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765B1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1765B1 KR930001765B1 KR1019870000813A KR870000813A KR930001765B1 KR 930001765 B1 KR930001765 B1 KR 930001765B1 KR 1019870000813 A KR1019870000813 A KR 1019870000813A KR 870000813 A KR870000813 A KR 870000813A KR 930001765 B1 KR930001765 B1 KR 930001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lley
- bogie
- drive block
- contact
- conveying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제1실시예의 누적전의 개략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Ⅱ-Ⅱ선을 따라 얻어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 확대 측면도.
제4도는 상기 전후의 대차의 누적직전의 양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 확대 측면도.
제5도는 상기 전후의 대차의 누적시의 양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 확대 측면도.
제6도는 누적시의 개략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만의 평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누적전의 한쪽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를 표시하는 대차 측면도.
제9도는 상기 제8도중 Ⅸ-Ⅸ선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상기 제8도중 Ⅹ-Ⅹ선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상기 대차간의 충돌순간을 표시하는 부분 측면도.
제12도는 상기 구동블록의 회전운동후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측면도.
제13도는 상기 대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2 : 차륜
3, 3B, 3F : 대차 4, 34 :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
5 : 반송대상물 6, 26 : 구동블록
7, 27 : 배력작동체 9, 28 : 핀
10, 30 : 스프링, 17 : 스토퍼
18, 29 : 고정부재 21, 27A : 출력단
22. 36 : 입력단 23 : 전후단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대차(台車)를 소정의 레일에 따라 이동하든지, 임의의 장소에서 레일위에 정지시키든지해서, 레일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작업공정에 있어서의 각각의 작업시간의 분산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소위 누적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적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대차가 스토퍼나 선행의 대차에 당접해서 정지했을 때, 벨트나 체인등의 반송대상물(搬送帶狀物)과의 접촉이나 맞물림을 끊어 정지시켜, 그의 정지위치에 대차를 누적(축적)하는 방식과, 상기 반송대상물과의 접촉이나 맞물림을 끊지 않고 누적하는 방법이 있다.
상술의 벨트나 체인등의 반송대상물과의 접촉이나 맞물림을 끊어서 정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반송대상물인 벨트와의 접촉이나 체인등과의 맞물림을 끊기 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컨베이어 장치로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 누적시의 대차가 걸어멈춰지지 않고 자유로이 주행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대차의 자유주행을 제지하는 위치 규제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어느쪽이든 컨베이어 장치 전체로서 가격이 비싸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 반송대상물과의 접촉이나 맞물림을 끊는일 없이, 대차를 누적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반송대상물인 벨트와 로울러와의 사이의 미끄러짐 마찰력, 체인휘일과의 마찰접촉에 있어서의 미끄럼 마찰력등의 새로운 계지력에 대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누적시의 반송대상물에 의한 상기 계지력의 반력인 라인압력이 커지고, 이 반력에 대처하기 위해 스토퍼의 강도나 벨트, 체인등의 반송대상물의 강도를 크게할 필요가 생겨, 라인압력을 작게하려고 하면 상기의 계지력을 작게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스토퍼의 계지가 해제되어 대차를 다시 스타아트 시킬 때, 미끄럼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차가 용이하게 재발진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누적시에 대차와 반송대상물과의 접촉을 끊어서 대차를 정지시키는 방식에 가까운 것이고, 레일상을 주행하는 대차가 평상시는 상기 레일과 병행하여 주행하는 반송대상물에 압접되어 주행 구동되고 대차군이 정지되는 누적시에는 대차측과 반송대상물과의 압접이 해제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전후단에는 각각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가 설치되고, 이 압접구동유니트부에는 대차의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핀 주위에 회전운동할 수 있는 구동블록이 설치되고, 이 구동불록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반송대상물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식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부설되어 있고, 또 상기 압접구동블록유니트부에 설치된 배력작동체의 입력단은 대차의 전후단면보다 돌출되어 있고, 이 배력작동체의 입력단은 누적시에 전후대차의 서로 대치하는 입력단이 새로 압접 가압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배력작동체의 출력단은 상기 가압스프링에 압축력을 작용시일 수 있는 대차측 고정부재에 마주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벨트등의 반송대상물을 사용하여, 복수의 대차를 스토퍼등의 정지수단에 의해 레일상에서 정지시켰을 때 후속하는 대차자신에 인가되는 주행추진력에 의해, 대차군의 최전단 및 최후단의 구동블록을 제거하고, 구동블록과 반송대상물과의 접촉계합을 부분적으로 끊어서 대차를 누적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지만, 누적시의 라인압력을 현저하게 작게할 수가 있고, 또한 스토퍼 해제시에는 선두의 대차를 즉시, 또 선두의 대차로부터 순차로 대차군을 용이하게 재발진시킬 수 있는 작동이 확실하고, 그위에 코스트가 싼 누적 컨베이어를 얻을 수 있는 작용을 유지한다.
