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584Y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584Y1
KR930002584Y1 KR2019910007280U KR910007280U KR930002584Y1 KR 930002584 Y1 KR930002584 Y1 KR 930002584Y1 KR 2019910007280 U KR2019910007280 U KR 2019910007280U KR 910007280 U KR910007280 U KR 910007280U KR 930002584 Y1 KR930002584 Y1 KR 930002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protective plate
visor
main body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49U (ko
Inventor
에이다로오 가마다
Original Assignee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에이다로오 가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에이다로오 가마다 filed Critical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7Visors with sun visors, e.g. peaks above fac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헬멧
제1도는 덧문을 개방하고, 또한 보호판을 폐쇄위치에 유지한 헬멧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 -II선 단면도.
제3도는 헬멧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보호판을 개방위치에 유지한 단면도로서, 제2도에 대응한 도면.
제6도는 제5도 VI화살표 부분의 확대도.
제7도는 덧문을 닫은 상태의 제1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챙(visor)의 주요부분 평면도.
제9도는 제1도의 IX-I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자본체 3 : 앞면개구부
5 : 보호판 6 : 모자챙
9 : 조절수단 15 : 멈춤부
221: 제1맞물림체 222: 제2맞물림체
23 : 맞물림돌기 26 : 맞물림쇠
C : 격납실
본 고안은 주로 자동 2륜차의 탑승자 등이 사용하는 헬멧. 특히 모자본체와, 그 모자본체에 좌우 양단부를 축받침하여서 모자본체의 앞면개구부를 닫는 폐쇄 위치 및 앞면개구부를 여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전운동하는 보호판을 구비한 헬멧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헬멧으로서,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63-l15033호 공보에 게재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보호판이 사용하지 않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도 그 보호판은 모자본체 외부에 노출하고 있으므로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 따라 상처날 염려가 있었다.
또, 이러한 종류의 헬멧으로서, 모자본체의 양측부분 바깥면에 각기 폐쇄 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을 유지하는 폐쇄유지부재를 부착하여, 각 폐쇄유지부재에 보호판의 각 측연부를 끼워두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실용 신안 공개 평 1-8712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각 페쇄지지부재가 보호판 개폐방향에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모자본체의 앞면개구부와의 관계에서 보호판의 폐쇄위치조절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것을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나아가서. 이런 종류의 헬멧으로서, 모자본체에 전단부를 모자본체 전방으로 돌출한 모자챙을 착탈이 자유롭도록 축받침하여 모자본체와 모자챙 사이에 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항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설치한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헬멧의 챙과 일체로 설치된 조절수단의 본체는 그 조절수단의 고정자에 의하여 모자본체에 고정된다(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 1-53340호 공보 참조).
조절 수단단은, 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바꾸어서 바람에 의한 펄럼임. 햇빛가림, 시야확보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그런데, 모자챙이나 모자본체는 더러워지기 쉽고, 그 챙의 내면, 모자본체의 챙으로 덮여진 앞벽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챙이 모자본체에 부착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청소하기 힘이 드므로, 그 챙을 모자본체로 부터 떼어내지만,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조절수단이 모자챙과 함게 모자본체로 부터 떼어내어지고. 또 본체에 대한 고정자의 위치결정수단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청소한 다음 챙을 모자본체에 부착하여 재차 챙의 부착위치의 조절을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본 고안은 개방위치에 있는 보호판을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헬멧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모자본체와, 그 모자본체에 좌우 양단부를 축받침하여서 모자본체의 앞면개구부를 닫는 폐쇄위치 및 앞면 개구부를 여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전운동하는 보호판을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모자본체에 좌우 양단부를 부착하여서 선단이 앞면개구부 상방으로 부터 전방으로 내다지함에 따라 모자본체 사이에서 개방위치에 회전운동한 보호판을 격납하는 격납실을 구획되게 형성하는 챙을 구비한 헬멧을 제공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보호판을 격납실에 격납함에 따라 보호판과 다른 물체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더욱이 챙을 보호덮개로 겸하게 함에 따라 전용(專用)의 보호덮개를 불필요로 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제조값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보호관의 폐쇄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상기의 헬멧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모자본체와 보호판 사이에 폐쇄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을 유지하는 폐쇄유지수단을 구비하고, 폐쇄유지수단은 모자본체에 설치되어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제1맞물림체와, 보호판에 설치되어서 제1맞물림체와 맞물리는 제2맞물림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1맞물림체의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그 제1맞물림체를 모자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구비한 헬멧을 제공하게 되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1및 제2맞물림체를 서로 맞물리게 함에 따라서 보호판을 폐쇄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호판의 폐쇄위치조절에 있어서는 양 맞물림체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제1맞물림체를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제1맞물림체를 고정자로 모자본체에 고정하는 것이 좋고, 따라서 보호판의 폐쇄위치조절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고안은 챙의 부착위치조절에 있어서는 그것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 챙 등의 청소후 재차 챙을 모자본체에 부착하는 경우, 그 챙을 떼어내기 전의 부착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챙은 모자본체에 착탈하기가 자유롭고, 모자본체와 챙 사이에 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전술한 조절수단은 모자본체 바깥면에 있으며,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와, 그 본체부를 그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모자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자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는 챙에 맞물려서 그 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정지하는 멈춤부를 구비한 헬멧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고정자에 의한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본체부를 이동시키면 챙의 모자본체 전후방의 부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조절한 다음의 부착위치는 고정자에 의하여 유지된다.
