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466B1 -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466B1
KR930002466B1 KR1019870013303A KR870013303A KR930002466B1 KR 930002466 B1 KR930002466 B1 KR 930002466B1 KR 1019870013303 A KR1019870013303 A KR 1019870013303A KR 870013303 A KR870013303 A KR 870013303A KR 930002466 B1 KR930002466 B1 KR 93000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air
coil
flow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515A (ko
Inventor
쇼우 알란
에스트코우트 룩스톤 러셀
Original Assignee
쇼우 알란
에스트코우트 룩스톤 러셀
루미니스 프러프라이어티 리미티드
데이비드 브랙스랜드 파 베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우 알란, 에스트코우트 룩스톤 러셀, 루미니스 프러프라이어티 리미티드, 데이비드 브랙스랜드 파 베르티 filed Critical 쇼우 알란
Publication of KR88000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가변체적식 공조기에 대한 코일상태곡선 및 부하비율곡선을 종래의 상태(파선)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실선)로 비교하기 위해서 예시된 건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코일상태 곡선을 여러가지 부하비울(100%와 80%, 61%, 60%, 그리고 40%)하에서 예시한 건습도.
제3도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결과가 이루어지는 공조기의 예시도로서, 제3a도는 완전부하를 받는 공조기 전체의 개략도, 제3b도는 60%의 부하를 받는 부분 개략도, 그리고 제3C도는 40%의 부하를 받는 부분 개략도.
제4도는 제습기가 만일 밸브에 작용하는 두개의 코일 부분과 각각의 밸브에 의해 작용하는 다른 두개의코일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공조기에서, 각각의 부하의 범위에 대한 밸브의 제어를 그래프로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교환기 11 : 펌프
12, 13 : 도관 14, l5, l7 : 코일
16 : 제습기 20 : 제어장치
21, 22, 23 : 밸브 24 : 솔레노이드
26 : 팬 27 : 필터
28 : 지역 29 : 배플
30 : 온도조절장치 32:온도조절기
본 발명은 최고부하 및 부분부하상태에서의 현열 및 잠열부하를 모두 만족시키도록, 변화하는 부하상태에서 제습기가 조절되는 방식의 새로운 공기 조화의 제어방법 및 이러한 공기조화기(이하, "공조기"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목표는 낮은 에너지소비와 개량된 성능이다.
일정 공기체적식 공조기 및 가변 공기체적식 공조기 모두에 대해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시설투자 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공조기의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한 종래의 해결방법에서 많은 문제들이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들 중 일부는 성공적으로 해결되었으나, 많은 다른 문제들은 원래의 설계 목적을 상당히 무효화시키고 그리고 때로는 허용 수죽 이하로 공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수단에 의해서 해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히 다음의 3가지 번수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1) 냉각제의 유량
냉각제의 유량은 냉랭한 일기 조건에서는 부분 부하성능에 영향을 준다. 모든 다른 변수가 일정할때, 제습기의 튜브내에서의 냉각제의 속도가 빠를수록 건습 공기선도상의 코일상태 곡선은 더 가파르게 된다. 즉, 현열 냉각에 대한 잠열냉각(습기제거)의 비는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공조기가 일정 공기체적식이건 또는 가변공기 체적식이건 간에, 현열 냉각의 필요성이 감소하면 이에 따라서 제습기 코일의 튜브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체적유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공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코일의 냉각용량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냉각제 측의 열전달 계수도 감소시김으로써, 냉각제로 열이 전달될 수 있는 속도를 동시에 감소시키게 된다.
부분부하의 일기 조건에서는, 공기조화 지역으로의 현열의 전달이 감소되거나 또는 사실상 역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며, 내부의 현열 부하의 일부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 그러나, 현열의 전달과 동시에 ㄹ병행하여 발생되는 잠열의 부가(출입구로 들어오는 사람들 또는 다른 열원으로부터의)는 보통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증가된다. 통상의 공조기에서, 주위의 건구온도는 설계상의 최고 온도보다 낮고 이슬점 온도는 이 보다높은 부분부하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감소된 현열부하와 증가된 잠열부하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서, 제습기는 현열전달에 대한 잠열전달의 새로운 비율로 작동해야만 하며, 결국 고일상태곡선의 기울기는 가파르게 되는 것이다.
① 일정공기 체적식(CAV)공조기에 대한 통상의 냉각제 유량
일정공기 체적식 공조기에서, 제습기 코일의 표면으로 유입되는 통상의 공기흐름의 속도를 이후로 "면속도(face velocity)"로 부르기로 하며, 이는 부하에 따라서 변화되지 않는다. 감소된 부하는 제습기로 흐르는 냉각제의 흐름을 교축시킴으로써 변화된다. 그 결과, 제습기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서, 제습기를 빠져나가는 공기의 온도는 교축등의 제한이 가해지지 않은 냉각제의 흐름의 경우에 비해서 더 높게 된다. 이는, 잠열부하가 대단하지 않고 또 부분부하 상태에서의 주위공기가 건조한 경우에만 감소된 부하를 수용할 수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상태는 통상적인 것이 아니다. 냉각제측의 열전달계수의 감소로 인하여, 감소된 냉각제의 흐름이 표면온도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서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는 감소되어서, 현열전달에 대한 잠열전달의 비는 최고부하시 보다 감소한다. 냉각제의 교축이 진행됨에 따라서 습도비는 점점 커진다. 그러나, 부분부하중에는 현열부하에 대한 잠열부하의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서 보다 가파른 코일상태 곡선이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다.
② 냉각제의 유량과 가변공기체적식(VAV)공조기
가변공기 체적식 공조기에서는, 전체 부하가 감소됨에 따라서 제습기를 빠져나가는 공급공기 온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공기의 유량은 감소된다. 가변공기 체적식 공조기에서의 냉각제 유량은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서 일정한 공급공기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데, 이는 코일상대 곡선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코일의 표면온도가 공기의 이슬점 온도 이하일때는, 이러한 효과가 공기유량의 감소로 인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공기가 코일을 통과하는데 더 오랜시간이 필요하고, 따라서 그러한 공기의 대부분은 응축이 일어나기에 충분할 정도로 냉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효과의 합쳐진 결과는, 부분 부하상태에서의 냉각제 유량의 교축으로 인하여 가변공기체적식 공조기의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일정공기 체적식 공조기에서 보다는 덜 현저한 정도로 감소된다는 것이다. 냉각제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냉각제의 공급온도를 낮춤으로써 또는 이들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함으로써,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가 제어될 수 있는 부가적인 수단이 된다.
