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40Y1 - 110v/220v 자동절환회로 - Google Patents

110v/220v 자동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40Y1
KR930007540Y1 KR2019910011598U KR910011598U KR930007540Y1 KR 930007540 Y1 KR930007540 Y1 KR 930007540Y1 KR 2019910011598 U KR2019910011598 U KR 2019910011598U KR 910011598 U KR910011598 U KR 910011598U KR 930007540 Y1 KR930007540 Y1 KR 930007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load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08U (ko
Inventor
박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1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40Y1/ko
Publication of KR930003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자동절환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110V/220V 자동절환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입력전원에 따른 부하의 결선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 110V/220V 자동절환회로의 일실시예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감지부 30 : 마이콤
40 : 구동제어부 50 : 스위칭부
T1~T4: 트라이악
본 고안은 110V/220V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된 전기제품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원전압에 따라 부하의 결선상태가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하는 110V/220V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대부분의 전기제품들은 110V/220V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품에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110V인지 220V인지를 감지한 후 전원전압의 정격에 맞게 자동으로 부하의 결선상태가 절환되도록하여 전원전압과 부하의 정격이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유발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제 1 도는 이러한 종래의 110V/220V 자동절환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감지부(1)에서는 전원코드를 통해 입력된 전원전압이 110V인지 220V인지를 감지하게 되고, 릴레이 구동부(2)에서는 상기 전원감지부(1)의 출력신호에 따라 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여 부하의 결선상태를 스위칭하게 된다.
여기서, 입력전원이 110V일 경우에는 릴레이 구동부(2)의 릴레이들이 모두 구동되므로 릴레이 접점(RLS1)(RLS2)들이 제 2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a)에 접속되어 부하(L1)(L2)들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입력전원이 220V일 경우에는 릴레이들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릴레이 접점(RLS1)(RLS2)들은 서로 직렬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기계적인 릴레이를 사용하여 부하의 결선상태를 절환하므로 릴레이가 가지 모든 문제점들을 내포하게 된다.
즉, 전원라인에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거나 접점 동작시에는 큰 아크(Arc)에 의해 접점이 융착됨은 물론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충격에 의해 진도하여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며, 절환속도가 빠르지 못하고, 접점을 이동,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큰 전류가 요구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콤 및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입력전원에 따라 부하의 결선상태를 절환함으로써 기계적인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된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110V정격인 부하 2개가 내장된 전기제품의 110V/220V자동절환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110V인지 220V인지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10)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강하 및 정류하여 제품의 각 부분에 안정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20)와, 110V용 부하(L1)(L2)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특징부는 전원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전원전압을 판별하여 그에따라 부하의 결선을 절환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0)과, 마이콤(3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0)와, 구동제어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부하의 결선상태가 절환도게 하는 스위칭부(50)로서, 상기 구동제어부(40)는 저항(R1~R9)과 트랜지스터(TR1-TR3)로 구성되고, 스위칭부(50)는 트라이악(T1~T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는 전원코드를 통해 110V나 220V의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전원감지부(10)에서는 이 전압을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마이콤(30)에서 전원전압이 110V인지 220V의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전원감지부(10)에서는 이 전압을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마이콤(30)에서 전원전압이 110V인지 220V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정전압부(20)에서는 안정된 동작전원을 마이콤(30)과 회로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입력전원이 110V일 경우에는 마이콤(30)이 전원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110V의 교류전원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게 되므로 단자(Q1)를 통해서 저전위신호를, 다른단자(Q2)(Q3)를 통해서는 고전원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2)(TR3)는 도통되므로 트라이악(T2)(T3)의 게이트단자에만 신호가 인가되어 트라이악(T1)은 오프되고 다른 트라이악(T2)(T3)은 온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110V 정격인 두 부하(L1)(L2)는 병렬연결된 상태가 된다.
입력전원이 220V일 경우에는 전원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마이콤(30)이 220V가 입력된 것을 인식하게 되므로 단자(Q1)를 통해서는 고전위신호를, 다른단자(Q2)(Q3)를 통해서는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30)의 구동제어신호가 트랜지스터(TR1~TR3)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TR1)는 도통되고 다른 트랜지스터(TR2)(TR3)들은 오프되므로 트라이악(T1)의 게이트단자에만 게이트신호가 인가되어 트라이악(T1)만이 온상태가 되며, 이로인해 110V용의 부하(L1)(L2)들은 서로 직렬연결된 상태가 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110V단자와 220V단자를 따로 구비하고 있는 부하가 내장된 경우를 예로들어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입력전원이 110V일 경우에는 마이콤(30)의 단자(Q1)(Q2)를 통해 고전위신호가, 단자(Q3)(Q4)를 통해서는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므로 스위칭부(50)의 트라이악(T1)(T2)이 온되고 트라이악(T3)(T4)은 오프되며, 입력된 교류전원은 도통된 트라이악(T1)(T2)을 통해 부하(L3)의 110V단자로 인가되어진다.
입력전원이 220V일 경우에는 마이콤(30)의 단자(Q1)(Q2)를 통해 저전위신호가, 단자(Q3)(Q4)를 통해서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라이악(T3)(T4)이 온상태가 되며, 입력된 교류전원이 도통된 트라이악(T3)(T4)을 통해 부하(L3)의 220V단자로 입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접점이 없는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여 입력전원에 따라 부하의 결선상태를 절환하므로 기계적인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나 오동작을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절환속도를 빠르게 할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마이콤을 이용하여 출력을 제어하므로 전원전압에 따라 스위칭소자가 온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부하가 모터일 경우에는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고, 부하가 히터일 경우에는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고, 부하가 히터일 경우에는 온도를 제어하는 등 기능추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10)와, 상기 전원 감지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전원전압을 판별하여 그에따라 부하의 결선을 절환하기 위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0)와, 마이콤(3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0)와, 구동제어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부하의 결선상태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절환되게 하는 스위칭부(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자동절환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50)는 복수개의 트라이악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자동절환회로.
KR2019910011598U 1991-07-24 1991-07-24 110v/220v 자동절환회로 KR930007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598U KR930007540Y1 (ko) 1991-07-24 1991-07-24 110v/220v 자동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598U KR930007540Y1 (ko) 1991-07-24 1991-07-24 110v/220v 자동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08U KR930003708U (ko) 1993-02-26
KR930007540Y1 true KR930007540Y1 (ko) 1993-11-03

