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50Y1 -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 Google Patents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50Y1
KR930002150Y1 KR2019910000943U KR910000943U KR930002150Y1 KR 930002150 Y1 KR930002150 Y1 KR 930002150Y1 KR 2019910000943 U KR2019910000943 U KR 2019910000943U KR 910000943 U KR910000943 U KR 910000943U KR 930002150 Y1 KR930002150 Y1 KR 930002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ynchronization
capacitor
signal
unit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016U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0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150Y1/ko
Publication of KR920016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제1도는 종래의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다중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도.
제3도의 (a), (b), (c), (d)도는 이 고안에 따른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의 각부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정화부 20 : 수직동기부
30 : 발진부 40 : 증폭부
50 : 신호 전달부 100 : 발진회로
IC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R1~R4 : 저항
Q1 : 트랜지스터 D1 : 다이오드
이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발진 주파수를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디스플레용 카드의 발전에 따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선명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제1도는 종래의 다중 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컴퓨터 또는 디스플레이용 카드로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 신호(V-SYNC)를 안정화부(10)에서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신호로서 안정화시킨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부(10)로부터 인가되는 펄스신호를 수직동기부(20)가 콘트롤하여 발진회로(100)에 이루어지는 콘덴서(C1)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발진부(30)는 상기 콘덴서(C1)의 충반전에 따른 주파수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발진회로(100)는 상기 콘덴서(C1)에 소정의 주기를 갖는 펄스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자기 발진 주파수(프리런 주파수)에 +15Hz~+20Hz의 정도 증가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되나 상기 수직 동기부(20)로부터 상기 콘덴서(C1)에 인가되는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발진회로(100)는 상기 콘덴서(C1)가 충반전 작용이 높아진 주파수를 따라가지 못하여 오동작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오실레이터에 이루어진 콘덴서에 수직 동기부를 수직동기신호외에 신호 전달수단에 의한 수직동기신호를 인가하도록 하여 발진회로가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안정되게 발진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안정화부와, 상기 안정화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정화부의 출력을 수직동기부의 제어에 따라 콘덴서가 충방전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정화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상기 수직동기부 및 콘덴서에 인가하는 신호 절단 수단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동기 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다중 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 블럭도로서, 안정화부(10), 수직동기부(20), 증폭부(40), 신호전달부(50) 및 발진회로(100)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안정화부(10)는 시정수에 따라 충반전하도록 이루어진 저항(R1) 및 콘덴서(C2)를 집적회로로 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에 연결하여, 상기 수직 동기신호(V-SYNC)는 상기 저항(R1)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따라 소정주기 및 일정 펄스폭을 갖는 펄스로서 안정되어 출력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부(10)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40)는 바이어스용 저항(R2), (R3) 및 증폭용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호 전달부(50)는 카플링용 콘덴서(C4) 및 바이어스용 저항(R4), 역전류 차단용 다이오드(D1)가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후단에 인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동기부(20)는 입력되는 펄스신호를 콘트롤하여 후단에 이루어지는 발진회로(100)의 콘덴서(C1)에 인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진회로(100)는 충방전용이 상기 콘덴서(C1) 및 상기 콘덴서(C1)의 충방전에 따라 발진하는 발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콘덴서(C1)는 커플링용 콘덴서(C4)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동기부(20)의 펄스 신호 및 상기 커플링용 콘덴서(C4)를 통한 펄스신호에 따라 충방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에 따른 다중 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는 컴퓨터 또는 디스플레이용 카드의 특성에 따라 제3도의 (a) 또는 (b)와 같이 주기(T)는 동일하나 그 펄스폭이 상이한 수직 동기신호(V-SYNC)가 안정화부(1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안정화부(10)는 (a) 또는 (b)와 같이 펄스폭이 상이한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저항(R1)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따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가 발진하여, 제3도의 (c)와 같이 제3도의 (a), (b)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한편 항상 일정한 폭을 갖는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안정화부(10)는 주기(T)는 항상 일정하나 펄스폭이 상이한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주기(T)는 변함없으나 펄스폭은 저항(R1)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따라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도의 (c)와 같은 수직 동기펄스(V-SYNC)는 증폭부(40)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은 제3도의 (c) 펄스가 반전 및 증폭되는 제3도의 (d)와 같은 수직 동기신호(V-SYNC)가 출력된다.
