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71B1 - 직물리본 - Google Patents

직물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71B1
KR930002871B1 KR1019870014110A KR870014110A KR930002871B1 KR 930002871 B1 KR930002871 B1 KR 930002871B1 KR 1019870014110 A KR1019870014110 A KR 1019870014110A KR 870014110 A KR870014110 A KR 870014110A KR 930002871 B1 KR930002871 B1 KR 93000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weft
adjacent
wove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839A (ko
Inventor
엘라목
메이라트 클래멘트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틴 비에리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후랑코이스 니클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틴 비에리,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후랑코이스 니클래스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8000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8Ladder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리본
제 1 도는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
제1a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1b도는 제 1 도의 B-B선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
제2a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2b도는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제 3 실시형태의 평면도.
제3a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제 4 실시형태의 평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시계밴드의 버클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직조리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일측단부가 탱(tang : 삽입용 돌기편)이 구비된 버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된 벨트, 가죽깃(thong), 스트랩, 핸드백끈 또는 손목시곗줄용으로 사용되는 직조리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조리본을 이용하여 상기 언급된 바와같은 제품을 만드는 경우에 이러한 리본에 탱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는데 만족스럽지 못하다.
실제로, 언제나 빗나가지 않게 이들 관통공에 탱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탱이 당기어질때에 직물이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조리본의 재질은 매우 튼튼하고 근접 직조되는 실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품은 그 폭방향이나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튼튼해야한다.
따라서, 직물은 다음에 설명되는 두가지 실시가능한 방법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는 견고성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져야한다는 이원적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된다.
제 1 의 방법은 직조리본에 관통공을 뚫고 이들에 아일릿(eyelet)을 채우는 것이다.
제 2 의 방법은 리본의 단부에 이러한 리본보다 질긴 재질, 예를들어 천연가죽이나 합성가죽과 같은 재질의 밴드를 첨부하고 이를 통하여 관통공을 뚫는 것이다.
이들 두가지 해결방법은 공통적으로 두가지의 결점을 갖는다. 이들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제품의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관통공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넓어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없다. 아울러, 제 1 의 해결방법에 있어서는 또다른 결점을 갖는다. 즉, 관통공의 형성시에 경사와 위사의 연속성이 중단되므로서 리본의 기계적인 내구성이 취약하게 된다.
종래 프랑스특허 제 1, 512, 865호(1967년 2월 28일자 출원)에서 제안된 리본에 있어서는 등간격을 두고 위사군(緯
Figure kpo00002
群)을 폭방향으로 배열하고 경사군(經
Figure kpo00003
群)을 길이방향으로 배열하되 탱이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조의 전무한 직선상의 종방향 영역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언급된 제 1 의 해결방법이 갖는 결점을 해소토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제안에 있어서는 위사 및 경사에 사용된 실의 특성에 관한 명세나 상기 언급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리본을 제작하기 위하여 채택되어야 하는 특정한 직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본은 그 발명자에 따라서는 어떠한 직조조직일 수도 있을 것이나 그것은 사실이 아님이 명백할 것이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러한 형태의 리본 또는 이들을 이용한 제품은 의심할 여지 없이 시중에 장기간 유통되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랑스특허 제 1, 512, 865호의 기본개념을 유효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이를 발전 및 개선할 수 있는 해결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는 리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위사군과 경사군으로 구성되고 탱이 구비된 버클에 결합될 수 있게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폭이 좁은 협소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영역에서는 경사가 없고 위사는 적어도 일부가 합성섬유로 되어 있으며 경사보다 현저히 강도가 큰 실로 되어 있는 리본을 제공하므로서 성취된다. 더우기 리본은 경사에 의하여 인접한 위사가 쌍으로 합쳐지도록 직조된다.
따라서 위사는 리본에 폭방향으로 요구된 강도를 부여하고 경사는 길이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한다.
더우기, 위사를 쌍으로 합쳐 직조하는데에는 두가지의 잇점이 있다.
첫째로, 이들 위사쌍은 상기 언급된 프랑스특허의 경우와 같이 위사가 리본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경우보다 탱의 견인작용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보안다.
