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61B1 -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61B1
KR930003261B1 KR1019860000130A KR860000130A KR930003261B1 KR 930003261 B1 KR930003261 B1 KR 930003261B1 KR 1019860000130 A KR1019860000130 A KR 1019860000130A KR 860000130 A KR860000130 A KR 860000130A KR 930003261 B1 KR930003261 B1 KR 93000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nozzle
plate
panel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078A (ko
Inventor
렌하르트 칼
Original Assignee
쎙-고벵 비뜨라지
지. 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쎙-고벵 비뜨라지, 지. 따시 filed Critical 쎙-고벵 비뜨라지
Priority to KR101986000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261B1/ko
Publication of KR87000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유리판에 비이드를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 또는 제 2 도에 따른 장치의 상면도.
제 4 도는 속도 선도에 관련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니트 2 : 컨베이어
3 : 로울러 4 : 패널
5 : 오리피스 6 : 로울러
7 : 체인 8 : 스프로킷
9 : 클러치 20 : 컨베이어시스템
21,22 : 벨트 23 : 도관
24 : 가로막대 25 : 격실
26 : 진공흡입구 27 : 상자
30,31,32,33 : 탐지기 34 : 두께측정장치
35 : 플레이트 36 : 나사잭
37 : 전위차계 50 : 압출유니트
51 : 압출헤드 52 : 노즐
53 : 이음고리 54 : 펀치
60 : 탱크 61 : 피스톤
62 : 가열기 63 : 펌프
64 : 파이프 65 : 회전 커넥터
66 : 매거진 67 : 용적식 펌프
68 : 왕복대 69 : 플라이트
70,71 : 슬레이드 72 : 모터
73 : 나사 74 : 패널
75,76 : 탐지기 77,78 : 마이크로 접촉기
100 : 유리판 101 : 비이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판면의 외면에 부틸고무계 타입의 플라스틱 비이드를 입히는 것에 관한 것인데, 상기 비이드는 그 위에 부착되는 제 1 판과 후에 부착되는 제 2 유리판 사이의 내부층과 시일로서의 작용을 의도한 것이고, 제 2 판은 비이드의 반대면에 대해서 또 제 1 유리판에 평행하게 부착된다.
겹층 유리의 외면에 폴리설파이드계의 플라스틱을 사출하기 위한 각종 기술은 다층 유리판의 제조와 관련해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설파이드계의 플라스틱은 부틸고무계의 물질과는 그 작용이 상당히 다른데, 특히 그 점성이 더 낮고 또 당면하게 되는 응력과 입히는 조건이 전체적으로 다르다. 결국 이러한 공지 기술은 단일 유리판의 한면의 외면에 부틸고무계의 물질의 비이드를 입히는데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이드는 물리적 특성이 한편으로는 유리판에 점착성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층의 역할을 행하는 것으로 잘 정의되어 있다. 특히 이것은 8분후 40℃에서 115°무니(Mooney)이상으로 되기 위한 프랑스 특허 제2,294,313호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정확한 점조도와 점성도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연속적으로 유체-기밀 시일을 형성해야 한다. 또한 이것은 그 높이가 두개의 연속판 사이의 간극을 결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이어야 하며, 또 그 높이는 모든 길이부에서 일정해야 한다.
더우기 이것은 15°내지 45°, 적합하게는 25°내지 35°사이의 각도에서 점착되는 순간에 형성되도록 유리판에 부착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조건은 그 노즐이 유리판에 15°내지 45°이 요구각을 형성하는 압출기로 비이드를 형성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충족되는데, 상기 압출기는 고정식이고, 유리판이 압출기 밑을 이동하여 압출기에 각각의 면이 연속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입히는 공정과 실시하는데 필요한 장치는 프랑스 특허 제2,293,313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리판는 컨베이어에 의해 압출기의 노즐밑을 수평으로 이동하고, 또 프랑스 특허 제2,211,41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의 부품 사이에 결합된 컨베이어의 평면에 그 축이 수직인 회전 아암에 의해 노즐 밑에 각각의 면이 연속적으로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주변의 길이가 5m 정도인 유리판은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장치의 결과로 유리판은 단일 노즐 밑을 동일 방향으로 항상 통과케 하여 비이드의 우수한 정착성을 갖기 위해 유리판의 평면에 노즐을 사용해야 할 15° 내지 45°의 각도는 바라는 위치에 노즐을 고정하여 얻고, 또 유리판의 한면을 따라 비이드를 입히는 것으로부터 반대면을 따라 입힐때 각도를 바꿔야 하는 위험도 없다. 동일한 방식으로 단지 하나의 노즐을 고려해도 양호한 점조도를 제공된 비이드의 크기에서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압출기는 고정식이므로 비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에서 무게의 제한이 없다. 압출기의 부품은 압출기의 조작으로써 규정되고, 모터, 브레이크 클러치 등과 같은 압출기의 부품은 크고 무겁다.