Family

ID=193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598U KR930007540Y1 (ko) 1991-07-24 1991-07-24 110v/220v 자동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08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912B2 (en) Safety circuit for heating devices using PTC wire
KR20040046061A (ko) 건조기의 히터 제어장치
KR930007540Y1 (ko) 110v/220v 자동절환회로
JP3793027B2 (ja) 負荷駆動回路
KR100208353B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원회로 및 그 전원공급 제어방법
EP2308148B1 (en) Standby circuit and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such a circuit
US5390071A (en) Low interference controlled switching circuit for multiple loads
US5708357A (en) Power circuit for electronic controller
EP0401768B1 (en)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drum of a washing or drying machine for laundry
KR200148206Y1 (ko) 무접점 릴레이 장치
JP2002325354A (ja) 突入電流抑制装置
KR0116465Y1 (ko) 세탁기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KR930001170Y1 (ko) 110v/220v 겸용 전압 자동 절환장치
KR940006442Y1 (ko) A/b접점형 무접점 릴레이
KR940001335Y1 (ko) 전압절환 안전장치
JP3346786B2 (ja) 電源投入制御用スイッチング回路および電源投入制御方法
JP2002247758A (ja) トライアックの制御装置
KR940003365Y1 (ko) 진공청소기의 전압 자동절환장치
KR100413461B1 (ko) 인버터 세탁기의 제어장치
KR950009881Y1 (ko) 세탁기의 듀얼볼테이지회로
KR960000356B1 (ko) 세탁기 구동모터의 전원차단회로
KR950009110Y1 (ko) 서지 전류 억제 회로
KR0111180Y1 (ko)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KR940005925Y1 (ko) 안전 열보호 릴레이 구동회로
KR950009880Y1 (ko) 전압자동 전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