둘째로, 이와같이 하므로서 위사쌍 사이에는 작은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에 탱이 쉽게 삽입될 수 있는 한편 리본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사는 합성섬유의 단사가 사용되는 것이 좋으나 심사(心
Figure kpo00004
)가 천연섬유이고 피복사가 합성섬유인 복합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경사는 그 재료의 선택이 매우 다양하다. 경사는 미세섬유속으로 구성된 실이나 천연 또는 합성섬유를 가볍게 꼬아 만든 가연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협소부분의 직조조직을 다른 부분의 조직보다 덜 치밀하게 직조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서 경사는 다른 부분의 경사보다 서로 간격을 크게 두고 배열되거나 위사가 경사와 동일면으로부터 이 영역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만약 협소부분에 경사가 없는 해결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양측면에 단사의 형태이고 가늘며 강인한 경사를 직조하거나 이러한 형태의 경사가 인접한 것끼리 쌍을 이루는 한쌍의 경사를 연속위사쌍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교호로 지나도록 직조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리본의 중앙영역에서 위사의 강도가 증대되고 보다 유연하게 된 다른 경사가 협소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끝으로 여러가지 색상의 실을 사용하고 다양한 직조방식을 이용하므로서 리본의 외관을 매우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보아 리본의 위사는 탄성의 합성섬유로된 가늘고 긴 단사형태인 실(1)로 구성된다. 이 실(1)은 리본하측의 변부에서 특히 부호(2)(3)으로 보인 바와같이 리본의 각 변부에서 연속하여 교대로 접히어 들어간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서로 인접하는 실이 제1도a에서 보인 바와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인접한 위사(4)(5)의 쌍을 이룬다. 모든 다른 쌍의 위사가 배열된 것이 제1도a에서 볼 수 있다.
리본의 경사는 미세섬유속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이 가볍게 가연된 두 중첩층의 실로 구성된다. 제 1 도에서는 이들 경사(6)(7)의 상부층만을 볼 수 있다. 제1a도와 제1b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상부층의 경사(6)는 위사(4a)(5a), (4b)(5b), (4c)(5c)로 보인 바와같이 연속된 3개쌍의 인접한 위사의 상부와 다음쌍의 위사의 하부를 상하 교대로 통과한다. 그리고 다시 다른 상부층의 경사가 경사(6)과 같이 동일한 인접쌍의 위사의 상하로 통과한다. 제1b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경사(7)는 인접한 두경사(6)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어 경사(6)가 상부로 통과하는 인접쌍의 위사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인접쌍의 위사(4b)(5b)의 하부와 3개의 연속한 인접쌍의 위사(4c)(5c), (4b)(5b), (4e)(5e)의 상부를 상하교대로 통과한다. 제1a도와 제1b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하부층의 경사(30)(31)는 상부층의 경사가 상부로 통과하는 연속한 인접쌍의 위사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인접쌍의 위사상부와, 다음에 연속하는 3개 인접쌍의 위사의 하부를 상하교대로 통과한다. 이와같이, 제1a도에서 경사(30)는 한쌍의 위사(4b)(5b)의 상부와 3개쌍의 위사(4c)(5c), (4d)(5d), (4e)(5e)의 하부를 통과하는 반면에 제1b도에서 경사(31)는 한쌍의 위사(4)(5)의 상부와, 3개쌍의 위사(4a)(5a), (4b)(5b), (4c)(5c)의 하부를 통과한다. 한쌍의 인접한 위사의 상부로 통과하는 하부층의 경사는 그 일부가 동일쌍의 위사상부와 두 인접쌍의 위사상부와 두 인접쌍의 위사상부를 지나는 상부층의 경사에 의하여 가려진다. 마찬가지로 연속하는 3개 인접쌍의 위사하부를 통과하는 하부층의 경사도 한쌍의 인접한 위사의 하부를 통과하는 상부층의 경사의 일부에 의하여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들 경사는 리본의 폭방향 중앙에 배열되는 두 경사(8)(9)를 제외하고는 모두 치밀하게 직조된다. 제 1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중앙의 이들 두 경사에 의하여 점유되는 영역은 이들에 인접하는 다른 3개의 경사에 의하여 점유되는 영역만큼이나 넓게 되어 있다.
