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544Y1 -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44Y1
KR930001544Y1 KR2019900001637U KR900001637U KR930001544Y1 KR 930001544 Y1 KR930001544 Y1 KR 930001544Y1 KR 2019900001637 U KR2019900001637 U KR 2019900001637U KR 900001637 U KR900001637 U KR 900001637U KR 930001544 Y1 KR930001544 Y1 KR 930001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idth
magnetic head
receiving surfac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877U (ko
Inventor
구니오 기도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1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544Y1/ko
Publication of KR910015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44Y1/ko

Links

Landscapes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헤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6도는 동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와 상이한 종래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8도는 동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자기헤드 13,13' : 테이프 섭접면
14 : 테이프 L1:테이프 섭접면의 폭
L2: 테이프의 폭
본 고안은 테이프 섭접면의 테이프 주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을 테이프의 폭과 동일하게한 테이프레코더의 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레코터 자기헤드는 제5도 및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케이스(1)에 설치된 테이프 섭접면(1a)의 테이프 주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l1)이 테이프(2)의 폭(l2)보다도 넓게 설정되고 이 테이프 섭접면(1a)에 JIS 규격에 의거하여 치수 설정된 코어(3)를 노출시키고 이 코어(3)와 테이프(2)의 기록트랙과의 상대위치를 헤드 케이스(1)측방에 설치한 테이프 가이드(4)로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의 헤드 삽입부의 상방 가장자리를 절제하여 자기헤드의 테이프 섭접면(1a)과 대향하는 면에 거울을 경사시켜서 설치한 "미러 카세트 테이프"라고 호칭되는 카세트 테이프를 주행시키고 이 테이프가 테이프 가이드의 폭내에 소정대로 수납되어 주행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서 상기 규제 상태가 적정한가를 확인하고 있었다.
또, 제6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내에 설치되어 있느 패드(5)의 폭이 테이프(2) 폭(l2)보다 넓게 설정되고 테이프 재생시에 이 패드(5)를, 테이프(2)와 코어(3)와를 밀착시키도록 판스프링(6)으로 가세하여 테이프(2)에 기록된 신호의 독해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기헤드의 테이프 섭접면(1a)을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 지름의 반원호면으로 하거나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3)의 양쪽에 위치하여 헤드케이스(1)에 흠(7, 7)을 설치하여 평탄면의 테이프 섭접면(1a)과 페드(5)와의 접촉면적을 적게하여 테이프(2)와 테이프 접촉면(1a)과의 단위면적당의 접촉압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자기헤드에 있어서의 확인 수단 즉, 미러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테이프 가이드(4)에 의한 테이프 주행의 규제 상태가 적정한가를 확인하는 수단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4)와 코어(3)의 상대 위치의 치수가 바르게 설정되어 있다는 전제에서 상기 규제 상태가 적정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접적인 판단이며 확인 정밀도가 낮다.
또, 테이프 가이드(4)의 폭(l3)은 테이프(2)폭(l2)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차 만큼 테이프 기록트랙과 코어(3)의 상대위치가 어긋나게 되는데 이 "어긋남"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패드(5)의 폭 방향 전체가 테이프 섭접면(1a)을 압압하기 때문에 테이프(2)와 테이프 섭접면(1a)의 단위면적당의 접촉 압력을 높이는데에 불충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것으로서, 테이프 가이드 폭과 테이프 폭의 차에 영향을 받을것 없이, 코어와 테이프 기록 트랙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 있는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와 테이프 섭접면의 단위 면적당의 접촉 압력을 종래에 비하여 높일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헤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 자기 헤드는 테이프 섭접면의 테이프 주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을 테이프의 폭과 동일하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테이프 섭접면과 테이프가 그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합치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확인함으로써, 테이프 가이드록과 테이프 폭의 차에 영향을 받지아니하고 코어와 테이프 기록 트랙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 있는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다.
또, 페드는 테이프쪽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테이프 섭접면을 압압하기 때문에 테이프와 테이프 섭접면의 단위면적당의 접촉 압력이 높아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2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를 표시하는 테이프 레코더 자기헤드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측면도이고 각 도면중 10은 본 고안에 관한 자기헤드로서, 헤드 케이스(1)를 갖고 있고 이 헤드 케이스(1)의 전방면(정면) 벽(12)은 평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전방면벽(12)의 중앙부에는 평면 원호 형상의 테이프 섭접면(13)이 돌설되어 있다. 이 테이프 섭접면(13)에 테이프(14)가 섭접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한다.
테이프 섭접면(13)의 테이프(14)주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L1)은 테이프(14)의 폭(L2)과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테이프 섭접면(13)의 폭 방향 대략 중간부로부터 한쪽에는 코어(15)가 노출시켜져 있다.
헤드 케이스(10)의 테이프(14)주행 방향 한쪽에는 테이프 가이드(16)가 착설되어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6)의 테이프 삽통부의 폭(L3)은 테이프(14)의 폭(L2)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있다.
또, 각 도면중 17은 자기헤드(10)를 헤드 패널(도시 생략)에 착설시키기 위한 착설편이다. 또, 제3도중 18은 테이프(14)를 테이프 섭접면(13)에 밀착시키는 패드, 19는 테이프 재생시에 이 패드(18)를 테이프 섭접면(13)쪽에 압압 가세하는 판스프링이고 이들 패드(18)와 판스프링(19)은 도시아니한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14)재생시, 테이프(14)는 판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패드(18)를 통하여 테이프 섭접면(13)에 밀착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나, 그때, 테이프 가이드(16)에 의하여 테이프(14)는 그 기록트랙(14a)이 코어(15)와 합치되도록 규제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14)의 주행시, 테이프(14)의 폭(L2)과 테이프 섭접면(13)의 폭(L1)이 그 폭 방향에 있어서 합치되면 코어(15)와 테이프(14)기록 트랙(14a)이 합치된다. 따라서, 테이프(14)와 테이프 섭접면(13)이 그폭 방향에 있어서 합치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확인하면 테이프 가이드(16)의 폭(L3)과 테이프(14) 폭(L2)의 차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코어(15)와 테이프(14)기록 트랙(14a)이 합치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패드(18)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14) 폭(L2)에 상당하는 부분만이 테이프 섭접면을 압압하기 때문에 테이프(14)와 테이프 섭접면(13)의 단위면적당의 접촉 압력이 높아진다.
제4도는 본 고안을 테이프주행 방향에 따라서 180°씩 정역회전하는 타입의 자기헤드에 적용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는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제4도의 실시예는 헤드 장착판(20)의 전방면쪽에 자기헤드(10')를 180°씩 정역회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자기헤드(10')의 헤드 케이스(11')의 전방면벽 자체를 테이프 섭접면(13')으로 하고 더구나, 자기헤드(10')의 양쪽에 위치하여 헤드 장착판(20)의 전방 면쪽에 테이프가이드(16', 16')를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헤드(10')를 그 테이프 섭접면(13')에 테이프(14)를 섭접시킨체로의 상태로 180°회동시킬경우, 테이프 섭접면(13')에 대한 패드의 압압력은 자기헤드(10')의 회동 중심에 집중되므로 자기헤드(10')를 회동시키는 힘을 경감시킬수가 있다. 또, 테이프(14)주행중에 자기헤드(10')를 회동시켰을때 테이프(14)가 손상되지 않도록 테이프 섭접면(13')에 테이퍼면(13'a)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 이 제4도에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헤드는 테이프 섭접면의 테이프 주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을 테이프의 폭과 동일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프 섭접면과 테이프가 그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합치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확인함으로써, 테이프 가이드폭과 테이프폭의 차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코어와 테이프 기록 트랙의 상대위치가 어긋나 있는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다.
또, 패드는 테이프 폭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테이프 섭접면을 압압하기 때문에 테이프와 테이프 섭접면의 단위면적당의 접촉압력이 높아진다.