(2) 제습기의 크기
설계시 완전부하 상태에 대해서 선택되는 제습기 코일의 크기와 부분 부하 상태에서 벗어나는 실제 부하에 대한 제습기코일의 크기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화는 하나의 중요한 문제점이 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된다.
공조기에 있어서, 설계된 완전부하의 40퍼센트 내지 30퍼센트 정도의 부분 부하 상태를 만족시키도록 요망되는 것이 보통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분야에서는, 공조기의 최고 설계부하에 대해 적절히 그 크기가 정해지는 제습기를 부분 부하상태로 작동시킬때 발생되는 심각한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부분 부하성능이 전문기사에 의해 규정되기는 어렵다. 낮은 부하상태에서 주어진 코일을 통과하는 냉각제 유량이 이러한 낮은 부하상태에서의 부하의 크기에 비해서 균헝을 이루지 못하고 클 경우에, 이러한 냉각제 유량은 갑자기 아주 작아진다. 울가피하게, 튜브의 열전달계수가 작은 값으로 감소되고 코일의 표면온도는 증가한다.
냉각제 측의 열전달계수의 감소는, 냉각된 물과 같은 액체 냉각제에 의해서 그리고 냉매 R12나 R22와 같은 액체 증기냉각제에 의해서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대부분의 유동 형태는 액체의 질량분율, 각각의 상(phase)에서의 유체의 성질 및 유량에 관계되어 발생한다. 열전달계수에 관한 냉매의 낮은 질량 속도의 영향을 잘 이해하려면, 미합중국 죠지아주 아틀란타시 소재의 미국 냉난방 공기 조화기사협회에서 발간한 애쉬레이(ASHRAE) 핸드북 1981년잔 페이지 2·31의 제20도를 보면 된다. 거기에 나타낸 최고질량유량의 40퍼셴트 정도까지 냉매의 질량 유량이 떨어지면, 이에 따라서 열전달 계수는 34퍼센트까지 떨어진다는 것이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코일에 있어서, 표면온도는 처리필 공기의 이슬점 온도 보다 커지며, 따라서 제습기의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두번째 이유로 인해서, 종래의 공조기의 부분부하 상태에서의 코일 상태 곡선의 기울기는, 코일을 통한 면속도가 급격히 강하함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변화될 필요가 있을패 천천히 변화하게 된다.
(3) 주표면적에 대한 부표면적의 비율(핀 밀도)
코일의 젖은 외부표면의 온도가 낮을수록 그러한 표면상의 수증기의 응축은 증가하게 된다. 핀(fins)의 표면 또는 부표면은 튜브표면 또는 주표면 보다 높은 표면온도를 가진다. 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핀의 평균온도가 증가하고 이들 핀 사이의 공기흐름의 레이놀드수는 감소하며, 따라서 열 및 질량 전달계수가 감소한다. 주표면적의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단위표면적당의 제습이 증가하지만, 그 비율이 지나치게 커지면 여러줄의 깊이를 가지는 코일이 되어 버려서, 코일을 구성하는 재료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그 사용분야에서 요구되는 제습정도를 얻기 위해서는, 코일을 구성하는 재료의 최적의 사용을 제공하는 주표면적 대 부표면적의 최적의 비율이 고려된다. 핀의 밀도를 높여서 코일의 깊이를 감소시키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제습기의 크기, 즉 주된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지만, 반면에 제습을 억제하고 부분 부하성능을 손상시킨다. 높은 핀밀도에 의해 공기흐름에 주어지는 높은 저항으로 인하여,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가 감소하게 되고, 성능은 떨어지며, 팬의 소비동력이 증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분야에서 설계시 고려되어야할 3가지 중요한 변수에 대해 설명하였다.
가변공기 체적식(VAV)공조기는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절약과 공간 절약이 고려될때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조기는 빌딩 입주자들에 의해 상당한 불만을 받아왔는데, 그 이유는 부분부하 상태에서의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애쉬레이 저어널(ASHRAE Journal)(탬블린)의 1983년 9월호에서 "…탁한 공기와 공기 이동의 부족…"이라는 제목하에 새로운 가변공기체적식 공조기에대한 불평사항을 열거하고 있는데, 여기서 "소유자들은 외부공기비울을 높이고 팬을 보다 오랜동안 작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이미 예전에 제거되었던 것과 동일하게 재열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최소의 공기흐름을 설정함으로써 소모하는 방법에 맞서 싸우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가변공기 체적식 공조기의 문제가 상세히 거론된 1987년 8월호의 애쉬레이 저어널 22페이지를 참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고르지 않은 온도, 온도 및 습도 조절의 부족, 공기이동의 부족, 신선한 공기의 부족, 불만족스러운 에너지 절약 등이 열거되었다. 그 기사에서는 심지어 재열이 권장되기도 하였다. 더욱이, 내부지역만이 가변공기 체적식 공조기로 설비될 것이 제안되기도 했다.
공간 및 에너지의 절약에 있어서 특히 유리한 통상의 가변공기체적식 공조기는 각 층마다 공기처리장치를 갖추고 있는 고층 건물에 주로 설치된다. 공기 처리 장치가 각 층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넓은 환기통로의 공간 및 기다란 공기덕트가 필요없다. 통상적으로, 넓은 공기 귀환 공간으로서 천정 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빌딩이 호주의 멜버른이나 미국 텍사스주의 달라스시와 같은 도시에 위치하고 있다면, 이러한 공조기는 여름의 최고 설계 조건에서, 예를들어 화씨 95도(섭씨 35도) 정도의 높은 외부공기 건구온도 및 낮은 습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주위의 건구온도가 낮은, 부분부하의 주간과 같이 냉랭한 일기조건인중에는, 습도비가 여름의 최고 상태보다 휠씬 클때가 많을 것이다. 통상, 최소의 맑은 공기의 유입량은 설계상의 최고 유기 유량의 15퍼센트 정도이다. 통풍조건에 적합한 최소의 맑은 공기 유입량은 고정된 양이므로, 60퍼센트의 부분부하 상태에서 필요한 외부공기의 유입량은 15/0.6퍼센트, 즉 25퍼센트이고, 30퍼센트의 부분부하 상태에 비해서 50퍼센트의 외부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습기는 최고부하 상태에서 보다 높은 외부 공기의 습도비 뿐만 아니라 높은 외부공기의 비율하에서, 습기 있는 부분 부하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통상의 가변공기 체적식 공조기의 능력을 넘어서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주위공기가 "습하다" 또는 "답답하다"는 불평이 생긴다.