이하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레일(1)상을 차륜(2, 2)을 통해서 주행 자유롭게 되어 있는 대차(3)가, 상기 레일(1)과 병행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는 반송대상물(5; 도시예에서는 벨트)을 통해서 주행 구동되는 컨베이어 장치이고, 상기 대차(3)의 전후단에는 각각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4)가 설치되어, 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구동블록(6)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송대상물(5)에 상기 접촉계합하는 것처럼 가압되어 있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차(3, 3)군이 스토퍼(17)에 당접하여 정지되어 있는 누적시에, 제4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의 대차(3, 3)가 서로 대치하는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4)의 대차의 전후단면(23, 23)에서 돌출한 배력작동체인 레버가 서로 압접가압되어, 그의 압접 가압력에 의해 상기 양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4)의 레버(7) 및 구동블록(6)으로 이루어지는 배력작동체가 각각 작동되어져, 이 배력작동체에 의해 각각의 상기 구동블록(6, 6)이, 제5도 및 제6도에서도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송대상물(5)에서 격리되어, 대차(3, 3)군을 저지하는 상기 스토퍼(17)에 상기 대차(3, 3)군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현저하게 경감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륜의 레일상을 주행하는 안내장치로서는, 플랜지부착의 차륜에 의해서도 좋으나, 제2도에서 도시하는 상기 안내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쪽의(도면중 우측의) 차륜(2)의 양측에 가이드로울러(16, 16)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로울러(16, 16)에 의해 한쪽의(도면중 우측의) 레일(1)을 협지하면서 대차(3)가 레일(1)상을 주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반송대상물(5)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레일(1)에 병행하여 주행하는 무한궤도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4)와 접촉하는 상측의 접촉부분(5a)이, 벨트받침레일(11)상을 상기 레일(1)에 병행해서 안내 주행시켜지고 있다.
상기 반송대상물(5)은, 엔드풀리(12, 12)의 사이에 길게 설치되고, 조리개 풀리(13, 13) 및 구동풀리(14)에 가설되어 있다.
이 구동풀리(14)가 원동기(15)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구동되면, 반송대상물(5)은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한다.
제2도 내지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4)는 삽착홈(揷着溝)(24)의 오목설치된 구동블록(6)과 상기 삽착홈(24)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블록(6)의 상단부(19) 가까이에 핀(8)을 통해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받이되는 배력작동체인 레버(7)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블록(6)은, 대차(3) 하면에 세워져 있는 설치편(18)에 핀(9)을 통해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스프링(10)에 의해 상단부(19)가 대차(3)의 하면에 근접하고, 하단부(20)가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상기 레버(7)는 상기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해 핀(8)에 가까운 레버상단부(21)가 경사지게 면접촉 형태로 대차(3)의 하면에 당접하고, 핀(8)에서 떨어진 레버 하단부(22)가 경사진 아래에 대차(3)의 전후단면(23)에서 돌출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에는 구동블록(6)이 설치되어, 이 구동블록(6)은 스프링(10)에 의해 상기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에 면접촉하는 것 같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구동블록(6)은 상기 접촉부분(5a)면상을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대차(3)는 반송대상물(5) 상을 이 반송대상물(5)의 주행과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도에 있어서, 레버(7)의 핀(8)에서 떨어진 레버하단부(22)가 화살표(B) 방향의 수평인 추진력을 받으면, 레버(7)는 핀(8)의 둘레에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력을 받아, 핀(8)에 가까운 레버상단부(21)의 상첨단(25)에 있어서 대차(3)의 하면에 압접하여, 그의 압접력의 반력에 의해 구동블록(6)을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핀(9) 둘레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려 한다.
