프의 코일(11)로의 펄스전류의 가함에 의해 상술한대로 펌프작용이 행하여져서, 토출밸브(27)에 토출측으로 유동한 연료유는, 통로(28)에서 제 1 실린더(30)에 이르고, 필터(46)를 통과해서 제 1 플런저(31)의 정부(47)를 가압한다. 그리고 제 1 플런저는 조압스프링(37)의 반발력에 저항해서 흡입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제 2 실린더(32)의 단면(48)과 O-링(40)과의 개리에 의해,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틈의 통로가 열린다.
제 3 도는, 횡축에 시간(tsec)을 취하고, 종축에 펌프의 압력(P kgf/cm2)을 취한 선도로, 실선은 본원 발명의 착화 압력제어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전자펌프의 승압특성을 도시한 선도이고, 1점쇄선 및 점선으로 도시한 것은 본원 발명의 상기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승압특성이다.
상기 틈의 통로가 열린 시점이 버어너 착화가능한 펌프의 토출압력에 달했을때이고, P1을 가지고 도시하고 있다. 펌프가 시동해서 P1의 압력에 달할때까지는, 제 1 플런저(31)와 제 2 플런저(33)의 단면적의 차에 상기 이동거리를 곱한 용적을 연료유가 차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하고, 압력의 급격한 시동으로 되어 있어, 상기 실선으로 도시된 것과 큰 차는 없고, 따라서 착화전의 노즐에서의 소위 에이프런의 악영향은 피할 수 가 있다.
상기 틈의 통로가 열리면, 연료유는 오리피스(42)에서 통공(43, 52)을 거쳐 통로(29)에서 펌프의 흡입구(14)의 쪽으로 배출되면, 이 오리피스(42)로 제한된 유량에 의한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으로의 이동속도를 조정해서 토출압력 상승시간을 지연시키는 압력전달특성을 주어서, 스토퍼(36)에 맞닿을때까지 제 1 플런저(31)를 이동시킨다. 이 시점의 압력은 P2로 도시된다.
제 1 플런저(31)가 스토퍼(36)에 맞닿음과 동시에, 그의 단면이 억제밸브(45)에 계착하기 때문에, 상기 오리피스(42)에서 제한되어서 통로(29)의 쪽으로 배출되는 연료유의 유량은 또한 미소로 억제되어서, 누설로(44)에서의 누설량만으로 되고, 펌프의 토출압력은 상기 P2점에서 급격하게 상승해서 릴리이프 밸브기구(20)에 의해 조정된 정상 연소시의 토출압력(P3)에 이르고, 이후 그의 압력을 유지한다. 버어너의 착화는 상기 P1에 도시한 펌프의 토출압력으로 상승직후에 행하여지고, 적어도 P2의 압력시에는 이미 연소충분하다. P1에서 P2에 이르는 사이의 토출압력의 상승은 비교적 완만하다.
건식 기름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량 즉 노즐에서의 분무토출유량은, 토출압력의 평방근에 비례하기 때문에 정상연소시의 펌프의 토출압력(P3)을 예컨대 7kgf/cm2, 여기에 대해 착화시의 토출압력(P1)을 예컨대 1.7kgf/cm2라고 한다면
Figure kpo00001
요컨대 정상연소시에 대해 착화시의 연료유량을 반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착화시의 폭발음을 저감하고, 소위 연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버어너의 특성에 의해 착화시의 연료유 토출압력을 다소 상하로 가감할 필요가 있을때는 먼저 기술한대로 조정나사(49)를 회동해서 제 2 플런저(33)의 개폐밸브를 겸한 O-링(40)과 제 2 실린더(32)의 단면(48)과의 거리를 가감하면, 상기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와의 틈을 열때 즉 P1의 조정으로 된다. 또, 밑덮개(35)를 회동해서 스토퍼(36)와 제 1 플런저(31)와의 거리 즉 제 1 플런저(31)의 이동거리를 가감하면 P2의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점선으로 도시한 선도의 P1'점은, 상기 O-링(40)과 단면(48)과의 거리를 단축해서, 착화시점의 펌프의 토출압력을 높인 경우를 도시하고, P2'점은 상기 스토퍼(36)와 제 1 플런저(31)와의 거리를 감해서 착화후의 펌프의 정상 토출압력까지의 승압시간을 단축한 경우의 1예를 도시한 것이다.
