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516Y1 - 접는 형태의 톱 - Google Patents

접는 형태의 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16Y1
KR930001516Y1 KR2019860007477U KR860007477U KR930001516Y1 KR 930001516 Y1 KR930001516 Y1 KR 930001516Y1 KR 2019860007477 U KR2019860007477 U KR 2019860007477U KR 860007477 U KR860007477 U KR 860007477U KR 930001516 Y1 KR930001516 Y1 KR 930001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cover body
operation piece
ring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035U (ko
Inventor
다다시 아나미
Original Assignee
아루스 하모노 세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끼가와 시게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4495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151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루스 하모노 세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끼가와 시게쓰구 filed Critical 아루스 하모노 세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27B33/12Saw blades having inserted or exchangeably arranged bits or toothed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8Arrangements of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hand saws, e.g. for limiting the cutting dep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는 형태의 톱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접는 형태의 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톱날을 접어넣은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중요부분 사시도.
제3도는 톱날을 인출한 상태의 중요부분 정면도.
제4도는 록크해제 동작할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체 2 : 톱날
9 : 가이드 설편(舌片) 10 : 계합부(係合部)
11 : 지점핀 12 : 조작편
13 : 걸림용 고리 14a, 15a : 양쪽 다리끝(脚端)
본 고안은 접는 형태의 톱에 관한 것이며, 한층 더 상세하게로는 커버체에서 톱날을 인출하여 사용상태로 전개하였을 때, 조작편을 탄성력에 저항하여 커버체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일으키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톱날을 인출한 상태(사용상태)로 록크(lock)를 걸어놓도록한 접는 형태의 톱에 관한 것이다.
커버체와 톱날이 피봇팅하여 고정되며, 그 톱날을 커버체에서 선회상으로 인출하고, 혹은 커버체내로 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는 형태의 톱에 있어서는, 그 톱날이 커버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선회불능하게 록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며,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화49년 제1916호에 기재된 것은, 커버체의 선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걸림용 고리를 커버체에서 인출된 톱날의 등(背)의 계합부에 걸어질 때, 조작편을 커버체의 후단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만으로 록크하고, 더우 록크의 해제는 상기한 조작편을 일으켜 세우는 것에 의하여 걸림용고리와 계합부와의 걸어맞춤을 느슨한 상태로서, 톱날에 접어넣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그래서 계합부가 걸림용 고리에서 이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종래의 예의 것에는, 상기한 록크의 해제는 조작편을 일으켜 세우는 것이지만, 록크시에 있어서는 먼저 조작편을 일으켜 세우고, 그 다음에 걸림용고리를 가이드설편 밖에 위치하고 있는 톱날의 계합부에 거는 조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톱날의 인출시에 있어서 톱날의 계합부로 걸림용고리를 걸림시키는 조작을 잊어버리거나 태만하면, 톱의 사용중에 록크를 걸었다고 착각하였을 경우에는 생각하지도 앉게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톱날의 록크 및 록크해제를 간단한 조작으로서 행하고, 특히 록크는 톱날을 커버체 밖으로 인출될 때, 한쪽의 조작편을 커버체측으로 쓰러뜨리는 것만으로서 걸림용고리를 톱날의 계합부로 자동적으로 걸리게 할 수 있는 접는 형태의 톱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고안의 톱은, 커버체의 선단부분에, 이 커버체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톱날의 기부측면으로 향한 가이드설편을 돌설함과 아울러, 톱날의 기부에는 그 톱날 인출시에 상기한 가이드설편 위로 돌출하고, 또한 톱날을 접어넣을 때에 가이드설편내로 들어가는 계합부를 형성하며, 또 상기한 커버체에 지점핀을 중심으로 일으켜 세움과 쓰러뜨림이 가능한 조작편을 부착하고, 또한 그 조작편에 상기한 돌출된 계합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대략 U자형상의 만곡된 걸림용고리를 설치하고, 그 걸림용고리의 양쪽 다리끝(脚端)을 상기한 지점핀의 후부측 하방에서 전후로 위치를 다르게하여 조작편에 끼운 것에 의해, 걸림용고리에 커버체의 눌러맞닿게하는 방향의 조작력을 부여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걸림용고리는 그 양쪽 다리끝을 전후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조작편에 끼워져 있으므로, 걸림용고리의 양쪽다리의 회동 반경의 차에 따르는 비트는 힘 즉, 탄성력으로서 그 걸림용고리가 상기한 조작편과 함께 상시 커버체 측에 억누르게 되는 것이고, 이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톱날을 선회시키면서 커버체의 전방으로 인출한 후, 커버체측으로 눌러서 맞닿고 있는 조작편을 탄성력에 저항하여 약간 일으켜세우는 것으로서 가이드설편으로부터 상방에 돌출하고 있는 톱날의 계합부으로의 상기한 걸림용고리가 자동적으로 걸어합쳐지는 것이며, 따라서 이 상태로 상기한 조작편을 커버체측으로 쓰리뜨려므로서 록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톱날의 커버체내로의 수납은, 상기한 조작편을 일으켜 세운 상태로 톱날을 커버체측으로 선회시키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부호(1)는 자루를 겸용하는 커버체로서, 이 커버체(1)의 선단 두갈래부분에 톱날(2)의 기단(基端)이 삽입되고, 그 부분위치에서 양자를 피봇(3)하는 것에 의하여 톱날(2)이 커버체(1)에 대하여 인출 및 접어넣어 수납하는 것이 자유롭게 된다.