즉 레버(7) 및 구동블록(6)으로 이루어지는 배력작동체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7)는 구동블록(6)의 삽착홈(24)에 삽착되는 대신에, 구동블록(6)의 측면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스프링(10)의 핀(9)을 지점으로해서 구동블록(6)을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에 압착하는 가압력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선행하는 대차(3F)가 정지중에 후속하는 대차(3B)가 선행하는 대차(3F)에 추돌하는 경우에 대차(3B)가 반송대상물(5)과 대차(3B)의 구동블록(6)과의 압착에 의해, 반송대상물(5)에 인가되는 추력에 의해 양 대차(3F, 3B)의 레버(7, 7)가 당접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압착되고, 이 레버(7, 7) 및 구동블록(6, 6)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배력작동체에 의해 각각의 구동블록(6, 6)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핀(9) 둘레에 회전운동시켜져서,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의 상면에서 극간(n)을 생기게하는 것처럼, 각각의 하단부(20, 20)가 상승시켜질만큼의 가압력이 생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는 대차(3)의 주행이동시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구동블록(6) 및 레버(7)의 위치관계가 표시되어 있다.
반송대상물(5)이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으면, 구동블록(6)은 반송대상물(5)에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해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블록(6)은 접촉부분(5a)으로 반송대상물(5)에 접촉되어 있고, 대차(3)는 반송대상물(5)의 주행과 같이 미끄러지는 일없이 이동한다.
대차(3)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17)나 선행하고 있는 대차(3)의 정지중에 있는것등에 의해 정지시켜졌을 경우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에 대해서, 제4도 및 제5도에 의해 설명한다.
반송대상물(5)이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고, 대차(3F)가 스토퍼등으로 정지되어지면, 대차(3F)의 압정구동블록 유니트부(4)도 당연히 정지하고, 반송대상물(5)과 구동블록(6)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이겨서 미끄러짐이 생기고, 반송대상물(5)만이 계속 주행되어진다. 정지하고 있는 대차(3F)에 후속해서 주행하고 있는 대차(3B)가 당접해서 정지되어지면, 우선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차(3F)의 후측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레버(7)의 레버하단부(22)와, 대차(3B)의 선두의 압접 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레버하단부(22)가 당접되어 서로 밀고, 양 레버하단부(22)에 서로 반력을 구성하는 추진력이 각각 인가되어, 양 레버(7, 7)는 각각 핀(8, 8)을 회전운동 중심으로해서 밀어돌려지고, 상술의 배력작동체에 의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구동블록(6, 6)이, 스프링(10, 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각각 핀(9)을 회전운동 중심으로해서 회전운동 되어진다.
그 결과, 양 구동블록(6, 6)은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에서 극간(n)만을 떨어진 상태로, 양 대차(3F, 3B)는 단면(23, 23)의 당접한 위치에서 반송대상물(5)로부터의 반송추력을 받는 일 없이 정지되어진다.
이 경우 대차(3B)의 후단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구동블록(6)은 반송대상물(5)과 미끄러짐이 생기면서 압착되어 있고, 상기 대차(3F, 3B) 사이의 추력의 발생원인으로 되어 있다.
똑같이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또한 후속하는 대차(3C, 3D)가 똑같이, 중간의 압접구동블록부(4, 4)의 구동블록(6, 6)과, 반송대상물(5)과의 접촉이 풀린상태로 정지되어진다.