이상 설명한 몇가지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라서 모든 부하조건에서의 충분한 제습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의 충분한 부분에 고속의 냉각제 흐름 속도가 나타나도록, 코일을 통과하는 냉각제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극복된다. 한가지 바람직한 방법은, 제습기의 한쪽 부분을 통과하는 냉각제의 유량이 감소되었을때 다른쪽 부분을 통과하는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코일의 각각의 부분은 그 형상 및 배열에 있어서 서로 독립되게 구성된다. 즉, 각각의 부분은 서로 다른회로와, 서로 다른 핀밀도와, 깊이가 서로 다른 배열과,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코일의 서로 다른 부분에 걸쳐서 서로 다른 냉각제 온도상승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한가지 방법은 원하는 부분적인 부하조건 하에서의 제습을 증대시키기 위해, 코일의 작동부분이 냉각제의 낮은 온도상승을 제공하도록 코일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장치의 전체적 용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직선에 거의 가깝게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는 공간(부분부하 상태일때)내에서 "습하다"거나 "답답하다"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들은, 적절한 통풍을 수행하도록 공기속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그리고 공기조화가 제공되는 공간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출구에서의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 및 그러한 공간내에서의 공기유동을 유지시킴으로써 해결된다.
출원인에 알려진 바에 한해서는, 부분 부하상태하에서의 코일상태 곡선이 현열 부하 및 잠열부하를 그 발생되는 비율에 따라서 근접하게 만족시키도록 충분히 가파르게 되는 공지의 기술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는 1982년판 애쉬레이 회보(ASHRAE Transaction) 및 이에 상응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 319, 461호를 참조하면 된다. 이들 참조문헌에서는, 습한 공기의 면속도가 부분부하 성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레이놀드수와 면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는 더 가파르게 되고, 코일상태곡선의 곡률은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문제는 미합중국 워싱턴 디.씨. 소재의 헤미어휘어 출판사(Hemispere Publishing Corp.)의 제7차 국제열전달회로(독일연방공화국의 뮤니히)회보 제6권에서 쇼(Shaw)씨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다. 관련된 다른 정보는 전기한 1983년 9월호의 애쉬레이 져어널에 게재된 알.티 탬블린(R.T.Tamblyn)씨의 "가변공기체적식의 실상(Beating the blahs for VAV)"이라는 기사에 포함되어 있다. 미합중국 뉴 사우쓰 웨스트 쎄인트 레오나드(St. Leonards, N.S.W.)에 소재하는 이. 에이. 북스(E.A. Books)에서 발간된 멜보른 대학에서의 열 및 질량전달에 관한 제 3 차 호주희의 회보에 실린, 선기한 쇼씨와 알. 이. 럭스튼 교수의 "제습기 코일을 통한 열 및 질량전달에 있어서 공기흐름 속도의 효과에 대한 최근의 발견"(1985)이라는 기사를 참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제습기가 예를들어 냉각된 물이나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는 코일부분으로 구성된다. 부분 부하상태 하에서, 냉각제의 유량을 최고부하시의 유량 이하로 제한하거나 그러한 흐름의 전체적인 제거는 코일부분의 극히 일부에서만 이루어지며, 코일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최고부하 상태의 다소 많은 냉각제의 유량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흐르는 비교적 제한되지 않는 냉매흐름은, 실제로 감소된 크기의 코일에 더 많은 펌프출력을 공급해야 하는 최고 부하상태에서의 냉매흐름 보다 더 크게 된다. 또한, 코일의 이러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흐르는 비교적 제한되지 않은 냉매흐름은, 임의의 공기조화 부하에 맞추어 냉각제 교축밸브를 개방(또는 페쇄)시키도록 제어 시스템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최고부하 상태보다 더 크게(또는 더 적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가 제공된다. 각각의 제어밸브는 전체의 코일 시스템을 이루는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연관되어 있다. 부하변화의 전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최고 부하상태에서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 몇개의 밸브와, 부분부하중에 완전히 개방되는 몇개의 밸브와, 그리고 부분부하의 일부 작동범위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는 몇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러가지 경우에 있어서, 제습기의 코일 부분을 통한 냉매의 흐름은 전체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그러나 항상 그렇지는 않음) 전체 코일 시스템의 각각의 코일 부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한다. 전체 부하변화의 범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제어방법은, 부분 부하 상태하에서 완전히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는 밸브들을 공조기의 작동범위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는, 최고 부하상태로부러 부분 부하상태로 부하가 감소됨에 따라서 코일 부분을 통한 냉각제의 흐름이 이러한 밸브들에 의해 제한되어서 그러한 부분에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지만, 나머지 코일 부분을 통한 냉각제의 흐름은 제습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유지되며, 다수개의 코일 부분 및 이러한 코일 부분을 통한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의 밸브, 그리고이들 밸브를 센서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습기의 유효크기가 부분부하에 따라서 감소되고, 또한 제습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많은 냉각제가 필요하게 된다.