리본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이 리본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탱(32)(제 5 도)은 이 탱이 리본에 삽입결합될때에 경사나 위사에 손상을 입히지 아니하고 두 경사(8)(9)사이와, 두개의 연속하는 인접쌍의 위사사이에 스스로 삽입통로를 만들어내면서 삽입될 것이다. 연속한 위사쌍들은 이들이 비교적 근접되어 있으므로 리본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도의 리본은 중앙에 단순히 위사(11)만 배열된 협소부분(10)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도의 리본과 상이하다. 리본의 일측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된 탱(32)(제 5 도)은 위사(11)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결합된다. 비록 위사(11)가 제 1 도의 경우와 같이 리본전체에 걸쳐 지그재그형태로 직조된 한가닥의 실이 절곡되면서 나누어진 세그먼트부분으로 구성되나 이들 위사는 제2a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3개의 연속하는 인접쌍의 위사가 하나의 삼중그룹(12)을 이룬다. 삼중그룹(12)을 이루고 있는 인접 위사쌍은 각 삼중그룹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서로 근접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상태가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삼중그룹(12)을 이루고 있는 인접위사쌍들은 삼중그룹(12)의 우측인접위사쌍과 삼중그룹(12)에 이웃하는 다른 삼중그룹(12')의 좌측인접위사쌍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근접되어 있다.
경사(13)의 직조상태는 제 1 도의 경사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의 직조구성에는 경사(13)가 리본의 협소부분(10)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협소부분(10)의 위사에 대하여 이들이 리본의 일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게된 탱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저항력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두가지의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수단중의 하나는 가늘고 길며 강인한 합성섬유재질의 단사형태로 되어 있고 협소부분(10)의 양측변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인접한 경사(14)로 구성된다. 이들 경사(14)는 연속하는 인접쌍의 위사의 일측면에 타측면을 교호로 통과한다.
제 2 수단은 협소부분(10)의 양측에서 경사(14)와 나란히 연장되어 있으나 특수하게 직조된 두 경사(15)(16)로 구성된다. 경사(15)(제2a도)는 연속하는 삼중그룹(12)(12b)의 위사에 대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교호로 연속하여 통과한다. 위사(16)(제2b도)는 연속하는 각 인접쌍의 위사에 대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교호로 연속하여 통과한다. 이들 경사(15)(16)는 경사(13)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보인 실시형태는 상이한 색상으로 되어 있는 두층의 경사(15a)(16a)가 제3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위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동시에 교호로 통과하는 점에서 제 2 도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 리본에서는 두 색상이 교대로 나타나는 색상부분(17)(18)을 보인다.
이와같은 경우에, 그리고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리본의 중앙에 위치하는 협소부분(19)의 양측변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강인한 단사형태인 한쌍의 인접한 경사(14)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된 위사(21)(22)가 이루는 연속하는 인접 위사쌍(20)의 일측의 일측면과 타측의 타측면을 지그재그형태로 통과한다.
제 4 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이 실시형태의 직조상태는 제 2 도와 동일하다. 그러나, 리본의 중앙에 형성된 협소부분(23)의 양측에는 단사형태인 각 하나의 경사(24)가 연속하는 인접쌍의 위사에 대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우기 협소부분을 포함하는 리본의 중앙영역(25)의 일부 경사들은 협소부분(23)을 구성하는 위사를 위장하도록 위상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외측 영역(26)(27)의 경사는 다른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리본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보인 4개의 실시형태에서, 치밀하지 않게 느슨한 상태로 직조된 중앙부분은 당연히 리본의 전길이에 연장된다. 그러나, 탱이 결합될 수 있게된 리본의 이 영역을 직조조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영역의 위사를 리본의 중앙에 위치하는 두가닥, 세가닥 또는 네가닥의 경사의 동일측에, 또는 두 중첩층의 동일 경사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탱은 리본의 이 영역을 통하고 관통하여 경사가 지나지 않는 위사사이에 경사나 위사에 손상을 입히지 아니하고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의 일측단부에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탱(32)이 구비된 버클(34)를 고정시키는데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예를들어 리본의 단부를 버클 또는 버클부분에 결합시켜 접은 다음 이 접힌부분을 다시 리본에 하나이상의 리벳트등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리본의 접힌부분을 고정하는데에는 융착, 봉재 또는 접착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리본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나 위사가 모두 합성섬유이고 버클이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리본의 단부를 버클에 직접 용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예를들어 시계밴드의 제조에 이용되는 경우 각 스트랩의 각 스트랜드에 대한 직조방식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조될 시계밴드의 스트랜드폭보다 수배의 크기를 갖는 폭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치밀하지 않고 느슨히 직조되는 협소부분이 다수 포함되게 폭넓게 밴드를 직조하여 시계밴드의 폭에 해당하는 폭으로 상기 밴드를 절단하여 사용토록 제조할 수도 있다.