게다가 유리판은 컨베이어, 예로서 간단한 로울러 또는 환상 링을 구비한 로울러 위를 편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가속 및 제동과 같은 운동을 매우 정확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확성을 유리판이, 로울러 또는 링의 전체면으로써 높이고, 그에 따른 이들의 관성이 이와 같이 큰 접촉면에 의해 상쇄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고정식 노즐로 편평하게 놓인 유리판 위에 비이드를 부착시키고 또 모든 면을 노즐에 연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유리할지라도, 또한 여기에도 단점이 있다. 크기가 큰, 예로서 주변의 길이가 5m정도인 유리판의 컨베이어상에서의 취급, 특히 회전은 서투르며 실제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다층 유리 제조라인에서 특정 조작이 수직으로 놓인 유리판에서 필수적을 행해지는데 예로서 프레싱, 육안 체킹 등이다. 이 결과로서 외면의 비이드가 편평한 유리판 위에 부착되었을때 프레싱, 육안 체킹등을 행하기 위하여 편평한 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취급 조작을 옮길 필요가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크기가 큰 유리판을 모든 면이 압출 노즐 밑에 제공되도록 향하게 하는 어려움과 수직 위치에서 특정 조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편평한 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유리판을 취급하는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노즐을 갖는 압출 유니트를 사용하여 유리판위에 비이드를 부착시키는 것을 제공하는데, 유리판과 노즐은 병진 이동으로 구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리판과 노즐의 병진 이동은 다른 방향으로 행해진다.
장방형 유리판을 제조하는 동안 실제로 간단화를 위한 실시예의 장점에 있어서, 그러한 유리판의 이동방향은 한편으로는 노즐, 다른 한편으로는 수직인 방향이다.
유리판은 수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부착된 비이드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유리판의 이동과 비이드를 공급하는 노즐과 노즐을 통하여 나오는 물질의 운반 모두가 동시에 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패널, 양방향에서 패널통로에 기대어 있는 유리판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서 패널과 관련된 컨베이어 및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패널의 반대편에 위치한 압출노즐을 적어도 하나 갖는 압출 유니트를 갖는다. 노즐은 패널과 관련된 컨베이어에 의해 한정된 것과는 다른 방향에서 패널의 평면에 평행하게 병진 이동 가능하다. 컨베이어 위의 유리판과 노즐의 이동의 2방향은 수직인 것이 유리하다.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 및 일반적으로 비수직인 방향에서 특히 유리판에 높이가 큰 비이드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휘일이 작은 타입의 유지수단이 압출노즐에 부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와 수반되는 많은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1 도, 2도 및 3도는 유리판(100)을 이송하기 위한 유니트(1)와 플라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유니트(50)를 나타내고 잇다.
유니트(1)는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위치에서 배치된 유리판(100)을 플라스틱 비이드(101)를 공급하는 반대편 유니트(50)로 통하게 하여 비이드(101)는 유니트(50)로 향한 유리판(100)의 면의 외면에 부착된다.
컨베이어 유니트(1)는 수평 또는 거의 수평인 축의 로울러(3)를 갖는 컨베이어(2)를 포함하는데, 컨베이어(2)는 자신을 통과하는 유리판(100)이 기대하는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패널(4)의 기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4)은 유리판(100)과 패널(4)사이에서 발생된 공기 쿠숀에 기인한 패널(4)상의 유리판(100)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공기와 같은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로울러(비도시) 또는 적합한 오리피스(5)를 구비하고 있다. 유리판(100)이 없을때에 조작자의 불편함을 피하기위해 사람 머리 높이의 이러한 오리피스(5)는 상향 또는 하향 경사져 유리하다. 압출유니트(50)반대편의 패널(4)은 패널(4)의 평면에서 약간 돌출되고 또 압출동안 유리판(100)의 부분을 위한 지지물로서 작용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6) 수직열을 구비하고 있다. 로울러는 수축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컨베이어(2)는 복수개의 병렬 배치된 부분품으로 적합하게 구성되는데, 각각의 부분품은 다른 구획의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또는 그와 반대로 필요에 따라 같은 속도로 이동하기에 적합하다. 클러치(9)와 모터(비도시)의 표준 시스템 뿐만 아니라 로울러(3)의 샤프트 단부에 배치된 스프로킷(8)에 결합되는 체인(7)의 표준 시스템은 모든 부분품의 운동을 바라는 속도로 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예로서 프로그램된 변속구동에 의해 제어된 D.C. 모터가 적합하다. 제 1 도에는 로울러(3)를 갖는 컨베이어(2)의 구동 시스템의 부품만이 도시되어 있다. 적합하게 로울러(3)는 테플론계의 비점착성 물질로 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 같은 물질로 피복되어 있다.
