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466Y1 -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466Y1
KR930002466Y1 KR2019910011874U KR910011874U KR930002466Y1 KR 930002466 Y1 KR930002466 Y1 KR 930002466Y1 KR 2019910011874 U KR2019910011874 U KR 2019910011874U KR 910011874 U KR910011874 U KR 910011874U KR 930002466 Y1 KR930002466 Y1 KR 930002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e
hanger
bol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394U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19910011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466Y1/ko
Publication of KR930002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로서, (a)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b)는 (a)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하부몸체, 체결부, 걸림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몸체 2 : 삽입구
3, 3′ : 걸림대 삽입홈 4 : 걸림대
5 : 체결부 5′ : 걸림턱
6 : 길이조정레버 7 : 덮개판
8, 8′ : 걸림턱 8″ : 경사면
9, 9′ : 스프링 10, 10′ : 스프링삽입홈
11, 11′ : 걸림요홈 12 : 경사면
13 : 돌출면 14, 14′ : 테이퍼면
15 : 장공 16 : 보울트 구멍
17 : 고정편 18 : 조절보울트
19, 19′ :요홈
20, 20′, 21, 21′, 22, 22′, 23 : 보울트 구멍
24, 24′ : 나사구멍 25, 26 : 보울트
27 : 고정다이 28 : 재료이송다이
29 : 제품성형다이 30 : 안내축
31 : 나사 32, 33 : 지지다이
본 고안은 재료이송다이와 제품성형다이에 결착하여 결합 ·분리가 용이한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장공이 천공된 연결관을 재료이송다이와 제품성형다이에 결착하여 그 장공의 양단에서 고정보울트가 걸리게 함으로서 제품성형다이가 정지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유압과 균형이 맞이 않을 경우에는 연결관이 절나되거나 고정보울트가 파손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와 다른 종래의 것으로는 재료이송다이와 제품성형다이에 걸합 ·분리시키도록 한것이 있으나 이것 역시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분리가 될수 있는 인장고리 장치로서 많은 힘이 필요하므로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료이송다이와 재품성형다이에, 적은 힘으로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고, 금형다이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서, 하부몸체(1), 중앙부의 삽입구(2) 양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대 삽입홈(3)(3′)내로 걸림대(4)(4′)를 삽입하고, 상기 삽입구(2) 중앙에 체결부(5)를 끼우며, 이 체결부(5)위에 길이조정레버(5)를 안치하고 덮개판(7)을 씌우도록 하되, 상기 걸림대(4)(4′)의 일측에 걸림턱(8)(8′)과 경사면(8″)을 형성하고, 타측에 스프링(9)(9′)이 삽입되도록 스프링 삽입홈(10)(10′)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5)의 양측면에 걸림요홈(11)(11′)을 형성하고 선단은 경사면(12)을 이루며, 중간부에 걸림턱(5′)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조정레버(6) 일단의 양측면은 돌출면(13)을 이루고 이 돌출면(13)의 좌우로 테이퍼면(14)(14′)을 형성하며, 타단은 장공(15)을 천공하여 보울트 구멍(16)이 뚫린 고정편(17)과 조절보울트(18)을 끼워 체결하며, 상기 덮개판(7)내면에 걸림대(4)(4′)가 끼워지도록 요홈(19)(19′)을 형성하여 다수의 나사(31)와 보울트(25)로 결합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서, 길이조정레버(6)의 일단에 형성된 장공(15)을 통해 조절보울트(18)로 길이조정레버(6)를 고정편(17)과 같이 고정다이(27)에 결착하고, 체결부(5)는 보울트 구멍(20)(20′)을 통해 보울트(26)로 재료이송다이(28)에 결합하며, 하부몸체(1)는 보울트 구멍(21)(21′)을 통해 보울트(25)로 제품성형다이(29)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하부몸체(1)내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대 삽입홀(3)(3′)안에 걸림대(4)(4′)가 삽입되어 있는데 걸림대(7)(7′)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10)(10′)내로 스프링(9)(9′)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걸림대 삽입홈(3)(3′)내에 삽입될때 스프링(9)(9′)의 탄지력 때문에 걸림대 삽입홈(3)(3′)의 벽면으로 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있으며, 길이조정레버(6)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면(13)과 걸림대(3)(3′) 앞면이 만나게 되면 걸림대(4)(4′)는 스프링(9)(9′)이 압축되면서 걸림대 삽임홈(3)(3′)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걸림대(4)(4′)에 돌출된 걸림턱(8)(8′)과 체결부(5)의 걸림요홈(11)(11′)의 결착된 상태가 풀리면서 하부몸체(1)와 체결부(5)가 해탈되며, 체결부(5) 선단에 경사면(12)을 이루고 중간부에 걸림턱(5′)을 형성한 것은 해탈된 후 다시 결합한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이다