또, 청소등에 있어서 챙을 모자본체로 부터 떼어내어도 조절수단은 모자본체에 남게 되므로 챙을 재차 모자본체에 부착하는 경우 멈춤부를 모자챙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모자챙을 떼어내기 전의 부착위치에 간단히 또한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한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승차용 헬멧(1)의 모자본체(2)는 압면개구부(3) 바로 밑에 턱가림부(4)를 구비한 전안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자본체(2)에 보호판(5) 및 모자챙(6)이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호판(5) 및 모자챙(6)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그 모자본체(2)에 대한 부착구조는 다음과 같다.
모자본체(2)의 좌우 양측벽에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71)가 매설되어 있고, 또 모자본체(2)의 앞벽(8)의 좌우방향 중앙부에는 모자챙(6)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9)이 설치되어 있다.
조절수단(9)은 평면적으로 보아서 대략 T자 형상으로 된 본체부(10)와, 그 본체부(10)를 모자본체(2)에 고정하도록 모자본체(2)의 너트(72)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고정자로서의 작은 나사(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10)는 채널(channel)형의 주체부(12)를 구비하고, 그 주체부(12)의 천정벽(13)에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작은 나사(11)를 삽통시키는 긴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천정벽(13) 바깥면에서 긴구멍(14)의 후방으로 돌기형 멈춤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10)는 작은 나사(11)를 느슨하게 함에 따라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또 긴구멍(14)에 따라 규제된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작은 나사(11)로 모자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모자챙(6)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각 부착구멍(16)으로 통한 작은 나사(17)가 너트(71)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모자챙(6)의 좌우방향 중앙부 후단측의 내면에 지지통(18)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통(18)이 멈춤부(15)에 맞물려 있으며, 도시예에서는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모자챙(6)은 모자본체(2)의 바깥표면의 접선에 잇따라서 앞면개구부(3) 전방으로 내다지하도록 모자본체(2)에 부착되어 있고, 그 모자챙(6)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멈춤부(15)로 고정되어 있다.
바람에 의한 펄럭임, 햇빛가림, 시야확보 등에 대처하도록 자챙(6)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작은 나사(11)를 느슨하게 하여 본체부(1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에 따라 모자챙(6)외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조절후의 부착위치는 작은 나사(11)를 너트(72)에 나사식으로 부착함에 따라서 유지되어 있다.
또, 모자챙(6) 및 모자본체(2)의 청소등에 있어서, 모자챙(6)을 모자 본체(2)로 부터 떼어내어도 조절수단(9)은 모자본체(2)에 남게 되므로 모자챙(6)을 재차 모자본체(2)에 부착하는 경우 멈춤부(15)를 지지퉁(18)에 끼워맞춤에 따라서 모자챙(6)은 떼어내기 전의 부착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모자챙(6)의 내면에 각 부착구멍(16)을 둘러싸는 보스(boss)(19)가 형성되어 있고, 각 보스(19)는 보호판(5)의 좌우 양단부의 각 지지구멍(20)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보호판(5)은 양 보스(19)를 축으로 하여 앞면개구부(3)를 닫는 폐쇄위치와 앞면개구부(3)를 여는 개방위치를 회전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판(5)은 그 폐쇄위치에서 앞면개구부(3) 주연의 밀폐고무(21)에 밀접하고 있다.