만약 위사가 전적으로 합성섬유재질인 경우 시계밴드 스트랜드를 열, 예를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같은 과정에서는 절단과 동시에 변부의 위사의 단부가 용착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위사나 경사나 심사는 면과 같은 천연섬유이고 피복사가 PVC와 같은 합성섬유로 구성되는 혼합사인 경우에는 고주파로 절단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에 이들 실의 단부가 함께 용착될 수 있다.
시계케이스의 밴드연결부에 시계밴드의 스트랜드를 고정하는 것은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버클에 고정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계케이스로부터 탱이 구비된 버클측으로 연장된 시계밴드의 스트랜드부분에는 시계밴드의 외관이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것 이외에는 치밀하지 않고 느슨히 직조된 중앙의 협소부분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은 시계밴드의 제조에 관한 사항은 다른 제품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다수의 탱을 갖는 버클이 결합될 수 있게된 리본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벨트, 가죽끈, 핸드백끈 또는 시계밴드용으로 사용되며 일측단부가 탱(삽입용 돌기편)이 구비된 버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된 직조리본으로서, 상기 리본이 각각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다른부분보다 치밀하지 않게 느슨히 직조되어 버클에 결합될 수 있게된 적어도 한 영역에 협소부분(8, 9 ; 10 ; 19 ; 23)을 형성하는 위사(4, 5 ; 11 ; 21, 22)와 경사(6-9 ; 13 ; 25)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위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성섬유재질로 구성되고 경사보다 강도가 크며 위사가 경사에 의하여 인접한 위사가 쌍으로 합쳐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2. 제 1 항에 있어서, 위사(4, 5 ; 11 ; 21, 22)가 전체적으로 합성섬유재질의 단사형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경사(6-9 ; 13 ; 25)가 미세섬유속으로 구성되거나 약간 가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4. 제 1 항에 있어서, 리본의 상기 협소부분에서 경사(8, 9)가 리본의 다른 부분에서 보다 치밀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5. 제 1 항에 있어서, 리본의 상기 협소부분(10 ; 19 ; 23)이 위사(11)만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리본의 상기 협소부분(10 ; 19 ; 23)의 양측부에서, 단일의 경사(24) 또는 한쌍의 인접한 경사(14)로 직조되고, 상기 경사(14, 24)가 위사(21, 22 ; 11)로 구성되는 연속한 인접위사쌍(20)에 대하여 상하로 통과하는 가늘고 강도가 높은 단사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7. 제 6 항에 있어서, 위사(11 ; 21, 22)가 3개의 인접위사쌍(20)이 삼중그룹(12)을 형성하고 삼중그룹사이의 간격은 삼중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인접위사쌍 사이의 간격보다 넓으며, 경사(13)가 리본의 각 면에서 부분적으로 교대로 보이는 두 중첩층으로 직조되고, 리본의 일측면에서 보이는 이들 중첩층의 한층에서 경사의 일부가 3개의 연속한 인접위사쌍의 동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3개의 연속한 인접위사쌍의 중앙에 위치하는 인접위사쌍의 동일측면과 다른 두 인접위사쌍의 타측면을 통과하는 다른층의 경사부분을 덮고 있으며, 두 중첩층의 일측 또는 타측 중첩층의 양측 두 경사가 3개의 동일 위사쌍의 동일측면상으로 통과하고, 3개의 연속한 인접위사쌍의 동일측면상을 통과하는 동일 중첩층의 경사에 근접한 경사의 단일부분 또는 두부분이 중간에 위치하는 위사쌍의 타측면상을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8. 제 6 항 또는 7항에 있어서, 단사형태인 경사(14)에 근접한 두 경사(15)(16)는 일측경사(16)가 연속하는 각 인접위사쌍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그리고 타측경사(15)는 연속하는 위사쌍의 각 삼중그룹(12)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교대로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9. 제 5 항에 있어서, 리본의 상기 협소부분(23)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경사(25)만이 위사와 동일한 색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10. 제 1 항에 있어서, 탱이 구비된 버클에 결합될 수 있게된 리본의 영역에서, 위사가 리본의 중앙에서 이 리본의 상기 협소부분에 위치하는 경사의 동일측면상을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리본.
