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48B1 - 프리 액세스 마루판 - Google Patents

프리 액세스 마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48B1
KR930002648B1 KR1019920023760A KR920023760A KR930002648B1 KR 930002648 B1 KR930002648 B1 KR 930002648B1 KR 1019920023760 A KR1019920023760 A KR 1019920023760A KR 920023760 A KR920023760 A KR 920023760A KR 930002648 B1 KR930002648 B1 KR 93000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ee access
upper plate
outer circumferential
floo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구조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에무기기 가부시기가이샤
난따 마사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14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07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0919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66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72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6857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70009759A external-priority patent/KR930002647B1/ko
Application filed by 오에무기기 가부시기가이샤, 난따 마사요시 filed Critical 오에무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92002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리 액세스 마루판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판 2 : 밑판
3 : 외주벽 4 : 지지주
5 : 체결플랜지부 6 : 접지저부
7 : 체결구멍 8 : 압압홈부
본 발명은 OA 기기, 컴퓨터 등의 각종 기기를 비치한 OA 실이나 일반 사무실 등의 프리 액세스 마루를 구성하는 마루판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마루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고강도로 하는 동시에 내식성, 단열성 또는 차음성 등을 부여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으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제, 강제, 콘크리트계 등의 무기질제, 합성수지제, 목제 등이 있다. 이들은 4각형으로 형성되어 바닥위에 직접 또는 지지각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로 지지된 상태로 부설되어 있다. 이것이 소위 프리 액세스 마루이며, 그 상부에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 기타 OA 기기 등, 고중량의 것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금속제, 예를들면 강제의 마루판은 대략 4각형의 윗판에 대하여 요철보강 구조의 밑판을 일체화하고, 윗판상면에 마무리재로서의 직포나 부직포로 된 카페트 또는 시이트형상의 합성수지 타일 등을 접착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재질에 의한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마루판으로서 알루미늄제의 것은 제조시의 마무리의 정밀도가 좋은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소재가 알루미늄인때 그 영율이 강제의 약 1/3이므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제의 것과 거의 동일중량으로 하지 않으면 아니되어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될 뿐 아니라 제조에 있어서도 다이캐스트의 기계가공을 하여야 되기 때문에 강제의 것에 비하여 생산성이 나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계 등의 무기질판은 내화성은 우수한 동시에 염가인 것이나, 대개 충격에 약하여 대형판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고중량이기 때문에 시공이나 설계가 곤란하며, 또 건물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먼지나 흠이 생기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통은 강판이나 카페트로 피복하여 사용되고 있다(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811,237호).
합성수지제나 목제의 것은 염가이며 경량인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내화 성능이 떨어지고 또 강도가 낮기 때문에 바닥위에 직접 부설하던가 판 크기가 작은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판으로 피복하여 내화성 또는 강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 왔다. 미국특허(제4,035,967호 및 제4,085,557호).
그리고 종래의 강제판의 경우에는 중량이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로 콘크리트계의 것의 약 절반과 경량으로 강도가 높고 영율이 알루미늄의 약 3배로서 굽힘이 적은 장점이 있는 것이나, 중공구조로 하는 등으로 하여도 고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었던 용접에 의한 제조방법이라면(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380,217호 및 제3,696,578호), 가령 녹방지를 위하여 표면처리 강판을 사용하여도 용접부분이 소결산화되어 녹이 발생하였다. 이때문에 조립후에 도장등에 의한 녹방지 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용접에 의한 열 변형이 발생하므로 제품정밀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구조에서 오는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즉, 바닥은 전체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네모서리의 높이 방향이 고르지 못하면 이음새에 요철이 생기므로 제조할때에 판은 높은 평면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이점을 남겨두고, 문제점만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개발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특히, 윗판과 밑판에 표면처리 강판을 사용하여도 이들을 용접하지 않고 조립하여 종래와 같이 용접부에 녹방지 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다음과 같은 구조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소정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강판의 윗판(1)와 밑판(2)으로 되며, 윗판(1)과 밑판(2)은 연부의 전주에 걸쳐서 압착체결에 의하여 일체화하며, 또한 윗판(1) 또는 밑판(2)에 설치한 수직에 가까운 외주벽(3)에 의해서 외주면을 형성하고, 외주벽 내부에 지지주를 설치하여 윗판(1) 또는 밑판(2)의 접촉부에서 압착체결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특징을 갖는 것에는 특히 금속제를 표면처리한 강판으로 이루어진 윗판(1)과 밑판(2)을 사용하면, 이들 사이의 일체화가 압착체결에 의한 것이므로 바닥판 전체에 용접소결 부분 또는 금속노출부분 등의 부식을 받은 노출부분이 없고, 표면처리 강판의 내식성이 충분히 유지된다. 또 외주벽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4)와 이것에 의해서 형성된 트러스구조나 중공구조는 판을 경량으로 또한 고강도로 하여 내하중 구조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목적, 특징, 이익에서 뿐만아니라 이들에 속하는 것은, 다음 설명에 의하여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의해서 분명한 바와 같이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윗판(1)과 밑판(2)으로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어느것도 아연도금등에 의한 표면처리강판을 사용하고 있지만, 미처리 강판을 사용하여도 된다. 밑판(2)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서 사방에 대략 수직인 외주벽(3)이 설치되며, 그 상부는 수평으로 절곡한 체결플랜지부(5)로 되어 있고, 마루판 저면으로 되는 접지저부(6)에는 상면측으로 돌출시켜 지지주(4)를 형성하고 있다. 윗판(1)에는 체결구멍(7)이 밑판(2)의 다수의 지지주(4)에 대향위치에 있어 그 연부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절곡되면서 트러스 구조의 지지주(4)의 상부를 압착체결한다. 윗판(1)의 사방연부는 아래쪽으로 절곡하여 밑판(2)의 체결플랜지부(5)를 압착체결하지만, 그 연부에서 내측쪽으로 아래쪽에 압압홈부(8)가 있어 그 이면이 밑판(2)의 상부에지에 접촉한다(제2도의 좌우단).
제3도는 다른 압착체결구조예를 도시한 것으로 요부종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밑판(2)의 체결플랜지부(5)가 상기예와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외주부는 다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윗판(1)이 지지주(4)의 상부를 압착체결하고, 또한 밑판(2)의 체결플랜지부(5)를 씌우도록 압착체결한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예는 어느것도 수직벽(3)이나 지지주(4)가 밑판(2)에 설치되고 있으나,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벽이나 지지주를 윗판에 설치하는 등의 강제 마루판의 다양화에 따라 다른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열 왜곡이 생기지 않으므로 왜곡정정 작업이 필요없고, 특히 표면처리 강판을 사용할 경우 강제임에도 불구하고 녹쓸지 않는 가장 적합한 오피스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OA 기기, 컴퓨터, 기타 여러가지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경량으로 오피스의 부설이 자유로우며 이에 따른 배선변경등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내부장식용 프리 액세스 마루도 유용한 것이다.
제조시에 있어서도 다른 알루미늄제 등과 비교하여 기계가공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프레스가공에 의한 것이므로, 생산성이 높고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Claims (1)

