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45B1 -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45B1
KR890000945B1 KR1019850005878A KR850005878A KR890000945B1 KR 890000945 B1 KR890000945 B1 KR 890000945B1 KR 1019850005878 A KR1019850005878 A KR 1019850005878A KR 850005878 A KR850005878 A KR 850005878A KR 890000945 B1 KR890000945 B1 KR 89000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nitor
gate
horizon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13A (ko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45B1/ko
Publication of KR8700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제1도의 (a)는 퍼스널 컴퓨터의 각 영상 모우드에 따른 수평 1주기 영상신호 상태도.
(b)는 일반 모니터에서 수평 1주기 영상신호에 따른 모니터의 출력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A, B : 입력단자 VS : 수직동기신호
HS : 수평동기신호 3, 4 : 충방전회로
5, 6 : 게이트 제어회로 7 : 수평발진부
8 : 수직발진 및 증폭부 LV : 수직편향코일
9 : 멀티플렉서 EX1-EX4: 게이트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직 영상폭 자동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영상 스캔라인 (scan line)수가 다른 영상신호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수직영상폭을 조절하여 동일한 수직영상폭을 모니터로 출력되게 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영상신호는 각기 그랙픽 모우드, 문자(Charcter)모우드, 기타 여러가지 모우드에 따라서 영상 스캔라인수가 상이한 것이나 종래의 모니터는 하나의 영상 모우드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수직 영상폭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의 영상 모우드 변환시에 각 모우드에 따라서 일정한 수직 영상폭을 모니터로 나타낼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의 각기 다른 영상 모두드에 대한 출력을 모니터에서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수직 증폭률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영상폭을 항상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직 영상폭의 자동조절회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모니터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등기의 상태 신호가 기준레벨과 비교되는 충방전회로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회로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수직발진 및 증폭부와 수평 발진부에 항상 포지티브 동기신호가 인가되게 구성하고 게이트 제어회로에서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수직증폭용 가변저항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는 퍼스널 컴퓨터의 각 영상 모우드에 따른 수평 1주기 영상 신호 상태도로서 퍼스널 컴퓨터의 각 영상 모우드에 따라서 수평 및 수직주파수는 항상 일정한 것으로 일정한 수직 1주기시간(A1)에서 변화되는 1주기 영상 시간(B1) (B2) (B3) (B4)에 의하여 실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스캔라인수가 상이하게 된다.
즉 제1도의 (a)에서 모니터에 나타나는 스캔라인수는 각각 B1/A1, B2/A2, B3/A3, B4/A4로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모니터에서는 고정된 수직 증폭 률에 의하여 전체의 화면 사이즈는 동일하나 실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폭이 스캔라인수에 비례하여 각각 제1도의 (b)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각 영상 모우드에 따른 영상신호 및 수직, 수평 동기신호를 감지하여 영상 시간(B1-B4)에 반비례되어 영상폭이 조절되게 함으로써 라스트폭 Z1=Z2=Z3=Z4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게 한 것으로 제2도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자(1) (2)에 저항(R1) (R2) 및 콘덴서 (C1)(C2)로 구성된 충방전회로(3) (4)를 연결시켜 일정한 기준전압 이상이 일측단자가 접지된 게이트(EX1) (EX3)의 타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그 게이트(EX1) (EX3)의 출력이 멀티플렉서(9)의 입력단자(A) (B)에 인가되는 동시에 게이트(EX2) (EX4)의 일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타측단자에는 충방전회로(3) (4)의 출력이 인가되게 게이트 제어부(5)(6)를 구성시켜 수평발진부(7)와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 인가되게 구성한 것으로 게이트 제어부(5) (6)의 각 게이트(EX1-EX4)는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이하 게이트라 칭함)로 구성시켜 수평발진부(7)와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는 항상 포지티브(+)의 펄스 신호가 인가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게이트 제어부(5)(6)의 출력이 멀티플렉서(9)의 두 입력단자(A)(B)에 인가되어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 연결된 수직폭 조정용 가변저항(VR1-VR4)이 선택되게 구성시켜 증폭도가 결정되게 구성한 것으로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서 콘덴서 (C3)를 통하여 수직편향코일(LV)로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게이트 제어부(5)(6)의 출력이 수직발진 및 증폭부(8)와 수평발진부(7)에 항상 포지티브 펄스로 인가되어야만 정상적인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먼저 입력단자(1)에 수직 동기신호(VS)가 인가되는 경우에서 포지티브 펄스일 경우에는 충방전회로(3)의 콘덴서(C1)에 충전되는 펄스폭이 일정한 기준 레벨보다 적기 때문에 노우드(P1)는 저전위 상태가 되면서 게이트(EX2)의 일측에 포지티브 펄스를 인가시키며 역으로 네가티브 펄스가 인가될때에는 콘덴서(C1)에 충전되는 펄스폭이 일정한 기준 레벨보다 많기 때문에 모우드(P1)는 고전위 상태가 되면서 게이트(EX2)의 일측에 네가티브 펄스를 인가시키게 되는 것으로 충방전회로(3) (4)의 노우드(P2)와 게이트(EX2)(EX4)의 일측은 서로 상반되는 상태 신호가 인가하게 되어 게이트(EX2) (EX4)의 출력은 항상 포지티브 펄스가 출력된다.
