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20Y1 -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20Y1
KR930002020Y1 KR2019890019100U KR890019100U KR930002020Y1 KR 930002020 Y1 KR930002020 Y1 KR 930002020Y1 KR 2019890019100 U KR2019890019100 U KR 2019890019100U KR 890019100 U KR890019100 U KR 890019100U KR 930002020 Y1 KR930002020 Y1 KR 930002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vacuum
booster
vacuum chamber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391U (ko
Inventor
박창록
Original Assignee
박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록 filed Critical 박창록
Priority to KR2019890019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020Y1/ko
Publication of KR910011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20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의 본 고안에 따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따른 제1솔레노이드 밸브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따른 제2솔레노이드 밸브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따른 하이드로백의 배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진공실 2b : 저압실
3 : 다이어프램 4 : 제1솔레노이드밸브
5 : 제2솔레노이드밸브 6 : 스위치장치
31 : 진공통로
본 고안은 부스터 브레이크(booster brak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자동차에 신규의 자동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개선한 부스터 브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88-18139호(공고번호 제91-2021호 참조)의 자동차 운행중 임의 정차시 자동제동 및 전조등 점멸 장치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8-18356호(공고번호 제91-8957호 참조)의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조작용 부스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스터에 있어서는 기존에 설치된 부스터 브레이크에 별도의 부스터 브레이크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공정이 많아짐에 따라 낙업능률이 저하되면서도 설치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제작단가가 부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1-109160호(공개일 : 1989. 4. 26)에는 전후부 압력실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 및 이 후부 압력실과 대기와의 연통하는 통로를 절환하고, 전, 후부 압력실 사이의 입력차에 의해 변위하는 피스톤에 연통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와, 전후부 압력실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1전자 밸브와, 후부압력실과 부압원 사이의 연통통로를 개폐하는 제2전자 개폐밸브와, 악셀신호의 ON, OFF에 따라 제1전자개폐밸브를 개폐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차량의 정지를 유지하는 정차유지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본 특허에서는 제1전자밸브의 개방시, 밸브 폐쇄부가 스프링을 누르면서 전후부압력실 연통통로에서 떨어져서, 연통통로를 통한 공기가 밸브측방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서 전부압력실과 통하지만, 제1전자밸브의 폐쇄시에는 개방시에 눌려져 있던 스프링이 반력으로 밸브폐쇄부가 연통통로를 폐쇄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롤, 밸브측방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부압이 작용하게 되어 스프링이 반력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는 작동상의 결함이 있었으며, 제어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제작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이러한 작동상의 결함을 간단한 구조로 해소하고 제작단가를 낮추면서 양호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부스터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스와 커버사이에 내장하여 진공실과 저압실이 구획형성되게 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고 이 다이어프램에는 진공실과 저압실 사이로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형성된 진공통로와, 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력을 계속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 반대로 개폐동작하며, 진공실과 연통되는 구멍을 밸브작동봉의 헤드부쪽에 형성하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시 헤드부안쪽에 구멍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특징을 구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케이스(1a)의 커버(1b)사이에 내장하여 진공실(2a)과 저압실(2b)이 구획형성되게 다이어프램(3)을 구비하고, 이 다이어프램(3)에 진공통로(31)와, 이 진공통로(31)의 진공실(2a)및 저압실(2b)측에 각각의 제1솔레노이드밸브(4)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를 구비한다.
다이어프램(3)의 진공통로(31)는 진공실(2a)과 저압실(2b)사이에 공기를 통한다. 제1솔레노이드밸브(4)는 진공통로(31)의 진공실(2a)측에 설치하며, 그에 연결된 제1전원선(4a)은 케이스(1a)에 고정된 소켓(4b)과 연결되고, 소켓(1b)은 자동차 운행중에 발전하는 스위치장치(6)에 연결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작동봉(4c)의 헤드부 쪽에 구멍(4d)을 형성한다.
제2솔레노이드밸브(5)는 제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통로(31)의 저압실(2b)측에 부착한 커버(1b)의 대기유압관(5a)에 제2솔레노이드밸브(5)를 부착하며, 그 제2솔레노이드밸브(5)에 연결된 제2전원선(5b)은 자동차 운행중에 발전하는 스위칭장치(6)와 연결하고 또 그 제2솔레노이드밸브(5)에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포켓(5c)을 설치한다. 이 에어포켓(5c)의 크기에 따라 다이어프램(3)의 작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포켓(5c)을 없앨 경우에는 외부와 관통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c는 커버(1a)에 부착된 부압연결관, 1d는 부압연결관(1c)에 연결된 흡입매니폴드, 7은 회전감지센서이다.