따라서 대차(3)열이 정지되어졌을 때, 스토퍼(17)에 대차(3)열에 의해 인가되는 라인압력은, 선두의 대차(3F)의 앞부분의 압접구동블록부(4F)의 구동블록(6F)과, 최후미의 대차(3D)의 후부분의 압접구동블록부(4D)의 구동블록(6D)의 각 1개, 각 2개, 즉 대차(3)의 1대분의 라인압력 뿐이고, 다수의 대차(3)열을 대차(3) 1대분의 작은 라인압력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고, 작은 라인압력에 의해 대차의 위치규정을 정할 수가 있고, 극히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의 스토퍼(17)등에 의한 대차(3)군으로의 정지력이 해제되면, 선두의 대차(3F)의 앞부분의 구동블록(6F)은,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반송대상물(5)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3F)는 즉시에 발진이 가능하다.
대차(3F)가 발진하고, 대차(3F, 3B)의 각각 당접하고 있는 레버(7, 7)의 당접이 해제되면, 대차(3F)의 후부분과, 대차(3B)의 앞부분의 각각의 구동블록(6, 6)은 각각의 스프링(10, 10)의 가압력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송대상물(5)의 접촉부분(5a)과의 압접이 재개되어, 대차(3F)가 먼저 발진되기 때문에, 대차(3F)와 대차(3B)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 대차(3)의 전후의 구동블록(6, 6)과 반송대상물(5)의 압접에 의해, 각 대차(3)는 반송대상물(5)에 추종해서 반송주행이 재개된다.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의 작동은 반송대상물(5)의 주행방향이 역이라 하여도 동일하게 작동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17)의 형상은 여러 가지의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최전단의 압접구동블록부(4)의 레버(7)도 압접할 수 있는 구조의 것으로 하면, 상기 구동블록(6F)과 반송대상물(5)과의 압접도 해제할 수가 있고, 상기 라인압력은 다시 반감된다. 단, 최후단의 구동블록(6D)과 반송대상물(5)과의 압접은 상기 추진력과 안정된 정지상태 지지력의 발생상 필요하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일(1)상을 차륜(2, 2)을 통해서 주행 자유롭게 되어 있는 대차(3)가, 상기 레일(1)과 병행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는 반송대상물(5 ; 도시예에서는 벨트)을 통해서 주행 구동되는 컨베이어 장치이고, 상기 대차(3)의 전후단에는 각각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 34)가 설치되어, 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의 구동블록(26)은 제8도, 제11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송대상물(5)에 상기 접촉계합하는 것같이 가압되어 있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대차(3, 3)군이 스토퍼에 당접해 정지되는 누적시에,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의 대차(3, 3)가 서로 대치하는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 34)의 대차의 전후단면(23, 23)에서 돌출되어 있는 배력작업체인 푸쉬로드(32, 32)가 서로 압접 가압되고, 그의 압접 가압력에 의해 상기 양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 34)의 푸쉬로드(32) 및 구동블록(26)의 레버부(27)로 이루어지는 배력작동체가 각각 작동되어져, 이 배력작동체에 의해 각각의 상기 구동블록(26, 26)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반송대상물(5)에서 격리되어, 제1실시예와 같이 대차(3, 3)군을 저지하는 상기 스토퍼에 상기 대차(3, 3)군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인가되는 라인압력이 현저하게 경감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차륜(2) 및 반송대상물(5)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는 구동블록(26), 스프링(30), 푸쉬로드(3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블록(26)은 상단에 레버부(27)가 연설되고, 이 레버(27)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푸쉬로드(32)를 협지하는 것같이 포크상으로 두갈래로 분기되고, 하단 가까이에 대차(3)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부착편(29)에 핀(29)을 통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상단의 레버부(27)가 대차(3)의 단면(23)의 방향으로 하단의 접촉부(31)가 상기 반송대상물(5)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32)는, 상기 부착편(29)에 수평으로 뚫려져 있는 삽입공(39)내를 수평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삽착되고,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5)가 상기 부착편(29)에 당접하는 한도에 있어서 충격흡수기(33)에 의해 로드선단부(36)가 대차(3)의 단면(23)에서 돌출하는 위치에 편향 지지되고, 또,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37)이 선단부(36) 가까이로 상기 레버(27)에 당접하지 않는 멈춤볼트(38)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32)에 부착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조정볼트(40)에 의해, 상기 반송블록(26)으로의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부착편(29)에 수평방향으로 계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에는 반송블록(26)이 설치되고, 이 구동블록(26)은 스프링(30)에 의해 핀(28)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접촉부(31)에 있어서 상기 반송대상물(5)에 면접촉하는 것같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구동블록(26)은 상기 반송대상물(5) 상을 미끄러지는 일없이, 따라서 대차(3)는 반송대상물(5) 상을 이 반송대상물(5)의 주행과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8도에 도시하는 로드선단부(36)가 화살표(A)와 역방향의 수평인 추진력을 받으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쉬로드(32)는 충격흡수기(33)의 가압력에 이겨서 후퇴하고, 링(37)이 레버부(27)에 당접해서, 또한 스프링(30)의 가압력에도 이겨서 후퇴한다.
