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170Y1 -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170Y1
KR930001170Y1 KR2019900005423U KR900005423U KR930001170Y1 KR 930001170 Y1 KR930001170 Y1 KR 930001170Y1 KR 2019900005423 U KR2019900005423 U KR 2019900005423U KR 900005423 U KR900005423 U KR 900005423U KR 930001170 Y1 KR930001170 Y1 KR 930001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input
power
vol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061U (ko
Inventor
김건곤
Original Assignee
김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곤 filed Critical 김건곤
Priority to KR2019900005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170Y1/ko
Publication of KR910019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압자동 절환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세부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압 감지 및 절환부 2 : 출력조정부
RL1 과 RL2 : 릴레이 스위치 T : 변압기
10 : 개선된 전압 감지 및 절환부
본 고안은 110V/220V의 입력전압을 절환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전압에 대해 자동으로 절환하여 공급하는 전압자동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나 가정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110V/220V 입력전압의 절환방식은 메뉴얼 스위치 조작에 의한 기계식 절환 방식과 전압자동 절환방식에 의한 전자식 절환장치로 대별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도는 종래의 전압자동 절환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전압 감지 및 절환부, 2는 출력조정부, RL1과 RL2는 릴레이 스위치(이하, 릴레이라 함), T는 변압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220V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압 감지 및 절환부(1)가 입력을 감지하여 릴레이(RL1)을 구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220V의 전압은 릴레이(RL1) 접점 COM → NC를 통해 변압기(T)의 일차측에 가해져 전원공급 대상인 전기 및 전자기기에 가해진다.
그리고, 또다른 릴레이(RL2)의 접점 COM → NC를 통해 출력조정부(2)의 220V 입력단에 가해져 일정하게 낮아진 교류전압 또는 정류된 직류전압으로 조정되어 전기 및 전자기기로 가해진다.
여기서, 전압 감지 및 절환부(1)는 공지된 회로부로서 입력전압을 감지하는 회로와, 110V가 감지되면 동작하는 두개의 릴레이 구동회로로 구성되며, 출력조정부(2)도 공지된 회로부로서 통상 정류회로로 구성된다.
한편, 110V 입력이 인가되면, 전압감지 및 절환부(1) 내의 릴레이 구동회로가 동작하여 릴레이(RL1, RL2)를 구동하게 되고 릴레이 접점은 COM → NO의 연결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인가된 110V 전압은 릴레이(RL1)의 접점 COM → NO와 변압기(T)의 중간탭을 거쳐 전기 및 전자기기에 가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릴레이(RL2)의 접접 COM → NO와 출력조정부(2)의 110V 입력단에 가해져 전기 및 전자기기에 가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압 감지 및 절환부가 두개의 릴레이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있어 구성이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그에 따른 가격 상승요인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전압 감지 및 절환회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제조면에서 경제적인 향상을 꾀한 전압 자동 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전압감지 회로와 한개의 릴레이구동회로로 구성되어 110V가 입력되면 내부의 릴레이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전압감지 및 절환부와, 상기 전압감지 및 절환부에 제어코일단이 연결되고 공통접점(COM)은 전원의 입력일단에, 동작접점(NC, NO)은 상기변압기의 일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 감지 및 절환부의 110V 감지에 따른 제어에 의해 상기 변환기의 일차측에 110V 전원을 인가하는 제1 릴레이와, 상기 전원의 입력일단과 상기 변압기의 일차측에 제어코일단이 연결되고 공통접점은 입력일단에, 동작접점은 상기 출력조정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110V의 입력에 따른 제1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출력조정부에 절환된 전원을 제공하는 제2 릴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따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은 한개의 릴레이 구동회로를 갖는 개선된 전압감지 및 전원부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는, 종래의 전압감지 및 절환부(1)를 내부의 릴레이(RL2)의 구동회로를 제거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히 하였고, 릴레이(RL2)의 제어단자를 하나는 입력전원 일단과 다른 하나는 변합기(T)의 220V 인가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릴레이(RL1)를 통해 가해지는 입력전압(220V나 110V)의 변압기(T)를 거친 전기 및 전자기기로의 인가는 제1도의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 한다.