즉 노우드(P1)에 저전위 상태 신호가 인가될때에는 타측이 접지된 게이트(EX1)는 고전위 상태신호가 출력되며 노우드(P3)에 고전위 상태가 인가될때에는 게이트 (EX2)의 출력은 고전위 상태신호가 출력되게 되고 반대로 노우드(P1)에 고전위 상태 신호가 게이트(EX1)의 일측에 인가되고 타측에는 접지된 상태신호가 인가되어 출력점 (g)이 저전위 상태신호가 이 저전위 상태신호가 노우드(P3)의 저전위 상태신호에 의하여 게이트(EX2)는 고전위 상태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수직 동기신호의 포지티브나 네가티브 펄스가 입력단자(1)에 인가된다 하여도 항상 포지티브의 펄스가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 인가되어 정상적인 구동을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동일하게 입력단자(2)에 인가되는 수평 동기신호가 포지티브나 네가티브 펄스로 입력된다 하여도 수평 발진부(7)는 항상 포지티브 펄스에 의한 정상적인 구동을 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입력단자(1)(2)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에 따라 항상 게이트 제어부(5)(6)의 출력은 포지티브 상태신호의 펄스를 수평발진부(7)와 수직발진 및 증폭부(8)에 인가시키고 입력단자(1)(2)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의 포지티브나 네가티브 펄스에 따라 게이트(EX1)(EX3)의 출력 상태신호가 멀티플렉서(9)에 인가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가변저항(VR1-VR4)은 다음 표와 같다.
Figure kpo00002
H : 고전위 상태신호
L : 저전위 상태신호
따라서 각기 다른 영상 모우드에 따라 출력되는 수직 1주기 영상 시간(B17B4)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VS)(HS)의 상태에 따라 수직 증폭률을 결정하는 가변저항(VR1-VR4)이 선택되고 가변저항(VR1-VR4)은 수직발진 및 증폭부(8)의 에미터 저항값이 변하게 되어 수직편향코일(LV)에 흐르는 전류치를 변화시킬 수가 있어 항상 일정한 수직 영상폭을 모니터로 출력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초기 모니터 생산시 가변저항(VR1-VR4)를 수직 영상시간(B1-B4)에 따라 일정한 수직 영상폭이 되도록 조정하여두면 각각 상이한 4가지의 영상 스켄라인에 따른 상태 신호를 항상 모니터에서 일정한 수직폭으로 볼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의 수직 1주기의 영상시간(B1-B4)에 따라 각 영상 모우드가 변화되는 것을 착안하여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의 상태에 따라 게이트 제어회로의 출력으로 항상 포지티브 펄스의 동기신호를 공급하는 동시에 멀티 플렉서를 제어하여 수직증폭용 가변저항을 선택할 수가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수직증폭도를 결정할수 있어 항상 모니터의 수직 영상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모니터의 수직 영상폭 자동조절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니터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HS)의 상태신호가 충방전회로 (3) (4)에서 일정한 기준 레벨과 비교되어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 (EX1-EX4)로 구성된 게이트 제어회로(5)(6)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수직발진 및 증폭부 (8)와 수평발진부(7)에 항상 포지티브 동기신호가 인가되게 구성하고 게이트 제어회로(5)(6)에서 밀터플렉서(9)의 출력을 제어하여 수직증폭용 가변저항(VR1-VR4)이 선택되도록 구성시킨 모니터의 수직 영상폭 자동조절회로.
KR1019850005878A 1985-08-12 1985-08-12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KR89000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878A KR890000945B1 (ko) 1985-08-12 1985-08-12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878A KR890000945B1 (ko) 1985-08-12 1985-08-12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13A KR870002713A (ko) 1987-04-06
KR890000945B1 true KR890000945B1 (ko) 1989-04-14

Family

ID=1924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878A KR890000945B1 (ko) 1985-08-12 1985-08-12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13A (ko) 198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563A (en) Variable format controls CRT raster
KR890000945B1 (ko) 모니터의 수직영상폭 자동조절회로
KR920010501B1 (ko) 수직편향신호의 진폭 제어장치
US55260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time-scale waveforms of a signal
KR960014329B1 (ko) 발진회로
US3784872A (en) Scan deflection circuit device
KR910005334Y1 (ko) 칼라모니터의 pga 모드시 수직크기 조정회로
JPS5834492A (ja) 液晶表示素子の駆動回路
JPS6141338Y2 (ko)
JPS58169181A (ja) 偏向回路
US4549118A (en) Step waveform generator and CRT vertical timebase incorporating such a generator
KR0122528Y1 (ko) 영상기기의 문자 표시회로
KR0178183B1 (ko) 클램프 신호 생성 동작 제어방법
KR930007346Y1 (ko) 모니터의 모드 자동절환 회로
KR950009511Y1 (ko) 모니터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KR200187011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전류제한회로
KR0124557B1 (ko) Ntsc 시그널의 1/2 h 신호 제거회로
KR100341705B1 (ko) 전원 동기화를 위한 방법, 장치, 제어 회로
KR930000458Y1 (ko) 모니터의 수직사이즈 자동 보정 회로
KR100303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별 수평사이즈 제한 회로
KR910002777B1 (ko) 비디오처리용 펄스성형회로
KR950000823Y1 (ko) 수직 편향신호의 변동에 따른 화면크기 조정회로
KR0165239B1 (ko) 멀티싱크 편향장치
JPS6141337Y2 (ko)
KR100225036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스포트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