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044Y1 -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044Y1
KR930001044Y1 KR2019900008351U KR900008351U KR930001044Y1 KR 930001044 Y1 KR930001044 Y1 KR 930001044Y1 KR 2019900008351 U KR2019900008351 U KR 2019900008351U KR 900008351 U KR900008351 U KR 900008351U KR 930001044 Y1 KR930001044 Y1 KR 930001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switch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76U (ko
Inventor
안형철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8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044Y1/ko
Publication of KR920000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M : 모노 스테이블 멀티 바이브 레이터(Monostable Multi Vibrator)
LP : 지시램프(Lamp)돌부 NOR : 노아 게이트(NOR Gate)
B10 : 닫힘센서 O/C : 개폐장치
SW : 개폐스위치 Doorl-DoorN : 출입문
본 고안은 연동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불완전하게 닫힌 출입문의 선택적인 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한 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출입문(Door)에 닫힘감지 센서(A10)에 지시램프(Lp)를 연결하여 접지로 흐르도록 하며, 개폐장치(A20)에 개폐스위치(SW)의 "오픈"과 "클로즈"접점을 연결하여 구성한 회로를 널리 사용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지하철의 출입문과 연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이 플랫폼(Plat Form)에 도착하여 출입문을 "오픈" 하여 승객들은 승. 하차 시킨후 출발시각이 되어 개폐스위치(SW)의 접점을 "오픈"에서 "클로즈"쪽으로 전환하면 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그러나 러시아워(Rush Hour)와 같이 많은 사람이 붐비는 시간에는 출입문(Door)에 발이나 신체부위가 걸리게 되어 출입문(Door)이 불완전하게 닫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출입문이 불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 운행하게 되면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운행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가 작동하므로 출입문 전체를 재 개폐하여 완전하게 닫은 상태에서 운행을 하여야 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출입문이 불완전하게 닫힌 경우 출입문 전체를 모두 재개폐하여야하므로 계속해서 승차하려는 승객으로 인하여 출입문이 불안전하게 닫히는 상태가 계속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운행시간을 지키지 못하고 연착하게 되므로 출퇴근 시의 많은 사람에 불편함을 줄 뿐만아니라, 연속적인 개폐작용으로 인한 승객의 증가에 따라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져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 제2도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Door)에 닫힘감지센서(B10)와 개폐장치(O/C)를 설치하고, 상기 닫힘감지센서(B10)에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와 지시램프(Lp)를 연결하여 접지로 흐르도록 하며, 상기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의 출력단을 노아게이트(NOR)의 입력단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노아게이트(NOR)의 타 입력단에 개폐스위치(SW)의 "오픈" 접점을 연결하며, 추력단에는 개폐장치(O/C)를 연결 한다.
또한 개폐스위치(SW)의 "클로즈" 접점은 개폐장치(O/C)에 직접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연속적인 다른 출입문(Door)에도 똑같이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상태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이 플랫폼(Plat Form)에 도착하여 승객을 승하차 시키기 위해 출입문(Door)을 "오픈"시킨다음, 출발시각이 되어 개폐스위치(SW)의 접점을 "오픈" 접점에서 "클로즈"접점으로 전환하게 되면 개폐장치(O/C)에 의해 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이때 출입문(Door)이 정상적으로 완전히 닫히게 되면, 감지센서(B10)에 의해 "하이" 신호가 지시램프(Lp)와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에 인가되므로 상기 지시램프(Lp)는 점등되고 또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에서 출력되는 신호역시 "하이"로서 출력되어 노아게이트(NOR)의 일단에 입력된다.
이때 출입문(Door)의 개폐스위치(SW) 접점을 "오픈" 접점으로 전환하더라도 노아게이트(NOR)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논리적인 값으로 볼 때 "로우"로서 출력되어 완전하게 닫힌 출입문(Door)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못하고 계속해서 닫혀 있는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그러나 불완전하게 닫힌 출입문(Door)에서는 닫힘센서(B1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로서 발생하므로 지시램프(Lp)는 소등상태를 계속하고 또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출력값 역시 "로우"신호로서 출력되어 노아게이트(NOR)에 인가된다.
이때 개폐스위치(SW) 접점을 "오픈" 접점으로 전환하면 노아게이트(NOR)의 출력값이 "하이"로되어 개폐장치(O/C)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불완전하게 닫힌 출입문(Door)만 재개폐되는 작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일정시간 약 10초-20초 간만 작용한다.
따라서 일정시간 즉 10-20초 후에는 개폐장치(O/C)는 개폐 스위치(SW)의 영향을 받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연동출입문에서 단 1개의 출입문이 불완전하게 닫히더라도 전체의 출입문을 재개폐 하므로서 도착시간 지연과 여기치 못하였던 사고의 발생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불완전하게 닫힌 출입문만을 선택적으로 재개폐 되게하여 도착시간 지연과 여기치 못한 사고를 방지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닫힘감지센서(B10)와 개폐장치(O/C) 및 램프(Lp) 그리고 개폐스위치(SW)로 구성된 연동 출입문에 있어서, 지시램프(Lp)와 닫힘감지센서(B10) 사이의 접점에 모노스 테이블 멀티 바이브레이터(M. M)를 연결한 후, 상기 모노 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 M) 출력단과 개폐스위치(SW)의 "오픈" 접점을 노아게이트(NOR)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노아게이트(NOR)의 출력단을 개폐 장치(O/C)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출입문의 선택적 재개폐장치.
KR2019900008351U 1990-06-14 1990-06-14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KR930001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51U KR930001044Y1 (ko) 1990-06-14 1990-06-14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51U KR930001044Y1 (ko) 1990-06-14 1990-06-14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76U KR920000876U (ko) 1992-01-27
KR930001044Y1 true KR930001044Y1 (ko) 1993-03-08

Family

ID=1929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351U KR930001044Y1 (ko) 1990-06-14 1990-06-14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0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76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8039A (ko) 차량용 전동 개폐기의 개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706448A (ko) 승강기 도어 부정조작 방지 시스템(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ATE214840T1 (de) Hybrides leistungsrelais
KR930001044Y1 (ko) 연동 출입문의 선택적 재 개폐장치
EP0237821A3 (en) Control device for valves and the like
KR950013967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E59001024D1 (de) Wertbehaelter.
DE3888567D1 (de) Tür- oder Torbetätigungs-Kodierschaltgerät.
KR0152335B1 (ko) 차량도어의 닫힘 방지 장치
RU2332785C2 (ru) Коммут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ок по току
JPH07247084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89000643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KR200143874Y1 (ko) 드레인 홀을 구비한 아웃사이드 핸들
SU84925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200156244Y1 (ko) 차량의 자동개폐문 제어회로
SU6166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SU11847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SU392533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12
JPS5713992A (en) Control system of motor
KR100199490B1 (ko) 버스의 자동문 속도 제어장치
KR960028686A (ko) 동절기 자동차 도어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해빙회로
KR970043979A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자동폐문 제어회로
JPS6460588A (en) Door open-close controller for elevator
KR910016608A (ko)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제어장치
KR970043754A (ko) 차량의 도어 자동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