"설계조건"은 공기조화되는 공간에 따라서 다소 임의의 상태이지만, 섭씨 22도에서 섭씨 26도의 좁은 온도범위와 그리고 35퍼센트에서 55퍼센트의 좁은 습도범위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최소부하에서 최고부하의 범위에 걸쳐 현열 및 잠열부하의 정확한 비율로 상기한 조건에 맞추어 필요한 부하를 충족시키도륵 개선된 용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제습기 코일이나 이러한 코일들을 통한 공기흐름의 속도가 통상의 공조기에서의 제습기의 코일이나 이러한 코일들을 통한 공기 흐름의 속도보다 작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공조기에 비해서 팬의 동력 소모가 상당히 낮아지고 소음수준이 상당히 낮아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를어 과도한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기가 공물내에 설치되는 경우와 같이, 밸브의 제한이 필요한 많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최고 부하상태에서도 제습기를 통해 냉각제의 유량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냉각제의 유량에 대한 제한은 흔히 "상대적인 제한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공기조화가 필요로 하는 역학적 설계에 있어서, 제습기의 선택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위환경을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트르주에 소재하는 멜버른시나 미합중국 텍사스주에 소재하는 달라스시와 같이 공조기의 최고부하상태에서도 기후가 건조한 경우에는, 최고 부하의 공기조회가 제공되는 동안에 최대의 냉각제 유량을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냉각제의 유량이 부분적으로 제한될 수 있는 반면에, 부분부하를 받는 습윤한상태에서 냉각제의 흐름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4도는 이러한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예에서, 종래의 방법에 적용할 수 없는 본 발명의 매우 중요한 특징이 포함되어 있다. 즉, 공조기의 특정한 부분부하상태하에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전체 제습기의 여러 부분들에서의 서로 다른 순환희로, 서로 다른 핀밀도, 서로 다른 형식의 배열 또는 서로 다른 여러가지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기의 전체 부하범위에 대하여 최대로 가능한 성능 특성을 제공하도록, 공조기의 칫수 및 변학된 힝상을 선택할 수가 있다. 이는, 냉각제의 유량을 제한하는 것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성능이 감소하는 중에 발생되는 일반적인 부하특성을 지지하거나 이에 반대되는 여러가지 특수한 설계가 가능하다. 그것은, "상대적" 제한이란 용어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 여러가지 특수한 설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체 코일 조립체는 효과적으로 그 칫수가 감소필 수 있도록, 공조기의 부하가 최고 부하 이하로 감소항에 따라서 여러 코일 부분들로 나뉘어져 있는데, 즉 여러 부하상태하에서 코일 조립체의 작동부분을 통과하는 냉각제의 속도가 증가되어서 전체 코일장치의 제습용량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분부하상태에서의 코일상태곡선이 제공되는데, 이는 부분부하상태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부하 특성 및 현열에 대한 잠열의 증가된 부하특성의 비를 만족시킨다. 코일상태곡선에 대한 기울기는 더 심해지고, 이러한 곡선의 곡룰은 직선의 곡률과 같이 감소하여서, 면속도를 감소시키고 냉각제의 속도를 중가시키며 냉각제의 온도증가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코일조립체의 작동 범위는 최고부하에서 최저부하까지의 모든 부하상태에서의 코일의 작동범위에 관계된다. 종래의 방법은, 요구되는 성능에 관계없이 부하가 감소되기 때문에 냉각제의 속도가 감소되고, 코일의 작동크기가 일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최고의 냉각제 흐름과 비교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의 최고 부하의 37% 부하에서는 코일의 32%가 작동하고 밸브를 통한 냉각제의 유량은 65%이며, 최고부하의 53%부하에서는 코일의 67%가 작동하고 밸브를 통한 냉각제의 유량은 11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의 감소에 대해서 코일의 작동크기가 밸브를 통한 냉각제의 유량의 제한에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구하는 목적은 공조기의 부하의 감소에 따라서 제습기의 작동 크기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면속도를 감소시키고, 냉각제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냉각제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최고점에서의 최저점까지 부하의 전범위에서 일어나는 현열과 잠열의 부하를 가능한한 동일한 비율로 상쇄시키려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가변체적식 공조기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체적식 공조기를 동일한 부하상태에서 비교한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체적식 공조기에서 부하의 감소에 따른 제습의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이제, 제3a도, 3b도 및 제3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a도에서, 열교환기(급냉기)(10)는 냉동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하나의 도관 및 급냉된 냉각수와 다른 냉각제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도관을 갖추고 있다. 냉각수는 펌프(11)에 의하여 2개의 도관(12 및 13)으로 유입되어서, 제습기(16)의 제1코일(14)과 제3코일(15)로 공급되는데, 제습기(16)는 제1코일(14)과 제2코일(17) 그리고 제3코일(15)로 이루어져 있다. 제습기(16)의 제2코일(17)은 연결도관(18)에 의하여 제3코일(15)의 배출구로부터 언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겠다.
전자제어장치(2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상적으로 3개의 밸브(21)(22)(23)를 제어하기 위한 직접적인 디지탈 제어방식이머, 각각의 밸브는 솔레노이드나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구동장치(24)에 의해서 작동된다. 또한, 전자제어장치(20)는, 팬(26)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팬(26)은 필터(27)를 통해서 제습기(16)를 통과하는 공기를 끌어들여서, 하나의 예로서 제3a도에 도시되어 있는 임의의 한지역(28)으로 배출시킨다. 각각의 지역(28)에는 통상의 온도조절장치(30)에 의해 조절되는 배플(29)이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밸브(21)(22)(23)가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l) 완전부하시의 작동
냉각수가 펌프(11)에 의해서 도관(12)과 제1코일(14)로 유입되어서, 개방된, 밸브(21)를 통하여 열교환기(10)로 복귀된다. 또한, 냉각수는 도관(13), 제3코일(15) 및 제2코일(17)로 유입되어서, 개방된 밸브(22)를 통해 열교환기(10)의 냉각수 복귀관로로 흐른다. 이때, 밸브(23)는 닫혀진 상태이다.
다음 관계로, 완전부하에서 부분부하(60%)로 번환할패, 밸브(23)가 개방됨에 따라서 밸브(22)가 교축되며, 이에 따라서 제2코일(17)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2) 부분부하(60%)시의 작동
전자제어장치(20)의 제어하에 각각의 구동장치(24)에 의해서 밸브들이 작동되어서, 제3b도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전체 냉각수의 유량이 제1코일(14) 및 개방된 밸브(21)를 통해 흐르며, 밸브(22)는 닫혀져 있기 때문에 제2코일(17)을 통한 냉각수의 흐름은 없으며, 밸브(23)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3코일(15)을 통하여 전체 냉각수의 유량이 흐른다. 이러한 상태가 제2도에서 C60%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전체 제습기(16)로 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를 각각 C100%(100% 부하), 61%(변화상태), 그리고 C40%(다음에 설명되는 40% 부하상태)와 비교하여 제2도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60% 부하에 대하여 나타낸 공기의 배출상태 곡선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C60%의 곡선과 거의 일치한다.