이하, 본 고안은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정지상태 또는 자동차 운행중 신호대기에 의해 수평도로 및 경사진 도로에서 임의 정차하고자 할때에는 통상의 방법인 브레이크 페달을 운전자가 밝으면 자동차의 바퀴가 완전히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감지센서(7)에 바퀴의 회전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치장치(6)가 작동되지 않아서 개로상태의 제1솔레노이드밸브(4)와 페로상태의 제2솔레노이드밸브(5)가 작동되지 않는데, 이는 제2도에서 도시한 다이어프램(3)의 실선상태를 유지하나, 자동차의 바퀴가 완전히 멈춘상태에서는 회전감지센서(7)에서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제1,2솔레노이드밸브(4,5)와 연결된 스위치장치(6)가 작동됨에 의해 개로상의 제1솔레노이드밸브(4)는 제3도에 도시한 밸브작동봉(4c)가 가상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되므로서 구멍(4d)을 폐쇄하여 진공실(2a)이 진공상태로 되는 한편, 폐로상의 제2솔레노이드밸브(5)는 개로되어 저압실(2b)을 제4도에서 도시한 밸브작동봉(5d)이 실선상태에서 가상선의 열린상태로 되어 대기유입관을 통하여 공기를 유입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저압실(2b)내의 진공은 낮아짐에 따라 압력은 높아지고, 진공실(2a)내의 진공은 높아짐에 따라 압력은 낮아지므로, 이 압력차가 다이어프램(3)과 연결된 매스터 실린더를 동시에 밀면서 제동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태에서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을 자동으로 제동시키게 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더라도 다시 주행할때까지 제동상태를 유지시키게 됨으로, 경사진 도로에 임의 정차시 주행 또는 후진 방향으로 자동차가 밀려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제동된 상태에서 제동상태를 헤제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오른쪽에 설치된 액셀레이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밟게 되면 액셀레이터 페달과 연결된 스위치장치(6)에 의해 페로상의 제1솔레노이드밸브(4)는 제3도에 도시한 밸브작동봉(4c)이 실선상태에서 가상선상태가 되어 구멍(4d)이 개방되므로 진공실(2a)이 관통상태로 되는 한편, 개로상의 제2솔레노이드밸브는 제4도에서 도시된 밸브작동봉(5d)이 가상선상태에서 실선상태의 막힌상태로 되면서 대기유입관(5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저압실(2b)과 통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다시말해서 저압실(2b)내의 진공은 높아짐에 따라 압력은 낮아지고, 진공실(2a)내의 진공은 낮아짐에 따라 압력은 높아지게 되므로, 이 압력차이와 진공실(2a)내의 설치되 탄지수단의 복원력으로 다이어프램(3)은 브레이크페달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다이어프램(3)과 연결된 매스터 실린더를 동시에 원상복귀시키면서 제동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와 커버사이에 내장하여 진공실과 저압실이 구획형성되게 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고, 이 다이어프램의 진공실과 저압실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진공통로를 형성하고, 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력을 계속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4)(5)가 스위치장치(6)의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 반대로 개폐동작하며, 진공실(2a)과 연통되는 구멍(4d)을 밸브작동봉(4c)의 헤드부쪽에 형성하되,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4)의 개방시 헤드부 안쪽에 구멍(4d)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KR2019890019100U 1989-12-16 1989-12-16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KR930002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100U KR930002020Y1 (ko) 1989-12-16 1989-12-16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100U KR930002020Y1 (ko) 1989-12-16 1989-12-16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91U KR910011391U (ko) 1991-07-29
KR930002020Y1 true KR930002020Y1 (ko) 1993-04-23

Family

ID=7018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100U KR930002020Y1 (ko) 1989-12-16 1989-12-16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0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91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31050A (ja) 負圧ブレーキブースタ
JPS6141652A (ja) ブレ−キシステム
WO2001098122A3 (d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2743405B2 (ja) 液圧倍力装置を用いた停車保持装置
GB2161875A (en) Automatic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e g for hill starts
JPS60206763A (ja) ブレーキ力発生装置
KR930002020Y1 (ko) 자동제동력을 부여하는 부스터 브레이크
JPS6452568A (en)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KR0130389B1 (ko) 진공 배력식 안전 브레이크
JPS6230831Y2 (ko)
KR19990031155U (ko) 자동주행시스템
JPS6347539Y2 (ko)
KR950006014Y1 (ko)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544739U (ja) 車両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9980019553U (ko) 브레이크 지속유지장치
KR19980013269U (ko) 자동 변속기의 제동장치
KR19990043383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JP2572195Y2 (ja) エキゾーストブレーキ装置
KR0130390B1 (ko) 진공 배력식 안전 브레이크
KR200239456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압력 보상장치
KR100224427B1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H04169344A (ja) 東両のストップランプ装置
KR19980035819A (ko) 자동차용 배력식 브레이크의 진공식 제동배력장치
KR890007444Y1 (ko) 자동차의 파워 브레익의 자동 제어장치
KR100204710B1 (ko)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