KR1019870014110A 1986-12-15 1987-12-10 직물리본 KR930002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7626A FR2608176B1 (fr) 1986-12-15 1986-12-15 Ruban tisse
CH8617626 1986-12-15
FR8617626 1986-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39A KR880007839A (ko) 1988-08-29
KR930002871B1 true KR930002871B1 (ko) 1993-04-12

Family

ID=934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10A KR930002871B1 (ko) 1986-12-15 1987-12-10 직물리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46230A (ko)
EP (1) EP0276414B1 (ko)
JP (1) JPS63211340A (ko)
KR (1) KR930002871B1 (ko)
CN (1) CN1017635B (ko)
AR (1) AR243614A1 (ko)
AT (1) ATE65807T1 (ko)
BR (1) BR8706809A (ko)
DE (1) DE3771864D1 (ko)
ES (1) ES2025622T3 (ko)
FR (1) FR2608176B1 (ko)
HK (1) HK142494A (ko)
SG (1) SG88794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5637B1 (fr) * 1989-12-08 1992-04-17 Decat Christine Dispositif de reglage d'une laniere ou sangle avec une boucle de l'equipement equin.
DE69334200T2 (de) 1992-06-15 2008-12-24 Herman Miller, Inc., Zeeland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ATE175320T1 (de) * 1994-02-23 1999-01-15 Microlite Sl Neue sohle für schuhwerk
US5538047A (en) * 1995-04-11 1996-07-23 Warnecke; Hans O. Streakless fabric weaving
GB2358877A (en) * 2000-02-07 2001-08-08 Milliken Europ Nv Tape substrate
US20040137811A1 (en) * 2003-01-09 2004-07-15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Elastomeric seating composite
EP1595646A1 (de) * 2004-05-13 2005-11-16 sia Abrasives Industries AG Mischfaser-Gewebeunterlage
CN102899774B (zh) * 2010-04-13 2013-12-11 北京光华纺织集团有限公司 可控柔刚度的织物
EP2444535B1 (en) * 2010-10-19 2013-09-04 Tape Weaving Sweden AB Method and means for measured control of tape-like warps for shedding and taking-up operations
CN102154757B (zh) * 2011-04-11 2012-09-26 深圳市燊丰行织造有限公司 松紧织带、松紧织带织造方法、适用于箱包行业的肩带
USD667642S1 (en) * 2011-06-24 2012-09-25 Hermes Sellier Leather sheet
KR102051803B1 (ko) * 2013-07-29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3640784A (zh) * 2013-12-22 2014-03-19 周传对 交织复合编织布
US10786053B2 (en) 2014-06-17 2020-09-29 Apple Inc. Woven material including double layer construction
WO2016025110A1 (en) * 2014-08-09 2016-02-18 Apple Inc. Woven material including bonding fibers
US10021945B2 (en) 2014-08-11 2018-07-17 Apple Inc. Self-closing buckle mechanism
US10227721B2 (en) 2015-03-06 2019-03-12 Apple Inc. Woven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woven materials
US9745676B2 (en) * 2015-03-06 2017-08-29 Apple Inc. Woven materials having tapered portions
US9938646B2 (en) 2015-03-08 2018-04-10 Apple Inc. Woven band with different stretch regions
CN105495713A (zh) * 2016-01-18 2016-04-20 福建省百凯弹性织造有限公司 一种透气钢圈带的加工方法
CN105533874A (zh) * 2016-01-18 2016-05-04 福建省百凯弹性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的锁紧收口织带的制造方法
USD858111S1 (en) * 2016-03-04 2019-09-03 Gsc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oplastic wicker panel
USD789822S1 (en) * 2016-03-07 2017-06-20 Apple Inc. Band