(3) 부분부하 60%에서 40%로의 면학시의 작동
밸브(22)는 닫혀지고. 밸브(23)는 개방된다. 밸브(21)는 점차 닫혀진 위치로 교축되지만, 밸브(23)는 완전히 개방돤 것이다. 그러므로, 제1코일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은 40%의 부분부하에서 밸브(21)가 완전히 닫혀질때 까지 천천히 제한된다.
(4) 부분부하(40%)시의 작동
40% 부분 부하상태가 제3c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2개의 밸브(21)(22)는 모두 닫혀진 반면에 하나의 밸브(23)는 개방되어 있으며, 따라서 냉각수의 흐름은 제3코일(15)만을 통과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펌프(11)가 원심식 펌프이면, 그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3코일(15)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은 완전부하상태에서의 유량보다 더 크며, 따라서 코일(15)에서 부가적인 제습이 일어나고, 이는 코일상태곡선의 기울기를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C60%의 코일상태곡선으로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냉각수의 유량은 임의의 특정 밸브를 소정의 위치로 개방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전자제어장치(20)에 의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증가될 수 있다.
각각의 밸브(21)(22)(23)는 제3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지되지만, 밸브(23)는 더 교축되어서 제3코일(15)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6) 최소의 부분부하(30%)시의 작동
최소부하위치에서, 밸브(23)는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제3코일(15)을 통해서 감소된 냉각제의 유량이 흐른다.
이러한 모든 작동을 다음의 표 1에 도시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가변체적식 공조기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문제들중 하나는, 냉각되고 제습되는지역이 매우 낮은 부하상태에서 를충분한 환기로 인하여 통풍이 나쁘고 불유쾌하게 된다는 점이다. 팬(26)의 속도(또는 다른 공기흐름속도조절장치의 속도)는 공급공기측의 온도조절기(32) 및 공기 유량측정장치(33)에 의해 제어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환기를 제공하는 최소의 공기유량을 보장하기 위하여, 건구온도가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1도 내지 3도만큼 상승된다. 이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전자제어장치(2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부분부하의 비율은 공조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측정장치(33)에 의해서 결정된다.
유량측정장치(33)에서는 제습기를 통하는 기류의 엔탈피 차이가 상당히 변화하는 곳에서 수청을 요하는데, 이것은 엔탈피 차이가 부분부하 상태에서 하나의 변수가 되기 때문이다.
[표 1]
Figure kpo00001
다음의 흐름도는 전자제어장칭(20) 및 그 작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전자제어장치(20)는 통상의 공조기 분양에서 사용하는 많은 전자제어장치중 임의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합중국 일리노이주 네이퍼빌 이스트 디일 로드 1250에 소재하는 존순 콘트롤 프로덕트 디비젼(Johnson control products Division, 1250 East Diehl Road, Naperville, Illinois)에서 시판하는 C 500, N 500 및 DSC 1000로 표시된 콘틀롤러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Figure kpo00002
이제, 제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잇점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점선 B-D는 종래의 제어방법에 따른 코일상태곡선을 나타내고, 점선 F-D는 부분부하에서 결과로서 발생되는 부하비울곡선을 나타낸다. 부하비율곡선 F-D의 기울기는 현열에 대해서 상쇄되는 잠열의 부하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그 위치는 제습기를 떠난후의, 공기의 상대에 의해 결정된다.
부호(Q)는 부분부하상태에서 외부공기의 예시적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선 QF는 외부공기와 공기조화 지역에서부터 복귀된 공기가 FB/QF 비율로 혼합되는 혼합물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비교된다. 여기서, 두 방법은 모두 동일한 부분부하상태이다. FB/BQ 비율이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분부하상태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수 있다. 표 1에서, 세로줄은 "전체 공기에 대한 외부 공기의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Q점에서의 동일한 외부공기는 B점에서도 습도룰이 매우 높아서, 문제를 확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방법은, 최소의 부분부하상태와 같이 특정한 조건에서도 만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B)는 혼합된 공기가 종래의 제어방법에 따라 제습기로 유입되는 점이고, 부호(D)는 제습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며, 부호(F)는 종래의 제어방법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실제 평균 지역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상태곡선과 비교되는데, 본 발명의 코일상태곡선에서는 혼합된 공기가 A점에서 제습기로 유입되고, C점에서 제습기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의 평균지역상태는 E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실선중 상부의 전체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상태곡선이고, 하부의 전체 곡선은 본 발명에 다른 부하비울곡선이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제1도에 완만한 코일상태곡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가 처음에 A점에서 제습기로 유입된다해도 이러한 공기가 E점에 상당히 근접한 상태로 제습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부분부하성능은 제1도의 코일상태 곡선 A-C의 기울기보다 완만한 코일상태곡선의 기울기를 가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제습기를 빠져나가는 공기의 상태는 C점의 위쪽이 될 것이다. 전체 곡선 C-E로 표시된 것과 동일한 실내의 부하비율곡선의 기울기가 주어질때, 공기조화되는 지역으로부터 복귀된 공기는 요구되는 E점 보다 높은 습도율의 상대가 될 것이다. 이와같이 복귀된공기가 Q점에서 부분부하상태의 외부공기와 혼합필패 A점보다 높은 습도율을 갖는 상태로서 제습기로 유입될 것이다. 따라서, A, C 및 E점은 코일상태곡선(B-D)의 기울기가 외부공기의 요구되는 양에 따라서 필요한 부하비율 곡선(D-F)의 기울기를 만족시키는 평행한 지점까지 계속 상승할 것이다. 이것은 부하비울곡선(D-F)의 기울기가 부분부하상태에서 실내의 부하 비율곡선(C-E)의 실제적인 기울기와 동일할때 일어난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는 E점에 상당히 가까운 상태로 설계하려는 주목적을 만족시키는데 실패하게 되는 대신에,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인 F점에 빈번하게 도달하게 될 것이다.
곡선(C-E)에 평행한 곡선(D-F)은 F점이 설계목표인 45%의 상대습도 대신에 60%의 상대습도를 좀처럼 수용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불안정한 상태로 종료되지 않는 것으로 보일수도 있다. 이것은, 하나의 단일지역이 공기조절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가변체적식 공조기에서는 모든 지역을 조작하는 층마다 단일의 공조기를 설치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F점은 E점의 설계조건 대신에 수용될 수가 없다. 곡선(D-F)은 모든 지역의 평균부하비율 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며, 평균지점인 F점으로 도시된 지점보다 설계조건인 E점에서 휠씬 더 떨어진 지역이 많이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도는 완전부하 및 부분부하상태에서의 부하비율곡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부하가 40%까지 감소됨에 따라 부하비율 곡선이 어떻게 더 기울어지는가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제2도 및 표1에 도시된 바와같이, 40%의 부분부하상태에서 제3코일(15)을 통과하는 냉각수를 조절하는 밸브(23)는 최대의 유속을 제공하여서, 40%의 부분부하상태의 코일에서 최대의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매우 간단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러한 단순한 환경에 처하는 경우는 일상적인 것이 아니므로, 여러가지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코일제어방법이 필요하다.