제4도에 표시하는 도면부호(4)는, 커버체 선단의 톱날의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부분에 있어서, 톱날기부를 끼워서 다향한 상태로 고정한 좌판(坐板)이며, 이 좌판(4) 사이에 스토퍼핀(5)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그래서 톱날(2)을 커버체(1)와 일직선 상태로 될 때까지 회동시켰을때(제3도 및 제4도), 톱날기부에 형성한 단부(6)가 그 스톱퍼핀(5)에 당접하여 톱날의 인출위치가 구제된다.
또한 좌판(4)에는 상기한 스토퍼핀(5)의 바로 윗쪽위치에 있어서 돌기(7)가 바깥쪽으로 돌설됨과 아울러, 그 전방에 오목한 부분(8)을 설치하도록한 가이드설편(9)이 커버체(1)의 전방경사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또한, 톱날(2)의 기부에는, 그 톱날을 커버체(1)와 일직선으로 될 때까지 인출할 때에, 상기한 오목한 부분(8)의 위치에서 좌판(4)으로부터 윗쪽밖으로 돌출하고, 또한 톱날을 접어넣을 때에 좌판(4)내로 들어가는 계합부(10)가 팽창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좌판(4)의 돌기(7)에는, 기부를 지점핀(11)으로서 회전가능하게한 조작편(12)이 부착되고, 또한 그 조작편에 걸림용고리(13)가 부착된다.
이 걸림용고리(13)는 상기한 좌판(4)의 오목한 부분(8)위에 돌출한 계합부(10)에 선단부를 걸어맞출 수 있도록 U자 모양으로 만곡하여 성형됨과 아울러, 옆쪽에서 보아모양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고, 이 걸림용고리(13)의 양쪽 다리끝(14a)(15a)이 상기한 지점핀(11)에 접근한 조작편 중간의 가까운 위치에 끼워지며, 또한 조작편(12)을 후방으로 회동하여 커버체(1)위에 눌러서 맞닿게한 상태에서, 그 지침핀(11)의 한계점후부측 아래쪽에 상기한 양쪽 다리끝(14a)(15a)이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걸림용고리(13)의 양쪽 다리끝(14a)(15a)은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지점핀(11)에 대하여 전후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즉, 지점핀(11)에 대하여 다른 거리를 두고 끼우고, 이 양쪽 다리끝에 끼운 위치와의 차에 의하여, 걸림용고리(13)의 양쪽 다리(14) (15)의 길이를 대소로 나누며, 여기에서 양쪽다리(14) (15)의 회동 반지름에 차이가 생겨서 걸림용고리 자체에 비트는 힘을 생기게 하고, 이 비트는 힘에 의하여 걸림용고리(13)를 항상 커버체(1)에 눌려서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므로써, 그 걸림용고리(13)에 이것을 커버체(1)에서 떼어놓는 방향의 힘에 대향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한 걸림용고리(13)의 선단은 오목한 부분(8)에 면하여 위치한다.
이렇게 구성된 접는 형태의 톱에 있어서는, 제1도와 같이 톱날(2)을 접어넣은 상태에서 이것을 인출해오면, 커버체(1)에 대하여 톱날(2)이 일직선 상태로도는 시점에서, 걸어맞추는 부분(10)이 오목한 부분(8)의 위치에서 좌판(4)으로부터 윗쪽밖으로 돌출한다.
한편, 걸림용고리(13)는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비트는힘(탄성력)으로서 커버체(1)에 눌려서 맞닿고 있으므로 그 걸림용고리의 U자형상을 이룬 선단부분이 상기한 오목한 부분(8) 윗쪽으로 돌출하는 계합부(10)위로 당접한 상태로서 밀어올리는 것이다.
이 상태로서 조작편(12)을 상기한 비트는 힘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적당한 각도로 회동시키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걸림용고리의 선단부가 계합부(10) 위로 미끄러져서 자동적으로 오목한 부분(8)속으로 빠지는 것이다.