모자본체(2)와 보호판(5) 사이에는 폐쇄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5)을 유지하도록 재1 및 제2맞물림체(221), (222)로 이루어지는 폐쇄유지수단(22)이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제1맞물림체(221)는 조절수단(9)의 주체부(12)에 그 전단부로 부터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추어져 있고, 그 전단부에 맞물림들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맞물림체 (221)에 있어서 모자본체 전후 방향으로 뻗은 긴구멍(24)으로 조절수단(9)의 작은 나사(11)가 고정자로서 삽통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재1맞물림체(221)는 작은 나사(11)를 느슨하게 함에 따라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또 긴구멍(24)에 의하여 규제된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조절수단(9)에 있어서의 주체부(12)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그 주체부(12)와 함께 작은 나사(11)로 모자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절수단(9)의 본체부(10)와 제1맞물림체(221)는 서로 끼워맞추어서 1개의 작은 나사(11)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양자(10), (221)의 작은 나사(11) 둘레의 회전은 멈춤부(15)와 지지통(18)의 끼워 맞춤에 따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2맞물림체(222)는 보호판(5)의 좌우방향 중앙부 상단에 부착되어 있고, 보호판(5)에 첨가하는 부착부(25)와, 그 부착부(25)에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보호판(5)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U자형 맞물림쇠(26)를 구비하고, 그 맞물림쇠(26)는 제1맞물림체(221)의 맞물림돌기(23)에 대응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1맞물림체(221)의 맞물림돌기(23)에 제2맞물림체(222)의 맞물림쇠(26)를 맞물게 함에 따라서 보호판(5)은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이들 맞뭍림돌기(23) 및 맞물림쇠(26) 사이의 맞물림, 이탈은 보호판(5)의 탄성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2맞물림체(221)는 모자본체(2)에 대한 보호판(5)의 양쪽 부착위치로 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보호판(5)의 탄성이 유효하게 이용되어서 제2맞물림체(222)가 큰 맞무는 힘을 발휘하여, 이에 따라 보호판(5)의 폐쇄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보호관(5)의 폐쇄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작은 나사(11)를 느슨하게 하여 양 맞물림체(221), (222)를 맞물린 상태에서 제1맞물림체(221)를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제1맞물림체(221)를 작은 나사(11)로 모자본체(2)에 고정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자챙(6)을 모자본체(2)에 부착함에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챙(6)의 선단이 앞면개구부(3) 상방에 따라 모자본체(2)의 앞벽(8)과의 대향위치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이에 따라 모자챙(6)과 앞벽(8) 사이에 격납실(C)이 구획되게 형성되며, 그 격납실(C)에서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5)이 격납되어 있다.
이 보호판(5)의 격납상태에 있어서는 모자챙(6)이 보호판(5)의 보호덮개로서 기능하므로 보호판(5)과 다른 물체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2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챙(6) 및 보호판(5)의 좌우 방향 중앙부 사이에 보호판(5)을 격납상태로 유지하는 격납유지수단(27)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격납유지수단(27)은 모자갱(6)의 좌우방향 중앙부 내면에서 지지통(18)의 전방에 설치된 맞물림돌기(28)와, 보호판(5)에 설치된 제2맞물림체 (222)의 맞물림쇠(26)등으로 되어 있다.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판(5)의 격납상태에서는 보호판(5)의 맞물림쇠(26)와 모자챙(6)의 맞물림돌기(28)를 타고 넘어서 그 맞물림돌기(28)의 지지통(18)쪽의 맞무는 면(28a)콰 맞물림쇠(26)의 부착부(25)쪽의 맞무는 면(26a)이 맞물려 있다.
이들 맞물림들기(28) 및 맞물림쇠(26) 사이의 맞물림, 이탈은 보호판(5) 및 모자챙(6)의 적어도 한편. 도시예에서는 양편의 탄성을 이용하여 하게 된다. 이 경우. 맞물림돌기(28) 및 맞물림쇠(26)는 모자본체(2)에 대한 모자챙(6) 및 보호판(5)의 양쪽 부착위치로 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이들 모자챙(6) 및 보호판(5)의 탄성이 유효하게 이용되어서 맞물림 돌기(28)및 맞물림쇠(26)가 큰 맞무는 힘을 발휘하여, 이에 따라 보호판(5)의 격납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제2도, 제3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 격납실(C)은 주행풍 유입공간(이후, 편의상 격납실(C)과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이라 하여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멈춤부(15)와 지지통(18)의 끼워맞춤으로 주행풍 유입공간(C)의 후단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헬멧(1)을 장착한 탑승자가 자동 2륜차를 운전하면 유입공간(C)내에 유입하는 주행풍은 모자챙(6) 후방으로 유출하고, 이에 따라 고속주행시에도 모자챙(6)에 대한 주행풍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모자본체(2)의 앞벽(8)에는 주행풍 유입공간(C)으로 향하는 2개의 공기도입구멍(29)이 조절수단(9)의 주체부(12) 양쪽에 천설되어 있다.