유니트(50)반대쪽의 면에서 패널(4)의 하부는 적합하게 도려내져 있어서 저압 컨베이어 시스템(20)의 하우징이 유리판(100)의 운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판이 고속이동과 급격한 정지가 로울러(3)상에서 유리판이 미끄러질 위험을 주므로 제공되어 있는데, 유리판은 단지 그 모서리만이 로울러(3)에 놓인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20)은 패널(4)의 평면에 평행하고 또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고무계 미끄럼 방지 물질의 두개의 무단벨트(21,22)를 포함한다. 벨트(21,22)는 유리판(100)과 패널(4)사이의 공기쿠숀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 전형적으로는 약 1mm정도 패널(4)의 약간 앞에 있다. 이러한 무단벨트(21,22)는 모터 시스템(비도시)에 의해 동일 방향 및 동일 속도로 구동되는데, 이것은 바로 밑에 배치된 컨베이어(2)의 방향 및 속도이다.
무단벨트(21,22)는 진공하에서 진공 흡입구(26)에 의해 상자(27)에 연결된 특정수의 독특한 진공실(25a)을 한정하는 가로막대(24)를 갖는 저압도관(23)상하에 배치된다.
벨트(21,22)는 도관(23)과 막대(24)의 하부 약간 앞에 위치한다. 예로서 막대(24)는 무단벨트(21,22)의 표면에 대해 약 0.3mm 뒤에 배치되고, 반면 도관(23)의 하부는 상기 무단벨트의 표면에 대해 약 2mm뒤에 배치된다.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0)의 단부 또는 단부 근처에 배치된 진공실(25a)은 컨베이어 시스템(20)의 중간부분의 격실(25)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 격실(25)의 소수만이 유리판에 의해 덮혀 있을지라도 유리판이 시스템에 의해 인입될 때 또는 방출될때 유리판에 대한 탁월한 유지력이 발휘된다. 유리판(100)이 시스템(20)에 들어오거나 나갈때 유리판의 유지력을 증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진공 오리피스(26)가 컨베이어 시스템(20)의 단부 또는 단부 근처에서 격실(25)에 제공되어 있다.
시스템(20)은 임의로 다수의 분리된 부분품을 가지는데, 각 부분품의 벨트는 동일 속도로 운동하고, 각 부분품의 단부의 진공실(25a)은 그안의 진공이 중간부분의 격실보다 더 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진공실은 더 작은 칫수인 것으로서, 예를들면 그 폭이 중간 지역의 20 내지 25cm 대신에 단지 5 내지 10cm정도이다. 또한 상기 진공실은 다수의 진공 흡입구(26)를 갖는다. 저압 시스템의 두개의 부분품 사이의 간격은 수직열의 로울러(6)의 하우징을 허용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연결봉(비도시)에 의해 패널(4)의 평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될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니트(1)의 구조는 또한 유리판(100)의 존재를 탐지하는 4개의 탐지기(30,31,32,33)를 갖는데, 이들 탐지기는 광전지 타입이다. 탐지기(30,31)는 수직열의 로울러(6)로부터 상류에 배치되어 있고, 반면에 탐지기(32,33)는 수직열의 로울러(6)에 대해 탐지기(30,31)와 각각 대칭으로 그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탐지기(30,31,32,33)는 압출장치에 작용하는 저압 컨베이어 시스템(20)과 컨베이어(2)의 속도변화를 야기시키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컨베이어 유니트(1)의 구조는 수직열의 로울러(6)로부터 상류 또는 탐지기(30)로부터 상류, 예로서 5cm에서 유리판(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34)를 갖는다. 이러한 측정 장치는 나사 잭(36)에 의해 유리판(100)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플레이트(35)와 이러한 접촉을 유지하고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5)의 전진 동안 작동하는 전위차계(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측정은 그 두께의 함수로서 유리판에 대해 압출 유니트(50)를 위치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로서 전위차계는 나사잭(36)의 회전 부품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식 전위차계일 수 있다. 회전부품의 회전은 비회전 나사잭 샤프트를 패널(4)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유리와 플레이트(35)의 접촉시에 전위차계의 회전위치는 유리두께를 표시한다.