버어너가 연소를 중지하면, 동시에 펌프도 정지하고, 제 1 플런저(31)는 원래의 정지위치에 복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측에 잔류압력은 제1, 제 2 실린더(30, 32)의 연료유가 통로(29)에서 신속하게 배제되고, 순간급탕기와 같이 빈번하게 버어너 연소의 온 ·오프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되어도, 항상 다음의 연착화에 대비하게끔 준비되는 것이다.
또, 제 1 플런저(31)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때, 제 2 실린더(32)의 단면(48)이 제 2 플런저(33)의 개폐 밸브를 겸한 O-링(40)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틈의 연통로를 폐색한 시점의 압력이 상기 P1, P1' 점이고, 버어너는 그의 착화전에서 착화후 확실하게 연소상태로 들어간 것을 확인할때까지 연속해서 점화기가 스파아크해서 불꽃을 내고 있기 때문에, 펌프의 토출압력이 P1, P1' 점까지 강하하고 있으면 항상 연착화가 가능하다. 상기 틈의 연통로 폐색후의 펌프토출측 내부에 있어서의 낮은 잔류압력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때는, 펌프의 상기 전자밸브코일(12)에 전류차단용 지연회로를 부가하는 것등에 의해 전자밸브(10)의 폐색작동시차를 주고, 그 사이에 토출구(16)를 거쳐 노즐에서 방출연소시켜서 이것을 처리하면 좋다.
기타, 제 2 플런저(33)가 제 2 실린더(32)를 포함하는 제 1 플런저(31) 및 제 1 실린더(30)에 대해서의 편심을 허용하고 서로 미끄럼식 왕복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작상의 용이성 및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와의 틈이 연료유중의 미세한 협잡물의 통과를 저지하고 필터로서의 효과가 있는 점, 및 이 양자의 미끄럼식 왕복이동에 의한 W켓내팹C에 대하여는 상술한대로이다.
이상 상술한대로, 본 발명에 관한 진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는 특히, 그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가) 버어너의 착화때에, 동시에 작동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토출압력을, 버어너의 착화시의 폭발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위 연착화에 적합한 낮은 압력까지 극히 단시간에 급상승시켜서, 그 사이에 생기는 소의 노즐에서의 미연 연료유의 에이프런에 의한 매연이나 악취를 방지하고, 다음에 이 승압지연기구에 의해 연착화 전후 및 착화후 충분히 연소할때까지의 압력상승을 비교적 완만하게 하고, 그러한후, 토출 압력을 급상승시켜서 정상연소로 이행시킬 수가 있어 버어너의 착화음이 감소한다.
(나) 연착화에 적합한 펌프의 토출압력과, 착화연소후 정상연소까지의 토출압력과 시간을 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버어너의 착화연소특성에 적합한 각각의 연료유의 토출압력상승 특성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다) 버어너 및 펌프정지시의 펌프내부의 연료유의 잔류압력은, 이것을 신속하게 배제하는 기구를 가지기 때문에 빈번한 버어너의 연소의 온·오프 반복의 경우에도 항상 다음의 연착화에 대비해서 준비되고, 착화시의 폭연음을 저감회피해서, 확실하게 소정의 펌프의 압력상승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라) 상기 버어너 연착화때문에 펌프의 압력상승특성을 얻으려고, 제 1 플런저(31), 및 제 2 플런저(33)의 이동속도를 조정하고, 압력전달특성을 주기 위하여, 제 2 플런저(33)에 천공되어 있고 또한 토출측에서 흡입측으로의 연료유의 누설량을 제한하는 오리피스(42)와, 및 특히, 제 1 플런저(31)의 흡입측의 단부와 여기에 계착되는 밑덮개(35)에 설치된 억제밸브(45)에 의해 구성되는 유량억제 밸브기구는, 상기 누설량을 극히 미량으로 제한해서, 펌프의 토출용량의 로스를 생략하고, 소용량 소형경량화에 의한 경제성을 초래하는 것이다.
