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54B1 -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54B1
KR930003154B1 KR1019900016789A KR900016789A KR930003154B1 KR 930003154 B1 KR930003154 B1 KR 930003154B1 KR 1019900016789 A KR1019900016789 A KR 1019900016789A KR 900016789 A KR900016789 A KR 900016789A KR 930003154 B1 KR930003154 B1 KR 93000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rn
mailbox
voice mai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47A (ko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54B1/ko
Publication of KR92000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일 관리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일 관리 테이블상의 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디스크상의 메모리 맵도.
본 발명은 음성 우편장치(VMS : Voice Mailing System)에서의 음성 메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크기의 음성셀을 인덱싱(INDEXING)하는 음성 메밍(TRN : TRASACTION)에서 음성을 관리하고 하나의 TRN을 메일 박스가 공유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보다 많은 채널을 보다 많은 가입자에게 써비스할 수 있는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우편장치는 전자교환기와 연동하여 또는 단독으로 아나로그 신호인 음성을 디지탈화하여 이를 하드디스크에 저정한 후 다시 재생할 수 있게 하므로서 음성사서함 기능, 광고 녹음 청취, 부재중 메세지 수신, 통화중 메세지 수신, 메세지 동보, 메세지 전환 등의 기능을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능들의 실현을 위해서는 디지탈화 된 음성 데이타들을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데이타와 같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음성 메일 관리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탈화된 음성 데이타는 일반 데이타와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고, 음성 우편장치의 실시간에 처리해야 하는 기능 특성상 여러 모로 일반 컴퓨터들이 화일 관리시스템(FMS : File Management System)과는 전혀 다른 음성 우편장치 고유의 음성 메일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채널에 실시간으로 음성 우편 써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크기의 음성셀을 TRN에서 관리하며 하나의 TRN을 여러 메일 박스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채널로 보다 많은 가입자에게 써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가입자마다 하나의 프로 화일을 가지며, 상기 프로화일에는 사서함 가입자의 성격에 따라 정해진 데이타와 메일 박스를 가지고, 상기 메일 박스에는 정해진 갯수의 음성 화일 관현 데이타를 보관할 수 있는 영역이 있어서 메일이 존재할 경우 해당 화일에 대한(TRN) 인덱스(INDEX)를 갖도록 하며, 상기 TRN은 실제 음성이 녹음되어 있는 음성셀에 대한 인덱스를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 메일 관리 시스템은 크게 가입자를 나타내는 프로화일, 메일들을 가리키는 메일 박스, 각 TRN으로부터 인덱싱되는 일정 단위의 음성셀로 구성된다. 이들은 제 1 도으와 같은 시스템에서 제 2 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음성 사서함 가입자는 하나의 프로화일을 가지며, 프로화일에는 사서함 가입자의 성격에 따라 정해진 데이타와 다수의 메일 박스를 갖는다. 메일 박스에는 정해진 갯수의 음성 메일 관련 데이타를 보관할 수 있는 영역이 있어 메일이 존재할 경우 해당 메일에 대한(TRN에 대한) 인덱스를 갖는다. TRN은 실제 음성이 녹음되어 있는 음성셀에 대한 인덱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제 1 도는 공중망 또는 전화망과 정합하는 가입자 접속부(Line Interface Unit : 이하 LIU라 함) (10)와, 상기 LIU(10)와 접속되어 일반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정보량을 감축하거나, 압축된 음성정보를 재생하는 압축 재생부(Voice Compressing Unit : 이하 "VCU"라 함) (20)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이하 "CPU"라 함) (30)와, 상기 CPU(3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0)와, 처리된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부(60)와, 상기 CPU(30)의 명령에 따라 상기 하드디스크부(60)에 데이타를 기입 및 독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디스크 콘트롤러(50)로 구성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관리 테이블도로서, 음성 우편장치의 음성 메일 관리시스템을 프로화일, 메일 박스, TRN(TRANSACTION), 음성셀등으로 구성된다.