패널(4)은 수직에 대해 약 6°정도 알맞게 약간 경사져 있어서 유리판(100)의 균형이 유지된다.
플라스틱의 제조와 플라스틱 비이드(101)의 압출을 위한 유니트(50)는 압출헤드(51)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헤드는 전술한 프랑스 특허 제2,294,313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4)의 평면에 대해 15° 내지 45°, 적합하게는 25°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단자와 함께 노즐(52)을 갖는다. 노즐(52)은 여러 높이의 비이드(101)를 압출하기 위하여 그 구획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조정 가능한 위치의 미끄럼 밸브(비도시)와, 압출후 비이드(101)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잭에 의해 작동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비이드 절단기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52)은 패널(4)의 평면에 수직인 축에서 회전하는 이음고리(53)를 추축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펀치(54)는 이음고리(53)의 원주상에 본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 노치(비도시)에 결합시킴으로써 바라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1 도, 2도 및 3도는 압출헤드(51)의 상류에 위치하여 압출헤드(51)에 플라스틱을 공급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단은 운반시에 한편으로는 너무 높아 압출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점도와 경도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유리에 점착성이 있는 플라스틱 원료의 탱크(60)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60)는 고정되어 있다.
가열된 원주형 피스톤(61)은 플라스틱을 밀어 넣는 플러그 형태의 가열 부속기(62)를 구비하고, 탱크(60)에 담긴 플라스틱에 압력을 가한다. 회전식 내부 기어펌프(63)는 피스톤(61)의 단자 및 압력하에서 플라스틱을 공급하는 단자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서 펌프(63)는 고온과 300 내지 400바아의 고압에 견디는 회전, 커넥터(65)에 의해 연결된 굽혀진 강체 파이프(64)에 연결된다.
이들 파이프 플라스틱의 저장소로 구성하며 그 단자에서 플라스틱의 압력을 제어하는 체적 변화 가능한 매거진(66)에 연결되어 있다. 매거진(66)은 그 단자에 플라스틱을 요구에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 운반한다.
매거진(66)의 단자는 프로그램된(예로서 작업지도표에 의해) 변속 구동에 의해 제어된 D.C. 전기모터(비도시)에 의해 구동된 용적식 펌프(6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펌프(67)의 단자는 압출헤드(51)에 직접 연결된다. 가변 용적 매거진(66), 용적식 펌프(67) 및 압출헤드(51)로 구성된 유니트는 컨베이어(2)에 의해 제공된 이동방향과는 다른 방향 및 유리하게는 그와 수직인 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6)에 의해 지지된 왕복대(68)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69)는 패널(4), 즉 유리판(100)의 평면에 평행한 두개의 슬라이드(70,71)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두개의 슬라이드(70,71)를 따른 이동은 슬라이드(70,71)에 평행한 무단 나사(73)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72)에 의하는데, 무단 나사(73)는 플레이트(69)에 고정된 볼소켓(비도시)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70,71) 및 무단 나사(73)는 수직인 패널(74)을 따라 조여진다. 모터(72)는 프로그램된 D.C. 모터이다.
왕복대(68)는 한편으로는 전기모터(비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무단나사(비도시)의 작용하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잭(비도시)에 의해 패널(4)의 평면에 수직 방향에서 플레이트(69)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전기 모터는 전위차계(37)에 결합된 전위차계(비도시)와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모터는 유리판(100)의 두께의 함수로서 유리-노즐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반면에 잭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노즐(52)을 패널로부터 더 가깝게 또는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노즐을 운전중 및 비운전시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압출헤드(51)는 또한 유리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한 두개의 탐지기(75,76)를 갖추고 있는데, 이들 탐지기는 슬라이드(70,71)를 따른 플레이트(69)의 이동을 따른다. 이들 두개의 탐지기(75,76)는 압출헤드(51)위에 위치한다. 하나의 탐지기(75)는 상향 이동중의 헤드(51)가 여전히 그 상부 테두리로부터 수 mm에 있을때 유리판의 상부 테두리를 탐지하고, 이들 탐지기(76)는 헤드(51)가 상향 이동중에 최대 높이에 이를 때 그 상부 테두리를 탐지한다.