다른 릴레이(RL1)를 통해 이루어지는 입력전압의 인가과정을 살펴보면, 220V의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는 전류의 흐름이 릴레이(RL1)의 COM 단자에서 220V 입력단자로 바로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RL2)의 구동제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릴레이(RL2)는 동작을 하지 않고, 110V의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릴레이(RL2)의 접점이 COM → NO로 연결되므로, 릴레이((RL2)의 구동 제어 코일에 110V 전압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RL2)가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릴레이(RL2)의 접점이 COM → NO로 연결되어 110V의 입력전압이 출력조정부(2)의 110V 입력단에 가해지고 조정된 전압출력이 제1도에서와 같이 전기 및 전자기기에 가해진다.
본 고안의 릴레이(RL2)는 제2도에서와 같이 교류용으로 구성할수도 있지만, 구동 제어 코일의 전단에 간단한 전류회로를 부가하면 직류용 릴레이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종래의 전압 감지 및 절환부(1)의 릴레이 구동회로 하나를 제거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공급 대상인 전기 및 전자기기로 자동절환된 전원을 공급는 변압기(T)와, 자동절환된 전원을 입력받아 일정한 크기로 낮추거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전기 및 전자기기로 공급하는 출력조정부(2)를 포함하는 110V/220V 입력 전원 자동 절환회로에 있어서, 전원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전압감지 회로와 한개의 릴레이 구동회로로 구성되어 110V가 입력되면 내부의 릴레이 스위치(이하, 릴레이라 함)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전압감지 및 절환부(10)와, 상기 전압감지 및 절환부(10)에 제어코일단이 연결되고 공통 접점(COM)은 전원의 입력일단에, 동작접점(NC, NO)은 상기 변압기(T)의 일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 감지 및 절환부(10)의 110V 감지에 따른 제어에 의해 상기 변압기(T)의 일차측에 110V 전원을 인가하는 제1 릴레이(RL1)와, 상기전원의 입력일단과 상기 변압기(T)의 일차측의 220V 입력단에 제어코일단이 연결되고 공통접점(COM)은 전원의 입력일단에, 동작접점(NC, NO)은 상기 출력조정부(2)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110V의 입력에 따른 제1 릴레이(RL1)의 동작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출력조정부(2)에 절환된 전원을 제공하는 제2 릴레이(RL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 겸용 전압자동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RL2)는 교류(AC)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 겸용 전압자동 절환장치.
KR2019900005423U 1990-04-30 1990-04-30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KR930001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423U KR930001170Y1 (ko) 1990-04-30 1990-04-30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423U KR930001170Y1 (ko) 1990-04-30 1990-04-30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061U KR910019061U (ko) 1991-11-29
KR930001170Y1 true KR930001170Y1 (ko) 1993-03-13

Family

ID=1929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423U KR930001170Y1 (ko) 1990-04-30 1990-04-30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061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5983A3 (en) A power supply apparatus
US4608500A (en) Electric power unit
EP0293420B1 (en)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c line relay switch
KR930001170Y1 (ko)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JPS57120027A (en) Double-wire combustion controller
KR920008322Y1 (ko) 전원 트랜스를 이용한 전동타이머 구동회로
GB2150773A (en) Sparkless circuit for low horsepower electronic motor brake
KR100291705B1 (ko) 마이크로웨이브오븐
EP0681308A3 (de) Schaltungsanordnung zur Begrenzung des zu schaltenden Stromes eine elektrischen Verbrauchers.
KR20000057100A (ko) 전자기기의 전원장치
GB203750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nic Trigger Systems
FI925458A0 (fi) Menetelmä sähköisen kytkimen ohjaamiseksi ja sähköinen kytkin
KR0116465Y1 (ko) 세탁기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GB1516693A (en) Electrical power supply circuits
KR950009880Y1 (ko) 전압자동 전환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30007540Y1 (ko) 110v/220v 자동절환회로
KR200212735Y1 (ko) 제로 전류 스위칭 기술을 적용한 자동 전압조정기
JP2837734B2 (ja) 供給電力調節回路
KR970008822B1 (ko) 모터 결선 자동전환기
KR20000004240U (ko) 광 감지를 이용한 스위치
KR870001301Y1 (ko) 전원전압절환회로
KR920008608B1 (ko) 전자식 전원 장치
KR900001130Y1 (ko) 라미네이트용 모터속도 제어회로
RU178860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подогревател кат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