음성 메일이라 함은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의 한 메세지를 말하며, TRN(40)과 1 : 1로 대응된다. 음성셀(500)이라 함은 녹음된 음성이 보관되는 제 1 도의 하드디스크부(60)에서의 일정 크기의 메모리를 말한다. 즉, 음성 메일을 TRN(400)에 표시되는 여러개의 음성셀들에 저장될 수 있다. 한 음성 메일을 이와 같이 일정 크기의 음성셀들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은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실시간에 처리하기 위함과 디지탈화된 음성 데이타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음성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며 아나로그 신호인 음성을 디지탈화 할 경우 음성 1초당 PCM 방식은 대략 8Kbite, ADPCM 방식은 대략 4Kbite가 필요하다. 이러한 대량의 데이타가 다수의 채널에서 동시에 요구될 경우(녹음 또는 청취) 실제 데이타를 보관하고 있는 하드디스크부(60)의 처리능력이 시스템의 능력을 좌우하게 된다. 만일 음성 T초에 해당하는 d바이트들의 데이타를 하드디스크부(60)에서 읽어내는데 걸리는 시간(HARD DISK SEEK TIME+DATA TRANSFER TIME등)이 t초라면, n개의 채널을 동시에 실시간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n×t<=T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만족하는 크기로 음성셀(500)을 나누고 TRN(400)에 기록된 음성셀 인덱스를 이용한 하드디스크부(60)의 직접 억세스가 음성 메일 관리에는 화일 단위 억세스보다 효율적이다.
TRN(400)은 이러한 음성셀들에 대한 인덱스를 포함하여 녹음된 일시, 음성 메일 형태등의 정보를 보유하여 하나의 음성 메일을 구성한다. TRN은 성격에 따라 분류되어 메일 박스에 속하게 된다. 메일 박스(300)는 하나의 음성 메일(TRN)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논리적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음성 메일에 대한 인덱스 테이블이다.
음성 사서함 가입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사서함 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서함에 억세스하게 된다. 또한 음성 우편장치에서 전 서비스는 사서함 번호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음성 메일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사서함 번호(100)당 1개의 사서함 프로화일(200)을 갖는다. 상기 프로화일(200)에는 사서함 번호, 사서함 종류, 사용자 이름, 서비스 등급, 사용자 전화번호, 메일 박스 번호등 사서함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음성 우편장치의 서비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타 베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프로화일(200)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예 : 수신용, 발신용, MEMO용) 일정갯수의 음성 메일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메일 박스(300)에 대한 인덱스를 갖는다. 앞서의 TRN(400)에는 음성 메일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타를 갖고 있는 반면 메일 박스에는 TRN에 대한 인덱스를 포함 음성우편장치 써비스에 대한 몇가지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유하여 프로화일과 TRN 사이를 연결하여 준다.
제 3 도와 제 4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가입자의 사서함 번호 입력(100)과 프로화일(200)을 연결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찾은 프로화일(200)의 메일 박스(300)를 찾아가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찾은 메일 박스(200)의 TRN(400)을 찾아가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찾은 TRN(400)의 음성셀(500)들을 찾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디스크(60)의 메모리 맵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 1 도 -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1)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 메일의 녹음 또는 청취등의 목적으로 어떤 사서함에 억세스할 경우에의 해당 사서함의 번호 입력을 LIU(10)를 통해 CPU(30)로 알려지게 되고, (2)단계에서 CPU(30)는 가입자 테이블(100)에서 사서함 번호와 대응되는 프로화일(200)을 찾는다. 이때 등록되지 않은 번호에 대해서는 (15)단계에서 기능을 종료시킨다.
(3)단계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2 과정에서 사용할 메일 박스(300)가 정해진다. (3)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 메일의 청취를 원할 경우 (4)단계에서 해당 메일 박스에 음성 메일의 존재여부를 조사하여 존재하면 (5)단계에서 해당 음성 메일에 대한 인덱스를 찾아 TRN(400)을 읽어 TRN의 음성셀 인덱스를 통해 (6)단계에서 음성이 녹음되어 있는 음성셀(500)을 찾는다. (7)단계에서는 디스크콘트롤러(50)를 제어하여 하드디스크(60)의 (6)단계에서 찾은 음성셀 위치에서 음성 데이타를 읽어 VCU(20)를 통해 음성으로 재생한다. 재생후 (8)단계에서 마지막 음성셀인가를 조사하여 마지막이면 (16)단계에서 기능을 종료하고 아니면 (9)단계에서 다음 음성셀을 억세스하여 (6)단계로 되돌아간다.