두개의 마이크로 접촉기(77,78)가 또한 무단 나사(73)를 따라 패널(74)상에 제공되어 있다. 하나의 마이크로 접촉기(77)는 압출헤드(51)가 그 최하단 위치에서 수 mm의 설정된 거리에 이를 때 차단되고, 다른 마이크로 접촉기(78)는 압출 헤드가 유리판의 하부에 부착된 비이드의 위치에 해당하는 그 최하단 위치에 이를 때 차단된다.
노즐(52)의 단자 바로 앞에는 특정 순간에 플라스틱 공급회로에 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저압 시스템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프랑스 특허 제2,207,799호에 기재되어 있다.
한 장치를 비이드(101)가 수평선 또는 사선을 따라 배치될때 또 늘어지는 경향을 보일때 비이드(101)를 지지하기 위하여 배치할 수 있는데, 상기 장치는 한 세트의 휘일, 특히 두개의 휘일(비도시)이다. 이러한 휘일은 압출헤드(51)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휘일은 헤드(51)가 선회되고 또 비수직 통로를 따라 비이드를 부착시킬 때 막 압출되고 또 유리판에 막 접착된 상기 비이드 밑의 위치에 휘일이 올 수 있도록 배치된다. 휘일의 원주축 테두리는 양호하게 쌍곡선의 회전 형태를 갖는다. 압출 헤드(51)에 플라스틱을 공급하는 유니트는 단지 예로서 설명한다. 선형 이동 가능한 압출 헤드(51)를 이송할 수 있는 다른 유니트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무단 나사 압출기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압출기는 컨베이어(2)에 의해 정해진 것과 다른 방향 및 유리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정해진 것과 수직인 방향에 병진 운동 가능하다.
적합하게 작업지도표, 각종 탐지기 및 접촉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지도표 및 탐지기에 의해 제공된 신호와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전체의 전자 유니트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 시스템도 제공된다.
프로그램은 수평방향에서 컨베이어(2)를 경유하여 유리판(100)을 구동시킴으로써, 또는 컨베이어(2), 무단나사(73)의 회전 또는 유리판(100)과 압출헤드(51)의 동시 구동에 의해서 정해진 것과 수직인 방향에서 압출헤드(51)를 구동시킴으로써 병진 이동이 행해지도록 한다.
첫번째 경우에 비이드는 장방형 유리판을 따라 부착될 수 있고, 두번째 경우에는 두개의 병진 이동의 상대속도에 따라서 비이드가 어떠한 형태라도 유리판에 부착될 수 있다.
로울러(6)의 열은 정확하게 노즐(52)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최초로 압출헤드(51)는 그 최하단 위치에 있고 노즐(52)은 그위에 위치한 패널(4)의 부분과 요구된 예각을 이루기 위하여 그 이음고리(53)의 회전에 의하여 배치된다.
외면에 비이드(101)를 받기 위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리판(100)은 도면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서 고속 예로서 50m/분으로 이동하는 동안 컨베이어(2)에 도달한다. 압출 유니트(50)에 접근함에 따라 유리판(100)은 컨베이어(2)와 동일 속도로 이동하는 미끄럼 방지 물질의 벨트(21,22)와 함께 저압 컨베이어 시스템(20)에 의해 진행한다.
상기 시스템의 각각의 격실(25)에 발휘된 저압으로 인하여, 또 벨트(21,22) 재질의 미끄럼 방지 특성에 따라 유리판(100)의 이동은 매우 정확하여 상기 유리판은 단지 그 테두리만 컨베이어의 로울러(3)에 얹힌다. 비이드(101)를 입히는 영역에 도달하기전에 유리판(100)은 이전에 언급하지 않았고 도시하지 않은 표준 존재 탐지기에 의한 탐지기에 정지되고, 그 두께가 측정된다. 이것은 예로서 로울러(6)의 열 5cm 전에 나타난다. 플레이트(35)는 잭(36)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접촉되고, 그런다음 전위차계(37)가 작동되고 기억되는 전압을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전압은 압출헤드(51)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압출헤드(51)는 왕복대(68)에 작용하는 전기모터에 의해 패널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위차계(37)가 작동되면 전압을 전달하고, 상기 전기모터는 전달된 전압이 기억되고 측정수단에 의해 전달된 것과 같지 않는 한 작용한다.