(마) 상기 토출측에서 흡입측으로의 연료유를 누설시키는 연통로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틈은 상기 제 1 실린더(30)와 제 1 플런저(31)와의 틈과 같이 상응하는 축기준과 끼워맞추는 구멍의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하고, 그것에 의해 이것들의 제작상에 있어서 특히 편심을 허용할 수 있고 미끄러져 움직이기 왕복을 원활 자유롭게시켜, 제작상의 곤란성을 배제하여 경제적인 것으로 하고, 상호간의 틈에서의 액 누락을 방지하는 예컨대 O-링과 같은 윤상의 탄절패킹을 통해서, 이 O-링의 스퀴이즈의 허용범위로 상기 편심을 커버하는 것이다.
(바) 상기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틈은 그의 최대틈이 200메시의 철망 필터의 그물코의 개구부의 1변의 길이 이하이고, 그의 실질적인 틈은 300메시의 철망 필터의 그물코의 개구부의 1변보다도 작다고 간주되고,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는 끼워맞춤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틈에서의 연료유중의 협잡물의 유입을 한층 곤란한 것으로서, 그의 유입을 저지하기 때문에, 상기 200 내지 300메시 상당의 필터보다도 보다 고도인 여과성능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 2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미끄러져 움직이기 왕복은, 제 2 플런저(33)에 설치된 상기 연료유의 누설용 연통로인 틈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서 작용하는 O-링(40)과의 활동과 더불어, 이 틈의 청소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정작용이 있어, 가령 연료유중의 미세한 협잡물, 예컨대, 먼지, 섬유질의 먼지, 슬러지, 금속의 가루등이, 상기 각 필터를 통과해서 또한 이 틈에 침입하여도 이것을 배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리피스(42) 혹은 상기 누설용 연통로의 협소부분이 상기 연료유중의 미세한 협잡물에 의해 폐색되고, 이 토출압력 상승특성을 손상하고, 장치전체의 기능을 상실하는 염려가 전혀 없다.
(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플런저(33)와 제 2 실린더(32)에 의한 상기 연료유중의 미세한 협잡물의 배제학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펌프의 흡입측의 필터를 메우기 쉬운 작은 것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접합물의 부착에 의한 필터의 블라인딩 때문에 발생하는 연료유의 기화현상에 따르는 펌프의 기포폐색 즉 펌프의 토출불량을 초래하는 요인을 배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는 산업상 이익이 큰 것이다.

Claims (6)

  1. 코일(11)에 펄스전류를 가하여 왕복동하는 토출 플런저(3)를 가지는 액체용 용적펌프의 흡입구(14)에서 흡입밸브(26), 압력실(17) 및 토출밸브(27)를 거쳐 토출구(16)에 이르는 펌프경로에 대해서, 여기에 병렬적으로 펌프 본체(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토출밸브(27)에서 토출구(16)에 이르는 사이의 입력측과, 상기 흡입구(14)에서 흡입밸브(26)에 이르는 사이의 흡입측을 연통시킨 경로를 구성하는 제 1 실린더(30)와, 이 제 1 실린더(30)내를 왕복동하고 또한 이것과의 간극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링형상의 탄성패킹(34)을 통해서 틈새끼움된 제 1 플런저(31)를 구비한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축심상에 상기 제 1 실린더(30)와 동축에 관통 설치한 제 2 실린더(32)내에, 미소한 편심을 허용할 수 있고 왕복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또한 제 2 실린더와의 간극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링형상의 탄성패킹(40, 40')을 통해서 통새 끼움된 제 2 플런저(33)를 가지고, 이 제 2 플런저(33)는 그 축방향의 상기 압력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압력측과 반대측의 흡입측에만 개구하는 유저의 통공(43)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이 외주 요부에서 상기 통공(43)에 연통하는 오리피스(42)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링형상의 탄성패킹(40)은, 상기 제 2 실린더(32)와 상기 제 2 플런저(33)와의 간극을 지나 상기 오리피스(42)에서 상기 통공(43)을 거쳐, 상기 제 1 실린더(30)을 상기 제 1 플런저(31)에 의해 구획된 상기 압력측에서 상기 흡입측에 이르는 연통경로의 개폐밸브를 겸하고 있고, 상기 제 1 실린더(30)의 흡입측 저부와 상기 제 1 플런저(31)의 흡입측 요부와의 사이에 압축끼움되고, 또한 상기 제 1 플런저(31)를 상기 압력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압스프링(37)과,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 방향으로의 이동종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의 흡입측방향의 단부와 계착해서 상기 연통경로에서의 유량을 