이들 공기도입구멍(29)의 입구는 앞벽(8) 바깥면으로, 또 출구는 앞벽(8)내면에 각기 개구하고 있다. 본체부(10)는 각 공기도입구멍(29)의 입구에 있어서의 상반부 주연에 잇따라서 기립하는 유도벽(30)을 구비하고 있다.
모자챙(6)에 있어서, 맞물림돌기(28)보다도 전방으로 주행풍 유입공간(C)내에의 주행풍을 빠져나가는 탈출구(31)가 좌우방향으로 긴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모자챙(6)에 그 탈출구(31)를 개폐하는 합성수지제 덧문(32)이 설치되어 있다.
모자챙(6)에 대한 덧문(32)의 부착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3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챙(6)에 탈출구(31)의 좌우 양단부 근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뻗도록 한쌍의 긴구멍 (33)이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긴구멍(33)의 전단부는 이들의 서로 대향하는 내연측을 요형(凹形)으로 형성한 요형부분(33a)을 형성하고 있다. 덧문(32)의 평판부(34)는 탈출구(31)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하여 모자챙 (6)의 바깥면에 재치되어 있다. 또, 평탄부(34) 하면에서 그 좌우 양측단에 있는 한쌍의 지지다리(35)가 양목 긴구멍(33)에 각기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삽통되어 있다. 양쪽 지지다리(35)는 훅(hook)형을 이루고, 이들의 절곡단부(35a)를 서로 바깥쪽으로 향한 것으로 각 절곡단부(35a)가 각 긴구멍(33)의 외연부 하면에 맞닿다. 이에 따라 각 지지다리(35)가 모자챙(6)에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제3도,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긴구멍 (33)의 외연부 하면에는 제1, 제2요부(361), (36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출구(31)쪽의 각 제1요부(361)에 각 지지다리(35)의 절곡단부(35a)가 맞물리면 덧문(32)은 평판부(34)에 의하여 탈출구(31)를 완전히 폐쇄한 폐쇄위치에 있고, 또 각 제2요부(362)에 각 절곡단부(35a)가 맞물리면 덧문(32)은 탈출구(31)를 완전히 개방한 개방위치에 있다.
모자챙 (6)에 있어서, 양쪽 긴구멍(33) 사이에 각 긴구멍(33)과 평행으로 안내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덧문(32)에 있어서, 평판부(34)의 하면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뻗은 안내돌기(3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돌기(37)가 모자챙(6)의 안내구멍(38)에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추어겨 있다. 이들 안내돌기(37) 및 안내구멍(36)의 협동으로 덧문(32)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각 긴구멍(33)의 요형부분(33a)은 덧문(32)을 모자챙(6)에 착탈하는 경우, 평판부(34)를 양쪽 지지다리 (35)가 가까워지도록 휘어지게 하여 각 지지다리(35)를 각 긴구멍(33)에 삽통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덧문(32)의 탈출구(31)를 폐쇄하면 모자챙(6) 전체에 의하여 주행풍 유입공간(C)내에 많은 주행풍이 모아지게 되어 그 유입공간(C)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직접 공기도입구멍(29)으로 도입되는 주행풍 및 유도벽(30)에 의하여 진로가 굽어지게 되어 공기도입구멍(29)으로 도입되는 주행풍에 의한 품량이 최대로 된다. 공기도입구멍(29)을 거친 주행풍은 모자본체(2)내에 안내되어 그 모자본체(2) 내부의 환기에 기여한다.
한편, 덧문으로 탈출구(31)를 개방하면 주행풍 유입공간(7)내로의 주행풍이 모자챙(6)과 표면을 흐르는 주행풍의 빨아내는 작용으로 탈출구(31)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고, 그 유입공간(C)내의 압력이 저하하므로 공기도입구멍(29)으로의 풍량이 감소하고, 동시에 모자챙(6)에 대한 주행풍을 일으키는 작용이 약하여진다.
