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244Y1 -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 Google Patents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244Y1
KR930001244Y1 KR2019900001590U KR900001590U KR930001244Y1 KR 930001244 Y1 KR930001244 Y1 KR 930001244Y1 KR 2019900001590 U KR2019900001590 U KR 2019900001590U KR 900001590 U KR900001590 U KR 900001590U KR 930001244 Y1 KR930001244 Y1 KR 930001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pipe
drain
pop
inser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547U (ko
Inventor
이태웅
Original Assignee
이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웅 filed Critical 이태웅
Priority to KR2019900001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244Y1/ko
Publication of KR910015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제1도는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2 : 배수관 본체
2A : 벤딩부 2B : 통공부
3 : 삽지단관 3A : 벤딩부
4 : 상부체 5 : 트랩
6 : 마개 7 : 세면기
8 : 고정너트 11 : 작동롯트
12 : 볼 13 : 플랜지
14 : 승강구 15 : 링
15 : 15의 나사부 15B : 코킹부
20 : 상부체 21 : 연결체
21A : 삽지단관 22 : 하부관체
본 고안은 통상의 세면기 직하에 연설하는 폽업(POP-UP)식 세면기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상의 폽업식 세면기의 저부에는 배수관이 관착되고, 그 배수관의 저부에는 트랩(TRAP)이 연설되며, 그 배수관의 일측에는 삽지단관을 측설하여 이에 배수관 내부에 장삽된 승강구를 승강 작동케하는 작동롯드를 삽지케 구성함으로써 작동롯드와 연결되는 승강롯드의 승강조작에 따라 배수관 내부의 승강구가 승강되면서 승강구의 상부에 착설된 마개가 세면기의 배수구를 개폐하여 세면기 내의 사용수를 배수관과 트랩을 통해 배수토록 하고있다.
제1도는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배수관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은 상부체(20), 삽지단관(21A)를 구비한 연결체(21) 및 하부관체(22)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나착하여 하나의 폽업식 배수관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삽지단관(21A)을 구비한 연결체(21) 및 상부체(20)는 관체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금형에 의해 주물로 제작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은 상부체(20), 연결체(21), 하부관체(22)를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 있었고 또한, 연결체(21) 및 상부체(20)는 금형에 의해 주물로 제작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왔을 뿐아니라 무엇보다도 원가가 높아진다는 난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세면기배수관에 비해 제작공정이 간단할 뿐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폽업식세면기 배수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량이 종래의 것보다 훨씬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는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에는 플랜지(13)가 형설되고 내부에는 마개(6)를 가진 승강구(14)가 장입되며, 일측에는 승강조작구의 승강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구(14)를 승강작동케 하는 작동롯드(11)를 볼(12)로서 삽지케한 삽지단관을 형설하여 이루어지는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에 있어서, 일측에 삽지단관(3)이 연설된 배수관본체(2) 및 이의 상부에서 나합되는 상부체(4)를 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배수관본체(2)에 연설되는 삽지단관(3)은 배수관본체(2)의 통공부(2B)와 삽지단관(3)의 일단에 각각 벤딩부(2A)(3A)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켜 프레스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배수관본체(2)의 상부에는 안쪽나사부(15A)를 갖는 링(15)을 코킹(CAUIKING)에 의해 내삽고정시켜서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는 트랩, 7은 세면기, 8은 고정너트, 15B는 코킹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세면기(7)의 배수구에 상부체(4)를 삽입한 후 패킹이 개재된 고정너트(8)로서 상부체(4)를 고정케 한 다음 상기한 본 고안 구성과 같은 삽지단관(3)이 연설된 배수관본체(2)를 상부에 상기 상부체(4)를 나합시키고, 하부는 트랩(5)에 나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측의 승강조작구를 승강조작하여 승강조작구와 연결되는 작동롯드(11)의 상,하 작동에 따라 배수관본체(2) 내부의 승강구(14)를 승강작동케 하므로서 승강구(14)의 