억제하여 미소유량을 허용하는 유량억제밸브기구(45를 포함)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측에서의 유체압력을 상기 흡입측으로 배출할때의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으로의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압력전달특성에 의하여 펌프의 토출압력상승시간을 지연시키는 버어너의 연착화를 위한 승압지연기구와, 연소정지시의 펌프내의 잔류압력유체를 흡입측에 신속하게 배출하고 다음의 버어너연착화에 대비하기 위한 잔류압력배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32)와 제 2 플런저(33)와의 틈은 200메시의 철망필터의 그물코 개구부의 1변의 길이 이하이고, 이틈에 의해 형성된 연통로를 지나는 연료유의 유량은 상기 오리피스(42)를 지나는 유량보다도 크게 정하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32)와 제 2 실린더(33)의 끼워맞춤길이를 가감해서 착화시의 토출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상기 제 2 플런저(31)의 일단에 제 1 실린더(30)의 토출측방향의 단부와 나사맞춤하는 조정나사(4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33)의 외주 요부에서 상기 통공(43)에 연통하는 오리피스(42)를 천공한 상기 외주요부에 호상홈(4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30)의 흡입측 방향의 저부에 구비한 스토퍼(36)의 위치를 바꾸고 상기 제 1 플런저(31)의 흡입측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가감하는 이동거리 조절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억제밸브기구(45를 포함)는 상기 제 1 플런저(31)의 상기 흡입측 방향의 단부와, 여기에 계착하는 억제밸브(45)와의 사이에서 미소누설로(4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KR1019870009110A 1986-08-21 1987-08-20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KR930003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94015 1986-08-21
JP194015 1986-08-21
JP61194015A JPS6354516A (ja) 1986-08-21 1986-08-21 ガンタイプ油バ−ナ用電磁ポンプの着火時圧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111A KR880003111A (ko) 1988-05-13
KR930003263B1 true KR930003263B1 (ko) 1993-04-24

Family

ID=1631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110A KR930003263B1 (ko) 1986-08-21 1987-08-20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54516A (ko)
KR (1) KR930003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4394U (ko) * 1989-03-02 1990-09-13
JP2656663B2 (ja) * 1990-11-30 1997-09-24 太産工業 株式会社 電磁ポンプを備えたガンタイプ油バーナの脈燃防止装置
JP2008064409A (ja) * 2006-09-11 2008-03-21 Orion Mach Co Ltd 輻射型ヒ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54516A (ja) 1988-03-08
JPH0325695B2 (ko) 1991-04-08
KR880003111A (ko) 198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572A (en) Electromagnetic plunger pump
KR930003263B1 (ko) 건식 기름버어너용 전자펌프의 착화시 압력제어장치
US20170051714A1 (en) Fuel Injector Filter
US3021955A (en) Filter unit with restrictor means
JPS6132511B2 (ko)
JPS5854264B2 (ja) 定圧型燃料噴射弁
JPS6060265A (ja) 燃料噴射ノズル
AU562178B2 (en) Flow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liquid fuel burners and liquid atomizers
RU106718U1 (ru) Форсунка
JP2656663B2 (ja) 電磁ポンプを備えたガンタイプ油バーナの脈燃防止装置
US4583687A (en) Fuel injection nozzle
JP2997996B2 (ja) 電磁ポンプ
US2749182A (en) Nozzle construction
JPH0511351Y2 (ko)
JPH0413553B2 (ko)
KR0171554B1 (ko) 전자 펌프
JPS6115250Y2 (ko)
JPS60212670A (ja) 燃料噴射ユニツト
CN109974022A (zh) 一种可提高燃烧效率的喷油嘴及利用该喷油嘴的烧火炉
KR920008026B1 (ko) 연료차단 밸브장치
CN220336993U (zh) 一种汽车喷油嘴
CN117738797B (zh) 主油路活门
EP0939219A2 (en) Fuel injector
JPH0798113A (ja) リターンノズルを備えた燃焼機の燃焼量調整装置
CN208635137U (zh) 机械雾化回油流量控制的防止喷嘴漏油的燃油喷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