그런 다음 그 통로를 다시 차지한 유리판은 제 4 도에서 4A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탐지기(30)에 당면하게 된다. 탐지기(30)는 조정가능한 지연 후 컨베이어(20)와 시스템(20)에 3m/분 정도의 느린 속도의 명령을 발하는 신호를 보낸다. 다시 유리판(100)는 그의 앞쪽 테두리가 탐지기(32)에 당면하게 된다. 그러면 탐지기는 컨베이어(2)와 시스템(20)을 즉각 정지시키게 하고, 또한 비이드(101)의 압출로 귀결되는 어떤 조정가능한 지연과 함께 용적식 펌프(67)의 작동을 미리 설정한 속도로 되게 한다.
펌프의 개시에 대해 조정가능한 지연으로 인하여 모터(72)는 미리 설정된 속도로 플레이트(69)와 같은 방향에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압출헤드(51)는 슬라이드(70,71)를 따라 상승한다. 따라서 비이드는 제 4 도의 4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100)의 수직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다. 이것은 탐지기(75)가 유리판(100)의 상부 수평 테두리와 당면할때까지 계속된다.
그런다음 탐지기(75)는 조정가능한 지연과 함께 모터(72)의 완속 및 이와 동시에 용적식 펌프(67)의 완속, 저압 시스템의 작동, 잭의 작동하에 왕복대(68)의 복귀 운동에 의해 유리판(100)에 대해 노즐(52)의 철회 및 압출헤드의 회전의 명령을 발한다.
탐지기(76)가 유리판의 테두리와 당면할때, 탐지기(76)는 모터(72)와 펌프(67)의 즉각 정지를 명령한다.
압출헤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 지연에 의해 이음고리(5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노즐(52)이 유리판의 반대면에 다음의 압출을 위해 적정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왕복대는 노즐(52)과 함께 유리에 접근하게 되고, 최종으로 저압 시스템이 작동되고, 용적식 펌프(67)는 재개시하며, 컨베이어(2)가 개시하여 유리판(100)은 비이드를 입히는 동안 화살표 방향 F로 통과하게 된다(4C부분).
비이드를 입히는 것은 유리판의 뒷면 테두리가 탐지기(30)와 당면할때까지 유리판의 수평 상부면에서 일정 속도로 계속된다. 탐지기(30)는 조정 가능한 지연에 의해 유리의 통과를 완속시키고, 펌프(63)은 완속시키며, 노즐(52) 최초위치로의 복귀와 저압의 해제 및 압출헤드의 회전을 명령한다.
그런 다음 유리판의 테두리는 컨베이어(2)와, 펌프(67)의 정지를 명령하는 탐지기(31)와 당면하게 된다.
다시 압출헤드이 회전이 수행되고, 그러면 장치는 비이드(101)를 부착할 준비가 된다. 비이드(101)를 입히는 것은 유리판의 측면에서 행해지는데, 압출헤드(51)는 그 슬라이드(4D부분)를 따른 플레이트(69)의 이동에 의해 하향 수직으로 병진구동된다.
마이크로 접촉기(77)의 차단은 조정가능한 지연과 함께 병진 이동과 펌프 회전을 완속시키고, 또한 조정가능한 지연과 함께 압출헤드의 회전, 저압 시스템의 작동 및 노즐의 복귀가 행해지도록 한다.
마이크로 접촉기(78)의 차단시에 병진이동은 정지되고, 펌프(67)는 회전이 멈춘다. 제공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압출헤드는 회전한다. 그런다음 상부 수평측면상에 비이드를 입히는 것에 관련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비이드를 입히는 것을 재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작이 야기되고, 비이드는 유리판의 하부 수평측면을 따라 부착되며, 유리판은 화살표 F의 반대방향에서 이동하고 압출헤드는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4E부분).
각종의 완속과 정지를 위한 준비는 탐지기(33)의 차단 명령을 받는다. 탐지기(33)와 유리판의 전방 테두리의 당면은 컨베이어(2)의 정지를 명령한다.
비이드를 입힌 후, 비이드는 비이드 절단기로 절단하고, 분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컨베이어가 화살표 F반대 방향으로 짧게 이동한다.
그러면 유리판은 화살표 방향 F로 이동한다. 비이드를 입히기 전의 유리판의 도착시에 제 4 도의 속도선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4A), 펌프(67)의 회전속도는 0이고(Vp=0), 수직 슬라이드(70,71)를 따른 이동에 의한 압출헤드(51)의 이동속도도 또한 0이며 (Vt=0), 다만 컨베이어 속도만이 양이다(Vc=양).
유리판의 전방 수직테두리를 따라 비이드를 입히기 위하여 프로그램은 모터(72)(Vt)의 펌프(67)(Vp)의 모터속도와 개시후 이들 속도의 수준의 상승을 명령한다(Vp=정소, Vt=양의 정수).