이때 구동블록(26)은 핀(28)보다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레버부(27)에 인가되는 상기 푸쉬로드(32)에 의한 추진력에 의해, 핀(28)의 둘레에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력을 받아, 상기 접촉부(31)와 반송대상물(5)사이에 인가되는 압접력보다 훨씬 작은 회전운동력으로 회전운동된다. 푸쉬로드(32) 및 구동블록(26)에 의한 배력작동체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0)이 핀(28)을 지점으로해서, 반송블록(26)을 접촉부(31)에 있어서 반송대상물(5)에 압접하는 압접력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행하는 대차(3F)가 정지중에 후속하는 대차(3B)가 선행하는 대차(3F)에 추돌하는 경우에 대차(3B)가, 반송대상물(5)과 대차(3B)의 구동블록(26)과의 압착에 의해, 반송대상물(5)에 의해 인가되는 추력에 의해 양 대차(3F, 3B)의 푸쉬로드(32, 32)가 로드선단부(36, 36)에서 당접하고 서로 수평방향으로 압착되고, 각각의 구동블록(26, 26)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28) 둘레에 회전운동되어, 반송대상물(5)의 상면에서 극간(n)을 생기게 하는 것처럼, 각각의 접촉부(31, 31)가 상승되어지는 만큼의 가압력이 생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8도 및 제13도에는 대차(3)의 주행이동시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의 구동블록(26)의 위치관계가 표시되어 있다. 반송대상물(5)이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으면, 구동블록(26)은 구동대상물(5)에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블록(26)은 접촉부(31)에서 반송대상물(5)에 접촉되어 있고, 대차(3)는 반송대상물(5)의 주행과 같이 미끄러지는 일없이 이동한다.
대차(3)가 스토퍼나 선행하고 있는 대차의 정지중의 것등에 의해 정지되어졌을 경우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에 대해서, 제11도 및 제12도에 의해 설명한다.
반송대상물(5)이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고, 대차(3F)가 스토퍼등으로 정지되어지면, 대차(3F)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도 당연히 정지하고, 반송대상물(5)과 구동블록(26)과의 사이는,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이겨서 미끄러짐이 생기고, 반송대상물(5)만 계속해서 주행시켜진다.
정지하고 있는 대차(3F)에 후속해서 주행하고 있는 대차(3B)가 당접해서 정지되어진다. 우선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차(3F)의 후측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의 푸쉬로드(32)의 로드선던부(36)와, 대차(3B)의 선두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의 푸쉬로드(32)의 로드선단부(36)가 당접해서 서로 밀고, 양로드선단부(36)에 서로 반력을 구성하는 추진력이 각각 인가되어, 양 푸쉬로드(32, 32)에 후퇴력이 인가된다. 푸쉬로드(32)가 후퇴하고, 링(37)과 레버부(27)가 당접하면, 양 구동브록(26, 26)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핀(28, 28)을 회전운동중심으로 해서 밀어돌려진다.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푸쉬로드(32)에 고정된 링(37)에 의해 밀어진 구동블록 레버부(27)가 부착편(29)에 당접한 위치에서 푸쉬로드(32)의 후퇴도 정지된다. 그결과, 양 구동블록(26, 26)이 반송대상물(5)에서 극간(n)만큼 떨어진 상태로, 양 대차(3F, 3B)는 상술의 푸쉬로드(32)의 후퇴 정지위치에서 반송대상물(5)에서의 반송추력을 받는 일없이 정지되어진다.