이와 같은 덧문(32)의 개폐조작은 모자챙(6)에서 하게 되므로 그 조작성이 양호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본체(2)는,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동체(40)와, 그 동체(40)의 내면에 접합된 발포폴리스티렌제를 완충심부(41)와, 완충심부(41)의 천정면을 피복하는 천정심(42)과, 완충심부(41)의 천정면 및 턱가림부(4)를 제외만 내주면을 피복하는 통기성 하부심(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턱가림부(4)의 좌우 양측부에는 주행풍을 흡입하기 위한 여러개의 공기흡입구(4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공기흡입구(44)의 출구측을 가리도륵 틱가림부(4)의 내면에 가리개(45)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관한 승차용 헬멧에는 전술한 전안면형에 한정하지 않고 제트형의 것도 포함하게 된다.

Claims (6)

  1. 모자본체와, 그 모자본체에 좌우 양단부를 축받침하여서 이 모자본체의 앞면 개구부를 닫는 폐쇄위치 및 앞면개구부를 여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전운동하는 보호판을 구비하 헬멧에 있어서, 상기 모자본체에 좌우 양단부를 부착하게 되어서 선단이 앞면개구부 상방으로 부터 전방으로 내다지하메 따라 상기 모자 본체와의 사이에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을 격납하는 격납실을 구획되게 형성하는 모자챙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모자챙 및 보호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이들 모자챙 및 보호판의 좌우방향 중앙부 사이에 이들의 탄성을 이용한 맞물림에 따라 보호판을 격납상태로 유지하는 격납유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격납유지수단은 모자챙 내면에 설치된 맞물림돌기와, 보호판에 설치되어서 맞물림돌기를 뛰어 넘은 다음, 그 맞물림돌기에 맞물리는 맞물림쇠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헬멧.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모자본체와 보호판 사이에서 폐쇄위치로 회전운동한 보호판을 유지하는 폐쇄유지수단을 구비하고, 폐쇄유지 수단은 모자본체에 설치되어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제1맞물림체와, 보호판에 설치되어서 제1맞물림체에 맞물리는 제2맞물림체로 구성되며, 제1맞물림체의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 그 제1맞물림체를 모자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제1항에 있어서, 모자챙은 모자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고, 모자본체와 모자챙 사이에 모자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그 조절수단은 모자본체 바깥에 있고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와, 그 본채부를 그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모자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자로 구성되고, 븐체부는 모자챙에 맞물려서 그 모자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정지하는 멈춤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모자본체 및 모자챙 사이에 설치되어서 모자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과, 모자본체 및 보호판 사이에 설치되어서 폐쇄위치에서 회전운동한 보호판올 유지하는 폐쇄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조절수단은 모자본체 바깥면에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우며, 또한 모자챙에 맞물려서 그 모자챙의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정지하는 멈춤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그 본체부를 그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모자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자로 구성되고, 폐쇄유지수단은 본체부에 설치되어서 모자본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제1맞물림체와, 보호판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맞물림체에 맞물림는 맞물림쇠를 구비한 제2맞물림체로 구성되고, 제1맞물림체는 그 이동범위내의 임의위치에서 고정자에 의하여 조절수단의 본체부와 함게 모자본체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2019910007280U 1990-10-03 1991-05-22 헬멧 KR9300025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234 1990-10-03
JP1990104234U JPH0464523U (ko) 1990-10-03 1990-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49U KR920007449U (ko) 1992-05-19
KR930002584Y1 true KR930002584Y1 (ko) 1993-05-17

Family

ID=1437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280U KR930002584Y1 (ko) 1990-10-03 1991-05-22 헬멧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7794A (ko)
EP (1) EP0479407A3 (ko)
JP (1) JPH0464523U (ko)
KR (1) KR930002584Y1 (ko)
CA (1) CA2040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90758T3 (es) * 1993-04-13 1996-10-16 E D C Sarl Casco protector para motociclistas, ciclistas y para otras aplicaciones similares, provisto de una pieza frontal de pantalla, de material rigido.