CN105696145A (zh) * 2016-04-26 2016-06-22 无锡百和织造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纵向拉伸横向不收缩变形窄幅弹性织物及其制造方法
CN106053332B (zh) * 2016-06-15 2018-12-04 浙江海洋大学 柔性纤维插入装置
US11241068B2 (en) 2019-04-15 2022-02-08 Apple Inc. Watch band with braided stran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556C (ko) *
US2581261A (en) * 1949-09-15 1952-01-01 Lambeth Rope Corp Tape for driving pulleys
US3322163A (en) * 1965-02-25 1967-05-30 Allied Chem Low elongation seat belt webbing
FR1512865A (fr) * 1967-02-28 1968-02-09 Tissage J Jurine Ruban destiné à être utilisé avec une boucle à ardillon
US3481371A (en) * 1967-12-13 1969-12-02 Lawrence Row Grain truck cover
DE3307144A1 (de) * 1983-03-01 1984-09-13 Hermann Wangn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Papiermaschinenbespannung in einer gewebebindung, die keine in laengsrichtung verlaufenden symmetrieachse aufweist
US4499842A (en) * 1983-04-11 1985-02-19 North Sails, Inc. Sail cloth and sail made therefrom
DE3345508A1 (de) * 1983-12-16 1985-06-27 Ieperband N.V., Ieper Gurtband mit flexibelem schussmaterial
JPS6146572A (ja) * 1984-08-13 1986-03-06 Nissan Motor Co Ltd 二値化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08176B1 (fr) 1991-01-11
FR2608176A1 (fr) 1988-06-17
ES2025622T3 (es) 1992-04-01
BR8706809A (pt) 1988-07-19
DE3771864D1 (de) 1991-09-05
JPS63211340A (ja) 1988-09-02
EP0276414B1 (fr) 1991-07-31
CN87108393A (zh) 1988-06-29
EP0276414A1 (fr) 1988-08-03
CN1017635B (zh) 1992-07-29
US4846230A (en) 1989-07-11
SG88794G (en) 1994-10-14
KR880007839A (ko) 1988-08-29
JPH0433897B2 (ko) 1992-06-04
HK142494A (en) 1994-12-23
ATE65807T1 (de) 1991-08-15
AR243614A1 (es) 199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871B1 (ko) 직물리본
CA1047752A (en) Jointing of fabric ends to form an endless structure
KR100256773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EP0228203A1 (en) Warp knitted lace fabrics
KR950013197B1 (ko) 기계펠트 및 그 제작방법
JPS6027281B2 (ja) ベルベツト式フアスナ−用テ−プの製造方法
US4103717A (en) Seam webbing
CN100551291C (zh) 针织、机织的隐形拉链
US4384021A (en) Fabric tapes and woven fabric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328840A (en) Double side fabric
EP0659362B1 (en) Woven slide fastener stringer
KR100563202B1 (ko) 편직 면파스너
RU2045924C1 (ru) Застежка - молния
US3892262A (en) Slide-fastener stringer half with woven-in coupling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024277A (en) Stringer tapes
KR900011319Y1 (ko) 제직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SU936793A3 (ru) Застежка-молни
FI76248B (fi) Draglaos.
US4510656A (en) Slide fastener assembly
US5454404A (en) Weave structure for preventing woven tape selvedge from fraying
EP0078057B1 (en) Slide fastener assembly
US4510975A (en) Woven fringed textile product and a method for making said manufacturing product
GB2102730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in seams
KR830002368Y1 (ko) 직입(織入)슬라이드 파스너
US3335763A (en) Leno tubular narrow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