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180Y1 -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 Google Patents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180Y1
KR0111180Y1 KR2019930001868U KR930001868U KR0111180Y1 KR 0111180 Y1 KR0111180 Y1 KR 0111180Y1 KR 2019930001868 U KR2019930001868 U KR 2019930001868U KR 930001868 U KR930001868 U KR 930001868U KR 0111180 Y1 KR0111180 Y1 KR 0111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circuit
microcomputer
trigg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49U (ko
Inventor
임종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1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180Y1/ko
Publication of KR940021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bipolar typ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using temperature dependent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전열기등에 사용되는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전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1)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회로(2)와, 상기 트리거신호(2)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전압을 받아 부하(5)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의 통전을 제어하는 양방향 전력제어수단(3)과 상기 양방향전력제어수단(3)의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부하(5)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안정화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의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컴퓨터 2 : 트리거회로
3 : 트라이악 5 : 부하
7 : 제1트랜지스터 8 : 온도검출기
9 : 제2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는 전열기등에 사용되는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기요, 전기장판 및 전기이불 등과 같은 히터를 사용하는 전열기는 교류전압입력수단으로부터 상용교류전압(AC 100V 내지 AC 200V)을 입력을 받아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히터와 직렬로 접속된 단방향의 전력제어소자(SCR)가 사용되었으며,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히터가 과열되면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력제어소자(SCR)의 입출력이 단락되어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히터가 과열되면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력제어소자(SCR)와 직렬접속된 전류휴즈가 사용되어, 상기 전력제어소자(SCR)가 단락되면 전류휴즈가 단락되어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전열기는 히터의 온도상승속도가 늦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단방향의 전력제어소자(SCR) 대신에 양방향 전력제어소자인 트라이악을 사용하여 온도상승속도를 높혀주었다. 그런데, 상기 트라이악은 양방향전력제어소자로서 동작시에 일반적인 단락 상태가 되어 전류휴즈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력제어소자의 단락시 전원을 즉시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열기의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용반도체소자의 단락시에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즉시 차단할 수 있는 전력제어용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1)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회로(2)와, 상기 트리거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 전압을 받아 부하(2)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의 통전을 제어하는 양방향 전력제어수단(3)과 상기 양방향 전력제어수단(3)의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부하(5)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안정화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마이크로컴퓨터이고, (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회로이고, (3)은 상기 트리거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전압을 받아 부하(5)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접압의 통전을 제어하는 양방향제어전력수단이고, (10)은 상기 양방향전력제어수단(3)의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부하(5)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안정화 수단이다.
상기 양방향전력제어수단(3)은 트라이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정화수단(10)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도통되는 제1트랜지스터(7)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7)의 도통시에 바이어스저항(6)을 통해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도통되는 제2트랜지스터(9)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9)의 콜렉터단자측에 접속되어 일정온도이상이 되면 상기 트라이악(3)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는 온도휴즈(4)를 오픈시키는 저항식온도검출기인 온도검출기(8)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의 동작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를 동작시키도록 마이크로컴퓨터(1)가 초기화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1)는 출력단자(OUT1)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1)를 통해 출력된 제어신호는 트리거회로(2)에 입력되고, 트라이악(3)을 온시키도록 트리거회로(2)에서 트라이악(3)의 게이트단자에 케이트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트라이악(3)이 온되면서 부하(5) 즉, 히터에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전열기는 정상동작 즉, 발열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는 현재 전열기가 동작중인지를 판별하여 전열기가 동작중이면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계속 발열동작을 행하게 된다.
한편, 트라이악(3)의 입출력이 단락되어 전열기의 부하(5)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에서 출력되는 하이(high)레벨의 신호를 받아 제1트렌지스터(7)가 온됨과 동시에, 바비어스저항(6)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제1트랜지스터(9)의 베이스단자에서, 받아 제1트랜지스터(9)가 온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9)가 온되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9)의 콜렉터단자 측과 부하(5)측에 접속된 온도 검출기(8)에서, 도통되는 교류전압을 받아 상기 온도검출기(8)는 계속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온도검출기(8)의 발열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어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온도검출기(8)와 같이 묶여 있는 온도휴즈(4)가 단락되면서 상기 트라이악(3)의 출력단자의 양단자(MT1, MT2)에는 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되어 부하(5)에 공급되는 교류전압이 차단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력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단락안정회로에 의하면, 전열기의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용반도체소자의 단락시 온도저항과 온도휴즈에 의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을 적시 차단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마이크로컴퓨터(1)와, 상기 마이크컴퓨터(1)의 출력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회로(2)와, 상기 트리거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전압을 받아 부하(5)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의 통전을 제어하는 양방향전력제어수단(3)과 상기 양방향전력제어수단(3)의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부하(5)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안정화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력제어수단(3)은 트라이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수단(10)은 상기 트라이악의 온시에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도통되는 제1트랜지스터(7)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7)의 도통시에 바이어스저항(6)을 통해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도통되는 제2트랜지스터(9)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9)의 측에 접속되어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트라이악(3)의 입력축에 접속되어 있는 온도휴즈(4)를 오픈시키는 온도검출기(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사이 온도검출기(8)는 정항식온도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KR2019930001868U 1993-02-12 1993-02-12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KR0111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68U KR0111180Y1 (ko) 1993-02-12 1993-02-12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68U KR0111180Y1 (ko) 1993-02-12 1993-02-12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49U KR940021149U (ko) 1994-09-24
KR0111180Y1 true KR0111180Y1 (ko) 1998-04-15

Family

ID=1935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868U KR0111180Y1 (ko) 1993-02-12 1993-02-12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1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49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86591A (ja) 直流調整装置
US3920955A (en) Electronic thermally sensitive switch device
JP4263685B2 (ja) 保護回路
KR0111180Y1 (ko)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의 단락안정회로
JPH07221261A (ja) 温度センサを有する電力用半導体デバイス
KR200168172Y1 (ko) 보조전원이 필요 없는 무접점 릴레이
JPH1198683A (ja) 負荷電流制御装置
KR100331835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구동장치 및 방법
GB1602734A (en) Electrically-powered heating panels
JPH0323804Y2 (ko)
KR910004584Y1 (ko) 100v/220v 겸용 자동 온도 조절 장치
KR890000031Y1 (ko) 전자식 제어 기능을 가진 전열기
KR970002641Y1 (ko) 전기장판의 자동온도조절회로
RU1793563C (ru) Электротермическа установка
JPS6222121A (ja) 発熱装置
RU20232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KR910006844Y1 (ko) 110v/220v 겸용 자동 온도 조절 장치
RU2089935C1 (ru) Тиристорный регуля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я
JP2001185326A (ja) 電力制御装置
JP2696113B2 (ja) 加熱炉の供給電流制限装置
KR930007540Y1 (ko) 110v/220v 자동절환회로
JPS645836Y2 (ko)
SU1683078A1 (ru) Двухобмоточный электромагнит с форсированным включением
JP2002110866A (ja) 電子装置
JP2005042979A (ja) 電気式床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