Claims (1)

  1. 테이프 섭접 면의 테이프 주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폭을 테이프 폭과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헤드.
KR2019900001637U 1990-02-15 1990-02-15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KR930001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637U KR930001544Y1 (ko) 1990-02-15 1990-02-15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637U KR930001544Y1 (ko) 1990-02-15 1990-02-15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877U KR910015877U (ko) 1991-09-25
KR930001544Y1 true KR930001544Y1 (ko) 1993-03-30

Family

ID=1929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637U KR930001544Y1 (ko) 1990-02-15 1990-02-15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877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67535U (ja) 磁気テープカセツト装置
JPS5856361U (ja) 記録再生装置
KR93000154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 헤드
AU638028B2 (en) Magnetic-tape cassette
EP0549020B1 (en) Apparatus suitable for cooperation with a cassette provided with magnetic tape, magnetic-head unit and magnetic-head for use in the apparatus, housing suitable for use in the magnetic-head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gnetic-head unit
GB1486228A (en) Recording tape driving assemblies
KR910007200B1 (ko) 카 셋 트
JPS60111584U (ja) カ−トリツジテ−プのテ−プ案内機構
JPH0313662B2 (ko)
JPS6224354Y2 (ko)
JPH0753165Y2 (ja) 記録再生カセットの挿入装置
JPS591151U (ja) カセツト装着機構
JPS61239460A (ja) 両面記録磁気デイスク装置のヘツドアツセンブリ
JPS61199208A (ja) 磁気ヘツド
JPS58114542U (ja) テ−プレコ−ダ
JPH0413777Y2 (ko)
JP2585106Y2 (ja) 回転型磁気ヘッド装置
JP2506664Y2 (ja) テ―プガイド
JPS587509Y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
JP2506663Y2 (ja) テ―プガイド
JPH0222875Y2 (ko)
JPS5824281Y2 (ja) テ−プジヨウタイ ノ ガイドポスト
JPS59161576U (ja) 磁気テ−プカセツト
JPH0110748Y2 (ko)
JPH0624002Y2 (ja) 磁気ヘッド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