수직측면을 따라 비이드를 입히는 말기에 프로그램은 또한 이들 속도 Vp와 Vt를 0의 값 Vp=0, Vt=0으로의 감소를 명령한다. 압출헤드가 회전하는 동안 모든 속도는 0이다. 다시 유리판의 상부 수평측면을 따라 비이드를 입히기 위하여 프로그램은 펌프의 모터와 컨베이어의 속도의 가속화를 명령한다. 즉, Vp=정수, Vc=양의 정수이고, 이 시간 동안 Vt=0이다.
속도선도는 4C를 참조한다. 그러면 하향 방향에서 뒷면 수직측면을 따라 비이드를 입히는 것에 해당하는 것을 4D에서 찾을 수 있다. 즉, Vc=0, Vt=음의 정수 및 Vp=정수이다.
그러면 상기에서와 같이 노즐의 회전 동안 Vc=0=, Vp=0, Vt=0가 된다.
다시 유리판의 하부 수평측면을 따라 비이드를 입히는 동안(4E)은 Vp=정수, Vt=0, VC=음의 정수로 판독된다.
이것은 장방형 유리판의 테두리를 따라 비이드를 입히는 예의 대표적인 것이다. 다른 형태의판, 예로서 측면이 굽은 경우에 본 발명자들은 유리판과 압출헤드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했었고,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동시에 했다.
Vt와 VC는 0과 다르다.
따라서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에서 헤드의 병진이동을 명령하는 모터(72), 컨베이어(2)의 모터, 프로그램에 의한 용적식 펌프(67)의 모터의 동시 제어로 인하여 이들 모터의 가속과 감속 및 안정된 속도는 정확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비이드(101)의 일정한 용적을 얻을 수 있다.
큰 판은 상기 판의 병진이동을 제한하는 감소된 취급조작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취급조작의 감소는 한편으로는 부피를 제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조된 판의 우수한 품질을 허용한다.
압출헤드의 이동도 또한 플라스틱 분배회로의 비교적 짧은 길이를 허용하는 병진이동으로 제한된다.
플라스틱의 제조를 위해 제공된 수단에 의하여 부틸고무/폴리이소부틸렌 혼합물계, 이 혼합물의 점도, 경도 및 압출의 어려움이 일반적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이러한 혼합물계의 플라스틱인 경우라도 노즐(52)의 단자에서 다량 운반이 가능하다.
유리판과 노즐이 비교적 횡이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작은 용적과 감소된 수의 취급조작으로 인하여 유리판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그러나 이와같은 횡이동은 또한 유리판이 다른 형태인 경우, 예로서 편평한 경우에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수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이상 상세히 설명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각종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4)

  1. 유리판의 표면상에 부틸고무계 플라스틱 비이드를 입히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유리판을 제 1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고, 유리판의 표면에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유리판의 표면에 인접위치가능한 노즐의 선형 이동시키며, 상기한 이동단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와 동시에 유리판의 표면상에 노즐로부터 플라스틱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및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판과 노즐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판과 노즐을 이동시키는 단게는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표면은 거의 수직인 평면에 기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표면은 거의 수직인 평면에 기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노즐을 유리판의 표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노즐이 항상 상기 표면과 15° 내지 45°범위내에 놓이는 단일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유리판과 노즐을 연속적 및 교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노즐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각각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유리판과 노즐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노즐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드 지지수단을 수직으로 연장하는 비이드 밑에 위치시키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항은 수평이고, 제 2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수평이고, 제 2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압출단계 전후에 유리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노즐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압출단계 전후에 유리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노즐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15. 유리판의 표면상에 부틸고무계플라스틱 비이드를 입히는 장치에 있어서, 유리판을 지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표면을 갖는 패널과, 제 1 방향의 두가지 의미에서 상기 패널에 의해 지지된 유리판을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컨베어와, 상기 패널에 의해 지지된 유리판의 표면에 인접 위치 가능한 압출노즐을 갖는 압출수단과, 그리고 상기 패널에 의해 지지된 유리판의 표면에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노즐을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 2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패널표면은 수직평면에 대해서 유리판이 안정하게 지지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패널표면과 유리판 사이의 공기쿠숀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공기쿠숀을 형성시키는 수단은 패널 표면에의 공기 취입 오리피스를 포함하며, 사람 머리 높이에 있는 오리피스는 비수평적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울러의 열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로울러는 공기쿠숀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만큼 패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의 로울러는 제 2 방향에서 노즐의 모든 위치에 대해 노즐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수평으로서, 제 1 방향에서 유리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패널 표면의 하부에 있는 제 2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컨베이어 수단은 고마찰 물질로 형성된 제1 및 제 2 수직이간된 무단벨트와, 