제4도는 부하의 범위에 대한 밸브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제습기는 2개의 2열 제습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제습기 조립체의 코일은 별도의 제어밸브(2 및 3)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습기에는 이러한 2개의 2얼의 제습기 조립체의 제3열을 이루는 2개의 1열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l열 부분은 한개의 단일제어밸브에 의해 조작된다. 제4도는 최고부하에서 최소부하상태까지 최적의 성능으로 항께 작용하는 제어밸브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낸다.
최고 부하의 설계상태에 대해서 선택된 제습기코일의 크기와 부분부하상태에서 벗어나는 실제 부하의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가 문제의 핵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코일(14 및 17)은 밸브(21 및 22)가 닫혀져 있기때문에 매우 낮은 부분부하상태에서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하는 코일(15)은 부분부하상태에서의 높은 제습에 필요한 특성과 면속도를 모두 만족시키도록 증가된 냉각제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부하가 감소되는 상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적인 부하상태에서 설계시의 최고 부하상태를 향해 점차로 부하가 증가되는 반대의 상황에도 확실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잇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정 공기 체적식 공조기 및 가변 공기 체적식 공조기 모두에 대하여, 필요한 에너지는 최소화되고, 공조기의 성능은 현열 및 잠열부하의 전체 빔위에 걸쳐서 최적학 된다.
(2) 부운부하 및 완전부하상태 모두에서 소음이 감소된다.
(3) 작동하는 코일의 크기가 공조기에서 부과된 실제부하와 부합되도록 변할 수 있고, 부분부하상태에서 작동하는 코일부분이 현열에 대한 잠열의 증가비율을 감소시키도록 공기를 과냉시키지 않고서도 냉각제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를 과냉시키지 않고서도, 전체 코일에 대한 냉각수의 온도상승을 줄일수가 있다.
(4) 공기조화되는 공간내의 공급공기에 필요한 만큼의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현열 및 잠열부하의 비율의 차를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부하비울 곡선을 이루도록 코일상태 곡선의 기울기가 제어될 수있다. 특히, 종래의 공조기에 비해서 코일상태곡선의 기울기가 훨씬 가파르게 작동하므로, 코일상태곡선이 거의 직선형태에 근접해진다.

Claims (17)

  1. 다수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제습기와, 냉각제 공급수단과, 냉각제 회로내에서 상기 제습기와 상기 냉각제 공급수단을 연결하는 도관들과, 공기흐름팬과, 상기 공기흐름팬이 적어도 상기 코일부의 일부를 통해 공기를 흐르게 하도록 상기 공기흐름팬과 상기 제습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제습기의 하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코일부를 통하여 상기 냉각제 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각제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와, 그리고, 부하가 최고부하 상태에서 부분부하 상태로 감소할 때 상기 코일부의 일부를 통해 흐르는 냉각제가 상기 밸브에 의해서 제한되고 상기 코일부의 나머지 부분을 통한 냉각제의 흐름은 제습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밸브를 상기 센서에 연결하는 밸브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부하 상태에서는 상기 제습기 코일부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이 상기 밸브에 의해 상대적으로 덜 제한되기만,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제습기의 상기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브에 의해 제한되는 동시에 상기 코일부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 흐르는 냉각제의 흐름은 제한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를 상기 센서에 연걸하는 언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공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드로틀 밸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센서가 부하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코일부의 일부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만이 점진적으로 제한되도록 상기 드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공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부하가 계속하여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의 일부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만이 제한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공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가 급랭된 냉각수이고, 상기 냉각제 공급수단이 펌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가 부하의 감소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의 상기 나머지 부분을 통해 흐르는 냉각제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급랭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제 회로를 통해서 펌핑시키는 공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가 냉매이고, 상기 냉각제 공급수단이 압축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압축기가 부하의 감소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의 상기 나머지 부분을 통해 흐르는 냉각제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냉매를 상기 코일부의 상류에 설치된 펭창기구 및 상기 냉각제 회로를 통해서 펌핑시키는 공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원심식 펌프이며, 상기 원심식 펌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부를 통한 냉각제의 흐름이 제한될 때까지 압력을 증가시켜서, 상기 코일부의 상기 나머지 부분에서의 냉각제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작동하는 특성을 갖는 공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연결수단이 전기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기제어수단은 최고부하 상태에서 부분부하 상태로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코일의 상기 나머지 부분을 통한 냉각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밸브가 개방되어서 냉각제의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을 가지는 공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연결수단이 전기적으로작동되는 드로틀 밸브로 이루어진 상기 밸브중 적어도 일부 구성되어 있는 공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공기흐름팬의 하류에 인접한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조기가 전기제어회로 및 상기 온도조절기의 온도가 떨어질 때 상기 밸브제어수단이 냉각제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상기 온도조절기와 상기 전기제어회로 그리고 상기 밸브제어수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다수의 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가 온도조절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공조기가 상기 밸브와 상기 센서 사이에 연결된 전기제어회로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온도조절기가 공급공기의 온도강하를 감지하면 상기 전기제어회로가 상기 밸브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켜서 상기 코일부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냉각제의 흐름을 제한하고, 나머지의 상기 밸브는 개방시켜서 상기 코일부 중 다른 하나로 흐르는 냉각제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공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팬의 하류에 제공된 추가의 센서 및 공기흐름속도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추가의 센서가 공기 유량 센서이고, 공기흐름속도가 부하의 감소에 따라 울충분한 통풍속도로 감소되면 제어시스템으로 부터 제공되는 예정신호에 의해서 상기 공기흐름속도를 다시 증가시켜서 상기 공급공기의 온도조절기를 보다 높은 온도로 상기 전기회로와 상기 공기유량 센서 그리고 상기 공기흐름속도 제어수단을 상호연결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코일상태 곡선의 엔탈피의 차이를 감소시키며, 각 지역과 연결된 공기조절기를 보다 개방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팬의 용량을 중가시켜서 충분한 환기가 되는 공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의 각각의 상기 코일부가 서로 다르게 설계된, 즉 서로 다른 회로와, 서로 다른 핀밀도와, 서로 다른 배열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요구되는 특수한 분야에 부합되게 제어되도록 부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는 공조기.