이 경우 대차(3B)의 후단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34)의 구동블록(26)은 반송대상물(5)과 미끄러짐이 생기면서 압착되어 있고, 상기 대차(3F, 3B)간의 추력의 발생원인으로 되어 있다. 똑같이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또한 후속하는 대차가 똑같이 중간의 구동블록(26)과 반송대상물과의 접촉이 풀어진 상태로 정지되어진다. 따라서 대차(3)열이 정지되어졌을 때, 제1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대차(3)열을 대차(3) 1대분의 작은 라인압력으로 정지시켜질 수가 있고, 작은 라인압력에 의해 각 대차의 위치규정을 이룰수가 있고, 극히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대차(3)군으로의 정지력이 해제되면, 제1실시예와 같이 각 대차(3)는 반송대상물(5)에 추종해서 반송주행이 재개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대차의 전후에 반송대상물에 계합하는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가 각각 설치되어, 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의 구동블록을 상기 반송대상물에 면접가능하게 항상 가압시킴으로써, 대차이동시에는 상기 구동블록이 미끄러지는 일 없이 반송대상물과같이 이동시켜짐으로서 대차가 주행시켜져, 대차군의 누적시에는 각 대차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의 배력작동체가 작동시켜짐으로써, 전후단의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 이외의 구동블록을 반송대상물에서 용이하게 격리시킴으로써, 대차군의 누적시에 있어서의 반송대상물 및 스토퍼에 인가되는 라인압력을 현저하게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부품수가 적고, 따라서 조립이 간단 용이하고, 누적시의 라인압력이 대차열의 대차가 다수로 되어도 대단히 작고, 따라서 원동기의 소요마력이 소마력의 것으로 충분하고, 스토퍼등의 계지력에 작아서 끝나기 때문에 소형스토퍼로 충분하고, 단일의 스토퍼로 다수의 대차가 계지가능하고, 스토퍼의 소요수가 작아도 되고, 부품의 부착 소요면적이 작아도 되므로 대차를 소형화할 수가 있고, 배력작동체를 사용함으로써, 작은 라인압력으로 구동블록을 반송대상물에서 회전운동에 의해 격리시킬 수 있고, 또 스토퍼해제시에 선두의 대차가 즉시 발진되고, 계속하여 후속되는 대차열의 각 대차를 순차로 재발송될 수 있다고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벨트의 주행방향 여하에도 불구하고 대차의 정지, 재주행의 작동이 용이 확실하고, 더구나 작동 소요동력이나 반송대상물 기타의 부재의 제작비, 보수비가 극히 작은 컨베이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 레일(1)상을 주행하는 대차(3)가 평상시는 상기 레일(1)과 병행하여 주행하는 반송대상물(5)에 압접되어 주행구동되고, 대차(3)군이 정지되는 누적시에는 대차측과 반송대상물(5)과의 압접이 해제될 수 있는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3)의 전후단(23, 23)에는 각각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34)가 설치되고, 이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34)에는 대차(3)의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핀(9, 28) 주위에 회전운동할 수 있는 구동블록(6, 26)이 설치되고, 이 구동블록(6, 26)에는 평상시는 상기 반송대상물(5)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식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 30)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압접구동블록 유니트부(4, 34)에 설치된 배력작동체(7, 27)의 입력단(22, 36)은 대차(3)의 전후단면(23, 23)보다 돌출되어 있고, 이 배력작동체(7, 27)의 입력단(22, 36)은 누적시에 전후의 대차(3B, 3F)의 서로 대치하는 입력단(22, 36)이 서로 압접 가압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력작동체(7, 27)의 출력단(21, 37A)은 상기 가압스프링(10, 30)에 압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대차(3)측 고정부재(18, 29)에 마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록(26)과 상기 배력작동체(27)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력작동체(27)에 푸쉬로드(32)가 부착되어 있고, 이 푸쉬로드(32)에는 평상시는 이 배력작동체(27)에 당접하지 않고, 누적시에는 이 배력작동체(27)에 당접하는 링(37)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푸쉬로드(32)의 선단부(36)가 배력작동체의 입력단이고, 대차(3)의 전후단면(23, 23)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32)의 선단부(36)가 충격흡수기(33)에 의해 대차(3)의 전후단면(23, 23)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3312986 | 1986-06-09 | ||