여기서 조작편(12)을 후방으로 쓰러뜨려짐과 계합부(10)의 선단에 그 걸림용고리(13)가 걸어맞춰짐에 따라, 톱날의 인출자세에 록크가 채어져 톱으로서 사용가능하게 된다(제3도).
다음에, 톱날(2)을 커버체(1)내로 접어넣을 때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걸림용고리(13)가 가지고 있는 탄성에 저항하여 조작편(12)을 일으켜세우고, 조작편(12)에 대한 걸림용고리(13)의 걸어붙이는 점 즉, 걸림용고리의 양쪽다리끝(14a)(15a)이 지점핀(11)을 윗쪽으로 넘어서 토글(toggle)작용에 의하여 제4도의 자세로 안정시킨다.
그리고, 톱날(2)을 커버체(1)내로 접어넣는 방향의 힘을 가하면, 계합부(10)는 걸림용고리(13)의 선단을 걸쳐진 그대로 이것을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움직이고, 걸림용고리(13)가 가이드설편(9)에 얹히는 한편, 계합부(10)가 가이드설펀(9)으로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계합부(10)와 걸림용고리(13)의 벗김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서 톱날(2)의 록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계합으로부터 벗겨져 자유롭게된 걸림용고리(13)는 선단부가 오목한 부분(8)에 당접된 자세로 되는 것으로서, 위쪽으로 일으켜 세워진 상기한 조작편(12)을 커버체측으로 향하여 밀어쓰러뜨리는 것으로서 제1도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Claims (1)

  1. 커버체(l)의 선단부분에, 이 커버체(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톱날(2)의 기부측면으로 향한 가이드설편(9)을 돌설함과 아울러, 톱날(2)의 기부에는 그 톱날(2)을 인출할 때에 상기한 가이드설편(9) 위로 돌출하고, 또한 톱날(2)을 접어넣을 때에 가이드설편(9)내로 들어가는 계합부(10)를 형성하여, 상기한 커버체(1)에 지점핀(11)을 중심으로 일으켜세움과 쓰러뜨림이 가능한 조작편(12)을 부착하고, 또한 그 조작편(12)에 상기한 돌출된 계합부(10)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대략 U자형상의 만곡된 걸림용고리(13)를 설치하고, 그 걸림용고리(13)의 양쪽 다리끝(14a)(15a)을 상기한 지점핀(11)의 후부측 하방에서 전후로 위치를 다르게하여 조작편(12)에 계착하는 것에 의해, 걸림용고리(13)에 커버체(1)의 눌러서 맞닿게 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접는 형태의 톱.
KR2019860007477U 1985-09-28 1986-05-28 접는 형태의 톱 KR9300015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8293 1985-09-28
JP1985148293U JPH0242402Y2 (ko) 1985-09-28 198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035U KR870005035U (ko) 1987-04-21
KR930001516Y1 true KR930001516Y1 (ko) 1993-03-30

Family

ID=1544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477U KR930001516Y1 (ko) 1985-09-28 1986-05-28 접는 형태의 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42402Y2 (ko)
KR (1) KR9300015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45Y2 (ko) * 1988-04-13 1993-07-09
WO2019016860A1 (ja) * 2017-07-18 2019-01-24 株式会社ユーエム工業 折り畳み式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55402U (ko) 1987-04-06
JPH0242402Y2 (ko) 1990-11-13
KR870005035U (ko) 198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41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assurance and assist
JPH11178610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のベルト取付構造
KR930001516Y1 (ko) 접는 형태의 톱
MXPA00009563A (es) Gancho de traccion de corredera para cierre de cremallera.
US4207794A (en) Key bolt
US2978766A (en) Safety hook
JPH0254180U (ko)
JPH04221502A (ja)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US3023446A (en) Locking device for windshield wiper blade
JPH0445612Y2 (ko)
JPH0747096Y2 (ja) 刃 物
JPH0711616Y2 (ja) 掛止め金具
JPS61155577U (ko)
KR930001875Y1 (ko) 죔자물쇠장치
JPH046642Y2 (ko)
JP3774004B2 (ja) ドアガード
JPS608727Y2 (ja) 装身具
JPH0130901Y2 (ko)
JP3057078U (ja) ウェスト等のサイズ調節装置用スライダー
JP2561458Y2 (ja) ヘルメット装着バンド用バックル
JP4793771B2 (ja) 竪樋支持具
JPS5838880Y2 (ja) 梯子兼用の脚立
JPH073319U (ja) バックル
JP2004131952A (ja) 掛金装置
JPH0710570Y2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