  14. 다수의 고입부를 통해 냉각제를 펌핑시킴으로써 제습기내의 다수의 냉각부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공기흐름팬에 의해 코일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공기를 흐르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습기의 하류에서의 공기의 유동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공급공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온도조절기에 의해 감지되는 부하의 감소시에 상기 코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을 제한하고 나머지 제한되지 않는 코일부를 통해 흐름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조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부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이 제한될 때 상기 나머지 코일부를 통한 냉각제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의 흐름을 제한하는 단계가 밸브를 통해 제한된 유동을 제공하고 상기밸브를 교축시킴으로서 수행되는 공기조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부분부하 상태를 상기 공기흐름팬의 하류 공기흐름내에 설정뇐 온도조절기의 작동온도가 증가되는 소정의 부분부하 상태에 일치시킴으로써 최소의 공기흐름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 방법.
KR1019870013303A 1986-11-24 1987-11-24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930002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PH9126 1986-11-24
AUPH9126 1986-11-24
AUPH912686 1986-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15A KR880006515A (ko) 1988-07-23
KR930002466B1 true KR930002466B1 (ko) 1993-04-02

Family

ID=377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303A KR930002466B1 (ko) 1986-11-24 1987-11-24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4876858A (ko)
EP (1) EP0269399B1 (ko)
JP (1) JPH081319B2 (ko)
KR (1) KR930002466B1 (ko)
CN (1) CN1011814B (ko)
AT (1) ATE79459T1 (ko)
AU (1) AU597757B2 (ko)
CA (1) CA1298470C (ko)
DE (1) DE3781103T2 (ko)
ES (1) ES2035085T3 (ko)
IN (1) IN168827B (ko)
NZ (1) NZ222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9030B2 (en) * 1989-08-30 1992-09-24 Luminis Pty Limited Comfort integration and energy efficient method of air conditioning
US5058388A (en) * 1989-08-30 1991-10-22 Allan Shaw Method and means of air conditioning
AU662336B2 (en) * 1991-05-24 1995-08-31 Luminis Pty Limited Air conditioning for humid climates
KR100221257B1 (ko) * 1991-05-24 1999-09-15 피터 로보트슨 하아트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US5579647A (en) * 1993-01-08 1996-12-03 Engelhard/Icc Desiccant assisted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system
US5309725A (en) * 1993-07-06 1994-05-10 Cayce James L System and method for high-efficiency air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US5915473A (en) * 1997-01-29 1999-06-29 American Standard Inc. Integrated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ler
AU728987B2 (en) * 1997-07-10 2001-01-25 Smac Technologies Pty Lt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variable evaporator temperature
AUPO783697A0 (en) 1997-07-10 1997-07-31 Shaw, Allan A low energy high performance variable coolant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system
IL144128A0 (en) 1999-01-12 2002-05-23 Xdx Llc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6185958B1 (en) 1999-11-02 2001-02-13 Xdx, Llc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CA2358461C (en) 1999-01-12 2008-10-14 Xdx, Llc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6314747B1 (en) 1999-01-12 2001-11-13 Xdx, Llc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6295823B1 (en) * 1999-03-16 2001-10-02 Ch2M Hil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ditioned space
AU777895B2 (en) * 1999-11-02 2004-11-04 Xdx Inc.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ditions in ambient surroundings
US6401470B1 (en) 2000-09-14 2002-06-11 Xdx, Llc Expansion device for vapor compression system
US6393851B1 (en) 2000-09-14 2002-05-28 Xdx, Llc Vapor compression system
AU2002365545B2 (en) * 2001-11-30 2008-08-1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le-coil twin-fan variable-air volume (VAV) system for energy-efficient conditioning of independent fresh and return air streams
US7059400B2 (en) * 2001-11-30 2006-06-13 National University Of Signapore Dual-compartment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having a shared heating coil
US7062930B2 (en) * 2002-11-08 2006-06-20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t gas re-heat for humidity control
US7726140B2 (en) * 2002-11-08 2010-06-01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t gas re-heat for humidity control
KR100517979B1 (ko) * 2002-12-10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오버레이 장치
US6879881B1 (en) * 2003-10-17 2005-04-12 Russell G. Attridge, Jr. Variable air volume system including BTU control function
US7481073B2 (en) * 2004-03-15 2009-01-27 Parker-Hannilin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xpanded refrigerant to an air/gas dryer
WO2006014652A2 (en) * 2004-07-20 2006-02-09 Carpenter Frank K Climate control and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288713A1 (en) * 2005-06-23 2006-12-28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humidification and refrigerant pressure control
US7845185B2 (en) * 2004-12-29 2010-12-0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US7219505B2 (en) * 2004-10-22 2007-05-22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trol stability system for moist air dehumidification unit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60123812A1 (en) * 2004-12-09 2006-06-15 Environmental Pool System, Inc. Humidity control system
US7559207B2 (en) * 2005-06-23 2009-07-14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refrigerant pressure control in refrigeration systems
KR20070047102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JP2007333354A (ja) * 2006-06-19 2007-12-27 Shimizu Corp 空調装置
US7740184B2 (en) * 2006-08-03 2010-06-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dehumidification control in unoccupied spaces
US7827813B2 (en) * 2007-01-30 2010-11-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real-time optimization control
US20080179408A1 (en) * 2007-01-30 2008-07-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nsor-free optimal control of air-side economizer
US8122729B2 (en) * 2007-03-13 2012-02-28 Dri-Eaz Products, Inc. Dehumid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moisture from water damaged structures
GB2463827B (en) 2007-07-17 2012-09-05 Johnson Controls Tech Co Extremum seeking control with actuator saturation control
WO2009012282A2 (en) 2007-07-17 2009-01-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xtremum seeking control with reset control
US8151579B2 (en) * 2007-09-07 2012-04-10 Duncan Scot M Cooling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0830095B1 (ko) * 2007-11-12 2008-05-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냉방부하 예측방법
WO2009140584A2 (en) 2008-05-15 2009-11-19 Xdx Innovative Refrigeration, Llc Surged vapor compression heat transfer system with reduced defrost
US8290742B2 (en) * 2008-11-17 2012-10-16 Dri-Eaz Produc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dehumidifier performance