(3)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 메일의 녹음을 원할 경우에는 (10)단계에서 비어 있는 메일 박스상의 비어 있는 레코드를 찾은 후 (11)단계에서 빈 TRN을 찾고 (12)단계에서 빈 음성셀을 찾는다. (13)단계에서는 VCU(20)를 통해 들어온 음성 데이타를 CPU(30)가 디스크콘트롤러(50)를 제어하여 하드디스크(60)의 (12)단계에서 찾은 음성셀 위치에 저장한다. (13)단계후 녹음이 종료되었는지 조사하여 종료되지 않았으면 (12)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며 종료시에는 (16)단계에서 기능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일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멀티-채널 실시간 음성 우편장치 써비스가 가능케되며 사용화할 수 있고 일정크기의 음성셀을 TRN에서 관리하고 하나의 TRN을 여러 메일 박스가 공유할 수 있게 하므로써 보다 많은 채널로 보다 많은 가입자에게 써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서서함 번호입력과 프로화일을 연결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찾은 프로화일에서 메일 박스를 찾아가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찾은 메일 박스에서 TRN을 찾아가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찾은 TRN의 음성셀들을 찾는 제 4 과정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에 있어서, 사서함 번호를 입력하여 가입자 테이블의 존재 여부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 선택에서 청취시 메일 박스에 메일이 존재할시 TRN 인덱스를 이용 TRN을 찾는 과정과, 상기 TRN을 찾아 음성셀 인덱스를 이용하여 음성셀을 찾아 읽어주는 과정과, 상기 기능 선택에서 녹음시 메일 박스의 비어 있는 레코드를 찾고 비어 있는 TRN을 찾은 후 빈 음성셀을 찾는 과정과, 음성 데이타 녹음 TRN에 인덱스를 기입한 후 계속 녹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16789A 1990-10-20 1990-10-20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KR93000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789A KR930003154B1 (ko) 1990-10-20 1990-10-20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789A KR930003154B1 (ko) 1990-10-20 1990-10-20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47A KR920009147A (ko) 1992-05-28
KR930003154B1 true KR930003154B1 (ko) 1993-04-22

Family

ID=1930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789A KR930003154B1 (ko) 1990-10-20 1990-10-20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47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64A (en) Specifiable delete times for voice messaging
US7272213B2 (en) Metho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bookmarking voicemail messages
CA2171041A1 (en) System for archiving voice mail messages
US20030023688A1 (en) Voice-based message sorting and retrieval method
JPH0876964A (ja) 音声応答システム
KR0174607B1 (ko) 음성/팩시밀리 메일 서비스 겸용 음성우편장치 및 그 서비스방법
AU682713B2 (en) Managing speech memory
US62953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r responses to a call processing tree
CN1214600C (zh) 电话客户档案信息管理系统及其运行方法
KR930003154B1 (ko) 음성 메일 데이타 구성방법
JPH10233837A (ja) 電話応答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KR930004687B1 (ko) 음성 우편 장치에서의 디스크 리드 에러시 메세지 보안방법
US62263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ecording and selective accessing of messages using a computer, a remote unit, and a public communication system
KR0156846B1 (ko) 음성 우편장치의 음성 메일 공유 방법
KR940001703B1 (ko) 음성우편 장치에서의 음성메일의 자동삭제방법
US20030215063A1 (en)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a customized recording of audio data relayed over a phone network
JPS5851662A (ja) 通話記録・再生制御方式
JPH0964981A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
US8042034B1 (en) Database with linked audio file
JP2001237948A (ja) 音声メール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0181167B1 (ko) 음성 메세지 장치에서 음성 메세지 청취 확인 방법
KR100238525B1 (ko) 음성우편장치에서 녹음된 음성메세지 선택적 재생방법
JP2001186261A (ja) 音声蓄積装置
JPS60148251A (ja) メ−ルボツクス管理システム
JPH0378363A (ja) 通話記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