그리고, 제3도의 (d)펄스는 바이어스용 저항(R4) 및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통해 수직동기부(20)에 인가하므로 상기 수직동기부(20)는 이러한 제3도의 (d)펄스를 콘트롤하여 발진회로(100)의 콘덴서(C1)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발진부(30)는 상기 콘덴서(C1)에 인가되는 펄스에 따라 발진하게 되나 상기 콘덴서(C1)에 인가되는 펄스의 충방전 작용이 상승된 주파수의 펄스를 따라가지 못하여 오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고안은 상기 제3도의 (d)펄스가 커플링용 콘덴서(C4)를 통해 상기 콘덴서(C1)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콘덴서는 그 자체설정에 의하여 충방전 동작중 일정 전압이상이 인가될 때 강제 충방전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1)는 상기 수직동기부(20)를 통한 제3도의 (d)펄스의 주파수에 따른 충방전 작용을 하지 못하여도 상기 커플링용 콘덴서(C4)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3도의 (d)펄스가 인가되므로 상기 콘덴서(C1)는 강제 충방전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진부(30)는 상기 콘덴서(C1)가 제3도의 (d)펄스에 동기를 맞추어 동작하므로 상기 제3도의 (d)펄스의 주파수에 따라 발진동작을 하게되는 것이다.
즉, 이 고안은 발진부의 콘덴서에 수직 동기부를 통하여 수직 동기신호를 인가하는 한편, 커플링용 콘덴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동기신호를 발진부의 콘덴서에 인가하도록 하여 상기 발진부를 강제발진시킬 수 있어,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발진부가 안정되게 발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안정화부(10)와, 상기 안정화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정화부(10)의 출력을 수직 동기부(20)의 제어에 따라 콘덴서(C1)가 충방전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회로(100)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정화부(10)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을 상기 수직 동기부(20) 및 콘덴서(C1)에 인가하는 신호 전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수단은, 상기 증폭부(40) 및 콘덴서(C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을 상기 콘덴서(C1)에 인가하는 커플링용 콘덴서(C4)로 구성되는 다중 모니터의 수직 동기회로.
KR2019910000943U 1991-01-23 1991-01-23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KR930002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43U KR930002150Y1 (ko) 1991-01-23 1991-01-23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43U KR930002150Y1 (ko) 1991-01-23 1991-01-23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16U KR920016016U (ko) 1992-08-17
KR930002150Y1 true KR930002150Y1 (ko) 1993-04-26

Family

ID=1931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943U KR930002150Y1 (ko) 1991-01-23 1991-01-23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1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16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1647B (zh) 开关调节器斜率补偿产生器电路
US68129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209231B (zh) 输出电路、振荡器和电子设备
KR200176429Y1 (ko) 입력되는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위상 동기 루프 회로의 입력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5479073A (en) Dot clock generato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534889A (en) Circuit for controlling bias voltage used to regulate contrast in a display panel
KR930002150Y1 (ko) 다중모니터의 수직동기회로
KR870006781A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010144A (ja) 撮像素子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
KR910013877A (ko) 문자 발생기
US6456332B1 (en) Device for generating sync signals of composite video signal
US3995109A (en) Vertical sync pulse sensor and synthesizer
KR100266167B1 (ko) 샘플링 주파수 및 샘플링 위치 조정장치와 조정방법
US6469699B2 (en) Sample hold circuit
KR017710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화면 위치 조절회로 및 조절방법
KR200246536Y1 (ko) 전압제어발진금지신호를이용한위상동기루프회로
US5357545A (en) Synchronizing signal detecting circuit
US4706044A (en) Astable multivibrator with duty cycle compensation
KR0183937B1 (ko) 동기신호 처리장치
KR890000945B1 (ko)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JPH086546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 制御装置
KR900007356Y1 (ko) 모니터용 수직 크기 안정화 장치
EP2375597B1 (en) Display driver clock variation by software control
KR970031809A (ko) 클럭신호를 입력신호의 수평주파수와 동기화시키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100277041B1 (ko) 모드 검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