US8572994B2 (en) * 2009-04-27 2013-11-05 Dri-Eaz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monitoring dehumidifiers
US9286582B2 (en) 2009-06-22 2016-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9606520B2 (en) 2009-06-22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8532839B2 (en) 2009-06-22 2013-09-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tatistical control and fault detec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0739741B2 (en) 2009-06-22 2020-08-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9196009B2 (en) 2009-06-22 2015-11-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8731724B2 (en) 2009-06-22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8788097B2 (en) 2009-06-22 2014-07-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ule-based fault detec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753455B2 (en) 2009-06-22 2017-09-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fault analysis
US8600556B2 (en) 2009-06-22 2013-1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mart building manager
US11269303B2 (en) 2009-06-22 2022-03-0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9097432B2 (en) * 2010-01-12 2015-08-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conomizer control
WO2011100255A2 (en) 2010-02-09 2011-08-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verifying energy savings in buildings
USD634414S1 (en) 2010-04-27 2011-03-15 Dri-Eaz Products, Inc. Dehumidifier housing
US8473080B2 (en) 2010-05-10 2013-06-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trol of cooling towers for chilled fluid systems
US8412357B2 (en) 2010-05-10 2013-04-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rocess control systems and methods having learning features
GB2509039B (en) 2011-10-14 2020-09-02 Dri-Eaz Products Inc Dehumidifiers having improved heat exchange block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5375945B2 (ja) * 2011-12-28 2013-1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度および湿度の調整を行う空調システム
US9390388B2 (en) 2012-05-31 2016-07-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verifying energy usage in a building
CN103542469B (zh) * 2012-07-12 2018-06-15 开利公司 温湿独立控制空调系统与方法
US9719423B2 (en) 2012-09-04 2017-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Inlet air chilling system with humidity control and energy recovery
USD731632S1 (en) 2012-12-04 2015-06-09 Dri-Eaz Products, Inc. Compact dehumidifier
US10060642B2 (en) 2014-10-22 2018-08-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amper fault detection
US9845963B2 (en) 2014-10-31 2017-1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conomizer having damper modulation
US9778639B2 (en) 2014-12-22 2017-10-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updating equipment models
KR102489912B1 (ko) * 2016-07-25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및 그 제습량 산출 방법
US11662106B2 (en) 2018-02-23 2023-05-30 Scot M. Duncan High efficiency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067319B2 (en) * 2018-03-05 2021-07-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eat exchanger with multiple conduits and valve control system
US11073296B2 (en) 2018-03-09 2021-07-27 Scot Matthew Duncan High efficiency dehumidification system (HEDS)
WO2020068150A1 (en) 2018-09-27 2020-04-02 Voysey Keith Stanley System, apparatus and hybrid vav device with multiple heating coils
CN113983568B (zh) * 2021-10-22 2022-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90A (en) * 1935-11-12 Air conditioning system
US2205117A (en) * 1933-12-27 1940-06-18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614394A (en) * 1946-11-20 1952-10-21 Carrier Corp Capacity control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US2960840A (en) * 1956-02-27 1960-11-22 Fred J Hosk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rosting a refrigeration system
US3069867A (en) * 1961-05-29 1962-12-25 Trane Co Summer-winter air conditioning system
DE2116857B2 (de) * 1971-04-06 1974-02-07 Gesellschaft Fuer Kernforschung Mbh, 7500 Karlsruhe Verfahren zum Kühlen und Entfeuchten von Luft
US4259847A (en) * 1978-08-16 1981-04-07 The Trane Company Stepped capacity constant volume building air conditioning system
AU530554B2 (en) * 1979-03-28 1983-07-21 Luminis Pty Limited Method of air conditioning
ATE11696T1 (de) * 1980-05-19 1985-02-15 Borg-Warner Limited Regeleinrichtung fuer die luftklimatisierung.
SE8500584L (sv) * 1985-02-08 1986-08-09 Munters Ab Carl Sett och anordning for konditionering av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79459T1 (de) 1992-08-15
EP0269399B1 (en) 1992-08-12
DE3781103D1 (de) 1992-09-17
NZ222656A (en) 1989-12-21
CA1298470C (en) 1992-04-07
DE3781103T2 (de) 1993-03-25
IN168827B (ko) 1991-06-15
AU8194687A (en) 1988-05-26
JPH081319B2 (ja) 1996-01-10
EP0269399A2 (en) 1988-06-01
KR880006515A (ko) 1988-07-23
AU597757B2 (en) 1990-06-07
CN1011814B (zh) 1991-02-27
CN87105963A (zh) 1988-08-10
ES2035085T3 (es) 1993-04-16
US4876858A (en) 1989-10-31
JPS63279035A (ja) 1988-11-16
US4942740A (en) 1990-07-24
EP0269399A3 (en) 198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466B1 (ko) 공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5062276A (en) Humidity control for variable speed air conditioner
US6269650B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variable evaporator temperature
US6386281B1 (en) Air handler with return air bypass for improved dehumidification
US5172565A (en) Air handling system utilizing direct expansion cooling
KR960000095B1 (ko) 공기조화기
US482152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4210278A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nditioned air at a substantiall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US43898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unit with multi-speed fan and economizer
US5850968A (en) Air conditioner with selected ranges of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US4259847A (en) Stepped capacity constant volume build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60273183A1 (en) Method of dehumidifying an indoor space using outdoor air
JP2007187420A (ja) 空気調和機
JPH0466308B2 (ko)
US115128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e compensator reheat valve
US5170635A (en) Defrost for air handling system utilizing direct expansion cooling
EP1293731A2 (en) Air conditioner
US6089464A (en) Thermal dynamic balancer
US5138842A (en) Air handling system utilizing direct expansion cooling
US4214626A (en) Rejected hea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111434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water re-evaporation in a dedicated dehumidifier/water heater
US2150505A (en) Air conditioner
JPH0694310A (ja) 冷凍回路のホットガスバイパス回路制御方法及び装置
US3459257A (en) Room cooling system
US118152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fan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