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725Y1 -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725Y1
KR930001725Y1 KR2019900021684U KR900021684U KR930001725Y1 KR 930001725 Y1 KR930001725 Y1 KR 930001725Y1 KR 2019900021684 U KR2019900021684 U KR 2019900021684U KR 900021684 U KR900021684 U KR 900021684U KR 930001725 Y1 KR930001725 Y1 KR 930001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vehicle
horizontal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838U (ko
Inventor
양만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725Y1/ko
Publication of KR920011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제1도는 종래의 밧데리 접속구와 밧데리 단자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접속구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미날 10',10" : 체결편
12 : 밧데리 단자 14,16 : 볼트와 너트
18 : 전선 20 : 연결부
22 : 수직요(凹)홈 24 : 수평요홈
26 : 수직돌기 28 : 수평돌기
본 고안은 부식방지 및 접속기능을 강화시킨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밧데리로부터 각 전기계통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선과 밧데리를 접속시켜 주는 접속구는, 제1도에서와 같이, 연철재질의 터미날(10)과, 이 터미날(10)이 밧데리 단자(12)에 끼워진후 압착시켜 주기 위한 볼트와 너트(14,16) 및 전선(18)이 연결되는 연결부(20)으로 구성되어서, 원형의 밧데리 단자(12)에 터미날(12)에 터미날(10)을 끼운후 볼트와 너트(14,16)을 조여주는 것 만으로 접속이 이루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신차출고후 오랜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밧데리 단자(12)로 부터 터미날(10)이 쉽게 이탈되고(이같은 현상은 납으로된 단자(12)에 터미날(10)이 결속된 것이어서, 차량진동에 의하여 접촉불량이 잦게 됨), 밧데리 구성액이 밖으로 흘러나올때 밧데리 단자(12)가 부식되어서 결착력이 떨어져 이탈되는 경우도 있어서, 잘운행되던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아 당황하게 되는 경우는 물론, 헐거운 터미날을 자꾸 조이기만 하여 결속킬때에 밧데리 단자나 터미날이 파손되어 교환해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밧데리 구성액이 흘러나와 터미날이 부식됨을 방지시키고, 결착력도 보강시키기 위해 안출된 부식방지용 밧데리 접속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터미날과 밧데리 접속단자를 요철(凹凸)홈으로 형성시키고, 이들 접촉면 사이에는 구리스(GREASE)또는 방청액을 내재시켜서, 산화를 방지시키며 접착력도 우수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고안을 상술한다.
본고안은 체겨편(10',10")에 볼트(14)와 너트(16)가 체결되어 밧데리 단자(12)에 결속되는 터미날(10)의 내경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수직요(凹)홈 (22)을 형성시키고, 내경의 중간위치에도 내경을 따라 수평요홈(24)을 형성 시키며, 상기 밧데리 단자(12)는 수직요홈(22)과 결합되는 수직돌기(26)와 함께 수평돌기(28)가 형성된 밧데리 접속구 구조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접속구의 분리 사시도로써, 터미날(10) 내경에 수직의 요홈(22)이 다수개(본 고안예에서는 4개)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경중앙위치에도 수평요홈(24)이 형성되어서 부식방지용 구리스나 방청액의 보관기능과 함께 밧데리 단자(12)의 수평돌기(28)와 요철결합을 꾀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고안을 장착할대는 볼트(14)및 너트(16)을 풀어 터미날(10)의 체결편(10',10")을 다소 벌린 상태에서 밧데리 단자(12)에 끼운다. 이때 터미날(10)의 수직요홈(22)과 밧데리 단자(12)의 수직돌기(26)가 일치되게 조립하고, 수평요홈(24)이 수평돌기(28)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밧데리 표면으로부터 높이(h)를 갖게 한다.
이상태에서 볼트(14)를 조여서 체결하면 터미날(10)과 밧데리 단자(12)는 요철결합에 의해 결속력이 강화됨은 물론이며, 무엇보다도 밧데리 액이 흘러 넘치더라도 직접 터미날(10)에 닿지 않아 부식방지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종래에는 아무리 단단하게 결속시켜도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밧데리 단자로부터 터미날이 쉽게 이탈되었지만 수평요홈 및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탈이 방지되고, 터미날과 밧데리 단자 사이에는 구리스나 받침액을 바르게 되면 더욱 산화방지를 꾀할 수 있고, 이때 구리스나 방청액은 수평요홈에서 임시보관되기도 하여 산화방지에 따른 차량관리의 실요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한 구성과 기능의 본고안을 사용함에 따라 밧데리 구성액의 누출이 있더라도 그 높이(h)가 있어 터미날의 부식이 방지되며, 밧데리 단자에 터미날을 결속시키는 상태가 양호하여 터미날 이탈에 따른 시동이 걸리지 않을 염려가 없게 되어 차량유지관리에 효과적인 실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터미날(10)의 내경을 따라 다수개의 수직요홈(22)이 형성되고, 그 내경 중앙위치에는 수평요홈(24)이 형성되며, 밧데리 단자(12)에도 상기 터미날(10)이 채결된 후 수직요홈(22) 및 수평요홈(24)과 요철결합되는 위치에 수직돌기(26) 및 수평돌기(28)가 형성되어서 밧데리 단자에 전선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밧데리 접속구 구조에 있어서, 수평요홈(24) 및 수평돌기(28)는 터미날(10)과 밧데리 단자(12)가 결합된 후에 밧데리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h)를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KR2019900021684U 1990-12-29 1990-12-29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KR930001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684U KR930001725Y1 (ko) 1990-12-29 1990-12-29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684U KR930001725Y1 (ko) 1990-12-29 1990-12-29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38U KR920011838U (ko) 1992-07-24
KR930001725Y1 true KR930001725Y1 (ko) 1993-04-12

Family

ID=1930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684U KR930001725Y1 (ko) 1990-12-29 1990-12-29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7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6639B (zh) * 2018-10-16 2023-12-22 河南御捷时代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备用便携式电池组电极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38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5034C1 (ru) Электроконтактная гайка
US5104271A (en) Bolt connection
JPS60140679A (ja) 金属板部材にある接地個所用溶接ナツト
KR930001725Y1 (ko) 자동차의 밧데리 접속구 구조
US6517390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KR920007237Y1 (ko) 자동차의 부식방지용 밧데리 접속구
KR100620081B1 (ko) 납축전지의 단자
JPH0136294Y2 (ko)
EP0159106A1 (en) Battery clamp assembly
KR920004382Y1 (ko) 밧데리 단자기둥과 와이어단자의 연결장치
JPH0136295Y2 (ko)
JPS6345696Y2 (ko)
KR20026826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0134689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139979Y2 (ko)
JPH0545899U (ja) バツテリ端子
JP3354193B2 (ja) 地上コイル取り付け構造
KR200148783Y1 (ko) 배터리 터미널의 와이어 고정장치
JP2001185202A5 (ko)
KR0137318Y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고정장치
JPH04536Y2 (ko)
KR19980037503U (ko) 단락방지용 밧데리 연결단자
JP2549576Y2 (ja) 異種金属間における電気接続装置
KR0136947Y1 (ko) 축전지의 단자 연결구
KR950005763Y1 (ko) 모듈레이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