JP133129 | 1986-06-09 | ||
JP299355 | 1986-12-16 | ||
JP61299355A JPS63101210A (ja) | 1986-06-09 | 1986-12-16 | コンベヤ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0318A KR880000318A (ko) | 1988-03-24 |
KR930001765B1 true KR930001765B1 (ko) | 1993-03-13 |
Family
ID=1509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0813A KR930001765B1 (ko) | 1986-06-09 | 1987-02-02 | 컨베이어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101210A (ko) |
KR (1) | KR9300017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007800A1 (de) * | 1990-03-12 | 1991-09-19 | Handtmann A Punkt Automation | Transporteinrichtung |
US5921180A (en) | 1997-02-05 | 1999-07-13 | Lee; Duck Hee | Label stamper with tape loading means, guide means, holding means, stamping means, and replaceable cartridge |
JP5878996B1 (ja) * | 2015-01-29 | 2016-03-08 | 中洲電機株式会社 | 搬送装置及び搬送体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07309A (ja) * | 1983-05-06 | 1984-11-24 | Meikikou:Kk | 移動装置 |
-
1986
- 1986-12-16 JP JP61299355A patent/JPS63101210A/ja active Granted
-
1987
- 1987-02-02 KR KR1019870000813A patent/KR9300017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417841B2 (ko) | 1992-03-26 |
JPS63101210A (ja) | 1988-05-06 |
KR880000318A (ko) | 1988-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79423C (en) | Carrier type conveying apparatus | |
US10017327B2 (en) | Conveying equipment with utilization of conveying traveling body | |
EP1232967B1 (en) | Carriage conveyor | |
KR940003092B1 (ko) | 물품이송용 가동체반송장치 | |
TW200815273A (en) | Lift installation with braking equipment and method of braking in a lift installation | |
KR930001765B1 (ko) | 컨베이어 장치 | |
US5222587A (en) | Device for moving part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along a line for processing them | |
US9663301B2 (en) | Conveying-traveling-body-utilizing conveying device | |
JP3170578B2 (ja) |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 |
JPS6411502B2 (ko) | ||
US3769914A (en) | Speed synchronizing control arrangement for transport systems | |
US5996771A (en) | High speed shuttle conveyor system | |
SU1187712A3 (ru) | Установка с гравитационным проходным стеллажом | |
JP2547476B2 (ja) | 鉄道の分岐装置 | |
KR102664324B1 (ko) |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 |
US4574706A (en) | Conveyor system with alternative carrier propulsion | |
CN221521136U (zh) | 上料装置 | |
SU1039818A1 (ru) | Механизм стыковки трансбордерной тележки | |
SU1342831A1 (ru) | Вертикально-замкнутый цепной конвейер | |
JP6553528B2 (ja) | 台車搬送コンベア | |
SU1265102A1 (ru) | Вертикально-замкнутый тележечный конвейер | |
JPH0818552B2 (ja) | 台車利用の搬送装置 | |
JPS62211209A (ja) | 台車牽引装置 | |
JPS61122063A (ja) | 搬送用移動装置の駆動機構 | |
JPH06173203A (ja) | 鉄道の分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3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