IL107502A (en) * 1993-11-04 1999-12-31 Elbit Systems Ltd Helmet display mounting system
US5517698A (en) * 1994-09-12 1996-05-21 Nault; Thomas R. Bicycle helmet
KR100415341B1 (ko) * 2002-04-02 2004-01-16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시일드 또는 차양 회전결합장치
US20070192946A1 (en) * 2004-03-18 2007-08-23 Wright Jerry D Face protector and method of use
EP1607013B1 (en) 2004-06-15 2008-03-26 OPTICOS S.r.l. Safety helmet with screening element
JP2006299456A (ja) * 2005-04-20 2006-11-02 Arai Helmet Ltd ヘルメット
US20070226879A1 (en) * 2006-03-17 2007-10-04 Frank Plastino Vented helmet with insert
US7716754B1 (en) * 2007-03-27 2010-05-18 William Ross Ski helmet with adjustable face shield
US20080276355A1 (en) * 2007-05-11 2008-11-13 Larry Lawrence Anti-fouling faceshield
CA2813468C (en) * 2010-10-05 2018-05-01 Fox Head, Inc. Attachment system for frontal helmet extension to a helmet
US20180279709A1 (en) * 2010-10-05 2018-10-04 Fox Head, Inc. Detachable visor for a helmet having supports
US8793816B2 (en) 2011-02-11 2014-08-05 Hoplite Armour Llc Protective headpiece
GB2489261A (en) * 2011-03-23 2012-09-26 Anthony William Eaton Helmet visor having peak
US20120284905A1 (en) * 2011-05-09 2012-11-15 Hjc Corp. Multi functional helmet
ITMI20131006A1 (it) * 2013-06-18 2014-12-19 Kask S R L Casco con visiera
US9491979B2 (en) * 2013-10-30 2016-11-15 Balboa Manufacturing Company, Llc Balaclava with removable face mask
JP6282491B2 (ja) * 2014-03-05 2018-02-21 株式会社Shoei 留め機構及びヘルメット
USD776361S1 (en) * 2015-09-25 2017-01-10 H&H Sports Protection Srl Helmet
WO2019169513A1 (zh) * 2018-03-09 2019-09-12 李明辉 头盔
US20210227913A1 (en) * 2018-04-24 2021-07-29 The Boulevard Group, LLC Hat
WO2022245682A1 (en) * 2021-05-15 2022-11-24 6D Helmets Llc Helmet designed for on-road and off-road u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5272A (en) * 1964-12-07 1967-04-25 Sierra Engineering Company Dual visor helmet
US3721994A (en) * 1971-03-29 1973-03-27 Us Navy Dual visor headgear
US4117553A (en) * 1977-04-12 1978-10-03 Bay William P Helmet shield and visor apparatus
FR2501478A1 (fr) * 1981-03-12 1982-09-17 Monin Andre Casque de protection, notamment pour motocyclistes et cyclomotoristes
JPS5937324U (ja) * 1982-09-03 1984-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ルメツト
FR2532528B1 (fr) * 1982-09-03 1985-06-07 Galet Adrien Casque de protection
JPH0143374Y2 (ko) * 1985-11-15 1989-12-15
FR2595920A1 (fr) * 1986-03-18 1987-09-25 Gpa Int Casque integral a dispositif de retention comprenant une demi-jupe d'assujettissement verrouillable sur la coque et a mouvement pendulaire
FR2629986B1 (fr) * 1988-04-19 1991-01-11 Electricite De France Casque de protection polyvalent
US5012528A (en) * 1990-03-01 1991-05-07 Institut De Recherche En Sante Et En . . . Visor attachment for safety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9407A2 (en) 1992-04-08
KR920007449U (ko) 1992-05-19
JPH0464523U (ko) 1992-06-03
CA2040043A1 (en) 1992-04-04
US5157794A (en) 1992-10-27
EP0479407A3 (en)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584Y1 (ko) 헬멧
KR930003889B1 (ko) 승차용 헬멧
EP0474941A1 (en) Helmet with improved ventilation
US4612675A (en) Helmet with adjustable ventilation
EP0474942B1 (en) Helmet
US6405382B2 (en) Helmet
KR930002585Y1 (ko) 헬멧의 환기장치
JPH086006Y2 (ja) 乗車用ヘルメット
US5388277A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KR920010985B1 (ko) 제트형 헬멧
EP0515752A1 (en) Air intake device in a helmet
US5193226A (en) Face mask and earplug case
US6687909B1 (en) Sun visor for safety helmet
CN213720227U (zh) 一种通风档位可调节的全盔型头盔
JPH0143374Y2 (ko)
JPS6324097Y2 (ko)
JPH0441132Y2 (ko)
JPH057212Y2 (ko)
CA2289371A1 (en) Shield connector for helmet
KR20080096041A (ko) 차량용 선 바이저
JPH0512259Y2 (ko)
JPH0562528U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JPH0470408B2 (ko)
JPH0619531Y2 (ja) 作業用安全ヘルメット
JPH0441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