한편, 길이조정레버(6)의 한쪽선단에 테이퍼면(14)(14′)이 형성되어 있는데 테이퍼면(14)는 길이조정레버(6)가 하부몸체(1)로 부터 해탈된후 다시 결합할때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성한 것이며, 다른 테이퍼면(14′)은 해탈되는 과정에서 두께가 변하므로 걸림대(4)(4′)를 미는 힘이 생기므로 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타단에 천공된 장공(15)은 금형다이의 규격에 따라 길이조정레버(6)를 설치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금형다이에 결착하여 사용시 재료이송다이(28)와 제품성형다이(29)가 유압의 작용으로 안내축(30)을 따라 동시에 고정다이(27)로 부터 격리되다가 재료이송다이(28)가 고정다이(27)로 부터 일정거리에서 멈추게 되면 계속하여 유압의 작용으로 재료이송다이(28)로 부터 제품성형다이(29)가 격리될때 길이조정레버(6)를 따라 제품성형다이(29)에 결합된 하부몸체(1)가 하방으로 힘을 받으면 내려가면서 지지다이(32)에 맞닿게 되는 과정에서 길이조정레버(6) 선단의 테이퍼면(14′)을 따라 이동되면서 돌출면(13)과 걸림대(14)(14′)의 앞면이 만나게 되면 걸림대(4)(4′)가 걸림대 삽입홈(3)(3′)의 내측벽으로 밀리게 되어 체결부(5)는 하부 몸체(1)로 부터 해탈되고, 길이조정레버(6)도 마찬가지로 하부몸체(1)의 삽입구(2)로 부터 해탈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을 재료이송다이(28)로 부터 제품성형다이(29)가 격리될때 길이조정레버(6)의 일정거리만큼 이동되면 격리되므로 많은 힘이 필요없으며, 인장고리 장치에도 손상이 없고 결합 ·분리가 용이하므로 금형다이에 뜻하지 않은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없고 정교한 제품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제품응고 시간을 길게하여 좋은 품질의 제품생산에 적합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부몸체(1) 중앙부의 삽입구(2)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대 삽입홈(3)(3′)내로 걸림대(4)(4′)를 삽입하고, 상기 삽입구(2) 중앙에 체결부(5)를 끼우며, 이 체결부(5)위에 길이조절레버(6)를 안치하고, 덮개판(7)을 씌우도록 하되, 상기 걸림대(4)(4′) 일측에 걸림턱(8)(8′)과 경사면(8″)을 형성하고 타측에 스프링(9)(9′)이 삽입되도록 스프링 삽입홈(10)(10′)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5)의 양측면에 걸림요홈(11)(11′)을 형성하고 그 선단에 경사면(12)을 이루며, 상기 길이조정레버(6) 일단의 양측면은 돌출면(13)을 이루고 이 돌출면(13)의 좌우로 테이퍼면(14)(14′)을 형성하며, 타단은 장공(15)을 천공하여 보울트 구멍(15)이 뚫린 고정편(17)과 조절보울트(18)를 끼워 체결하며, 상기 덮개판(7)내면에 걸림대(4)(4′)가 끼워지도록 요홈(19)(19′)을 형성하여 다수의 나사(31) 및 다수의 볼트(25)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KR2019910011874U 1991-07-26 1991-07-26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KR930002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874U KR930002466Y1 (ko) 1991-07-26 1991-07-26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874U KR930002466Y1 (ko) 1991-07-26 1991-07-26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94U KR930002394U (ko) 1993-02-25
KR930002466Y1 true KR930002466Y1 (ko) 1993-05-10

Family

ID=1931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874U KR930002466Y1 (ko) 1991-07-26 1991-07-26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4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94U (ko) 199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128A (en) Quick change locator clamp assembly for plastic molding machine
EP0779116B1 (en) A quick clamping device for at least one tool of a machine tool
KR930002466Y1 (ko) 금형의 인장고리 장치
US4552050A (en) Die, platen and joining means for attaching said die to said platen
CN110673020B (zh) 一种芯片测试治具
US6540499B2 (en) Modular mold assembly
US4185935A (en) Coupling apparatus
JPS63122514A (ja) 差込み継手装置
KR101901178B1 (ko)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EP0304247A3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inder assemblies
KR860001717B1 (ko) 프리스톱 수구(受具)
US1838333A (en) Fastener for key cylinders
SE8902386D0 (sv) Klaemback foer spiktillverkning
US2855645A (en) Releasable means for fastening mold parts
KR890009040Y1 (ko) 프레스 벤딩 금형의 스프링 백 방지 장치
DE3364088D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ing a strap to a watch case
CN217513861U (zh) 一种工具悬挂载架
US4916781A (en) Fastening device
KR890006961Y1 (ko) 보도블럭 성형용 금형
JPH0387587U (ko)
JPH0120970B2 (ko)
JPS59174333A (ja) 合成樹脂製バンドの製造方法
KR920005900Y1 (ko) 가방용 괘정구
PT857557E (pt) Suporte com ganchos
JPS63243312A (ja) ホツク釦の取付方法とホツク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