이들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이들 무단벨트 사이와 그뒤에서 복수개의 저압 격실을 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에서 벨트는 제 1 방향에서 연장되고 패널 표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저압 격실을 한정하는 수단은 무단벨트 사이와 그뒤의 도관과, 도관을 격실로 분리하기 위한 무단벨트 사이의 가로막대와, 진공형성 수단과, 그리고 격실과 진공형성 수단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격실에 흡입 오리피스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으로 수직이고, 압출수단은 노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패널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적이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개의 슬라이드와, 나사의 회전시에 슬라이드를 따라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된 무단나사와, 그리고 무단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에서 플레이트는 슬라이드를 따라 플레이트의 미끄럼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압출수단은 플라스틱 공급소와, 플라스틱을 공급소에서 노즐로 운반하기 위한 모터구동식 용적식펌프를 갖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으로 수직이고, 압출수단은 노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패널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적이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개의 슬라이드와, 나사의 회전시에 슬라이드를 따라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된 무단나사와, 그리고 무단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에서 플레이트는 슬라이드를 따라 플레이트의 미끄럼을 허용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압출수단은 플레이트의 근원과, 플라스틱을 근원에서 노즐로 운반하기 위한 모터구동식 용적식 펌프를 갖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 2 컨베이어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된 제어수단과, 진공 형성 수단, 무단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및 모터구동식 용적식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8. 제16항에 있어서, 패널 표면에 수직인 제 3 방향에서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29. 제16항에 있어서, 노즐의 단부는 패널 표면과 15°와 45°사이의 각을 형성하며, 패널 표면에 수직인 축으로 중심으로 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30. 제15항에 있어서, 비수직인 비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유리판과 노즐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지지하기 위한 수단은 비이드 밑에 위치 조정 가능한 쌍곡선의 오목한 축방향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휘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장치.
  33.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유리판을 플라스틱 압출 노즐앞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구동되는 두개의 평행하고 수직으로 이간된 무단벨트와, 무단벨트 뒤와 그 사이의 도관과, 도관을 상기 방향으로 격리된 격실의 열로 분리하는 가로막대와, 진공을 형성하는 수단과, 그리고 진공을 격실에 공급하기 위하여 각각의 격실에서의 흡입 오리피스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중심부에 있는 격실에 보다는 상기 열의 단부에 있는 격실에 더 강한 진공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KR1019860000130A 1986-01-11 1986-01-11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3000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130A KR930003261B1 (ko) 1986-01-11 1986-01-11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130A KR930003261B1 (ko) 1986-01-11 1986-01-11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078A KR870007078A (ko) 1987-08-14
KR930003261B1 true KR930003261B1 (ko) 1993-04-24

Family

ID=1924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130A KR930003261B1 (ko) 1986-01-11 1986-01-11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2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078A (ko) 198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256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layer glass sheets with plastic seals
US33295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abels
CN1027126C (zh) 供给一均匀条状面包团的方法和设备
US4285752A (en) Automatic tape lay-up system
CN102718088B (zh) 一种用于薄膜间歇进给的夹持装置
US8146334B2 (en) Device for placing sleeves on traveling articles
KR970701099A (ko) 도포방법 및 도포장치(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CN100558602C (zh) 一种回转式贴标机
IE41750B1 (en) Manufacture of multiple panes
KR101980283B1 (ko) 슬롯 다이 코터 및 이를 구비한 구강 용해 필름 제조 장치
CN205766287U (zh) 一种等距离切割装置
CN215439594U (zh) 一种可控松紧的拧瓶盖设备
CN103466542A (zh) 异质键合成型装置
US4949666A (en)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spacer frames
KR930003261B1 (ko) 플라스틱 시일을 갖는 다층 유리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0759204U (zh) 一种塑料薄膜拉伸定型机
CN205438699U (zh) 双线物料塑化精密切割装置
US9103162B2 (en) Device for applying spacer tape
CN211915278U (zh) 一种带自动涂油功能的圆锅拉伸用圆板上料装置
CN218142492U (zh) 一种自动封箱机用定位输送装置
CN209097192U (zh) 一种出标机
GB141211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lat polymeric structures
CN113844055A (zh) 一种胶泥带生产设备
CN111268228B (zh) 一种生物检验试剂瓶贴标签系统及方法
WO2020093953A1 (zh) 贴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