상부에 착설된 마개(6)가 세면기본체(2)와 트랩(5)을 경유하여 배수처리케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의 하부관체(22)와 연결체(21)를 일체로 하여 금형에 의한 주물제작이 아닌 황동관등의 관체로 배수관본체(2)를 구성하고, 또한 상부체(4)도 관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에 비하여 그 제작이 용이하고 공정이 간단할 뿐 아니라 또한 원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외관 또한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배수관본체(2)를 관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배수관본체(2)의 일측통공부(2B)에 형성한 벤딩부(2A)와 삽지단관(3)의 일단에 형성한 벤딩부(3A)를 상호 결합시켜, 프레스압접시켰기 때문이며, 또한 상부체(4)를 관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배수관본체(2)의 상부에 안쪽나사부(15A)를 갖는 링(15)을 코킹에 의해 내삽고정시켜 이에 상부체(4)가 견고하게 내삽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그 제작이 용이하고 공정이 간단할 뿐아니라 무엇보다도 종래의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에 비하여 원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신규유용하며 강제적인 실용적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는 플랜지(13)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마개(6)를 가진 승강구(14)가 장입되며, 일측에는 승강조작구의 승강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구(14)를 승강작동케 하는 작동롯드(11)를 볼(12)로서 삽지케한 삽지단관(3)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폽업식의 세면기 배수관에 있어서, 일측에 삽지단관(3)이 연설된 배수관본체(2) 및 이의 상부에서 나합되는 상부체(4)를 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배수관본체(2)에 연설되는 삽지단관(3)은 배수관본체(2)의 통공부(2B)와 삽지단관(3)의 일단에 각각 벤딩부(2A)(3A)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켜, 프레스압접시키고, 또한 상기 배수관본체(2)의 상부에는 안쪽나사부(15A)를 갖는 링(15)을 코킹에 의해 내삽고정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폽업식의 세면기 배수관.
KR2019900001590U 1990-02-14 1990-02-14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KR930001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590U KR930001244Y1 (ko) 1990-02-14 1990-02-14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590U KR930001244Y1 (ko) 1990-02-14 1990-02-14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547U KR910015547U (ko) 1991-09-25
KR930001244Y1 true KR930001244Y1 (ko) 1993-03-22

Family

ID=1929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590U KR930001244Y1 (ko) 1990-02-14 1990-02-14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2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732A1 (en) * 2004-01-20 2005-07-28 Choong-Sam Chang Pop-up valve for water vessel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547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9217A (en) Drain assembly for sanitary fixture with built-in overflow device
CN109083257A (zh) 浮力型防臭地漏
CA2109081C (en) Encapsulated overflow system
KR930001244Y1 (ko) 폽업식 세면기 배수관
US4163293A (en) Flushing cistern
CN109056916A (zh) 二次排水收集器及其安装应用结构
JP3633336B2 (ja) ユニットバスの遠隔操作部と排水栓開閉機構部との連結構造
EP1227191B1 (de) Ablaufsiphon für Waschbecken oder dergleichen
CN216360764U (zh) 一种新型防溢横排下水管
JPH09317935A (ja) プッシュワンウエイ式排水栓の緩衝機構
JPS607430Y2 (ja) ポップアップ式排水栓
KR910005045Y1 (ko) 세면기용 배수관
KR200233041Y1 (ko) 세면대의 세척수 배수밸브
JPS6231490Y2 (ko)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DK465387A (da) Afloeb til haandvaske, bidets, koekkenvaske, brusebadekar, badekar og lignende optagelsesbeholdere
JPS6129819Y2 (ko)
KR0138635Y1 (ko) 조립식 세면기
JPS629425Y2 (ko)
JPH0717840Y2 (ja) 排水用サイフオン
JPH03103379U (ko)
JPS6022149Y2 (ja) 排水トラツプ
JPH0437986Y2 (ko)
JPS5869068U (ja) 洗面器配管ユニツト
KR950006528Y1 (ko) 화장실용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