  1. 소정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강판의 윗판(1)과 밑판(2)으로 이루어지고, 이 윗판(1)과 밑판(2)은 연부의 거의 모든 둘레를 따라서 압축체결에 의해 일체화되고, 또한 윗판(1) 또는 밑판(2)에 설치된 대략 수직으로 기립한 외주벽(3)에 의해 외주면을 형성하며, 외주벽(3) 내부로 지지주를 설치하여 윗판(1) 또는 밑판(2)의 접촉부에 압축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
KR1019920023760A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KR93000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760A KR930002648B1 (ko)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14555 1986-09-10
JP61214555A JPS6370763A (ja) 1986-09-10 1986-09-10 フリ−アクセス床板
JP1987009196U JPS63116644U (ko) 1987-01-24 1987-01-24
JP87-9196 1987-01-24
JP87-72400 1987-03-25
JP62072400A JPS63236857A (ja) 1987-03-25 1987-03-25 フリ−アクセス床板
KR1019870009759A KR930002647B1 (ko) 1986-09-10 1987-09-03 프리 액세스 마루판
KR1019920023760A KR930002648B1 (ko)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759A Division KR930002647B1 (ko) 1986-09-10 1987-09-03 프리 액세스 마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48B1 true KR930002648B1 (ko) 1993-04-07

Family

ID=2745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760A KR930002648B1 (ko)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6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8559A (en) Floor panel
KR930002647B1 (ko) 프리 액세스 마루판
BG63576B1 (bg) Панел за повдигнат под
US3380217A (en) Raised floor plate
KR930002648B1 (ko) 프리 액세스 마루판
GB2051909A (en) Rigid flexure-resistant structural member and composite panel including same
GB2030630A (en) Floor Tile
JPS6355256A (ja) フロアパネル
JPH0420911Y2 (ko)
KR200221851Y1 (ko) 책상의 상판 구조
JP3425608B2 (ja) 鋼製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施工方法
JP2604336B2 (ja) 床構造
JP3989357B2 (ja) 床の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床パネル
JP2507193B2 (ja) 鋼製床パネル
KR200493888Y1 (ko) 이중 바닥판 어셈블리
KR200163074Y1 (ko) 건식 벽체의 상부트랙 보강구조
EP0168247A2 (en) An improved access floor structure
US20030033768A1 (en) Access floor panel
KR860002996Y1 (ko) 조립식 이중 마루판
KR200163076Y1 (ko)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RU42844U1 (ru) Комплект элементов и панель фальшпола
JPH0717698Y2 (ja) よろい張り壁板の固定構造
RU43021U1 (ru) Комплект элементов и панель фальшпола
JPH0622752Y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パネル
JPH0740596Y2 (ja) 瓦屋根用足場丸太支持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